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663A - 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663A
KR20210143663A KR1020210063339A KR20210063339A KR20210143663A KR 20210143663 A KR20210143663 A KR 20210143663A KR 1020210063339 A KR1020210063339 A KR 1020210063339A KR 20210063339 A KR20210063339 A KR 20210063339A KR 20210143663 A KR20210143663 A KR 2021014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ubstrate
nozzle
inspection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켄이치 무라노
타카시 아쿠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6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5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detecting presence or properties of a dot on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for detecting failure, e.g. clogging, malfunctioning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k Je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applying ink, which is able to suppress the lengthening of the time for insp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ult in a nozzle. A moving instrument places a substrate at a position facing a nozzle of an ink-jet head, and moves one of the ink-jet head and the substrate toward the other. A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s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k is to be applied. A control apparatus moves the ink-jet head relatively to the substrate, and performs a drawing process to discharge ink from some of a plurality of nozzles. At least some of the nozzles planned to discharge ink or the nozzles which have discharged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ink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a discharge process for inspection is conducted to apply ink on an area of the substrate. An image i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area with the ink applied in the discharge process for inspection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ult in the operation of the nozzles is determined from the obtained image.

Description

잉크도포장치, 그 제어장치, 및 잉크젯헤드검사방법{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Ink application device, its control device, and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본 출원은 2020년 5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0-08808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0-088087 filed on May 20, 2020.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잉크젯헤드를 이용한 잉크도포장치, 그 제어장치, 및 잉크젯헤드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application apparatus using an inkjet head, a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an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잉크젯헤드의 각 노즐로부터 기판을 향하여 잉크를 토출시켜, 기판 상에 잉크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잉크젯헤드의 노즐의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A technique of forming a pattern made of ink on a substrate by discharging ink from each nozzle of an inkjet hea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toward a substrate is known. A method of detecting a nozzle defect of an inkjet head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묘화대상물에, 검사패턴을 묘화하는 검사영역과 실(實)묘화패턴을 형성하는 실묘화영역을 설정한다. 복수의 노즐의 전부로부터 액적을 토출시켜 검사영역에 검사패턴을 형성한다. 이 검사패턴의 화상인식을 행함으로써, 노즐불량이 검출된다.In the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 inspection area for drawing an inspection pattern and a real drawing area for forming a real drawing pattern are set on a drawing object. An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inspection area by discharging droplets from all of the plurality of nozzles. By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of this inspection pattern, nozzle failure is detected.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51243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51243

1개의 잉크젯헤드에, 예를 들면 1000개 정도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각 잉크가 토출되어 형성된 검사패턴을, 노즐마다 화상인식하여 불량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묘화처리의 시간과 비교하여 무시할 수 없는 시간이 필요하다. 기판의 각각에 검사패턴을 형성하여 화상인식을 행하면, 기판 1매당 처리시간이 장대화되어 버린다.In one inkjet head, for example, about 1000 nozzles may be provided. In such a case where a plurality of nozzles are provided, in order to image-recognize an inspection pattern formed by discharging ink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for each nozzl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fect, a time that cannot be ignored compared to the time of the drawing process is required. do. When an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on each of the substrates and image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processing time per substrate becomes long.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의 불량여부의 검사시간의 장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도포장치, 그 제어장치, 및 잉크젯헤드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apply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the lengthening of the inspection time for defective nozzles, a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an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잉크젯헤드와,An inkjet he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ink;

상기 잉크젯헤드의 노즐에 대향하는 위치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잉크젯헤드와 상기 기판 중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a moving mechanism for disposing a substrat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and moving one of the inkjet head and th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other;

상기 기판의, 잉크가 착탄되는 면을 촬상하는 촬상장치와,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k strikes;

상기 잉크젯헤드 및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는 제어장치를 갖고,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inkjet head and the moving mechanism and interpret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상기 제어장치는,The control device is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몇 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는 묘화처리와,a drawing process of discharging ink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며, 검사대상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검사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노즐로부터는 잉크를 토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일부의 영역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검사용 토출처리와,At least some of the nozzles that are scheduled to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or the nozzles that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in which ink is not discharged from the nozzle and the ink reaches a portion of the substrate;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서 잉크가 착탄된 영역을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처리를 행하는 잉크도포장치가 제공된다.An ink applying apparatus is provided that acquire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on an area where ink has landed in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and performs judgment processing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malfunction of a nozzle is present from the acquired imag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잉크도포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 control device used in the ink apply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판에 대하여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잉크젯헤드의 복수의 노즐 중 일부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잉크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묘화하고,Drawing a pattern made of ink by discharging ink from some nozzles among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inkjet head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상기 패턴을 묘화하기 전, 상기 묘화의 도중, 및 묘화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기에, 상기 패턴의 묘화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며, 검사대상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검사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노즐로부터는 잉크를 토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일부의 영역에 검사패턴을 형성하고,Before drawing the pattern, during drawing, and after drawing, at least one of the nozzles scheduled to discharge ink by drawing the pattern or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s from which ink is discharged is selected as the nozzle to be inspected. to discharge ink from a nozzle to be inspected, and not to eject ink from a nozzle that has not been inspected, and to form an inspection pattern in a part of the substrate,

상기 검사패턴의 화상을 취득하며,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잉크젯헤드검사방법이 제공된다.An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is provided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pection pattern and determining, from the acquired im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function of a nozzle.

모든 노즐로부터 검사대상의 노즐을 선택하고, 검사대상의 노즐에 대하여 검사를 행함으로써, 검사시간의 장대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lengthening of the inspection time can be suppressed by selecting a nozzle to be inspected from all the nozzles and performing inspection on the nozzle to be inspected.

도 1의 1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의 개략정면도이고, 도 1의 1B는, 가동 테이블, 잉크토출유닛, 및 촬상장치의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잉크젯헤드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촬상장치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기판에 대한 잉크젯헤드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촬상장치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5~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잉크젯헤드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잉크젯헤드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에 대한 잉크젯헤드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1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ink appl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B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movable table, an ink discharging unit, and an imaging device in a plan view. am.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discharging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an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an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FIG.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an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 jet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an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의 1A부터 도 4까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A to 4 of FIG. 1 .

