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728A -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 Google Patents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728A
KR20210143728A KR1020217024802A KR20217024802A KR20210143728A KR 20210143728 A KR20210143728 A KR 20210143728A KR 1020217024802 A KR1020217024802 A KR 1020217024802A KR 20217024802 A KR20217024802 A KR 20217024802A KR 20210143728 A KR20210143728 A KR 2021014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blind hole
sensor layer
sensor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햐엘 클랑크
토마스 쾨네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4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04Force transducers adapted for mounting in a bore of the force receiving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8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measuring variation of impedance, e.g. resistance, capacitance, in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06Components, e.g. resis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요소(1, 15)의 순간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2)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구성 요소(1, 15)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구성 요소(1, 15)에 센서 층(3)이 배열되고, 이러한 센서 층(3)은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1, 15) 내의 하중 및/또는 힘을 더욱 양호하게 그리고/또는 더욱 신뢰 가능하게 측정 또는 결정할 수 있도록, 이러한 방법은, 구성 요소(1, 15) 내에 센서 층(3)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본 발명은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구성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구성 요소에 센서 층이 배열되고, 이러한 센서 층은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 또는 구성 요소는 DE 10 2016 204 557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층은 구성 요소 상의 코팅부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센서 층은 도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층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캐리어 물질을 구성 요소 상에 분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단점은, 이러한 센서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볼 조인트 내의 하중, 특히 힘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센서 층이 구성 요소의 외부측이 아니라 두 구성 요소들 사이의 내부측에 제공될 때도, 이곳의 하중은 종종, 특히 얇은 센서 층들이 손상될 정도로 클 것이다. 특히, 볼 소켓과 조인트 볼 사이 또는 조인트 하우징과 볼 소켓 사이의 하중은, 여기에 제공된 센서 층이 빠르게 손상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과제는, 구성 요소 내의 하중 및/또는 힘이 더욱 양호하게 그리고/또는 더욱 신뢰 가능하게 측정 또는 결정될 수 있도록,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방법,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대안의 실시예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 내용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의 측정이란, 구성 요소에 작용하고 그리고/또는 구성 요소 내에서 작용하는 힘 또는 힘 성분들의 측정, 결정 및/또는 검출을 의미한다. 따라서, 센서 장치는 구성 요소에 순간적으로 작용하는 힘 또는 힘 성분들의 측정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구성 요소의 하중은 구성 요소의 변형일 수 있다. 특히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은 구성 요소의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일 수 있다.
구성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구성 요소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사출 금형 내에서 제조된다. 특히 구성 요소 자체는 전기 전도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방법에 따라, 센서 층이 구성 요소에 배열된다. 이 경우, 센서 층은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 층은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로 형성된다. 특히, 센서 층은 전기 전도성 입자를 사용하여 전기 저항 측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장치 또는 센서 층에서의 전기 저항 측정으로부터,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 특히 작용하는 힘 또는 힘 성분들이 결정될 수 있다. 구성 요소 내에는 센서 층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이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 층의 수용을 위한 블라인드 홀형 공동으로 인하여, 센서 층이 구성 요소의 측 표면에 배열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센서 층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 및/또는 구성 요소 자체 내에 배열 및/또는 내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 층은 원치 않는 손상 및/또는 조기 마모로부터 더 양호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람직하게 구성 요소의 수명에 걸쳐,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의 영구적이고 신뢰 가능한 측정이 보장 가능하다.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구성 요소의 제조 시에 이미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구성 요소의 제조 이후, 특히 보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샤프트 형태로 그리고/또는 포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라,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로서 형성된 캐리어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 캐리어 물질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 특히 간단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중력 작용 및/또는 모세관 작용 하에, 액체 캐리어 물질 및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그리고/또는 메워질 수 있다.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수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직경은 3mm 미만, 2mm 미만 또는 1mm 미만이다. 특히, 액체 캐리어 물질로서 래커가 사용된다.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캐리어 물질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검증되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입자는 탄소 나노관으로서 또는 소위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로서 형성된다. 특히, 전기 전도성 입자는 캐리어 물질 내부에 등방성으로 정렬되고 그리고/또는 분포된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성 입자는 힘 감응성 요소로서 형성된다. 특히, 탄소 나노관은 탄소로 이루어진, 현미경 수준으로 작은 관형 구조물이다. 탄소 나노관은 전기 전도성을 갖고, 기계적 응력, 예를 들어 힘 작용으로 인한 팽창 또는 압축 시에 그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도 갖는다. 