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066A -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66A
KR20210144066A KR1020200060834A KR20200060834A KR20210144066A KR 20210144066 A KR20210144066 A KR 20210144066A KR 1020200060834 A KR1020200060834 A KR 1020200060834A KR 20200060834 A KR20200060834 A KR 20200060834A KR 20210144066 A KR20210144066 A KR 2021014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ampling
combustion
combustion gas
pu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237B1 (ko
Inventor
김재영
문태영
문지홍
조성호
박성진
백건욱
윤상희
이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44Exhaled gas, e.g. alcohol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cool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연소로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직접 연소가스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고, 연소가스 샘플링 중 미연소된 연료 또는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튜브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연소가 수행되는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고, 일단이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여 연소로 내 생성된 가스인 연소가스를 획득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샘플링포트; 샘플링포트의 타단과 결합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유동챔버;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유동챔버로 퍼징가스를 공급하여 샘플링포트를 퍼징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퍼징가스공급부;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유동챔버를 통과한 연소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를 통과한 후 냉각되고 액체 성분이 제거된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을 수행하는 가스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GAS SAMPLING AND ANALYSIS DEVICE THAT CAN BE APPLIED IN REAL TIME IN THE FLUIDIZED BED PROCESS AND GAS SAMPLING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로의 연소가스를 샘플링 한 후 분석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직접 연소가스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고, 연소가스 샘플링 중 미연소된 연료 또는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튜브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에서는 오염 물질의 저감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연소로 내 연소가스에 포함되는 오염 물질에 대한 분석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순환 유동층 공정에 적용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들은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거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들에서는, 기포 유동층 혹은 순환 유동층에서 유동사의 순환 영역이 적은 위치의 가스 분석을 위한 샘플링이 가능하지만, 순환 영역이 많은 연소로 내에서는 가스 샘플링 및 분석에 한계가 있어 중요한 오염물질 거동 측정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들에서는, 미연소된 연료 및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철 튜브(SUS Tube)에 막힘이 발생함으로써, 가스 분석에 요구되는 가스 샘플링량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9500호(발명의 명칭: 보일러의 연소환경 진단장치)에서는, 상기 화염부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 센서; 상기 화염부에 부착되고, 상기 열 센서의 감지대상이 연소할 때 발생되는 연소 생성물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소가스 흡입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정보와, 상기 열 센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연소가스 흡입센서를 통해 흡입된 연소 생성물에 대한 정보 및 연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 센서와 상기 연소가스 흡입센서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연소환경을 판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의 연소환경 진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950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이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되도록 하고, 그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로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직접 연소가스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가스 샘플링 중 미연소된 연료 또는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튜브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연소가 수행되는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로 내 생성된 가스인 연소가스를 획득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샘플링포트; 상기 샘플링포트의 타단과 결합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유동챔버; 상기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챔버로 퍼징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샘플링포트를 상기 퍼징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퍼징가스공급부; 상기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챔버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냉각되고 액체 성분이 제거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을 수행하는 가스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가스분석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퍼징가스공급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퍼징배관; 및 상기 퍼징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퍼징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퍼징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퍼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필터배관; 및 상기 필터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필터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필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열교환배관; 및 상기 열교환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교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포트는, 일단이 상기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연소로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인 샘플링튜브; 