도 1의 1A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기대(10) 상에 이동기구(11)에 의하여 가동테이블(12)이 지지되어 있다. x축 및 y축이 수평방향을 향하고, z축이 연직상방을 향하는 xyz직교좌표계를 정의한다. 이동기구(11)는, 제어장치(50)에 의하여 제어되며, 가동테이블(12)을 x방향 및 y방향의 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기구(11)로서, 예를 들면, X방향이동기구(11X)와 Y방향이동기구(11Y)를 포함하는 XY스테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X방향이동기구(11X)는 기대(10)에 대하여 Y방향이동기구(11Y)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Y방향이동기구(11Y)는, 기대(10)에 대하여 가동테이블(12)을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Fig. 1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ink appl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table 12 is supported by the moving mechanism 11 on the base 10 . An xyz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is defined in which the x-axis and the y-axis are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z-axis is oriented vertically upward. The moving mechanism 1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 and moves the movable table 12 in two directions: the x-direction and the y-direction. As the moving mechanism 11, for example, an XY stage including an X-direction moving mechanism 11X and a Y-direction moving mechanism 11Y can be used. The X-direction moving mechanism 11X moves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11Y with respect to the base 10 in the x direction, and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11Y moves the movable table 12 with respect to the base 10 in y move in the direction

가동테이블(12)의 상면(지지면)에, 잉크도포대상인 기판(20)이 지지된다. 기판(20)은, 예를 들면 진공척에 의하여 가동테이블(12)에 고정된다. 이동기구(11)는, 가동테이블(12)에 지지된 기판(20)을 xy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테이블(12)의 상방에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가, 예를 들면 문형의 지지부재(1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는, 기대(1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잉크토출유닛(30)은, 기판(20)에 대향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는다. 각 노즐은, 기판(20)의 표면을 향하여 광경화성(예를 들면 자외선경화성)의 잉크를 액적화하여 토출한다. 잉크의 토출은, 제어장치(50)에 의하여 제어된다.On the upper surface (supporting surface) of the movable table 12, the substrate 20 to which the ink is applied is supported. The substrate 20 is fixed to the movable table 12 by, for example, a vacuum chuck. The moving mechanism 11 moves the substrate 20 supported by the movable table 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y plane. Above the movable table 12 ,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supported by, for example, a door-shaped support member 13 .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10 . The ink discharging unit 30 has a plurality of nozzles facing the substrate 20 . Each nozzle forms and discharges photocurable (for example, ultraviolet curable) ink into droplets towar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 The discharge of ink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 .

촬상장치(40)는, 기판(20)의 상면(잉크가 도포되는 표면)을 촬상한다. 기판(20)의 상면 중, 촬상장치(40)의 화각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영역이, 촬상장치(40)에 의하여 촬상된다.The imaging device 40 images the upper surface (surface to which ink is applied) of the substrate 20 .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 a region located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device 40 is imaged by the imaging device 40 .

도 1의 1A에서는, 기대(10)에 대하여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를 정지시키고, 기판(20)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그 반대로, 기대(10)에 대하여 기판(20)을 정지시키고,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를 정지시키고 기판(20)을 이동시키는 구성, 및 기판(20)을 정지시키고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를 이동시키는 구성 모두, 기판(20)에 대하여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1A in Fig. 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stopped with respect to the base 10 and the substrate 20 is mov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20 is stopped with respect to (10) and the ink ejection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moved may be employed. Bot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stopped and the substrate 20 is moved,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20 is stopped and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moved, It can be said that the ink ejection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are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제어장치(50)는, 기억부(51) 및 제어부(52)를 포함한다. 기억부(51)에, 잉크를 도포해야 할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이하, 도포패턴데이터라고 한다.)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포패턴데이터는, 기판(20)의 표면 상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대응된 복수의 화소 중, 잉크를 착탄시켜야 할 화소를 지정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포패턴데이터의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되는 기판 상의 위치를, 간단히, "화소"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The control device 50 includes a storage unit 51 and a control unit 52 . In the storage unit 51,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 pattern data) for designating a position where ink is to be applied is stored. For example, application|coating pattern data designates the pixel to which ink should land among the some pixel respectively corresponded to the some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board|substrate 20.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sition on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application pattern data is simply referred to as a "pixel" in some cases.

제어부(52)는, 이 도포패턴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동기구(11) 및 잉크토출유닛(30)을 제어함으로써, 기판(20)의 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잉크를 착탄시킨다. 이로써, 기판(20)의 표면에 잉크로 이루어지는 도트나 막이 형성된다. "도트"는, 1개의 화소에 착탄된 잉크가 다른 화소에 착탄된 잉크와 연속되지 않고, 고립되어 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막"은, 복수의 화소에 착탄된 잉크가 이어져 연속된 패턴을 의미한다.The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11 and the ink discharging unit 30 based on the application pattern data, thereby causing the ink to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 As a result, dots or films made of ink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 A "dot" means the pattern in which the ink which arrived at one pixel is not continuous with the ink which arrived at the other pixel, but is isolated. On the other hand, a "film" means a pattern in which the ink which landed on a plurality of pixels continues and continues.

도 1의 1B는, 가동테이블(12),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가동테이블(12)의 지지면에 기판(20)이 지지되어 있다. 기판(20)의 상방에 잉크토출유닛(30) 및 촬상장치(40)가 지지되어 있다. 잉크토출유닛(30)은, 잉크젯헤드(31) 및 경화용 광원(33)을 포함한다. 잉크젯헤드(31)의, 기판(20)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노즐(32)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노즐(32)은, x방향에 관하여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간격은, 예를 들면 600dpi의 해상도에 상당하는 치수이다. 다만, 복수의 노즐(32)은, x방향에 평행한 1개의 직선 상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x방향과 평행한 기준선으로부터 y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1B in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movable table 12, the ink discharging unit 30, and the imaging device 40 in a plan view. A substrate 2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movable table 12 . An ink discharging unit 30 and an imaging device 40 are supported above the substrate 20 . The ink discharging unit 30 includes an inkjet head 31 and a light source 33 for curing. A plurality of nozzles 32 ar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inkjet head 31 facing the substrate 20 . The plurality of nozzles 32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x direction. This interval is, for example, a dimension corresponding to a resolution of 600 dpi.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position the some nozzle 32 on one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nd may be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regularly shifted|deviated from the reference line parallel to the x direction in the y direction. For example, you may arrange|position in zigzag shape.