이러한 효과는 탄소 나노관을 힘 감응성 요소로서 사용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힘 감응성 요소는 그래핀, 산화 그래핀, 카본 블랙 또는 나노 와이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라,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캐리어 물질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적어도 부분적인 채움 및/또는 메움 이후에 경화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캐리어 물질은 경화 처리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 물질의 경화는 적절한 조치에 의해 능동적으로 야기되거나 촉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부적인 가열이 캐리어 물질의 경화를 촉진하거나 가속화할 수 있다. 캐리어 물질의 경화 이후, 이러한 캐리어 물질은 전기 전도성 입자와 함께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 신뢰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영구적으로 보유된다. 특히, 캐리어 물질의 경화로 인해,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 센서 층이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 층 및/또는 캐리어 물질은 구성 요소와, 또는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내부측 또는 내주면과 재료 결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사전 결정된 직경 또는 내부 치수로 인해 센서 층의 층 두께가 사전 결정된다. 따라서, 이와 동시에 재현성이 단순화되는데, 이는 대량 생산에 바람직하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층에 대한 접점들을 제공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전기 라인 섹션들이 구성 요소 내에 내장된다. 특히, 라인 섹션들은 구성 요소의 제조 시에 구성 요소의 플라스틱에 의해 부분적으로 캡슐화되고 그리고/또는 오버몰딩된다. 이 경우, 라인 섹션들은 구성 요소로의 삽입 및/또는 통합으로 인하여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고 내구성을 갖고 배열된다. 접점들 자체는 구성 요소의 플라스틱으로 덮이지 않는다. 라인 섹션들 및 접점들은, 접점들이 센서 층을 위한 블라인드 홀형 공동을 통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접점들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내주면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접점들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전기 라인 섹션들에 의해 제공된 접점들은 센서 층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접점들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 배열된 센서 층을 통해 또는 이러한 센서 층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라인 섹션들은 리드 프레임 또는 와이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구성 요소, 특히 구성 요소의 제조를 위한 사출 금형 내의 간단한 배열 및/또는 저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일 개선예에 따라, 접점들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특히,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적어도, 접점들이 캐리어 물질 및/또는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와 접촉할 때까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 캐리어 물질로 채워지고 그리고/또는 메워진다. 바람직하게, 제1 접점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바닥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2 접점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의 개구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점은 제1 라인 섹션에, 그리고 제2 접점은 제2 라인 섹션에 할당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의 개선을 위해, 캐리어 물질 자체가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작용하는 하중의 측정, 검출 및/또는 결정은, 두 접점들이 센서 층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한, 센서 층의 형성을 위한 채워진 캐리어 재료의 양과 무관하다. 반면, 센서 층이 개구에 할당된 접점을 넘어 개구 방향으로 어디까지 도달하는지는 센서 장치의 기능과 관련이 없다.
일 개선예에 따라, 센서 장치는 평가 장치와 연결된다. 평가 장치는 센서 층에서의 전기 저항 측정으로부터 구성 요소의 순간 하중을 검출 및/또는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힘 및/또는 힘 성분들이 검출 및/또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의 전단 하중, 압력 하중 또는 인장 하중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센서 층의 측정, 검출 및/또는 결정된 팽창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센서 층의 측정, 검출 및/또는 결정된 압축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 하나의 센서 층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들이 구성 요소 내에 배열 및/또는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센서 층들을 구비한 센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들 및/또는 복수의 센서 층들이 서로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 요소 내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평가 장치에 의하여 복수의 센서 층들에서의 측정의 고려 하에 구성 요소의 하중, 특히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힘 또는 복수의 힘 성분들이 더 상세하게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에 작용하는 굽힘력 및/또는 비틀림이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 장치는, 구성 요소에서 순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힘을 위치에 따라 그리고/또는 방향에 따라 결정하기 위해, 특히 복수의 센서 층들에 의해 형성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 요소는 차량, 특히 자동차를 위한 섀시 구성 요소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는 볼 소켓으로서 그리고/또는 볼 조인트를 위한 조인트 하우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볼 조인트는 예를 들어 볼 슬리브 조인트 또는 볼 앤드 소켓 조인트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층이 있는 블라인드 홀형 공동은 볼 소켓 및/또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센서 장치에 의해, 볼 조인트 내에서 작용하는 힘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각각 하나의 센서 층이 있는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들이 조인트 볼 둘레에 분포된 상태로 볼 소켓 및/또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이를 통해, 작용하는 힘 및/또는 힘 성분들의, 위치에 따른 그리고/또는 방향에 따른 검출이 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들 및/또는 센서 층들이 조인트 볼 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된 상태로 볼 소켓 및/또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들 및/또는 센서 층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는, 작용하는 힘 및/또는 힘 성분들의, 위치에 따른 그리고/또는 방향에 따른 분해능 또는 검출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고,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에는 센서 층이 수용된다. 특히 구성 요소가 볼 소켓 및/또는 조인트 하우징으로서 형성될 때, 블라인드 홀형 공동 내의 센서 층은 외부 영향 및/또는 마모 증가로부터 보호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는 상술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방법은 본원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 따라 개선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는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 또는 요소들과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1)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성 요소(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구성 요소(1)에는 센서 장치(2)를 포함한다. 센서 장치(2)는 센서 층(3)을 갖는다. 센서 층(3)은, 여기에서는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입자는 탄소 나노관으로서 형성된다.
