KR20210144486A - 배터리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486A
KR20210144486A KR1020200061932A KR20200061932A KR20210144486A KR 20210144486 A KR20210144486 A KR 20210144486A KR 1020200061932 A KR1020200061932 A KR 1020200061932A KR 20200061932 A KR20200061932 A KR 20200061932A KR 20210144486 A KR20210144486 A KR 2021014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charger
battery modul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757B1 (ko
Inventor
민일홍
Original Assignee
민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일홍 filed Critical 민일홍
Priority to KR102020006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757B1/ko
Priority to CN202090001151.8U priority patent/CN218788659U/zh
Priority to JP2022571248A priority patent/JP2023526522A/ja
Priority to PCT/KR2020/015865 priority patent/WO2021235626A1/ko
Priority to US17/921,575 priority patent/US20230178999A1/en
Publication of KR2021014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과, 충전을 위해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충전기를 포함하며, 배터리모듈과 충전기 연결시에 2개 이상의 피충전지는 충전기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도록 서로 단선되며, 배터리모듈에 구비된 2개 이상의 피충전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충전되므로, 배터리모듈의 충전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시스템{Battery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모듈에 포함된 각각의 피충전지를 개별적으로 충전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사용이 점차 줄어 들고 있으며, 작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모터가 내연기관을 대체하고 있다.
모터는, 모터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배터리 방전시에 재충전을 해야 하는데, 현재 충전시에 대략 40분이 소요되고 있다. 배터리 충전 시간은 화석연료 보충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2726호(2020.05.13.)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과, 충전을 위해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충전기를 포함하며, 배터리모듈과 충전기 연결시에 2개 이상의 피충전지는 충전기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도록 서로 단선된다.
또한, 배터리모듈은,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공급라인과,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포트와, 충전포트로부터 2개 이상의 피충전지로 연장된 2개 이상의 충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급라인에는,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서로 단선시키는 2개 이상의 단선스위치가 구비되며, 2개 이상의 충전라인 각각에는, 피충전지와 충전기를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은, 배터리모듈과 충전기 연결시에 배터리모듈과 전력가동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며, 바이패스라인에 우회피충전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포트에는 2개 이상의 충전라인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2개 이상의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충전기는, 충전포트와 체결되는 충전플러그를 포함하며, 충전플러그에는 2개 이상의 충전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충전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포트는, 컵 형태로 형성되고, 충전플러그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기는, 충전플러그가 충전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 이상의 충전팁이 2개 이상의 충전단자를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장치는, 충전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챔버와, 챔버를 향해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셔를 포함하며, 컴프레셔 작동에 의해서 챔버에 기체가 체워지면 챔버로부터 충전팁이 충전플러그 표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배터리모듈에 구비된 2개 이상의 피충전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충전되므로, 배터리모듈의 충전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왜냐하면, 피충전지가 완전히 충전되는데 소요되는 충전 시간이, 피충전지에 비해 용량이 큰 일반적인 배터리모듈이 완전히 충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100)과, 충전을 위해 배터리모듈(100)과 연결되는 충전기(200)를 포함한다. 배터리모듈(100)과 충전기(200) 연결시에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는 충전기(20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도록 서로 단선된다.
각각의 피충전지(110)가 개별적으로 충전되므로, 배터리모듈(100)이 한번에 충전될 때에 비하여 충전량이 감소되고, 충전시간도 감소된다. 모든 피충전지(110)가 동시에 충전되므로, 결과적으로 배터리모듈(100)의 총 충전시간이 감소된다.
배터리모듈(100)은,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를 직렬로 연결하는 공급라인(120)과, 충전기(200)와 연결되는 충전포트(130)와, 충전포트(130)로부터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로 각각 연장된 2개 이상의 충전라인(140)을 포함한다.
공급라인(120)에는,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를 서로 단선시키는 2개 이상의 단선스위치(111)가 구비된다. 2개 이상의 충전라인(140) 각각에는, 피충전지(110)와 충전기(200)를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141)가 구비된다.
배터리모듈(100)은, 배터리모듈(100)과 충전기(200) 연결시에 배터리모듈(100)과 전력가동장치(300)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바이패스라인(150)을 더 포함한다. 바이패스라인(150)에 우회피충전지(151)가 구비된다. 우회피충전지(151)는 충전시에 배터리모듈(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가동장치(300)의 대기 전력을 공급한다.
