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909A -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 Google Patents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909A
KR20170087909A KR1020177016513A KR20177016513A KR20170087909A KR 20170087909 A KR20170087909 A KR 20170087909A KR 1020177016513 A KR1020177016513 A KR 1020177016513A KR 20177016513 A KR20177016513 A KR 20177016513A KR 20170087909 A KR20170087909 A KR 2017008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sensor
hollow body
force
hollow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030B1 (ko
Inventor
클라우스 하스캄프
미햐엘 클랑크
율리안 슈트라트만
옌스 포르트마이어
안드레아스 하르트만
크리스토프 슈빙에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8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41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iezoelectric elements, e.g. sensors or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04Force transducers adapted for mounting in a bore of the force receiv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60G2204/1162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directly mounted on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3/00Monitoring condition, e.g. temperature, load,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표면을 갖는 측정 영역 및 상기 측정 영역에 할당되고 부품에 응력을 가하는 힘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부품(3)은, 중공 챔버(4)를 가지며 측정 영역 내에 배치된 중공 몸체(3b)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챔버 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7)가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MECHANICAL COMPONENT HAVING A FORCE SENSOR}
본 발명은 일 표면을 갖는 측정 영역 및 상기 측정 영역에 할당되고 부품에 응력을 가하는 힘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에 관한 것이다.
출원 번호 10 2013 213 672.2의 본 출원인의 이전 출원에는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이 공개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계 부품은 스태빌라이저 링크로서 형성되고, 힘 센서는 굽힘 탄성적 변형 요소로서 형성되며 측정 영역 내에서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형상 결합식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변형 요소는 로드 형태로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링크 내의 기계적 응력의 보강부로서 작용하는데, 스태빌라이저 링크에서 인장 및 압축 응력이 우선적으로 발생한다. 압축 또는 인장 응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압축 또는 팽창은 아크 형태로 형성된 변형 요소로 전달되어 굽힘을 구현함으로써, 팽창 또는 압축이 보강된다. 자성 재료로 제조된 변형 요소의 기계적 변동은 자기장의 변동을 동반하는데, 이는 측정 가능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 가능하다. 변형 요소의 변형은 적절한 센서 장치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자기장 측정의 실행하에 검출된다.
DE 10 2011 117 519 A1에는 힘 센서를 갖는 트레일러 커플링이 공지되어 있으며, 힘 센서는 바람직하게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형성되며 커플링 후크의 표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계 부품에서 힘 측정의 추가의 잠재성을 완전히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구성은 종속 청구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 부품은, 측정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 안에 힘 센서가 위치할 수 있는 중공 챔버를 갖는 중공 몸체를 포함한다. 이로써, 민감한 힘 센서가 유해한 외부 영향, 특히 돌에 의한 충격 또는 부식성 매체에 대해 보호되는 장점이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힘 센서가 외부에 대해 밀폐식으로 폐쇄된 중공 챔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구조 공간이 절약된다. 중공 몸체는 부품의 일체식 구성 부품이며, 이로써, 다른 부품과 마찬가지로 응력을 받는데, 즉, 중공 몸체는 부품에 응력을 가하는 힘의 힘 흐름 내에 놓인다. 