소결합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샘플링튜브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기공체, 및 상기 샘플링튜브와 결합되고 상기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샘플링튜브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포트를 세척하는 상기 퍼징가스는, 수증기 또는 산화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퍼징가스공급부의 연결이 차단되고,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샘플링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챔버로 유동하는 제1단계; 상기 유동챔버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동하고,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여과가 수행되는 제2단계; 여과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분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이 분리 제거되는 제3단계; 상기 분배부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 상기 가스분석부로 유동하고,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이 수행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필터부의 연결이 차단되고, 상기 퍼징가스가 상기 샘플링포트에 공급되어 상기 샘플링포트가 세척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샘플링포트를 연소로에 결합시킨 후, 연소가스가 필터부, 열교환기, 분배부 등을 거쳐 가스분석부에서 분석되도록 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이 수행되므로,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샘플링포트가 연소로 내측에서 직접 연소가스를 획득하고, 소결합금으로 형성된 구성이 열로부터 샘플링포트의 튜브를 보호하므로, 안정적으로 연소로 내 연소가스를 획득하고, 이와 같은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가스 샘플링 및 분석 후, 퍼징가스를 이용하여 샘플링포트 내부를 세척 가능하므로, 연소가스 샘플링 중 미연소된 연료 또는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튜브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포트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각각의 비교 예에 따른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샘플링포트(100)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연소로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를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연소가 수행되는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고, 일단이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여 연소로 내 생성된 가스인 연소가스를 획득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샘플링포트(100); 샘플링포트(100)의 타단과 결합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유동챔버(300); 유동챔버(300)와 연결되고, 유동챔버(300)로 퍼징가스를 공급하여 샘플링포트(100)를 퍼징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퍼징가스공급부(210); 유동챔버(300)와 연결되고, 유동챔버(300)를 통과한 연소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410); 및 필터부(410)를 통과한 후 냉각되고 액체 성분이 제거된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을 수행하는 가스분석부(6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필터부(410)와 연결되고, 필터부(410)를 통과한 연소가스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열교환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열교환부(510)와 가스분석부(620) 사이에 설치되고,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분배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이 수행되므로,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동챔버(300)는 연소가스 또는 퍼징가스가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와 같이 연소가스가 샘플링포트(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간과 샘플링포트(100)로 유입되는 퍼징가스가 동일한 공간을 통과하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짐으로써 작동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필터부(410)는, 유동챔버(30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통과 시, 연소가스 내 포함된 재(회분), 유동사, 기타 불순물 등을 여과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불순물이 제거된 연소가스가 열교환부(510)로 전달되므로, 불순물에 의한 열교환부(510)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510)에서는 냉매와 연소가스 간 열교환이 수행됨으로써 연소가스에 대한 냉각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냉각에 의해 연소가스에는 물과 같은 액체 성분이 생성 포함될 수 있다.
분배부(610)는, 상기와 같이 연소가스 내 존재하는 액체 성분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연소가스를 가스 분석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주며, 가스분석부(620)에서는 분배부(610)로부터 전달된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연소가스 내 존재하는 이산화황(SO2), 일산화탄소(CO), 산화질소(NO, NO2), 이산화탄소(CO2), 산소(O2) 등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연소로의 상부 측벽에는 연소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타공 부위가 형성되고, 연소로의 타공 부위에는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인 원통형의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에 샘플링포트(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출관에 의해 샘플링포트(10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샘플링포트(100)는, 일단이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연소로 외측에 위치하며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인 샘플링튜브(120); 소결합금으로 형성되어 샘플링튜브(120)의 일단과 결합하고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기공체(110), 및 샘플링튜브(120)와 결합되고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어 샘플링튜브(12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체(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샘플링튜브(120)는 스테인레스스틸(SUS) 소재로 형성되어 내식성, 내열성 등의 성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샘플링튜브(12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샘플링튜브(120)는 관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130)의 중앙 부위를 샘플링튜브(120)가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샘플링튜브(120)와 지지체(1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연소로의 내측을 향하는 지지체(130)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30)의 홈 내측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배출관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체(130)의 홈과 배출관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샘플링튜브(120)의 