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323A - 욕실용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욕실용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323A
KR20210144323A KR1020200061524A KR20200061524A KR20210144323A KR 20210144323 A KR20210144323 A KR 20210144323A KR 1020200061524 A KR1020200061524 A KR 1020200061524A KR 20200061524 A KR20200061524 A KR 20200061524A KR 20210144323 A KR20210144323 A KR 2021014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elastic
bathroom
friction pad
clean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휘
Original Assignee
김건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휘 filed Critical 김건휘
Priority to KR102020006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323A/ko
Publication of KR2021014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욕실 내의 찌든 때나 물 때 또는 곰팡이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며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고, 브러시가 삽입되지 않는 틈새 청소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욕실용 청소도구가 개시된다. 상기 욕실용 청소도구는 손잡이부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를 청소면 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헤드부 및, 상기 청소면의 찌든 때를 마찰력에 의해 닦아 낼 수 있도록 상기 탄성 헤드부에 결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용 청소도구{BATHROOM CLEANING TOOLS}
본 발명은 욕실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에 마련되어 있는 욕조나 변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욕실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경우에는 다량의 물을 수시로 사용하는 특성 상 습한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각종 세균들이 번식함과 동시에 곰팡이가 끼거나 물 때 등이 생기게 된다.
특히, 타일을 부착하여 마감을 한 욕실 바닥이나 벽면 등에 형성되는 줄눈이나 욕조, 변기 등의 경우에는 각종 세균들이 번식할 뿐만 아니라, 곰팡이가 끼거나 물 때 등이 생기게 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욕실에 마련되어 있는 욕조나 변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세척제를 도포한 후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또는 물 때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에 적신 브러시 타입의 욕실용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문지른 후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브러시 타입의 욕실용 청소도구는 통상적으로 손잡이에 강모로 제작된 브러시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브러시 타입의 욕실용 청소도구의 경우 사용 후에 변기 물속에 넣고 휘저어 세척하거나 물을 뿌려 헹구어서 세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브러시 타입의 욕실용 청소도구의 경우 변기 세척 후 물로 수 회 이상 헹구어 세척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오물들이 제거되기는 하지만, 수차례의 헹굼 후에도 강모 사이에 일부의 오물들이 남아있게 됨으로써 보관 중에 불쾌한 냄새와 더불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됨으로써 미관상에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손잡이에 세척용 세제를 포함하고 있는 일회용 전용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욕실용 청소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전용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욕실용 청소도구의 경우 클리닝부재가 펄프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특성 상 청소면에 클리닝부재를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없으므로 찌든 때나 물 때 등이 끼거나 곰팡이가 발생된 줄눈이나 변기 보울 내측 표면 등은 제대로 청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제가 과다하게 사용됨과 동시에 한 번 사용 후 버려지게 됨으로써 과다한 자원 소모와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3874호(2006.06.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욕실 내의 찌든 때나 물 때 또는 곰팡이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욕실용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며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욕실용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러시가 삽입되지 않는 틈새 청소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욕실용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를 청소면 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헤드부 및, 상기 청소면의 찌든 때를 마찰력에 의해 닦아 낼 수 있도록 상기 탄성 헤드부에 결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욕실용 청소도구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탄성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소켓 및, 상기 마찰패드가 외부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며 내측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연결소켓의 상, 하부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가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손잡이부와 함께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는 연결소켓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헤드부의 탄성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이 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내측면이 탄성 프레임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의 외부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이 삽입되어 부착되도록 내측면에 마련되는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마찰패드와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찰패드의 외부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증가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는 마찰패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청소면 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이기만 하면 상기 손잡이부와 함께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는 연결소켓에 의해 마찰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된 탄성 헤드부가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매우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매우 적은 함만을 들이고도 청소면에 마찰패드를 매우 큰 힘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마찰패드와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청소면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는 세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마찰패드와 청소면과의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욕실의 찌든 때나 물 때, 곰팡이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욕실 청소 시 환경, 특히 수질에 미치는 위험성이 가장 심각한 세제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는 다수의 강모로 형성된 브러시 형태가 아닌 마찰패드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게 됨으로써, 청소 후 각종 이물질이나 오물들이 마찰패드 표면에 남아 있지 않아 세척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번식 없이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는 브러시가 삽입되지 않는 각종 틈새에도 마찰패드가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틈새의 경우에도 매우 깨끗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욕실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관리의 효율성 또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는 일회성으로 사용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사용 후 간단한 세척만으로도 세균이나 곰팡이 발생 없이 보관이 가능함으로써 자원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함과 더불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매우 적은 힘만 들이고도 각종 틈새의 물때나 찌든 때, 곰팡이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욕실 청소 시 수질에 미치는 오염성이 가장 심각한 합성세제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욕실 청소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의 사시도
도 2는 탄성 헤드부와 마찰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탄성력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 헤드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마찰 증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 헤드부의 측면도
도 6은 변기 청소 시 욕실용 청소도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탄성 헤드부와 마찰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탄성 헤드부(110) 및, 마찰패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손잡이부(140)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40)를 청소면 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부에 원터치 탈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탄성 헤드부(110)에 손을 대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140)로부터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탄성 헤드부(110)는 연결소켓(111) 및, 탄성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111)은 상기 손잡이부(140)의 끝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거나 원터치 탈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프레임(112)은 내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연결소켓(111)의 상, 하부에 양측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프레임(112)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긴 띠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측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보게 'U'자 형태로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탄성 공간부(S)가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의 상, 하부에 양측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프레임(112)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소켓(11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에 한 쌍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탄성 프레임(112)은 틈새나 각종 홀 등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틈새나 