부품 자체는 중공 몸체의 통합 및 배치를 통해 기능적인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섀시의 컨트롤 암 또는 로드형 링크 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또는 볼 조인트로서 형성되며, 부품은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받고, 스태빌라이저와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 내에 힘 센서를 보호 방식으로 배치하는 이러한 적용은 돌에 의한 충격 및 부식으로 인해 특별한 장점을 제공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 내의 지지력의 측정은 차량의 능동 롤링 안정화에서 출력 변수로서 사용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스태빌라이저 링크와 힌지식으로 연결된 볼 스터드로서 형성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와의 차이점에 있어서, 볼 스터드는, 특히 볼 스터드의 샤프트가 굽힘 응력을 받는데, 즉, 응력의 절댓값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링크 내의 인장 또는 압축 응력보다 큰 볼 스터드 내의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볼 스터드의 중공 챔버 내에 힘 센서의 배치 시에, 보강 효과 및 이에 따라 더 정확한 측정 결과가 도출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안에 회전 운동 및/또는 선회 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볼 스터드용 하우징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차량의 트레일러 커플링으로서, 즉, 볼 헤드를 갖는 커플링 후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후크의 부분인 중공 몸체 내에 힘 센서의 보호된 배치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몸체는 내부 표면을 갖는 중공 실린더 또는 중공 볼로서 형성된다. 내부 표면 상에는, 힘 센서가 -또는 복수의 힘 센서들이- 고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내부 표면의 변형이 힘 센서(들)에 직접 전달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몸체는 부품 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또는 볼 스터드와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중공 몸체에 개구를 형성하며, 이로써, 힘 센서와, 예컨대 접촉부, 전자 장치 등과 같은 소정의 부속품의 조립을 위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힘 센서가 중공 챔버 내에 위치하여 고정된 후, 중공 몸체 및 부품은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접합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몸체는 인터페이스 영역 내에서 재료 결합식, 특히 용접을 통해 부품과 연결된다. 이로써, 중공 몸체와 부품 사이에 고정적이며 밀봉된 연결이 달성되는데, 즉, 힘 센서의 밀폐식 폐쇄가 예를 들어 부식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몸체는 폐쇄된 단면, 특히 부품에 응력을 가하는 힘(응력 부하)의 힘 흐름 내에 배치된 환형 단면을 포함한다. 단면적은 형성되는 응력 및 변형에 대해 결정적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센서는 내부 표면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힘 센서는, -각각의 구조에 따라- 응력의 과정에서 설정되는 변형이 힘 센서 상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표면과 연결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특히 광학적 또는 스퍼터링 또는 증기 발생식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음극선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이로써, 표준화 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힘 센서, 예를 들어, 감응성 요소로서, 중공 몸체의 내부 표면 상에 사용되는 탄소 나노튜브 또는 탄소 나노 미세튜브도 가능하다. 힘 센서로서의 탄소 나노튜브의 상세한 설명은 동시에 출원되고 내부 서류 번호, ZF 006408을 갖는 본 출원인의 출원서에서 설명된다. 또한, 힘의 측정은 유도성, 저항성, 광학성, 자기 왜곡성, 용량성, 압전성 또는 자기 저항성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 상세히 설명되며, 명세서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다른 특징 및/또는 장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볼 스터드로서 형성된 부품의 내부에 배치된 힘 센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스태빌라이저 링크로서 형성된 부품의 내부에 배치된 힘 센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불완전하게 도시된 스태빌라이저 링크(1)를 도시하는데, 이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볼 조인트(2)에 의해 볼 스터드(3)와 연결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1) 및 볼 스터드(3)는 차량의 롤링 안정화 시스템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기계 부품의 제1 실시예를 형성하는 볼 스터드(3)는 볼 헤드(3a)와, 제1 샤프트 영역(3b)과, 나사산 섹션(3d)을 갖는 샤프트 영역(3c)을 포함한다. 제1 샤프트 영역(3b)은 부분적으로 중공으로 형성되며,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공 챔버(4)를 포함한다. 중실로 형성된 제2 샤프트 영역(3c)은 인터페이스(5)를 통해 제1 샤프트 영역(3b)과 재료 결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용접 심(6)을 통해 연결된다. 이로써, 중공 챔버(4)는 외부에 대해 밀폐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중공 챔버(4) 내에는 하나 이상의 힘 센서(7), 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탄소 나노튜브로 형성된 센서 요소가 배치된다(내부 문서 번호, ZF 006408로서 동시에 출원한 본 출원인의 출원서 참조). 또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7)와 함께 작동상 연결되어 있는 전자 부품(8)이 중공 챔버(4) 내에 배치된다. 이 전자 부품(8)은 전기 연결부(9)를 통해 미도시된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7)는 지지력의 측정을 위해 이용되는데, 이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 내에서 화살표(F)로 표시된다. 지지력(F)이 볼 조인트(2)를 통해, 나사산 섹션(3d)을 통해 클램핑된 볼 스터드(3) 상으로 전달됨으로써, 볼 스터드(3), 특히 제1 및 제2 샤프트 영역(3b, 3c)은 굽힘 응력을 받는다. 굽힘 응력은 스태빌라이저 링크 내에서 작용하는 압축 또는 인장 응력의 보강을 나타낸다. 