일단이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고 샘플링튜브(120)의 타단이 연소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공체(110)는 내열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소결 금속(sintered metal) 또는 소결 합금(sintered alloy)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공체(110)의 내부에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공체(110)는, 샘플링튜브(120)의 일단과 그 인접 부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기공체(110)의 말단이 샘플링튜브(120)의 일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의 연소가스와 유동사가 기공체(110)를 통과하더라도 기공체(110)의 변형 또는 손상이 방지되어 샘플링튜브(12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 유량이 안정적으로 됨으로써, 가스분석부(620)까지 전달되는 연소가스 유량이 안정적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연소가스 분석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샘플링포트(100)를 세척하는 퍼징가스는, 수증기 또는 산화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징가스는 연소로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일 수 있다. 또는, 퍼징가스는 연소로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예열된 산화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퍼징가스는 먼저 퍼징가스공급부(210)로 전달되어 저장되었다가, 샘플링포트(100)의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퍼징가스공급부(2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소가스 샘플링 중 미연소된 연료 또는 다량의 유동사에 의해 샘플링튜브(120)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유동챔버(300)와 퍼징가스공급부(210)를 연결하는 배관인 퍼징배관(220); 및 퍼징배관(220)과 결합되고, 퍼징배관(220)을 따라 유동하는 퍼징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퍼징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퍼징밸브(230)는, 전자밸브로써 볼 밸브 방식일 수 있다. 다만, 밸브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유동챔버(300)와 필터부(410)를 연결하는 배관인 필터배관(420); 및 필터배관(420)과 결합되고, 필터배관(420)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필터밸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밸브(430)는 전자밸브로써 니들 밸브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밸브(430)를 통과한 연소가스의 압력이 감소되면서 연소가스의 유동 속도가 감소되고, 이와 같이 유동 속도가 감소된 연소가스가 필터부(410)를 통과하므로, 필터부(410)의 여과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필터부(410)와 열교환부(510)를 연결하는 배관인 열교환배관(520); 및 열교환배관(520)과 결합되고, 열교환배관(520)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교환밸브(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밸브(530)는 전자밸브로써 볼 밸브 방식일 수 있다. 다만, 밸브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는, 퍼징밸브(230), 필터밸브(430) 및 열교환밸브(53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부에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진행 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퍼징밸브(230)에 밸브를 폐쇄시키는 신호인 off신호를 전달하고, 필터밸브(430)에 밸브를 개방시키는 신호인 on신호를 전달하며, 열교환밸브(530)에 on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소로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는 샘플링포트(100), 유동챔버(300), 필터부(410), 열교환부(510), 분배부(610) 및 가스분석부(6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분석 샘플링 진행을 위한 소정의 시간이 도과하거나 사용자가 제어부에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중지 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퍼징밸브(230)에 on신호를 전달하고, 필터밸브(430)에 off신호를 전달하며, 열교환밸브(530)에 off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퍼징가스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퍼징가스는 유동챔버(300) 및 샘플링포트(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퍼징가스에 의해 샘플링포트(100)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에서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는 실험 예와 각각의 비교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은 연소로, 싸이클론, 루프실, 제1열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의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각각의 비교 예에 따른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비교 예 1]의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3의 (b)는 [실시 예]의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3의 (c)는 [비교 예 2]의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3의 (d)는 [비교 예 3] 내지 [비교 예 5]에서 이용된 샘플링포트에 대한 이미지이다.
[실시 예]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4in(인치)인 샘플링튜브(120), 소결 철(Fe) 합금으로 형성된 기공체(110),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100)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높이 10m(미터)의 연소로에 샘플링포트(100)를 4m(미터)의 설치 높이로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설치 높이는 연소로의 바닥으로부터 샘플링포트(100)의 일단까지의 수직 길이일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비교 예 1]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4in(인치)인 튜브,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는 튜브의 일단에 형성된 석영필터,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높이 10m(미터)의 연소로에 샘플링포트를 2.3m(미터)의 설치 높이로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예 2]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5in(인치)인 튜브, 소결 철(Fe) 합금으로 형성된 기공체(110),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높이 10m(미터)의 연소로에 샘플링포트를 6.2m(미터)의 설치 높이로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예 3]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4in(인치)인 튜브,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높이 10m(미터)의 연소로에 샘플링포트를 8m(미터)의 설치 높이로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예 4]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4in(인치)인 튜브,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연소로와 싸이클론 사이의 배관에 샘플링포트를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예 5]
