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011A - 단열 데크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단열 데크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11A
KR20210144011A KR1020200060700A KR20200060700A KR20210144011A KR 20210144011 A KR20210144011 A KR 20210144011A KR 1020200060700 A KR1020200060700 A KR 1020200060700A KR 20200060700 A KR20200060700 A KR 20200060700A KR 20210144011 A KR20210144011 A KR 2021014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width
steel plate
wing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833B1 (ko
Inventor
신승철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주)코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틸 filed Critical (주)코스틸
Priority to KR102020006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데크는, 강판; 강판 상에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강판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재; 및 상기 강판 및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패스너; 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은 원형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폭은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보다 같거나 크며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데크 플레이트{Insulating Deck Plate}
본 발명은 단열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스너를 이용하여 강판의 하부면에 단열재를 부착한 단열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단열재가 부착된 데크를 사용하며, 이는 슬래브 중에서도 외기와 접하는 지붕용 슬래브로 주로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를 부착한 탈형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단열재 부착형 데크는 트러스 거더(1) 아래에 스페이서(2)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 단열재(3)가 부착된 후 그 아래에 강판(4)이 설치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 부착형 데크는 단열재(3)가 트러스거더(스페이서)와 강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단열재(3)가 스페이서(2)와 강판(4) 강판 사이에 부착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장볼트(5)가 최하단의 강판(4)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단열재(3)를 완전히 관통하여 스페이서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장볼트(5)는 금속 부재인 강판(4)을 관통해야 하므로 금속 볼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단열재(3)를 완전히 관통한 후 스페이서(2) 부분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단열재를 부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식에서는, 스페이서와 볼트의 접합 시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볼트가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해야 하므로 부정확한 볼트 체결로 인한 스페이서의 단열재 파괴불량률이 큰 단점이 있다. 장볼트는 강판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두께의 단열재를 통과하여 스페이서의 체결부에 정확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이를 정확하게 맞추는 방식이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다.
무엇보다, 볼트가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교현상으로 마감재에 자국이 생기며,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이다. 또한, 장볼트는 일반적인 볼트에 비해 단가가 높으므로, 슬래브 시공이 완료된 후 강판을 탈형 과정에서 많은 수의 장볼트를 풀어 반드시 회수해야 하는 등 구조 상의 단점이 매우 크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를 부착한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러스 거더(1) 하부에 강판(4)이 배치되고, 그 아래에 단열재(3)를 부착한 구조를 갖는 일체형 데크의 일 예이다. 도 1의 예에서의 단열재가 강판과 트러스 거더(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단점을 가지므로, 이를 보완한 구조로서 트러스 거더(1)와 강판(4)를 일체형 데크로 제공하고, 그 아래에 단열재(3)를 부착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단열재(3)는 강판(4) 아래에 접착제(6)를 도포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종래 기술의 데크는 단열재(3)를 강판(4)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접착제(6)를 필요로 하며, 이는 접착제 부착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판과 접착제 간의 접착 방식은 시간에 의한 단열재 건조수축에 불리하게 작용하여, 결국 도 2와 같이 패스너를 추가 시공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불리하게 작용한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의 하부면으로부터 단열재 패스너(7)를 이용해 단열재(3)를 관통하여 접착제(6) 및 강판(4)까지 도달하게 함으로써 강판과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추가적인 시공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종래 기술의 데크에서도 볼트 또는 단열재 패스너가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필연적인 열교현상 및 단열 효과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단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즉,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에서는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는 볼트 또는 단열재 패스너로 인하여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구조 상의 치명적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 부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해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면서도 강판과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패스너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단열재가 부착된 단열 데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데크는, 강판; 강판 상에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강판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재; 및 상기 강판 및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패스너; 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은 원형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폭은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보다 같거나 크며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를 통과하여 상기 단열재에 닿기 시작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고,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가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에 닿음으로써 나사 결합이 종료된다.
상기 강판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스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 만을 관통한다.