제1 샤프트 영역(3b) 내의 굽힘 응력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형, 특히 중공 챔버(4)의 내부 표면에서의 변형은 하나 이상의 힘 센서(7)를 통해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으로부터 생성된 신호가 전자 부품(8)의 전자 장치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분석된다. 굽힘 응력 및 측정된 변형값으로부터 스태빌라이저 링크(1) 내의 지지력이 계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 챔버(4)는 원통형이며 제1 샤프트 영역(3b)은 중공 실린더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중공 챔버(4)의 기하 구조상 변형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1 샤프트 영역(3b)은, 상응하게 확장된 중공 챔버(4)를 갖는 볼 형태 또는 배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내부에서 더 많은 공간이 센서 및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는 장점이 도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스태빌라이저 링크(21)로서 형성되고 볼 조인트(22)를 통해 볼 스터드(23)와 연결된 기계 부품을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 숫자는 도 1의 도면 부호 숫자에 비해 도 2에서 20만큼 증가한다. 도 1에 대한 차이점은, 하나 이상의 힘 셈서(27)가 축방향 힘(F)을 통해 부하를 받는 스태빌라이저 링크(21)의 중공 챔버(24) 내에 배치된다는 데에 있다. 스태빌라이저 링크(21)는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중공으로 형성된 제1 영역(21a) 및 중실로 형성된 제2 부분(21b)으로 분할된다. 접합 이전에, 중공 챔버(24)는 인터페이스(25)의 영역 내에서 개방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접근이 가능하여, 하나 이상의 힘 센서(27) 및 전자 부품(28) 그리고 전기 커넥터(29)가 중공 챔버(24) 내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두 개의 영역(21a, 21b)이 인터페이스(25)에 접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재료 결합식으로, 예를 들어 용접 심(26)을 통해 고정적으로 그리고 밀봉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중공 챔버(24)는 외부에 대해 폐쇄되고 밀봉된다. 축방향 힘(F)은 용접 연결부(26)를 통해 인터페이스(25)의 영역 내에서 전달된다.
중공 챔버(24)는 환형 단면을 통해 한정된다. 이 환형 단면은 축방향 힘(F)을 통해 부하를 받음으로써, 그곳에서 재료의 탄성 압축과 연관된 압축 응력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작동 중에 상응하는 인장 응력 및 팽창을 갖는 인장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이 하나 이상의 힘 센서(27)를 통해 검출된다.
도 1 및 도 2의 도면과는 달리,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부품에, 예를 들어 차량-트레일러 커플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트레일러 커플링의 커플링 후크는 부분적으로 중공 몸체로서 형성될 수 있고, 커플링 후크 상에 작용하는 힘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힘 센서가 중공 몸체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1: 스태빌라이저 링크
2: 볼 조인트
3: 볼 스터드
3a: 볼 헤드
3b: 제1 샤프트 영역
3c: 제2 샤프트 영역
3d: 나사산 섹션
4: 중공 챔버
5: 인터페이스
6: 용접 심
7: 힘 센서
8: 전자 부품
9: 커넥터
21: 스태빌라이저 링크
21a: 제1 영역(중공)
21b: 제2 영역(중실)
22: 볼 조인트
23: 볼 스터드
24: 중공 챔버
25: 인터페이스
26: 용접 심
27: 힘 센서
28: 전자 부품
29: 커넥터
F: 지지력
x: 측정 영역

Claims (10)

  1. 일 표면을 갖는 측정 영역 및 상기 측정 영역에 할당되고 부품에 응력을 가하는 힘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특히 로드형 링크 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컨트롤 암 또는 볼 조인트로서, 상기 부품(3, 21)은, 중공 챔버(4, 24)를 가지며 측정 영역 내에 배치된 중공 몸체(3b, 21a)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챔버 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7, 27)가 위치할 수 있는, 차량용 기계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섀시의 스태빌라이저 링크(21)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스태빌라이저 링크(1)와 힌지식으로 연결된 볼 스터드(3)로서 또는 볼 조인트(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커플링 후크를 갖는 트레일러 커플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몸체(3b, 21a)는 내부 표면을 갖는 중공 실린더 또는 중공 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몸체(3b, 21a)는 부품(3c, 21b)을 갖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5, 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중공 몸체(3b, 21a)는 인터페이스(5, 25)의 영역 내에서 부품(3c, 21b)과 재료 결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 몸체(3b, 21a)는, 응력 부하의 힘 흐름 내에 배치된 폐쇄된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7, 27)는 중공 몸체(3b, 21a)의 내부 표면 상에 또는 그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센서(7, 27)는 탄소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센서 요소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계 부품.