SUS로 형성되고 단면 직경이 1/4in(인치)인 튜브, 및 지지체(130)를 구비하는 샘플링포트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의 전단에 형성된 배관에 샘플링포트를 설치하고 가스 샘플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11ppm, 일산화탄소(CO)는 3229ppm, 일산화질소(NO)는 199ppm, 아산화질소(N2O)는 94ppm, 산소(O2)는 6.11vol.%, 이산화탄소(CO2)는 13.6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 예 1]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9ppm, 일산화탄소(CO)는 3585ppm, 일산화질소(NO)는 185ppm, 아산화질소(N2O)는 75ppm, 산소(O2)는 9.63vol.%, 이산화탄소(CO2)는 10.32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 예 2]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8ppm, 일산화탄소(CO)는 927ppm, 일산화질소(NO)는 201ppm, 아산화질소(N2O)는 85ppm, 산소(O2)는 7vol.%, 이산화탄소(CO2)는 13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 예 3]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6ppm, 일산화탄소(CO)는 1355ppm, 일산화질소(NO)는 159ppm, 아산화질소(N2O)는 97ppm, 산소(O2)는 5vol.%, 이산화탄소(CO2)는 15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 예 4]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3ppm, 일산화탄소(CO)는 200ppm, 일산화질소(NO)는 151ppm, 아산화질소(N2O)는 92ppm, 산소(O2)는 4.4vol.%, 이산화탄소(CO2)는 15.79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 예 5]에 의한 가스 분석 결과, 연소가스에 이산화황(SO2)은 2ppm, 일산화탄소(CO)는 172ppm, 일산화질소(NO)는 178ppm, 아산화질소(N2O)는 90ppm, 산소(O2)는 4.41vol.%, 이산화탄소(CO2)는 15.79vol.%로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 예]와 [비교 예 1]을 비교한 결과, 연소가스에 가장 많이 포함된 일산화탄소(CO)의 농도(ppm)는 [비교 예 1]이 다소 높았으나, 나머지 물질의 농도는 [실시 예]에서 더 높게 측정되어, 튜브의 일단에 석영필터를 결합한 경우보다 본 발명과 같이 샘플링튜브(120)에 기공체(110)를 결합한 경우 가스 샘플링의 효율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와 [비교 예 2]를 비교한 결과, 일산화탄소(CO)의 농도(ppm)는 [실시 예]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당초, 튜브의 단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경우 가스 분석에 더 유리할 것을 판단되었으나, [실시 예]와 [비교 예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의 단면 직경이 유동사 입자 평균 직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수치로 형성되는 경우 가스 샘플링을 위한 연소가스 획득에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와 [비교 예 3]을 비교한 결과, 일산화탄소(CO)의 농도(ppm)는 [실시 예]에서 현저히 높게 측정되었다. 여기서, [비교 예 3]에서는 [실시 예]와 달리 기공체(110)에 의해 튜브의 일단이 보호되지 못하여 변형됨으로써 [비교 예 3]의 샘플링포트로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와 [비교 예 4] 및 [비교 예 5]를 비교한 결과, 일산화탄소(CO), 이산화황(SO2) 등의 농도(ppm)는 [실시 예]에서 현저히 높게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연소로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연소가스 샘플을 획득하는 것이 연소가스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에서, 유동챔버(300)와 퍼징가스공급부(210)의 연결이 차단되고, 연소로에서 생성된 연소가스가 샘플링포트(100)를 통과하여 유동챔버(300)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계에서, 유동챔버(300)로부터 필터부(410)로 연소가스가 유동하고, 필터부(410)에서 연소가스에 대한 여과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단계에서, 여과된 연소가스가 열교환부(5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연소가스가 분배부(610)를 통과하면서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이 분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단계에서, 분배부(610)를 통과한 연소가스 가스분석부(620)로 유동하고,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제5단계에서, 유동챔버(300)와 필터부(410)의 연결이 차단되고, 퍼징가스가 샘플링포트(100)에 공급되어 샘플링포트(100)가 세척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된 본 발명의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의 설명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샘플링포트 110 : 기공체
120 : 샘플링튜브 130 : 지지체
210 : 퍼징가스공급부 220 : 퍼징배관
230 : 퍼징밸브 300 : 유동챔버
410 : 필터부 420 : 필터배관
430 : 필터밸브 510 : 열교환부
520 : 열교환배관 530 : 열교환밸브
610 : 분배부 620 : 가스분석부
700 : 연소로 710 : 배출관

Claims (10)

  1. 연소가 수행되는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로 내 생성된 가스인 연소가스를 획득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샘플링포트;
    상기 샘플링포트의 타단과 결합되고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유동챔버;
    상기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챔버로 퍼징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샘플링포트를 상기 퍼징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퍼징가스공급부;
    상기 유동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챔버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냉각되고 액체 성분이 제거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을 수행하는 가스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가스분석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퍼징가스공급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퍼징배관; 및
    상기 퍼징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퍼징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퍼징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퍼징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필터배관; 및
    상기 필터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필터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필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배관인 열교환배관; 및
    상기 열교환배관과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열교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포트는,
    일단이 상기 연소로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연소로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튜브인 샘플링튜브;
    소결합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샘플링튜브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연소가스에 유로를 제공하는 기공체, 및
    상기 샘플링튜브와 결합되고 상기 연소로의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샘플링튜브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포트를 세척하는 상기 퍼징가스는, 수증기 또는 산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 시스템.