구성 요소(1)는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을 포함한다.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샤프트 형태로 구성 요소(1) 내로 연장된다. 센서 층(3)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4) 내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센서 층(3)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채워지거나 메워진다. 대안적으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센서 층(3)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거나 메워질 수도 있다.
센서 장치(2)는 2개의 전기 라인 섹션(5, 6)들을 포함한다. 두 전기 라인 섹션(5, 6)들은 실질적으로 구성 요소(1) 내에 내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전기 라인 섹션(5, 6)들은 센서 층(3)에 대한 접점(7, 8)들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두 접점(7, 8)들은 전기 전도성으로 센서 층(3)과 연결된다. 전기 라인 섹션(5, 6)들은 리드 프레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전기 라인 섹션(5)의 제1 접점(7)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의 내주면(10)에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의 바닥(9)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특히 제2 전기 라인 섹션(6)의 제2 접점(8)은 내주면(10)에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의 개구(11)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접점(7, 8)들 반대편의 전기 라인 섹션(5, 6)들의 단부들은 평가 장치(12)와 연결된다.
센서 장치(2)를 구비한 구성 요소(1)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예를 들어 리드 프레임으로서 형성된 전기 라인 섹션(5, 6)들이, 여기에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사출 금형 내에 배열된다. 그 후, 구성 요소(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이와 동시에 전기 라인 섹션(5, 6)들은 구성 요소(1)의 플라스틱에 의해 부분적으로 캡슐화되거나 오버몰딩된다. 구성 요소(1)의 제조 시에, 이와 동시에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구성 요소(1)의 제조 이후, 보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 캐리어 물질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워지거나 메워진다. 이 경우, 캐리어 물질이 두 전기 라인 섹션(5, 6)들의 접점(7)뿐만 아니라 접점(8)과도 접촉할만큼 많은 캐리어 물질이 블라인드 홀형 공동(4) 내에 채워지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이 그 이상 어느 정도로 채워지는지는 센서 장치(2)의 기능과 관련이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캐리어 물질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래커로서 형성된다. 캐리어 물질은 중력 작용 및/또는 모세관 작용 하에 개구(11)를 통해 블라인드 홀형 공동(4) 내에 채워질 수 있다. 이어서, 캐리어 물질은 센서 층(3)의 형성을 위해 경화되고 그리고/또는 능동적으로 경화 처리된다.
마지막으로, 접점(7, 8)들 반대편의 전기 라인 섹션(5, 6)들의 단부들은 평가 장치(12)와 연결된다. 센서 층(3)에서의 전기 저항 측정으로부터, 평가 장치(12)에 의해 구성 요소(1)에 대한 순간 하중 및/또는 힘 작용이 결정될 수 있다. 화살표(13)에 따라 표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홀형 공동(4) 또는 센서 층(3)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정렬되는 하중 또는 힘 작용에서는, 화살표(14)에 따라 센서 층(3)의 팽창 또는 신장이 야기된다. 이를 통해, 전기 전도성 입자의 팽창 또는 신장도 야기됨으로써, 센서 층(3)의 저항 변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화살표(13)의 반대로 구성 요소(1)로부터 또는 센서 층(3)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배향되는 하중 감소 시에, 센서 층(3)은 재차 수축된다. 이를 통해, 센서 층(3) 내의 전기 전도성 입자는 단축되고, 이는 재차 센서 층(3)의 전기 저항의 변화를 야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구성 요소(1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15)는, 여기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볼 조인트(16)를 위한 볼 소켓으로서 구현된다. 볼 조인트(16)는, 관절 운동 가능하게 볼 소켓(15) 내에 수용되거나 장착된 조인트 볼(17)을 포함한다.