경화용 광원(33)은, y방향에 관하여 잉크젯헤드(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기판(20)에 부착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장치로서 기능한다. 이동기구(11)가, 제어장치(50)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가동테이블(12)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장치(50)는, 잉크젯헤드(31)의 각 노즐(32)로부터의 잉크의 토출을 제어한다.The light sources 33 for curing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kjet head 31 in the y direction, respectively, and function as a curing device for curing the ink adhering to the substrate 20 . The moving mechanism 1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 to move the movable table 12 in the x-direction and the y-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50 controls the ejection of ink from each nozzle 32 of the inkjet head 31 .

기판(20)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바꾸어 말하면, 기판(20)에 대하여 잉크젯헤드(31)를 y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젯헤드(31)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x방향에 관하여 예를 들면 600dpi의 해상도로, 잉크를 기판(20)에 도포할 수 있다. 기판(20)에 부착된 잉크는, 기판(20)의 이동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경화용 광원(33)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에 의하여 경화된다. 기판(20)을 y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젯헤드(31)로부터 기판(20)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동작을, "스캔동작"이라고 하기로 한다.By discharging ink from the inkjet head 31 while moving the substrate 20 in the y direction (in other words, while moving the inkjet head 31 relative to the substrate 20 in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x direction For example, with a resolution of 600 dpi, ink can be applied to the substrate 20 . The ink adhering to the substrate 20 is cur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33 for curing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20 . An operation in which ink hits the substrate 20 from the inkjet head 31 while moving the substrate 20 in the y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can operation”.

1회의 스캔동작으로, 잉크젯헤드(31)를 y방향으로 적어도 1왕복시켜도 된다. 이 때, 왕로와 복로에서 노즐(32)의 피치의 1/2만큼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x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1200dpi의 해상도로 잉크를 기판(20)에 착탄시킬 수 있다. 잉크젯헤드(31)의 어긋남량을 노즐(32)의 피치의 1/4로 하여, 잉크젯헤드(31)를 2왕복시킴으로써, 2400dpi의 해상도로 잉크를 기판(20)에 착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상도를 높이기 위하여 잉크젯헤드(31)를 y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으로 복수 회 이동시키는 경우에서도, 복수 회의 이동을 통합하여 1회의 스캔동작이라고 한다.In one scan operation, the inkjet head 31 may be reciprocated at least one time in the y direction. At this time, by shifting the inkjet head 31 in the x-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by 1/2 of the pitch of the nozzles 3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aths, the ink can reach the substrate 20 with a resolution of 1200 dpi. have. By making the shift|offset|difference amount of the inkjet head 31 1/4 of the pitch of the nozzle 32, and making the inkjet head 31 reciprocate twice, ink can be made to reach the board|substrate 20 with the resolution of 2400 dpi.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nkjet head 31 is mov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of the y-axis in order to increase the resolution, the plurality of movemen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ne scan operation.

제어장치(50)는, 1회의 스캔동작이 종료되면, 가동테이블(1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기판(20)에 대하여 잉크젯헤드(31)를 x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 동작을, "시프트동작"이라고 하기로 한다.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기판(20)의 전역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x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량은, x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노즐(32)의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하면 된다. 다만, 양단 근방의 일부의 노즐(32)을 잉크의 토출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제로 사용하는 노즐(32) 중 양단에 위치하는 노즐(32)의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하면 된다.The control device 50 moves the movable table 12 in the x direction when on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inkjet head 31 is relatively moved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This operation will be referred to as "shift operation". By repeating the scan operation and the shift operation, ink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20 . The relative movement amount of the inkjet head 31 in the x-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nozzles 32 positioned at both ends in the x-direction. However, when some nozzles 32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are not used for ink ej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s 3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nozzles 32 actually used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다음으로, 도 2~도 4를 참조하여, 잉크의 도포(묘화)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4, the procedure of application|coating of ink (drawing) and the inspection of an inkjet head is demonstrated.

도 2는,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discharging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2 ,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with an arrow.

이하에 설명하는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회의 스캔동작을 행함으로써, 기판(20)에 잉크의 실묘화패턴을 형성한다. 형성되는 실묘화패턴은, 복수의 도트(22)로 구성되어 있다. 즉, 1개의 화소에 착탄된 잉크는, 다른 화소에 착탄된 잉크와 연속되지 않고, 고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도트(22)로 구성되는 실묘화패턴은, 예를 들면 저항막식 터치패널의 2매의 도전막의 사이의 단락방지용 도트스페이서로서 이용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1매의 기판(20)에 4매의 터치패널이 다면취(多面取)되어 있다. 일례로서, 1매의 기판(20)에, 도트(22)의 분포가 동일한 4개의 실묘화패턴이 형성된다. 4개의 실묘화패턴은, 2행 2열의 행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FIG. 2 , a real drawing pattern of ink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performing four scanning operations. The formed real drawing pattern is comprised by the some dot 2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ink which landed on one pixel is not continuous with the ink which landed on the other pixel, but is isolated. The real drawing pattern constituted by such a plurality of dots 22 is used, for example, as a dot spacer for preventing a short circuit between two conductive films of a resistive touch panel.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the touch panel of 4 sheets is multi-faceted by the board|substrate 20 of 1 sheet. As an example, four real drawing patterns having the same distribution of dots 22 are formed on one substrate 20 . The four real drawing patterns are arranged in a matrix of two rows and two columns.

기판(20)의 가장자리의 근방에, 터치패널로서 사용되지 않는 여백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여백영역의 일부에, 검사영역(25)이 확보되어 있다. 1회의 스캔동작에 의하여 잉크를 도포할 수 있는 기판(20) 상의 영역을 패스영역(21)이라고 하기로 한다. x방향으로 간극없이 나열된 복수의 패스영역(21)(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패스영역(21))이 정의된다. 패스영역(21)의 각각은, y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검사영역(25)은, 기판(20)의 x방향에 평행한 1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패스영역(21)과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board|substrate 20, the blank area|region which is not used as a touch panel is provided. An inspection area 25 is secured in a part of this blank area. A region on the substrate 20 to which ink can be applied by one scan opera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pass region 21 . A plurality of path regions 21 (four path regions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arranged without gaps in the x-direction are defined. Each of the path regions 21 has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y-direction. The inspection area 25 is arranged along one edge parallel to the x-direction of the substrate 20 and partially overlaps all the pass areas 21 .