  10. 청구항 3의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퍼징가스공급부의 연결이 차단되고, 상기 연소로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샘플링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유동챔버로 유동하는 제1단계;
    상기 유동챔버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상기 연소가스가 유동하고,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여과가 수행되는 제2단계;
    여과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분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연소가스로부터 액체 성분이 분리 제거되는 제3단계;
    상기 분배부를 통과한 상기 연소가스 상기 가스분석부로 유동하고, 상기 연소가스에 대한 가스 분석이 수행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유동챔버와 상기 필터부의 연결이 차단되고, 상기 퍼징가스가 상기 샘플링포트에 공급되어 상기 샘플링포트가 세척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KR1020200060834A 2020-05-21 2020-05-21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KR10236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34A KR102362237B1 (ko) 2020-05-21 2020-05-21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34A KR102362237B1 (ko) 2020-05-21 2020-05-21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66A true KR20210144066A (ko) 2021-11-30
KR102362237B1 KR102362237B1 (ko) 2022-02-15

Family

ID=7872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34A KR102362237B1 (ko) 2020-05-21 2020-05-21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840A (zh) * 2021-12-31 2022-05-10 天津津普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气体采样系统的智能诊断和保护系统及其诊断和保护方法
CN114636784A (zh) * 2022-03-09 2022-06-17 安徽工程大学 一种羽绒燃烧性能的测试评价方法及其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87B1 (ko) * 2011-09-21 2012-04-02 (주)파워엔지니어링 발전소 연소가스 중의 산소농도 측정장치
JP2016223880A (ja) * 2015-05-29 2016-12-28 富士電機株式会社 分析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793550B1 (ko) * 2017-08-09 2017-11-03 황성철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및 배기가스 성분 분석 방법
KR101940501B1 (ko) * 2018-06-12 2019-01-22 황성철 접촉식 휴대용 가스 분석기
KR20200019500A (ko) 2018-08-14 2020-02-24 한국전력공사 보일러의 연소환경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87B1 (ko) * 2011-09-21 2012-04-02 (주)파워엔지니어링 발전소 연소가스 중의 산소농도 측정장치
JP2016223880A (ja) * 2015-05-29 2016-12-28 富士電機株式会社 分析装置およ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793550B1 (ko) * 2017-08-09 2017-11-03 황성철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및 배기가스 성분 분석 방법
KR101940501B1 (ko) * 2018-06-12 2019-01-22 황성철 접촉식 휴대용 가스 분석기
KR20200019500A (ko) 2018-08-14 2020-02-24 한국전력공사 보일러의 연소환경 진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840A (zh) * 2021-12-31 2022-05-10 天津津普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气体采样系统的智能诊断和保护系统及其诊断和保护方法
CN114636784A (zh) * 2022-03-09 2022-06-17 安徽工程大学 一种羽绒燃烧性能的测试评价方法及其设备
CN114636784B (zh) * 2022-03-09 2023-09-01 安徽工程大学 一种羽绒燃烧性能的测试评价方法及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37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237B1 (ko) 유동층 공정에서 실시간 적용 가능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 샘플링 및 분석 방법
US7888126B2 (en) Filter for determination of mercury in exhaust gases
US9468877B2 (en) Exhaust gas analyzing apparatus
CN102539641B (zh) 分析装置
KR100233472B1 (ko) 연기 추출용 관형봉, 그 관형봉을 구비한 연기 추출 및 분석장치, 그리고 이 분석 장치를 구비한 합금제조장치
CN105510088A (zh) 高温烟气排放在线气样分析监测用采样系统
KR101901008B1 (ko) 이코노마이저, 컴포지트 보일러 및 사용 방법
JP2020503449A (ja) ガス処理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操業方法
CN102047110B (zh) 用于确定水状液体试样中至少一种可氧化的内含物质含量的装置
CN106501034B (zh) 一种高温高粉尘的烟气取样监测的装置
CN104849314A (zh) 一种酸露点仪检测探头防尘系统及其防尘方法
JP2007532873A (ja) 処理環境からガスを抽出するためのプローブとシステム
CN107167418A (zh) 一种锅炉水冷壁高温腐蚀在线监测方法及监测系统
CN105865854A (zh) 一种滴管炉水冷取样枪
CN102539337A (zh) 总有机碳测定装置
JPH0233561A (ja) 熱交換装置および同装置内の圧力条件をモニタする方法
CN111366681A (zh) 一种离心机氧浓度智能在线分析系统
JP2001330540A (ja) 排ガス分析計のサンプルガス採取方法
JP2006258462A (ja) ガス分析装置
CN106404068B (zh) 一种用于实时检测炉内温度及烟气成分的测量装置
JP3210660U (ja) 化学発光検出器用反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化学発光検出器
JP3547421B2 (ja) 検水中に含まれる成分の計測装置
CN208672235U (zh) 一种空气预热器测试装置
KR100551586B1 (ko) 시료가스 고속 샘플링장치
JPH0726683Y2 (ja) 工業用ガス濃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