홀 내부의 찌든 때나 물 때 등을 닦아낼 수 있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의 일측으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프레임(112)은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프레임(112)은 상기 손잡이부(140)가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손잡이부(140)와 함께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는 연결소켓(111)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청소면에 마찰패드(120)를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조절수단(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탄성력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력 조절수단(113)은 상기 탄성 프레임(112)에 연결소켓의(111)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탄성 헤드부(110)가 청소면에 밀착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력 조절수단(113)은 위치 고정 홀(113a) 및, 고정 돌출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 홀(113a)은 상기 탄성 프레임(112)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고정 홀(113a)은 상기 연결소켓(111)의 하단부에 위치한 탄성 프레임(112)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출부(113b)는 상기 복수개의 위치 고정 홀(113a)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 고정 홀(113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소켓(111)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120)는 청소면의 찌든 때를 마찰력에 의해 닦아 낼 수 있도록 상기 탄성 헤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찰패드(120)는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탄성 프레임(112)과 대응되는 형상이 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내측면이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패드(120)는 욕실 타일이나 세면대 또는 변기 표면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찰패드(120)는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외부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패드(120)는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외부면에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분리 교체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서도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120)는 청소면과의 밀착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프레임의 폭(W1) 보다 넓은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패드(120)는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외부면에 부착되었을 시 상기 탄성 프레임(112) 외측으로 양측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프레임(112)의 폭(W1) 보다 넓은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청소면과의 밀착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찰패드(120)는 결합 홈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부(121)는 상기 탄성 프레임(112)이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패드(12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 홈부(121)는 상기 탄성 프레임(112)과 마찰패드(120) 사이에 단차를 없애 줌으로써 상기 탄성 프레임(112)과 마찰패드(120)의 연결부위에 이물질 등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마찰패드(120)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4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마찰패드(120)를 청소면에 마찰시킴으로써 청소면의 찌든 때나 물 때 등을 닦아낼 시 상기 마찰패드(120)와 청소면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탄성 프레임(112)으로부터 마찰패드(120)가 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증가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마찰 증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찰 증가수단(130)은 상기 마찰패드(120)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상기 마찰패드(120)와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 증가수단(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120)의 외부면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다수개의 홈(131)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마찰 증가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120)의 외부면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다수개의 돌출부(132)일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손잡이부(140)의 끝단부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는 탄성 헤드부(11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욕실의 각종 틈새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가 틈새의 폭과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변적으로 변형되어 마찰패드(120)를 틈새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틈새 내부의 물때나 찌든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다량의 물을 수시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습한 환경이 조성되는 욕실의 특성 상, 샤워부스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 변기 수조와 욕실 벽면 사이의 틈새 등에는 물때나 찌든 때가 손쉽게 끼이게 되는데, 일반적인 브러시 형태의 욕실 청소도구의 경우에는 틈새에 브러시가 삽입되지 않아 틈새에 끼인 물때나 찌든 때를 제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된 탄성 헤드부(110)의 끝단부, 즉 마찰패드(120)가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 프레임(112)의 끝단부를 틈새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탄성 프레임(112)이 틈새의 폭에 맞춰 가변적으로 변형되어 마찰패드(120)를 틈새를 형성하는 벽면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틈새의 물때나 찌든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변기 청소 시 욕실용 청소도구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200)의 림(210)과 변기 보울(220)이 연결되는 틈새(230)의 경우에는 상기 변기 림(210)에 마련되어 있는 급수 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수시로 보울(220)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특성 상 물때가 매우 쉽게 끼일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는 틈새(230)에 끼인 물때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움으로써 물때가 낀다 하더라도 청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 이거나 청소를 한다 하더라도 틈새로 청소도구가 삽입되지 않아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외부면에 마찰패드(12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프레임(112)이 연결소켓(111)의 양측 또는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를 사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변기(200) 상부 측에서 손잡이부(140)를 파지한 상태로 변기 림(210)과 변기 보울(220)이 연결되는 틈새(230) 내부로 마찰패드(12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프레임(112)의 끝단부, 즉 탄성 헤드부(110)의 끝단부를 용이하게 삽입시켜 상기 마찰패드(120)를 틈새(230)를 형성하는 림(210) 내부면과 보울(220) 표면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켜 변기의 림(210)과 보울(220)이 연결되는 틈새(230) 청소를 매우 손쉽고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패드(12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110)는 상기 틈새(230)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 헤드부(110)의 각도와 상기 틈새(230)의 폭에 따라서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틈새(23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틈새(230)를 형성하는 림(210) 내부면과 보울(220) 표면에 마찰패드(120)를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경우 틈새(230)의 폭이나 삽입되는 각도에 따라서 그 형태가 자유자재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틈새(230)를 형성하는 표면에 마찰패드(120)를 매우 적은 힘만 가하고도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각종 이물질이나 물 때 등이 손쉽게 끼이는 트랩 홀(240) 표면의 경우에도 매우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청소면 측(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20)에 의해 탄성 헤드부(110)가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마찰패드(120)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40)를 청소면 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이기만 하면 상기 손잡이부(140)와 함께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는 연결소켓(111)에 의해 마찰패드(12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된 탄성 헤드부(110)가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매우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매우 적은 함만을 들이고도 청소면에 마찰패드(120)를 매우 큰 힘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마찰패드(120)와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청소면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세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마찰패드(120)와 청소면과의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욕실의 찌든 때나 물 때, 곰팡이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욕실 청소 시 수질에 미치는 위험성이 가장 심각한 세제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다수의 강모로 형성된 브러시 형태가 아닌 마찰패드(120)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게 됨으로써, 청소 후 각종 이물질이나 오물들이 마찰패드(120) 표면에 남아 있지 않아 세척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번식 없이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욕실용 청소도구(100)는 브러시가 삽입되지 않는 각종 틈새에도 탄성 헤드부(110)가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탄성 헤드부(110)에 부착되어 있는 마찰패드(120)를 틈새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틈새의 경우에도 매우 깨끗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욕실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관리의 효율성 또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탄성 헤드부 (111) : 연결소켓
(112) : 탄성 프레임 (113) : 탄성력 조절수단
(120) : 마찰패드 (130) : 마찰 증가수단
(140) : 손잡이부