복수의 패스영역(21)에 대하여, x축의 양의 방향순서로 스캔동작을 행한다. 1번째 및 3번째의 스캔동작에서는,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2번째 및 4번째의 스캔동작에서는,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 sc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plurality of path regions 21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In the first and third scanning operations, the inkjet head 31 is moved in the positiv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and in the second and fourth scanning operations, the inkjet head 31 is moved to the substrate 20 )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y-axis.

스캔동작에 있어서, 기억부(51)(도 1의 1A)에 기억되어 있는 도포패턴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노즐(32)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도포패턴데이터에서 정의된 실묘화패턴을 묘화할 수 있다. 또한, 검사영역(25)에, 복수의 도트(23)로 이루어지는 검사패턴(24)을 형성한다. 검사패턴(24)의 형성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In the scanning operation, by ejecting ink from a predetermined nozzle 32 at a predetermined timing based on the application patter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1 (1A in Fig. 1), the seal defined in the application pattern data is A drawing pattern can be drawn. Further, in the inspection area 25 , an inspection pattern 24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ts 23 is formed. A method of forming the inspection pattern 24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촬상장치(40)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촬상장치(40)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discharging ink, and a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4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3 ,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4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indicated by a straight line with an arrow.

촬상장치(40)를 기판(20)에 대하여, 검사영역(25)을 따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검사패턴(24)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검사패턴(24)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23)의 y방향의 불균일의 폭은, 촬상장치(40)의 화각 내의 영역의 y방향의 치수보다 작다.By moving the imaging device 4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along the inspection area 25 in the x direction, an image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can be acquired. The width of the non-uniformity in the y-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23 constituting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in the y-direction of the region within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device 40 .

도 4는,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제어장치(50)가 이동기구(11), 잉크젯헤드(31), 촬상장치(40)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The processing of each step shown in FIG. 4 is executed when the control device 50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11 , the inkjet head 31 , and the imaging device 40 .

최초의 스캔동작을 행하기 전에, 최초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32)을 검사대상의 노즐(32)로서 선택한다(스텝 S01).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선택은, 기억부(51)(도 1의 1A)에 저장되어 있는 도포패턴데이터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다.Before performing the first scan operation, a nozzle 32 that is scheduled to eject ink in the first scan operation is selected as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01). The selec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application patter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1 (1A in Fig. 1).

다음으로,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전부(노즐(32)의 모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검사영역(25)에, 복수의 도트(23)로 이루어지는 검사패턴(24)(도 2)을 형성한다(스텝 S02). 검사패턴(24)을 형성하는 처리를, 검사용 토출처리라고 하기로 한다. 검사패턴(24)은, 복수의 검사대상의 노즐(32)의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기판(20) 상에서 서로 연속되지 않고, 고립된 도트(23)가 되도록 설정해 둔다.Next, while the inkjet head 31 is relatively moved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nk is discharged from all of the nozzles 32 (all of the nozzles 32) to be inspected. , an inspection pattern 24 (FIG. 2)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ts 23 is formed in the inspection region 25 (step S02). The processing for forming the inspection pattern 24 will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set so that the ink ej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object nozzles 32 is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on the substrate 20 and becomes isolated dots 23 .

검사용 토출처리에 이어서 1회째의 스캔동작을 행하여, 패스영역(21)에 도트패턴을 형성한다. 다만,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의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y축의 양의 방향으로의 이동과, 스캔동작에 있어서의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y축의 양의 방향으로의 이동은,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여 행한다.Following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the first scan operation is performed to form a dot pattern in the pass region 21 . However, the movement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n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and the y-axis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n the scanning operation The movement in the positive direc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모든 패스영역(21)에 대한 잉크의 도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스텝 S04),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동작을 행한다(스텝 S05). 그 후, y축의 음의 방향으로의 스캔동작을 행하여, 패스영역(21)에 도트패턴을 형성한다(스텝 S06). 이어서, 직전의 스캔동작(2회째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32)을, 검사대상의 노즐(32)로서 선택한다(스텝 S07).If the application of the ink to all of the pass regions 21 is not finished (step S04), a shift operation of moving the inkjet head 31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performed (step S05). Thereafter, a scanning operation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y-axis is performed to form a dot pattern in the path region 21 (step S06). Next, the nozzle 32 from which ink was ejec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scanning operation (the second scanning operation) is selected as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07).

스캔동작에 이어서, 2회째의 스캔동작에 대응하는 패스영역(21)과 겹쳐져 있는 검사영역(25)에,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전부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검사패턴(24)(도 2)을 형성한다(스텝 S08). 모든 패스영역(21)에 대한 잉크의 도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스텝 S09), x방향으로의 시프트동작을 행한다(스텝 S10). 그 후, 스텝 S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을 반복하여 기판(20)의 상면에 잉크에 의한 실묘화패턴을 형성하는 처리를 "묘화처리"라고 하기로 한다.Following the scanning operation, ink is discharged from all of the nozzles 32 to be inspected into the inspection region 25 overlapping the pass region 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canning operation, and the inspection pattern 24 (Fig. 2) is formed (step S08). If the application of ink to all the path regions 21 is not finished (step S09), a shift operation in the x direction is performed (step S10). After that, the process from step S01 is repeated. The process of forming a real drawing pattern by in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by repeating the scan operation and the shift operation will be referred to as "drawing process".

스텝 S04 또는 스텝 S09에서, 모든 패스영역(21)에 대한 잉크의 도포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기판(20)에 대하여 촬상장치(4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검사패턴(24)의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11). 그 후,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32)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처리를 행한다(스텝 S12).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04 or S09 that the application of ink to all the path regions 21 is completed, the imaging device 40 is moved relative to the substrate 20 to obtain an image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 is obtained (step S11). Thereafter, from the acquired image, judgment process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malfunction of the nozzle 32 (step S12).