상기 헤드부의 일 단부에는 돌출된 형태의 헤드 돌기가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중심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몸통부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원형 또는 육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홈부는 육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상기 패스너가 배치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의 뒷면에 하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데크는, 강판; 강판 상에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강판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재; 및 상기 강판 및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패스너; 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은 타공되어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중심에 원형 부분과 양 단부에 날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원형 부분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날개 부분의 폭은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날개 부분의 두께는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만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원형 부분과 날개 부분이 만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향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한 단열 데크는, 트러스거더-강판-단열재의 구성을 가지면서도 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통하여 강판의 상부면으로부터 패스너를 통과시켜, 단열재의 일부만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면서도 강판과 단열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패스너는 헤드부, 몸통부 및 날개부로 구성되며, 날개부가 아래에서부터 헤드부의 방향으로 나사산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나사 결합으로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패스너 결합부는 패스너의 날개부의 폭보다는 같거나 크고, 패스너의 헤드부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패스너가 강판을 통과하여 단열재를 나사 결합하고 헤드부에 걸려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패스너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회수가 불필요하며 후 설치공정 등이 필요가 없다. 또한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사 결합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내부 단열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는 헤드 돌기 및 뒷면에 하부돌기부를 가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나사 결합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매설 후 풀림 방지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 및 몸통부는 관통홀 및 홈부를 가져 예를 들어 육각 렌치를 이용해 나사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콘크리트 매설 후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를 부착한 탈형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단열재를 부착한 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함한 단열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함한 단열 데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2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의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함한 단열 데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함한 단열 데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패스너를 포함한 단열 데크는 트러스거더(100)와 강판(200) 그리고 단열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러스거더(100)는 예를 들어 슬래브의 주 인장 철근으로 작용하는 하현재와 압축 철근으로 작용하는 상현재, 그리고 상기 상현재 및 하현재를 일체로 고정하면서 전단 스트럿의 역할을 수행하는 래티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티스는 상현재 및 하현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래티스는 철선 또는 철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100)는 강판(200)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러스거더(100)의 하현재가 상기 강판(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 데크는 상기 트러스거더(100)가 상기 강판(200)에 용접 고정되어 일체형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판(200)에 트러스거더(100)를 용접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200)은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만든 돌출지지부(201)가 상기 트러스거더(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어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트러스거더(100)를 길이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20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절곡 성형된 후, 위로 볼록한 부분이 역 U자 내지는 역 V자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쌍을 이루는 돌출지지부(201)는 상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판(20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겹쳐진 형태의 돌출지지부(201)가 아니라, 강판 상에 단순한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트러스거더가 용접될 수도 있다. 즉, 돌출지지부(201)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판(200)은 상기 트러스거더(10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트러스거더(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강판(200)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러스거더(100)와 강판(200)은 일체형이 아닌 탈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트러스거더와 강판 사이에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데크는 상기 강판(200)의 하부에 단열재(300)가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즉, 도 1에 따른 종래 기술의 데크는 트러스거더와 강판 사이에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단열재를 배치하고, 이러한 단열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최하부면인 강판으로부터 단열재를 관통하여 스페이서 등과 결합시키는 금속 물질의 장볼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장볼트의 결합 시의 비효율성과 장볼트의 회수 과정의 비효율성, 및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함으로써 단열 효율의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러스거더-단열재-강판의 기존 구조가 아닌, 트러스거더-강판-단열재의 구조를 채택한다.
또한, 도 2에 따른 종래 기술의 데크는 본 발명과 같이 트러스거더-강판-단열재의 구조를 가지지만,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강판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는 접착제 시공 과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생산 효율 저하 및 강판과 접착제 간의 접착이 시간에 따른 단열재 건조수축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단점을 초래하여, 최하부면인 단열재의 하부면으로부터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여 강판에 이르는 추가적인 패스너가 요구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즉, 도 2에 따른 종래 기술의 데크 또한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는 패스너에 의해 단열 효율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패스너는 단열재를 관통하여 금속 물질인 강판까지 통과시키기 위해 금속 물질을 사용한다면 도 1과 같이 장볼트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합성수지 물질의 패스너를 사용한다면 강판 부분은 미리 타공을 하여 통과시켜야 하므로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도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러스거더-강판-단열재의 구조를 이용하면서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강판과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강판의 상부면으로부터 나사 결합함으로써, 패스너가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면서도 강판과 단열재를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단열 데크를 제공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강판(200)과 단열재(300)를 고정하는 패스너(400)가 제공된다. 상기 패스너(400)는 횡방향으로 볼 때, 트러스거더(100)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패스너(400)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강판(200) 및 단열재(300)의 효율적인 부착을 위해 적절한 위치와 개수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스너의 위치는 각각의 트러스거더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패스너(400)는 상기 강판(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300)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패스너(40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장볼트 또는 패스너와는 달리 단열재(300)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단열재의 일부 만을 관통하면서도 안정적인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상기 패스너(400)는 날개부를 가지고 스크류 방식으로 강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단열재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스너(400)는 금속 물질이 아닌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에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 그렇다면 합성수지재의 패스너(400)가 어떠한 방식으로 금속 물질의 강판(200)을 통과하여 그 하부의 단열재(300)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인지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핵심이 되며, 본 발명에서는 패스너(400)의 형상과 강판(500)에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210)의 형상을 통하여 과제를 해결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패스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400)는 헤드부(410), 몸통부(420), 날개부(430)로 구성된다.