바이패스라인(150)에는 제어스위치가 구비된다. 제어스위치, 단선스위치(111), 통전시위치는 배터리모듈(100)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컨트롤러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작동한다. 배터리제어컨트롤러는, 배터리모듈(100)과 충전기(200) 연결을 감지하고, 배터리모듈(100)과 충전기(200) 연결시에 제어스위치를 닫히도록 작동시키고, 단선스위치(111)를 열리도록 작동시키고, 통전스위치(141)를 닫히도록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전력가동장치(300)는 우회피충전지(15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피충전지(110)는 전력가동장치(300)와 단선되고, 충전기(200)와 연결된다.
충전포트(130)에는 2개 이상의 충전라인(14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2개 이상의 충전단자(131)가 구비된다. 충전기(200)는, 충전포트(130)와 체결되는 충전플러그(210)를 포함한다. 충전플러그(210)에는 2개 이상의 충전단자(13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충전팁(211)이 구비된다.
충전포트(130)는, 컵 형태로 형성되고, 충전플러그(210)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충전플러그(210)는 육각기둥,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포트(130)의 단면은 충전플러그(210)의 형태에 따라, 삼각형, 육각형이 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충전플러그(210)가 충전포트(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 이상의 충전팁(211)이 2개 이상의 충전단자(13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장치(220)를 더 포함한다.
리프팅장치(220)는, 충전플러그(210) 내부에 형성된 챔버(221)와, 챔버(221)를 향해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셔(222)를 포함한다. 컴프레셔(222) 작동에 의해서 챔버(221)에 기체가 체워지면 챔버(221)로부터 충전팁(211)이 충전단자(131)와 밀착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충전플러그(210) 표면으로 돌출된다.
충전완료 후 충전팁(211)이 충전단자(131)와 분리될 수 있도록, 충전팁(211)에 자석 또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배터리모듈(100)에 구비된 2개 이상의 피충전지(110)가 각각 개별적으로 충전되므로, 배터리모듈(100)의 충전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왜냐하면, 피충전지(110)가 완전히 충전되는데 소요되는 충전 시간이, 피충전지(110)에 비해 용량이 큰 일반적인 배터리모듈(100)이 완전히 충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기 때문이다.
100: 배터리모듈 110: 피충전지
111: 단선스위치 120: 공급라인
130: 충전포트 131: 충전단자
140: 충전라인 141: 통전스위치
150: 바이패스라인 151: 우회피충전지
200: 충전기 210: 충전플러그
211: 충전팁 220: 리프팅장치
221: 챔버 222: 컴프레셔
300: 전력가동장치

Claims (8)

  1.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충전을 위해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충전기 연결시에 상기 2개 이상의 피충전지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도록 서로 단선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공급라인;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포트;
    상기 충전포트로부터 상기 2개 이상의 피충전지로 각각 연장된 2개 이상의 충전라인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에는,
    상기 2개 이상의 피충전지를 서로 단선시키는 2개 이상의 단선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충전라인 각각에는,
    피충전지와 상기 충전기를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가 구비된, 배터리 충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충전기 연결시에 상기 배터리모듈과 전력가동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우회피충전지가 구비된, 배터리 충전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에는 상기 2개 이상의 충전라인 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2개 이상의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포트와 체결되는 충전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플러그에는 상기 2개 이상의 충전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충전팁이 구비된, 배터리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포트는, 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충전플러그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배터리 충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플러그가 상기 충전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개 이상의 충전팁이 상기 2개 이상의 충전단자를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장치는,
    상기 충전플러그 내부에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를 향해 기체를 주입하는 컴프레셔를 포함하며,
    상기 컴프레셔 작동에 의해서 상기 챔버에 기체가 체워지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충전팁이 상기 충전플러그 표면으로 돌출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0200061932A 2020-05-22 2020-05-22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51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32A KR102519757B1 (ko) 2020-05-22 2020-05-22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202090001151.8U CN218788659U (zh) 2020-05-22 2020-11-12 电池充电系统
JP2022571248A JP2023526522A (ja) 2020-05-22 2020-11-12 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
PCT/KR2020/015865 WO2021235626A1 (ko) 2020-05-22 2020-11-12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17/921,575 US20230178999A1 (en) 2020-05-22 2020-11-12 Battery char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32A KR102519757B1 (ko) 2020-05-22 2020-05-22 배터리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86A true KR20210144486A (ko) 2021-11-30