예를 들면, 제어장치(50)는, 화상해석을 행함으로써, 검사패턴(24)의 각 도트(23)의 중심위치, 평면형상, 및 크기를 계측한다. 이들 계측결과가 허용범위 내이면, 당해 도트(23)를 형성한 노즐(32)의 동작은 정상이다. 노즐(32)의 동작이 정상이면, 그 노즐(32)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트(23)의 평면형상은 대략 원형이 된다. 도트(23)의 평면형상의 평가는, 예를 들면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원형으로부터의 어긋남량에 근거하여 행한다. 여기에서, "어긋남량"은, 예를 들면, 평가대상의 도형의 외주선을 동심의 2개의 원주 사이에 두었을 때, 동심의 2개의 원주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경우의 2개의 원주의 반경의 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2개의 원의 중심의 위치를, 도트(23)의 중심위치라고 정의하면 된다. 도트(23)의 크기는, 예를 들면 2개의 원주의 직경의 평균값으로 정의하면 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50 measures the center position, planar shape, and size of each dot 23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If these measurement results are within the allowable range, the operation of the nozzle 32 in which the dot 23 is formed is normal. If the operation of the nozzle 32 is normal, the planar shape of the dot 23 formed by the nozzle 32 becomes substantially circular. The evaluation of the planar shape of the dots 23 is performed, for example, based on the amount of deviation from the geometrically correct circle. Here, the "deviation amount" is, for example, the radius of the two circumferenc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ncentric circumferences becomes the minimum when the outer circumference line of the figure to be evaluated is placed between the two concentric circumferences. It can be defined as the car of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fin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se two circles as the center position of the dot 23. As shown in FIG.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fine the magnitude|size of the dot 23 as the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 of two circumferences, for example.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xcellent effect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캔동작에서 실제로 사용한, 또는 사용할 예정의 노즐(32)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고, 검사대상의 노즐(32)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하여 검사패턴(24)(도 2, 도 3)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즐(32)의 전부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검사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검사패턴(24)을 구성하는 도트(23)의 개수가 적어진다. 화상해석의 대상이 되는 도트(23)의 개수가 삭감됨으로써, 화상해석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를 포함시킨 잉크도포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nozzle 32 actually used or planned to be used in the scanning operation is selected as the nozzle to be inspected, and the inspection pattern 24 (Fig. 2, 3) is formed.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n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by discharging ink from all the nozzles 32, the number of the dots 23 which comprise the inspection pattern 24 decreases. By reducing the number of dots 23 to be subjected to image analysis, the time required for image analysis can be shortene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ink appl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inspection.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사패턴(24)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23)의 전부가, y방향에 관하여, 촬상장치(40)의 화각 내의 영역의 y방향의 치수보다 좁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판(20)에 대하여 촬상장치(4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x방향으로의 이동만을 행함으로써, 검사패턴(24)의 모든 도트(23)를 촬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사패턴(24)의 촬상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all of the plurality of dots 23 constituting the inspection pattern 24 are distributed in the y direction in a range narrower than the dimension in the y direction of the area within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device 40, have. For this reason, all the dots 23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can be imaged by only moving in the x direction without moving the imaging device 40 in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For this reason, the time required for imaging of the test|inspection pattern 24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캔동작(스텝 S03, 스텝 S06)의 1회마다,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02, 스텝 S08)를 행하고 있다. 즉, 복수의 패스영역(21)의 각각에 대응하여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있다. 소정의 1개의 패스영역(21)에 대응하는 검사패턴(24)의 검사결과가 정상이면, 그 패스영역(21)에 대한 잉크의 도포처리는 정상으로 행해졌다고 유추할 수 있다. 반대로, 소정의 1개의 패스영역(21)에 대응하는 검사패턴(24)의 검사결과가 이상(異常)이면, 그 패스영역(21)에 대한 잉크의 도포처리는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았다고 유추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02, step S08) is performed for every one of the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step S03, step S06). That is,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 regions 21 . If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corresponding to one predetermined pass region 21 is normal,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nk application process to the path region 21 was normally performed. Conversely, if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corresponding to one predetermined pass region 21 is abnormal,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nk application process to the path region 21 is not normally performed. have.