헤드부(410)는 패스너(400)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원판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헤드부(410)의 일 단부에는 돌출된 형태의 헤드 돌기(4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돌기(411)는 상기 강판(200)과 단열재(300)를 상기 패스너(400)를 통하여 고정시킨 후, 이후 공정에서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를 고정한 후 완성된 형태의 단열 데크를 설치하고 이후 공정에서 콘크리트가 매설된다. 콘크리트는 유동성을 가진 상태로 매설된 뒤에 경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에 형성된 상기 헤드 돌기(411)는 콘크리트와 함께 굳어지면서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는 기능을 하므로, 특히 콘크리트 매설 후 상기 패스너(4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돌기(41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10)에 있어서 대칭으로 두 개의 헤드 돌기(41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헤드 돌기(411)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 또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410)의 형상은 원판의 형상에서 외주부가 다수의 톱니를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 돌기(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410)는 그 중심에 관통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2)은 상기 헤드부(4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원형 또는 육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2)는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 및 바닥재(3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때, 예를 들어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암나사부의 안내부의 요소로서 기능한다. 일 예로, 상기 관통홀(412)는 상기 헤드부(410)의 중심 위치에서 관통하는 원형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패스너(400)의 몸통부(420)와 일체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410)의 관통홀(412)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몸통부(420)의 홈부(422)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육각 렌치를 통해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헤드부(410)의 관통홀(412)도 육각 렌치와 완전히 대응되도록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 결합은 하나의 예시로서 육각 렌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이 가능한 다른 모든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410)의 뒷면에는 톱니 모양의 하부돌기부(4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부(410)의 뒷면에 해당하는 바닥부에 톱니 모양의 하부돌기부(413)가 추가 형성됨으로써, 나사 결합 후 풀림 방지 기능을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하부돌기부(413)는 체결 후 역방향으로 풀림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쐐기형 돌출부의 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의 요철의 형상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패스너(400)는 상기 헤드부(410)의 하부에 연결된 몸통부(420)를 가진다.
상기 몸통부(420)는 상기 강판(200)을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300) 내부로 들어가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몸통부(420)는 일 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420)는 상기 강판(200)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단열재(300)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첨부(421)를 가진다.
상기 몸통부(420)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 중심에 홈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422)는 상기 몸통부(420)의 중심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예를 들어 육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홈부(422)는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 및 바닥재(3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때, 예를 들어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암나사부 요소로서 기능한다. 일 예로, 상기 홈부(422)는 상기 헤드부(410)의 관통홀(412)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통부(420)의 홈부(422)는 상기 몸통부(420)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부(420) 내부에 홈부(422)가 충분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육각 렌치를 이용한 나사 결합 시 충분한 힘을 받아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홈부(422)의 길이는 나사 결합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절한 길이로 조정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헤드부(410)로부터 관통하는 상기 헤드부의 관통홀(412) 및 상기 몸통부의 홈부(422)는 나사 결합에 이용되는 암나사부의 역할을 1차적으로 수행하며, 이후 콘크리트 매설 시에는 상기 관통홀 및 홈부(412, 422)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 결합은 일 예시로서 육각 렌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이 가능한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상기 패스너(400)는 몸통부(420)에 형성된 날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430)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상기 날개부(430)의 날개 개수(날개부가 몸통부를 감는 횟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산 형태의 상기 날개부(430)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갈수록 나사산의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몸통부(420)의 첨부(421)와 가장 가까운 상기 날개부(430)의 최하단 날개의 폭이 가장 작고, 상기 헤드부(410)와 가장 가까운 상기 날개부(430)의 최상단 날개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430)는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를 먼저 관통하는 최하단 날개로부터 점점 그 날개부의 폭이 증가하면서 단열재(300)를 파고들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를 서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상기 날개부(430)의 폭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나사산이 커지면서 고정하면 나사산이 동일하거나 감소하는 방식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풀림 방지 효과도 탁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430)의 폭은 상기 몸통부(420)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는 작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날개부(430)의 최하단 날개의 폭은 상기 몸통부(420)로부터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당연히 상기 몸통부(4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다만 상기 날개부(430)의 최상단 날개의 폭은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 작다. 상기 패스너(400)의 날개부(430)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상기 날개부(430)의 최하단 날개 부분부터 강판(200)을 통과하여 단열재(300)를 파고 들어가, 최상단 날개 부분까지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헤드부(410)의 하부면에서 그 나사 결합이 종료된다. 