볼 소켓(15)은, 실질적으로 도 1의 도시 내용에 따라 형성된 센서 장치(2)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설명도 참조된다.
볼 조인트(16)의 사용 중에는, 조인트 볼(17)을 통해 상이한 하중 및/또는 힘이 볼 소켓(15)에 작용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화살표(13)에 따라 표시된 바와 같이 센서 층(3)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정렬되는 하중 또는 힘의 변화는 화살표(14)로 표시된 바와 같은 센서 층(3)의 신장 또는 수축을 야기한다. 이를 통해 발생하는 센서 층(3)의 저항 변화가 측정되고, 작용하는 하중 및/또는 힘이 평가 장치(12)에 의해 결정된다.
볼 소켓(15)은, 각각 센서 층(3)을 갖는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들 또는 센서 층(3)들이 조인트 볼(17) 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들 또는 센서 층(3)들은 자신들의 각각의 종방향 정렬과 관련하여 서로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하중 및/또는 힘의, 위치에 따른 그리고/또는 방향에 따른 개선된 결정이 달성 가능하다.
1 구성 요소
2 센서 장치
3 센서 층
4 블라인드 홀형 공동
5 전기 라인 섹션
6 전기 라인 섹션
7 접점
8 접점
9 바닥
10 내주면
11 개구
12 평가 장치
13 화살표
14 화살표
15 섀시 구성 요소/볼 소켓
16 볼 조인트
17 조인트 볼

Claims (10)

  1. 구성 요소(1, 15)의 순간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2)의 제조 방법으로서, 구성 요소(1, 15)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구성 요소(1, 15)에 센서 층(3)이 배열되며, 센서 층(3)은 캐리어 물질 및 그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구성 요소(1, 15) 내에는 센서 층(3)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특히 중력 작용 및/또는 모세관 작용 하에,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로서 형성된 캐리어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특히 액체 캐리어 물질로서 래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캐리어 물질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의 적어도 부분적인 채움 이후에 경화되고 그리고/또는 경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층(3)에 대한 접점(7, 8)들을 제공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전기 라인 섹션(5, 6)들이 구성 요소(1, 15) 내에 내장되고, 특히 라인 섹션(5, 6)들은 구성 요소(1, 15)의 제조 시에 구성 요소(1, 15)의 플라스틱에 의해 부분적으로 캡슐화되고 그리고/또는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전기 라인 섹션(5, 6)들에 의해 제공된 접점(7, 8)들은 센서 층(3)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특히 리드 프레임 또는 와이어가 라인 섹션(5, 6)들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접점(7, 8)들은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특히 블라인드 홀형 공동(4)은 적어도, 접점(7, 8)들이 캐리어 물질 및/또는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와 접촉할 때까지, 내장된 전기 전도성 입자를 갖는 액체 캐리어 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장치(2)는, 센서 층(3)에서의 전기 저항 측정으로부터 구성 요소(1, 15)의 순간 하중을 검출하는 평가 장치(1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센서 층(3)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들이 구성 요소(1, 15)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 요소(1, 15)는 차량을 위한 섀시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고, 특히 구성 요소(1, 15)는 볼 소켓으로서 그리고/또는 볼 조인트(16)를 위한 조인트 하우징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홀형 공동(4) 내에는 센서 층(3)이 수용되는,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KR1020217024802A 2019-03-26 2020-02-21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KR20210143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4178.7A DE102019204178B4 (de) 2019-03-26 2019-03-26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einrichtung und Bauteil und/oder Fahrwerksbauteil mit einer solchen Sensoreinrichtung
DE102019204178.7 2019-03-26
PCT/EP2020/054569 WO2020193024A1 (de) 2019-03-26 2020-02-21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nsoreinrichtung und bauteil und/oder fahrwerksbauteil mit einer solchen sensor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728A true KR20210143728A (ko) 2021-11-29

Family

ID=6970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802A KR20210143728A (ko) 2019-03-26 2020-02-21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78774A1 (ko)
EP (1) EP3948203A1 (ko)
KR (1) KR20210143728A (ko)
CN (1) CN113677973A (ko)
DE (1) DE102019204178B4 (ko)
WO (1) WO20201930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9957A1 (de) * 1988-03-24 1989-10-05 Felten & Guilleaume Energie Lichtwellenleiter-sensor fuer druckkraefte und seine verwendung
JP3613416B2 (ja) * 1995-10-02 2005-01-26 中部電力株式会社 導電性粉末含有成形体及び荷重検知方法
US6351205B1 (en) 1996-07-05 2002-02-26 Brad A. Armstrong Variable-conductance sensor
ITPV20030001A1 (it) 2003-01-31 2004-08-01 Ferdinando Auricchio Sensore dotato di capacita' portanti per il monitoraggio strutturale con lettura a distanza priva di collegamento diretto.