저항막식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는, 통상은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그 피치는, 화소피치에 비하여 충분히 크다. 즉, 형성되는 실묘화패턴을 y방향으로 보았을 때, 많은 도트(22)가 겹쳐, 도트(2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화소의 개수가, 도트(22)가 배치되어 있는 화소의 개수보다 충분히 많다. 이 때문에, 도트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도트(22)를 형성하기 위한 1회의 스캔동작에 있어서 사용하는 노즐(32)의 개수는, 잉크젯헤드(31)에 마련되어 있는 노즐(32)의 전체 개수에 비하여 충분히 적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잉크젯헤드(31)의 검사에 상기 실시예를 적용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The plurality of dots constituting the dot spacer of the resistive touch panel are usually regularly distribu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 pitch thereof is sufficiently large compared to the pixel pitch. That is, when the actual drawing pattern to be formed is viewed in the y-direction, many dots 22 overlap and the number of pixels in which dots 22 are not arranged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number of pixels in which dots 22 are arranged. .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nozzles 32 used in one scan operation for forming the dots 22 constituting the dot spacer is sufficient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nozzles 32 provided in the inkjet head 31 . little. In such a case, the effect of applying the above embodiment to the inspection of the inkjet head 31 is remarkable.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캔동작의 실행 전 또는 실행 후에, 스캔동작의 1회마다 검사대상의 노즐(32)을 선택(스텝 S01, 스텝 S07)하고 있지만, 잉크의 도포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복수의 패스영역(21)(도 2)의 각각에 대하여, 검사대상의 노즐(32)을 선택해 두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before or after the execution of the scanning operation,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is selected for each scan operation (steps S01 and S07). However, before starting the ink application process, a plurality of For each of the path regions 21 (FIG. 2),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may be selected.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홀수 번째의 스캔동작(스텝 S03)에 대해서는, 스캔동작의 실행 전에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스텝 S02)하고, 짝수 번째의 스캔동작(스텝 S06)에 대해서는, 스캔동작의 실행 후에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스텝 S08)하고 있다. 그 반대로, 홀수 번째의 스캔동작에 대해서는, 스캔동작의 실행 후에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고, 짝수 번째의 스캔동작에 대해서는, 스캔동작의 실행 전에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기판(20)의 상측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에 검사패턴이 형성되게 된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for the odd-numbered scan operation (step S03),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is executed (step S02) before the execution of the scan operation, and for the even-numbered scan operation (step S06), the scan operation After the execution of ,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is executed (step S08). Conversely, for an odd-numbered scan operation, the inspection discharge processing may be executed after the scan operation is executed, and for an even-numbered scan operation, the inspection discharge processing may be executed before the scan operation is executed. In this case, the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inspection area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ubstrate 20 shown in FIG. 2 .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사패턴(24)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23)(도 2)의 y방향의 위치에 불균일을 갖게 하고 있다. 복수의 도트(23)를 x축에 평행한 1개의 직선 상에 형성해도 이웃하는 도트(23)가 연속되지 않고 고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검사패턴(24)을 구성하는 모든 도트(23)를, x축에 평행한 1개의 직선 상에 형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s in the 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23 (FIG. 2) constituting the inspection pattern 24 are non-uniform. Even if a plurality of dots 23 are formed on one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x-axis, if the neighboring dots 23 are not continuous and an isolated state can be maintained, all dots ( 23) may be formed on one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x-axis.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x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패스영역(21)(도 2)이 서로 접하도록 복수의 패스영역(21)을 배치하고 있지만, x방향에 관하여 도트(22)(도 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패스영역(21)을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패스영역(21)과 3번째의 패스영역(21)을, 간격을 두고 배치해도 된다.Moreover,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plurality of path regions 21 are arranged so that two path regions 21 (Fig. 2) adjacent in the x dire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ots 22 (Fig. 2) with respect to the x direction. ) is not arranged, the path region 21 does not need to be arranged.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you may arrange|position the 2nd pass area|region 21 and the 3rd pass area|region 21 from the left with space|interval.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캔동작 시에 잉크젯헤드(31)를 기판(2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방향(y방향)과, 복수의 노즐(32)이 등피치로 배열되는 방향(x방향)을 직교시키고 있다. 그 외의 구성으로서, 잉크젯헤드(31)의 이동방향과, 복수의 노즐(32)의 배열방향을,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시켜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jet head 31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y-direction) during the scanning operation (y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nozzles 32 are arranged at equal pitches (x-direction)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doing As another configura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kjet head 31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ozzles 32 may cross each other at an angle other than a right angle.

다음으로, 도 5~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 ink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는,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붙은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5,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20 is shown with the broken line with an arrow.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패스영역(21)에 각각 대응하는 검사패턴(24)(도 2)을, 모두, 기판(20)의 x축에 평행한 1개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기판(20)의 x축에 평행한 2개의 가장자리의 각각을 따르도록, 2개의 검사영역(25)(도 5)이 배치되어 있다.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세어 1번째와 3번째의 패스영역(21)에 대해서는, y축의 양의 측(도 5에 있어서 상측)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2번째와 4번째의 패스영역(21)에 대해서는, y축의 음의 측(도 5에 있어서 하측)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있다. 즉, 스캔동작에 있어서의 잉크젯헤드(31)의 이동방향의 하류측의 검사영역(25)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 the inspection patterns 24 ( FIG. 2 )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ss regions 21 are all along one edge parallel to the x-axis of the substrate 20 . It is formed in the inspection area 25 . In contra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7 , two inspection areas 25 ( FIG. 5 ) are arranged along each of the two edges parallel to the x-axis of the substrate 20 . For the first and third pass regions 21 count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in the inspection region 25 along the edge of the positive side (upper side in Fig. 5) of the y-axis. Then, for the second and fourth pass regions 21,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in the inspection region 25 along the edge of the negative side (lower side in Fig. 5) of the y-axis. That is,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in the inspection area 25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kjet head 31 in the scanning operation.

도 6은,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촬상장치(40)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촬상장치(40)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4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6 ,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maging device 40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with an arrow.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검사패턴(24)의 모든 도트(23)가, 기판(20)의 x축에 평행한 1개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40)(도 3)를 x축에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모든 도트(23)를 촬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검사영역(25)(도 6)이, 각각 기판(20)의 x축에 평행한 2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촬상장치(40)(도 6)를, 기판(20)의 x축에 평행한 일방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과, 타방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검사영역(25)의 각각을 따라 이동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일방의 검사영역(25)을 촬상한 후, 타방의 검사영역(25)을 촬상하기 전에, 기판(20)에 대하여 촬상장치(40)를 상대적으로 y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1 to 4, since all the dots 23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are distributed in the inspection area 25 along one edge parallel to the x-axis of the substrate 20, All the dots 23 can be imaged only by moving the imaging device 40 (FIG. 3) parallel to the x-axis. In contra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7 , two inspection areas 25 ( FIG. 6 ) are arranged along two edges parallel to the x-axis of the substrate 20 ,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the imaging device 40 (FIG. 6) is moved along each of the inspection area 25 along one edge parallel to the x-axis of the substrate 20 and the inspection area 25 along the other edge. have to move For this reason, after imaging one test|inspection area|region 25, before imaging the other test|inspection area|region 25, it is necessary to move the imaging device 40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20 in the y direction.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선택(스텝 S01),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02), 및 스캔동작(스텝 S03)을 이 순서로 실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캔동작(스텝 S03),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선택(스텝 S01), 및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02)를 이 순서로 실행한다. 즉, 검사용 토출처리를 스캔동작 후에 실행한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 to 4, the selec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01),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02), and the scanning operation (step S03) are execut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7, as shown in Fig. 7, a scanning operation (step S03), selec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01), and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02) are executed in this order. That is,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is executed after the scan operation.