이러한 날개부의 구성을 통한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사 결합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내부 단열재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은 나사 결합 경로는 이하에서 설명할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의 형상 및 크기와 관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스너(400)가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에 어떻게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판(200)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러스거더(100)와 트러스거더(100)가 놓이는 위치 사이에 상기 패스너(40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강판(200) 내에 패스너 결합부(210)가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패스너의 위치는 각각의 트러스거더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는 상기 패스너(400)가 배치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재의 패스너(400)를 사용하기 때문에 강판을 통과할 수 있는 패스너 결합부의 형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판(200)의 패스너 결합부(210)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강판(200)을 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타공하는 것은 형성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의 폭은 상기 패스너(400)의 폭과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의 폭은 상기 패스너(400)의 날개부(430)의 폭보다 크고,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의 폭은 상기 패스너(400)의 몸통부(420) 및 날개부(430)가 진입할 수 있는 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는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스너 결합부(210)의 폭은 상기 날개부(430)의 최상단 날개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강판(200)에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210)는 상기 패스너(400)의 날개부(430)가 통과하여 상기 단열재(300)에 닿기 시작하면서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기 단열재(300)를 관통하고,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가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10)에 닿음으로써 나사 결합이 종료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의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한 단열 데크는, 트러스거더(100)-강판(200)-단열재(300)의 구성을 가지면서도 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210)를 통하여 강판의 상부면으로부터 패스너(400)를 통과시켜, 단열재의 일부만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단열재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면서도 강판과 단열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패스너(400)는 헤드부(410), 몸통부(420) 및 날개부(430)로 구성되며, 날개부(430)가 아래에서부터 헤드부(410)의 방향으로 나사산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나사 결합으로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패스너 결합부(210)는 패스너(400)의 날개부(430)의 폭보다는 같거나 크고, 패스너(400)의 헤드부(410)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패스너(400)가 강판(200)을 통과하여 단열재(300)를 나사 결합하고 헤드부(410)에 걸려 종료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패스너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회수가 불필요하며 후 설치공정 등이 필요가 없다. 또한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사 결합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내부 단열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는 헤드 돌기(411) 및 뒷면에 하부돌기부(413)를 가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나사 결합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매설 후 풀림 방지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400)의 헤드부(410) 및 몸통부(420)는 홈부(412, 422)를 가져 예를 들어 육각 렌치를 이용해 나사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콘크리트 매설 후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의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부착한 단열 데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트러스거더-강판-단열재로 구성되는 데크를 제공한다. 강판과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패스너가 강판의 상부면으로부터 통과하여 단열재의 일부 만을 관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의 형상과 그에 따른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가 제공된다. 패스너(500)는 헤드부(510), 몸통부(520) 및 날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510)는 패스너(500)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원판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510)의 형상은 원판의 형상에서 외주부가 다수의 톱니를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그 중심에 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부(510)의 뒷면에는 톱니 모양의 하부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 가능한 형상들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스너(500)는 상기 헤드부(5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510)보다 폭이 작은 몸통부(520)를 가진다. 상기 몸통부(520)는 상기 강판(200)을 관통하여 상기 단열재(300) 내부로 들어가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로 제1 실시예의 역할과 형상이 동일하다. 일 예로 상기 몸통부(52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판(200)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단열재(300)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첨부(521)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통부(520)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 중심에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500)는 몸통부(520)에 형성된 날개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530)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패스너(500)가 상기 강판(200) 및 단열재(3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날개부(530)의 날개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530)의 폭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헤드부(510)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상기 날개부(530)의 폭이 상기 헤드부(510)보다 큰 폭을 가짐으로써 단열재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 충분한 단면적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날개의 폭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단면적을 최대화하면 단열재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가 강판을 통과하기 위해서,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20)는 중심에 원형 부분(221)과 양 단부에 날개 부분(222)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원형 부분(2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의 몸통부(520)보다 크고 헤드부(510)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즉, 상기 원형 부분(221)의 폭은 상기 패스너(500)의 몸통부(520)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날개 부분(222)의 길이(l)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의 날개부(5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날개 부분(222)의 두께(d)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의 날개부(530)의 날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면 충분하다.