KR1020177016513A 2014-11-20 2015-10-19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KR102359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3654.1A DE102014223654A1 (de) 2014-11-20 2014-11-20 Mechanisches Bauteil mit einem Kraftsensor
DE102014223654.1 2014-11-20
PCT/EP2015/074085 WO2016078844A1 (de) 2014-11-20 2015-10-19 Mechanisches bauteil mit einem kraft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09A true KR20170087909A (ko) 2017-07-31
KR102359030B1 KR102359030B1 (ko) 2022-02-08

Family

ID=5432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513A KR102359030B1 (ko) 2014-11-20 2015-10-19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52595B2 (ko)
EP (1) EP3221681B1 (ko)
JP (1) JP6701191B2 (ko)
KR (1) KR102359030B1 (ko)
CN (1) CN107000521B (ko)
DE (1) DE102014223654A1 (ko)
ES (1) ES2712888T3 (ko)
WO (1) WO2016078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0072A (zh) * 2016-06-28 2016-11-09 芜湖市建鑫汽车零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右摆臂总成
DE102017114168A1 (de) * 2017-06-27 2018-06-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auf eine Anhängerkupplung wirkenden Kräfte und Anhängerkupplung mit dieser
IT201700083402A1 (it) * 2017-07-21 2019-01-21 Ari Automotive Res Innovation S A S Di Francesca Bianco & C Sospensione provvista di dispositivo reattivo ai carichi.
CN109211152B (zh) * 2018-08-02 2020-04-28 杭州电子科技大学 同时检测精密球铰链球头偏心量与球杆空间姿态的方法
CN111361372A (zh) * 2020-03-25 2020-07-03 安徽骆氏升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形变汽车减震摆臂
DE102020206438A1 (de) * 2020-05-25 2021-11-25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DE102021133762A1 (de) 2021-12-17 2023-06-22 Zf Cv Systems Global Gmbh Kopplungsvorrichtung zum Koppeln eines Zugfahrzeugs mit einem Anhänge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212A (ja) * 2003-01-23 2006-09-21 ウィリアム・マーシュ・ライス・ユニバーシティ スマート材料:ナノチューブ検知システム、ナノチューブ検知複合材料、およびナノチューブ検知デバイスによる歪みの検知と応力の測定
US20120292871A1 (en) * 2011-05-16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ll stabilizer of a motor vehicle
DE102012005614A1 (de) * 2012-03-22 2013-09-26 Matthias Brenneis Sensorisches Verbindungselement und Herstell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4711A1 (de) * 1985-09-28 1987-04-09 Bosch Gmbh Robert Kraftmesser zur messung von mechanischen spannungen in einem etwa bolzenartigen bauelement
DE3630749C2 (de) * 1986-09-10 1993-11-25 Bosch Gmbh Robert Kraftmesser zur Messung von mechanischen Spannungen in einem etwa bolzenartigen Bauelement
GB9015284D0 (en) * 1990-07-11 1990-08-29 Bamford Excavators Ltd Load sensing arrangeent
US6422089B1 (en) * 2001-04-26 2002-07-23 Bbnt Solutions Llc Load measurement device
DE10250290B4 (de) * 2002-10-29 2007-05-24 Daimlerchrysler Ag Kraftfahzeug
US6951145B2 (en) * 2003-03-24 2005-10-04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Non-contact thrust force sensor assembly
DE102005005354A1 (de) * 2005-02-05 2006-08-10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Kraftmessvorrichtung und Dehnungsmesselement
US7278324B2 (en) * 2005-06-15 2007-10-0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arbon nanotube-based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rack growth in a structure
JP4230500B2 (ja) * 2006-09-07 2009-02-25 豊田鉄工株式会社 荷重検出装置
CN102656007A (zh) 2009-11-30 2012-09-05 南洋理工学院 有孔膜传感器