다음으로, 도 5~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xcellent effect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5-7 is demonstra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노즐(32)의 동작불량의 유무의 검사를 포함시킨 잉크도포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회의 스캔동작을 행한 후에, 당해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한 노즐(32)을 이용하여 검사패턴(24)(도 5)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캔동작의 개시시점에서는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었지만, 스캔동작의 도중에 불량이 발생한 것 같은 경우에도, 노즐(32)의 동작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it become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ink appl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inspection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function of the nozzle 32.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performing one scan operation, the inspection pattern 24 (FIG. 5) is formed using the nozzle 32 which ejected ink in the scanning operation.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operation was normally performed at the start of the scann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malfunction of the nozzle 32 even when a failure seems to have occurred in the middle of the scanning operation.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 ink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8은,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8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ejection of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8,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20 is shown with the broken line with an arrow.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패스영역(21)의 각각에 대하여, 패스영역(21)과 겹치는 검사영역(25)에 검사패턴(24)(도 2)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영역(25) 중 최초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도포하는 패스영역(21)(도 8에 있어서 가장 좌측의 패스영역(21))과 겹치는 범위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다른 패스영역(21)과 겹치는 범위에는 검사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 검사패턴(24)은, 모든 스캔동작 중 적어도 1개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32)을 검사대상의 노즐(32)로서 선택하고, 검사대상의 노즐(32)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즉, 복수의 스캔동작의 전부에 대응하여 1개의 검사패턴(24)을 형성하고 있다.1 to 4 ,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 regions 21 , the inspection pattern 24 ( FIG. 2 ) is formed in the inspection region 25 overlapping the path region 21 .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in a range overlapping the pass region 21 (the leftmost path region 21 in Fig. 8) to which ink is applied in the first scan operation among the inspection regions 25. , and no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in a range overlapping with the other pass regions 21 . This inspection pattern 24 selects, as the nozzle 32 of the inspection object, a nozzle 32 that is to discharge ink in at least one scanning operation among all the scanning operations, and injects ink from the nozzle 32 of the inspection object. It is formed by discharging. That is, on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corresponding to all of the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모든 스캔동작 중 적어도 1개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32)을 검사대상의 노즐(32)로서 선택한다(스텝 S21). 검사대상의 노즐(32)에 대하여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2). 구체적으로는, 도 8의 가장 왼쪽의 패스영역(21)과 검사영역(25)이 겹쳐져 있는 영역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한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in at least one scanning operation among all the scanning operations, a nozzle 32 that is scheduled to discharge ink is selected as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21).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nozzle 32 of an inspection object (step S22). Specifically,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leftmost pass region 21 and the inspection region 25 in FIG. 8 overlap.

검사패턴(24)을 형성한 후,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모든 패스영역(21)에 잉크를 도포하는 묘화처리를 행한다(스텝 S23). 묘화처리가 종료되면, 촬상장치(40)로 검사패턴(24)을 촬상하고, 검사패턴(24)의 화상을 취득한다(스텝 S24). 그 후,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동작불량의 노즐(32)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25).After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formed, a drawing process of applying ink to all the path regions 21 is performed by repeating a scan operation and a shift operation (step S23). When the drawing process is finished,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imaged by the imaging device 40, and an image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acquired (step S24). Thereafter, from the acquired im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lfunctioning nozzle 32 is determined (step S25).

다음으로,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xcellent effect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8-9 is demonstrated.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스캔동작마다 검사패턴(24)(도 2)을 형성하여, 검사패턴(24)의 화상해석을 행하고 있다. 복수의 스캔동작에서 동일한 노즐(32)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경우, 이 노즐(32)은, 복수의 검사패턴(24)의 각각에 도트(23)(도 2)를 형성한다. 복수의 검사패턴(24)의 각각에 포함되는 이 도트(23)에 대하여 화상해석이 행해진다. 즉, 1개의 노즐(32)에 대하여 복수 회의 검사를 행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the inspection pattern 24 (Fig. 2) is formed for each scan operation, and image analysis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is performed. When ink is discharged from the same nozzle 32 in a plurality of scanning operations, the nozzle 32 forms a dot 23 (FIG. 2)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patterns 24. As shown in FIG. Imag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dots 23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patterns 24 . That is, a plurality of times of inspection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one nozzle 32 .

이에 대하여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한 노즐(32)에 대하여, 1개의 검사패턴(24)에 1개의 도트(23)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기판(20)에 대한 잉크의 도포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한 복수의 노즐(32)에 대하여 1회씩 검사가 행해지며, 1개의 노즐(32)에 대하여 복수 회의 검사가 행해지는 경우는 없다. 이로써,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one dot 23 is formed in one inspection pattern 24 with respect to the nozzles 32 that ejected ink in a plurality of scanning operations. For this reason, in the application of ink to the substrate 20, the plurality of nozzles 32 from which the ink is ejected are inspected once, and there is no case where a plurality of inspections are performed for one nozzle 32. . Thereby, the inspection time can be shortened.

다음으로,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will be described.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모든 스캔동작에 대하여 1회의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22)를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모든 스캔동작 중 일부의 복수의 스캔동작에 대하여 1회의 검사용 토출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1번째와 2번째의 스캔동작에 대하여 1회의 검사용 토출처리를 행하고, 3번째와 4번째의 스캔동작에 대하여 1회의 검사용 토출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1번째의 스캔동작에 대응하는 패스영역(21)과 검사영역(25)의 중복영역, 및 3번째의 스캔동작에 대응하는 패스영역(21)과 검사영역(25)의 중복영역에 검사패턴(24)을 형성하면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22) is performed once for all scan ope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may be performed once for a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in some of all the scan operations.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on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first and second scan operations, and on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third and fourth scan operations. You can do it. In this case, the overlapping area of the pass area 21 and the inspection area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an operation, an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pass area 21 and the inspection area 25 corresponding to the third scanning operation The inspection pattern 24 may be formed.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 ink appl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will be omitted.

도 10은,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discharging ink, and a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10 ,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with an arrow.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실행하는 스캔동작에 대응한 패스영역(21)(도 8에 있어서 좌단의 패스영역(21))과 검사영역(25)의 중복영역에 검사패턴(24)(도 8)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최후에 실행하는 스캔동작에 대응한 패스영역(21)(도 10에 있어서 우단의 패스영역(21))과 검사영역(25)의 중복영역에 검사패턴(24)(도 8)을 형성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the inspec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pass region 21 (the left end path region 21 in Fig. 8) and the inspection region 25 corresponding to the scan operation to be performed first. (24) (Fig. 8) is 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pection pattern 24 ( 8) is formed.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잉크의 도포 및 잉크젯헤드의 검사를 행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22)를 행한 후에,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을 반복한다(스텝 S23).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의 반복(스텝 S23)을 행한 후에,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추출(스텝 S21), 및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22)를 행한다. 다만,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추출은, 스캔동작과 시프트동작의 반복(스텝 S23) 전에 행해 두어도 된다.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pplying ink and inspecting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as shown in Fig. 9, after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22) is performed, the scan operation and the shift operation are repeated (step S23).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after repeating the scanning operation and the shifting operation (step S23), extrac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step S21), and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23) S22) is performed. However, the extrac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may be performed before repetition of the scan operation and the shift operation (step S23).