KR102519757B1 KR102519757B1 (ko) 2023-04-07

Family

ID=7870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932A KR102519757B1 (ko) 2020-05-22 2020-05-22 배터리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78999A1 (ko)
JP (1) JP2023526522A (ko)
KR (1) KR102519757B1 (ko)
CN (1) CN218788659U (ko)
WO (1) WO2021235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943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공유형 배터리팩 냉각 시스템, 공유형 배터리팩 냉각 방법 및 충전 스테이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19Y1 (ko) * 1999-10-13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셀의 균형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20050107682A (ko) * 2004-05-10 2005-11-15 주식회사 이글피쳐코캄 개별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장치
JP2012200126A (ja) * 2011-03-18 2012-10-18 Samya Technology Co Ltd 電池充電器
KR101723048B1 (ko) * 2015-11-24 2017-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180051786A (ko) * 2016-11-09 2018-05-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직렬 일괄 충전과 선택적 보충 충전을 병행한 배터리 셀 간 균형 충전 기술
JP2018200888A (ja) * 2015-06-05 2018-12-20 オーデーウ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電気コネクタのコンポーネントであるプラグまたはソケッ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KR20190051483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12726B1 (ko) 2019-12-17 2020-05-19 표구옥 스마트 기기와 통신되는 태양광 충전 시스템을 사용한 개별 배터리 셀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1105B2 (en) * 2006-02-01 2008-06-03 Sierra Madre Marketing Group Electrical contact surface having numerous protrusions
DE102008043852A1 (de) * 2008-11-19 2010-05-20 Hilti Aktiengesellschaft Corporate Intellectual Property Akkuladegerät
EP2355229A1 (de) * 2010-02-08 2011-08-10 Fortu Intellectual Property AG Hochstrombatterie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ochstrombatteriesystems
KR20120029916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19Y1 (ko) * 1999-10-13 2000-07-15 엘지전자주식회사 셀의 균형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20050107682A (ko) * 2004-05-10 2005-11-15 주식회사 이글피쳐코캄 개별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장치
JP2012200126A (ja) * 2011-03-18 2012-10-18 Samya Technology Co Ltd 電池充電器
JP2018200888A (ja) * 2015-06-05 2018-12-20 オーデーウ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電気コネクタのコンポーネントであるプラグまたはソケッ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KR101723048B1 (ko) * 2015-11-24 2017-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180051786A (ko) * 2016-11-09 2018-05-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직렬 일괄 충전과 선택적 보충 충전을 병행한 배터리 셀 간 균형 충전 기술
KR20190051483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12726B1 (ko) 2019-12-17 2020-05-19 표구옥 스마트 기기와 통신되는 태양광 충전 시스템을 사용한 개별 배터리 셀 충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8943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공유형 배터리팩 냉각 시스템, 공유형 배터리팩 냉각 방법 및 충전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8999A1 (en) 2023-06-08
KR102519757B1 (ko) 2023-04-07
WO2021235626A1 (ko) 2021-11-25
CN218788659U (zh) 2023-04-04
JP2023526522A (ja)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01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42660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l power to an electric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024138B1 (ko) 축전 장치
KR20170142236A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20080284379A1 (en) Battery charger and method
EP2922138B1 (en) Hybrid battery
KR20180007024A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866063B1 (ko) 보조배터리의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228905A (zh) 移动式的起动设备
CN104234904A (zh) 分离式辅助电源的燃烧及紧急起动操控装置及系统
US11878603B2 (en) Contac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actor
CN101809804A (zh) 电源系统以及电池集合体的控制方法
US11130423B2 (en) Battery system having multiple accumulator apparatus for a battery-operate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utilizing a remaining range of same
KR20210144486A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871089B (zh) 手持式工作机具
CN113497282A (zh) 车辆用电池系统
CN102996314A (zh) 用于提高启动协助系统的性能的装置和方法及相关车辆
CN105736211A (zh) 汽车的点火控制系统及汽车
US20080252148A1 (en) Separated battery and vehicle voltages
KR102340096B1 (ko) 오토바이용 스타트 모터 전원 공급 장치
CN102518514A (zh) 基于汽车点火系统的离子电流探测电路
CN219918436U (zh) 电力提取系统
US11486329B2 (en) Load operating device
CN210183023U (zh) 充电装置
CN214900210U (zh) 供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