DE102005030971B4 (de) 2005-06-30 2016-01-21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Sensoreinrichtung, Verfahren zur Belastungsmessung und Verfahren zur Verschleißmessung
DE102008037572A1 (de) * 2008-01-29 2009-08-06 Werner Turck Gmbh & Co. Kg Kraftsensor
EP2381233B1 (en) * 2009-11-24 2016-11-16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Bend sensor and method of measuring deformed shape
CN102980926B (zh) * 2012-11-28 2015-04-29 清华大学 一种柔性双面全固态离子浓度检测传感器的制备方法
DE102013222151A1 (de) * 2013-10-31 2015-04-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Kraftmessung im Wälzlager mittels Sensorschicht
DE102016202769B4 (de) * 2016-02-23 2022-09-15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Sensor zur integralen oder ortsaufgelösten Messung von Dehnungen basierend auf vorgeschädigten Kohlefasern
DE102016204557A1 (de) 2016-03-18 2017-09-21 Zf Friedrichshafen Ag Sensoreinrichtung, Messeinrichtun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momentanen Verformung eines Bau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8774A1 (en) 2022-06-09
DE102019204178A1 (de) 2020-10-01
EP3948203A1 (de) 2022-02-09
CN113677973A (zh) 2021-11-19
DE102019204178B4 (de) 2022-08-04
WO2020193024A1 (de)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19641B (zh) 用于机动车辆的悬挂系统的具有集成载荷传感器的弹性支撑件
JP2004526133A (ja) 変形および力を評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3234203A (ja) 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CN102265128A (zh) 温度传感器,制造方法和相应的组装方法
KR20170087909A (ko)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USRE45883E1 (en) Tubular sensor with an inner projection
ES2307423B1 (es) Sistema de monitorizacion del daño en estructuras mediante sensores denanocomposite.
KR20210143728A (ko) 센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섀시 구성 요소
CN109564135B (zh) 用于求取滚动体滚动表面的温度的测量装置
KR20180122425A (ko) 부품의 순간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 측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자동차
CN109506826B (zh) 具有改进的应变仪的压力传感器
CN107000522B (zh) 具有力传感器的机械的部件
KR101920782B1 (ko) 3축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37906A (ja) ゴム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歪みセンサー
US7779706B2 (en) Cable-type load sensor
JP2011516869A (ja) 容量性測定ゾンデおよび容量性測定ゾンデの製造方法
CN209783781U (zh) 一种柔性传感器
KR20140105607A (ko) 저항 측정을 통해 피스톤 압력 어큐뮬레이터 내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상응하게 설계된 피스톤 압력 어큐뮬레이터
CN109357651B (zh) 精密驱动位移测量装置
CN117629476B (zh) 一种压力传感器及检测闸瓦压力的方法
KR101776813B1 (ko) 전도성 복합소재의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자체 센싱이 가능한 장치
KR102437967B1 (ko) 전기전도성 복합소재의 저항측정장치
KR20220089210A (ko) 스마트 범퍼 스토퍼
Martinez et al. Polymer-based flexible strain sensor
Magnafico et al. Strain sensing with CNT Nanocomposites: Staic, cyclic and dynamic electromechanical material character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