US8943897B2 (en) 2009-12-30 2015-02-03 Societe de Commercialisation des Produits de la Recherche Appliquee—Socpra-Sciences et Genie S.E.C. Carbon nanotubes based sensing elements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mapping force, strain and stress
AU2011306728B2 (en) 2010-09-20 2015-05-07 Bae Systems Plc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ing sprayable paint formulations
US9068283B2 (en) 2011-10-28 2015-06-30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Strain sensors, methods of making same, and applications of same
DE102011117519A1 (de) 2011-11-03 2013-05-08 Westfalia-Automotive Gmbh Anhängekupplung mit einem Kraftsensor
JP5924725B2 (ja) 2011-11-14 2016-05-25 ヤマハ株式会社 歪みセンサ及び歪みセンサの製造方法
DE102011089605A1 (de) 2011-12-22 2013-06-27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mit Messeinrichtung zum Messen von Kräften und/ oder Belastungen
DE102013213672A1 (de) 2013-07-12 2015-01-15 Lemförder Electronic GmbH Mechanisches Bauteil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auf ein mechanisches Bauteil einwirkenden Beanspruchungskraft
US9708057B2 (en) * 2014-02-24 2017-07-18 The Boeing Company Active landing gear damper
DE102014223657A1 (de) * 2014-11-20 2016-05-25 Zf Friedrichshafen Ag Mechanisches Bauteil mit einem Kraft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212A (ja) * 2003-01-23 2006-09-21 ウィリアム・マーシュ・ライス・ユニバーシティ スマート材料:ナノチューブ検知システム、ナノチューブ検知複合材料、およびナノチューブ検知デバイスによる歪みの検知と応力の測定
US20120292871A1 (en) * 2011-05-16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ll stabilizer of a motor vehicle
DE102012005614A1 (de) * 2012-03-22 2013-09-26 Matthias Brenneis Sensorisches Verbindungselement und Herstell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23654A1 (de) 2016-05-25
WO2016078844A1 (de) 2016-05-26
ES2712888T3 (es) 2019-05-16
KR102359030B1 (ko) 2022-02-08
US10252595B2 (en) 2019-04-09
CN107000521B (zh) 2020-04-24
US20180251001A1 (en) 2018-09-06
JP6701191B2 (ja) 2020-05-27
JP2017536546A (ja) 2017-12-07
CN107000521A (zh) 2017-08-01
EP3221681A1 (de) 2017-09-27
EP3221681B1 (de)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7909A (ko)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US10144097B2 (en) Sensor-containing connection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7762736B2 (en)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nsor device and process for wear measurement
US8967643B2 (en) Split roll stabilizer
US71177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measurement of engine cylinder pressure
US7644636B2 (en) Load pin brake cell apparatus
RU2498248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ления в камере сгорания 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о
JP5306577B2 (ja) 自動車ホイール用の軸受及び荷重測定方法
US10557762B2 (en) Strain/force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wear on overhead lines
JP5114480B2 (ja) 圧力センサを組み込んだスパークプラグ
US10473540B2 (en) Gas strut force active monitor system
US10627299B2 (en) Magnetoelastic shear force sensor with interference field compensation and method
TWI796428B (zh) 轉矩感測器
KR102388550B1 (ko) 힘 센서를 갖는 기계 부품
KR20190128174A (ko) 섀시 부품에서의 과하중 검출 장치
RU2377515C2 (ru) Датчик давления
US20130269642A1 (en) Glow plug with a plug body formed of multiple tubes end to end
JP2015215247A (ja) 圧力検出装置
JP7091545B2 (ja) トルクセンサ
JP2007198169A (ja) 燃焼圧センサ及びセンサ付き内燃機関
KR20130134337A (ko) 피로시험기용 변위계측기
KR20170140380A (ko) 자동차의 실린더 헤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