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는 그 날개부(530)가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20)의 날개 부분(222)을 교묘하게 통과하여 강판을 통과하고, 단열재부터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며, 헤드부(510)는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20)의 원형 부분(221)에 걸림으로써 나사 결합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500)를 이용하여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20)와 상호 연관되어 결합을 구성하면, 패스너의 날개부(530)가 더 넓은 단면적으로 단열재와 결합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230)는 중심에 원형 부분(231)과 양 단부에 날개 부분(232)을 가지는 형상은 도 13과 동일하나, 상기 패스너 결합부(230)의 원형 부분(231)과 날개 부분(232)이 만나는 모서리부(2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부(233)는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날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향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패스너 결합부(230)의 원형 부분(231)과 날개 부분(232)이 만나는 상기 모서리부(233)의 일부를 살짝 들어 올려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스너 결합 시,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는 들어 올려진 상기 모서리부(233)의 탄성 눌림에 의하여 걸림으로써 풀림 저항이 생기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의 뒷면에 하부돌기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모서리부(233)가 하부돌기부와 요철 맞물림으로서 작용하므로 풀림 저항이 생기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강판;
    강판 상에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강판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재; 및
    상기 강판 및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패스너; 를 포함하는 단열 데크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원형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폭은 상기 날개부의 최상단에 위치한 날개부의 폭보다 같거나 크며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를 통과하여 상기 단열재에 닿기 시작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고, 상기 패스너의 헤드부가 상기 강판의 패스너 결합부에 닿음으로써 나사 결합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스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만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일 단부에는 돌출된 형태의 헤드 돌기가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중심부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의 중심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몸통부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원형 또는 육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홈부는 육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상기 패스너가 배치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뒷면에 하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12. 강판;
    강판 상에 구비되는 트러스거더;
    강판의 하부에 부착된 단열재; 및
    상기 강판 및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패스너; 를 포함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타공되어 형성된 패스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나사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중심에 원형 부분과 양 단부에 날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원형 부분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날개 부분의 폭은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날개 부분의 두께는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만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결합부의 원형 부분과 날개 부분이 만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패스너의 날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상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KR1020200060700A 2020-05-21 2020-05-21 단열 데크 플레이트 KR10235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00A KR102355833B1 (ko) 2020-05-21 2020-05-21 단열 데크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00A KR102355833B1 (ko) 2020-05-21 2020-05-21 단열 데크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11A true KR20210144011A (ko) 2021-11-30
KR102355833B1 KR102355833B1 (ko) 2022-01-26

Family

ID=7872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00A KR102355833B1 (ko) 2020-05-21 2020-05-21 단열 데크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8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823A (ja) * 2000-01-18 2001-07-27 Yuusu Kitaura:Kk ね じ
KR20090126407A (ko) * 2008-06-04 2009-12-09 오정순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1317771B1 (ko) * 2011-05-19 2013-10-15 정경일 드릴링이 용이한 직결나사
KR20190046180A (ko) * 2017-10-25 2019-05-07 노영곤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030391B1 (ko) * 2019-05-09 2019-10-10 김순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탭핑 스크류 볼트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823A (ja) * 2000-01-18 2001-07-27 Yuusu Kitaura:Kk ね じ
KR20090126407A (ko) * 2008-06-04 2009-12-09 오정순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1317771B1 (ko) * 2011-05-19 2013-10-15 정경일 드릴링이 용이한 직결나사
KR20190046180A (ko) * 2017-10-25 2019-05-07 노영곤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030391B1 (ko) * 2019-05-09 2019-10-10 김순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탭핑 스크류 볼트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833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4972A (en)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constructions
US7658356B1 (en) Mounting bracket for solar panel applications
KR101391800B1 (ko) 특정 콘크리트 패널 내의 건축용 자재 조종 앵커
US8601763B2 (en) Fastener for lightweight concrete panel and panel assembly
CA2717272A1 (en) Winged anchor and spiked spacer for veneer wall ti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0924270B1 (ko) 데크고정 클립
US5035028A (en) Roof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dual plate stress reliever
JP3186698U (ja) 台形シートへのpvモジュール用支持レールの締付け構造
KR102355833B1 (ko) 단열 데크 플레이트
TWI754064B (zh) 自穿孔緊固件
TWM624283U (zh) 壁材乾掛扣件
JP2007211441A (ja) 防水シート屋根構造および屋根パネル
CN209873546U (zh) 一种焊钉与孔板组合的钢混连接件
CN101929254A (zh) 绕杆搭接锚固纤维片材加固结构构件的方法
JP3071732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
JP2014185456A (ja) デッキ下地屋根の設備設置用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9343616U (zh) 一种装配式墙板节点
CN212201014U (zh) 一种不锈钢木梁组合构件
CN111852012A (zh) 模板组件
JP3515431B2 (ja) 基礎断熱型枠
CN217736494U (zh) 一体式管道紧固件
JPH02229367A (ja) 弾塑性ダンパー
CN116676856B (zh) 一种钢结构桥梁连接装置
JP6000165B2 (ja) デッキ下地屋根の設備設置用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691493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筋交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