Claims (7)

  1. 손잡이부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를 청소면 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헤드부; 및
    상기 청소면의 찌든 때를 마찰력에 의해 닦아 낼 수 있도록 상기 탄성 헤드부에 결합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소켓; 및
    상기 마찰패드가 외부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며 내측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상기 연결소켓의 상, 하부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틈새나 굴곡진 청소면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가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손잡이부와 함께 청소면 측으로 기울어지는 연결소켓에 의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되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헤드부의 탄성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이 되도록 양측이 서로 마주하게 탄성적으로 접혀져 내측면이 탄성 프레임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의 외부면에 분리 교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탄성 프레임이 삽입되어 부착되도록 내측면에 마련되는 결합 홈부를 더 포함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와 청소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찰패드의 외부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증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욕실용 청소도구.


KR1020200061524A 2020-05-22 2020-05-22 욕실용 청소도구 KR20210144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24A KR20210144323A (ko) 2020-05-22 2020-05-22 욕실용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24A KR20210144323A (ko) 2020-05-22 2020-05-22 욕실용 청소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23A true KR20210144323A (ko) 2021-11-30

Family

ID=7872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24A KR20210144323A (ko) 2020-05-22 2020-05-22 욕실용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4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874A (ko) 2003-07-08 2006-06-12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일회용/교체식 브러시 헤드를 구비한 세척 브러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874A (ko) 2003-07-08 2006-06-12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일회용/교체식 브러시 헤드를 구비한 세척 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4974A1 (en) Cleaning glove
KR102061799B1 (ko) 밀대 청소기
US10646093B2 (en) Counter/table top cleaning pad-squeegee wiper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KR20210144323A (ko) 욕실용 청소도구
KR20230122679A (ko)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 장치
KR200489458Y1 (ko) 돌기형 수세미
US20150289744A1 (en) Sponge equipped with liquid receptacle
WO2017103265A1 (en) Toilet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a toilet
CN201227219Y (zh) 可更换刷面的洗澡刷
JP4699437B2 (ja) 洗浄具
JP3050806U (ja) 隙間用清掃具
JP2004016637A (ja) 洗浄具
JP3000803U (ja) 水洗式便器用の洗浄具
JP2006006598A (ja) 身体用手入れ具
KR200447140Y1 (ko) 비데의 일회용 노즐팁 착탈장치
CN209899243U (zh) 马桶刷
JP2002177049A (ja) 用途によってブラシやスポンジ等の付け替えができる多目的充電式電動洗浄器
KR200297447Y1 (ko) 변기 청소기
KR200268337Y1 (ko) 신체 청정용품을 구비한 샤워기 헤드
US20210137325A1 (en) Toilet Ring Cleaning Device
JP2004060172A (ja) 排水ユニット
EP1474024B1 (en) Device for domestic cleaning, particularly for cleaning surfaces of sanitary fixtures
JPH08215104A (ja) 清掃具
JP2005224303A (ja) 洗浄具
KR200180893Y1 (ko) 청소용 세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