다음으로, 도 10~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xcellent effect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10-11 is demonstrated.

도 10~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8~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게,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스캔동작이 종료된 후에 검사용 토출처리(스텝 S22)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어떤 스캔동작의 도중에 노즐(32)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검사패턴(24)(도 10)의 검사(스텝 S25)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면, 당해 기판(20)에 대하여 행한 잉크도포처리는 정상이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0 to 11,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9, the inspection tim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step S22) is performed after all scanning operations are finished. For this reas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nozzle 32 in the middle of a certain scan operation, the abnormality can be detected. If no abnormality is found in the inspection (step S25) of the inspection pattern 24 (Fig. 10),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nk applica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substrate 20 was normal.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도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n ink a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12는, 잉크의 토출에 의하여 기판(20)에 형성된 패턴, 및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기판(20)에 대한 잉크젯헤드(31)의 상대적인 이동의 궤적을 화살표가 있는 꺾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ejecting ink, and a trajectory of a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 In FIG. 12 , the trajectory of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31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20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with an arrow.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기판(20)에는 복수의 도트(22)(도 2)만으로 이루어지는 실묘화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즉, 기판(20)의 상면에 있어서, 1개의 화소에 착탄된 잉크는 다른 화소에 착탄된 잉크와 연속되지 않고 고립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도트(22) 외에, 잉크의 막(26)을 형성한다. 막(26)은,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착탄된 잉크가 서로 연속함으로써 형성된다. 막(2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스캔동작 시에, 막(26)이 배치되는 영역을 통과하는 노즐(32)의 전부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킨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a real drawing pattern composed of only a plurality of dots 22 ( Fig. 2 )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substrate 20 WHEREIN: The ink which landed on one pixel is isolated without continuing with the ink which landed on the other pixel.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dots 22, a film 26 of ink is formed. The film|membrane 26 is formed by mutually continuing the ink which reached each of a some pixel. In order to form the film 26, ink is usually ejected from all of the nozzles 32 passing through the region where the film 26 is disposed during a scanning operation.

복수의 도트(22)와 막(26)을 1매의 기판(20)에 형성하는 경우에, 막(26)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32)을 검사대상에 포함시키면, 검사대상의 노즐(32)의 개수가 현저하게 많아져 버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트(22)를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를 토출한, 또는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32)을 검사대상으로 하고, 막(26)을 형성하기 위해서만 잉크를 토출한 노즐(32)은 검사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y방향으로 보아 막(26)만이 배치되어 있고, 도트(22)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27)에는, 검사패턴(24)의 도트(23)가 형성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plurality of dots 22 and the film 26 on one substrate 20, if a nozzle 32 for discharging ink for forming the film 26 is included in the inspection object, the inspection object The number of nozzles 32 of the will increase remarkab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nozzle 32 that has ejected ink to form dots 22 or is scheduled to eject ink is an inspection object, and a nozzle that ejects ink only to form a film 26 ( 32) is not subject to inspection. For this reason, the dot 23 of the test|inspection pattern 24 is not formed in the area|region 27 in which only the film|membrane 26 is arrange|positioned, and the dot 22 is not arrange|positioned as seen in the y direction.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excellent effect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막(26)을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를 토출한 노즐(32)을 검사대상으로 하면, 검사대상의 노즐(32)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진다. 이 때문에, 모든 노즐(32)을 검사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검사시간을 단축하는 의미 있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트(22)의 형성을 위한 잉크의 토출을 행하지 않고, 막(26)을 형성하기 위해서만 잉크를 토출한 노즐(32)은, 검사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이 때문에, 검사대상의 노즐(32)의 개수가 과잉으로 많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시간을 단축한다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진다.When the nozzles 32 from which ink is ejected to form the film 26 are used as the inspection object, the number of the nozzles 32 to be inspected becomes excessively large. For this reason, a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inspecting all the nozzles 32, a meaningful effect of shortening the inspection time may not be obtain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the nozzle 32 that ejects ink only for forming the film 26 without ejecting the ink for forming the dots 22 is excluded from the inspection object. For this reason, it can suppress that the number of objects of the nozzle 32 of an inspection object increases excessively. As a result, a sufficient effect of shortening the inspection time is obtained.

다만, 막(26)은, 소정 영역 내의 화소에 착탄된 잉크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1개의 노즐(32)의 동작이 불량이었다고 해도, 불량의 노즐(32)로부터의 잉크가 착탄될 예정의 화소는, 다른 정상인 노즐(32)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확산에 의하여 메워진다. 이 때문에, 막(26)의 형성에 있어서는, 1개 또는 소수의 노즐(32)의 동작불량은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막(26)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32)의 검사를 행하지 않아도, 막(26)의 어느 정도의 품질은 보증된다.However, in the film 26, the inks that land on the pixels in the predetermined area are formed in succession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even if the operation|movement of one nozzle 32 is defective, the pixel which the ink from the defective nozzle 32 is going to land on is filled by diffusion of the ink discharged from the other normal nozzle 32. For this reason, in the formation of the film 26, malfunction of one or a small number of nozzles 32 may be tolerated. Accordingly, even if the nozzle 32 that discharges the ink for forming the film 26 is not inspected, the quality of the film 26 is guaranteed to some extent.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will be described.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도트(22)를 형성하기 위한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추출조건으로 하고, 막(26)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를 토출하는 것은,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추출조건으로 하고 있지 않다. 막(26)의 형상이나 치수에 따라서는, 도트(22)를 형성하는 노즐(32)과 동일하게, 막(26)을 형성하는 노즐(32)의 적어도 일부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좋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화소 1개분의 폭의 띠상의 막을 형성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이 막을 형성하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32)을 검사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discharging the ink for forming the plurality of dots 22 is an extraction condi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and discharging the ink for forming the film 26 is , it is not set as the extraction condition of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Depending on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film 26 , it may be preferable to inspect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32 forming the film 26 , similarly to the nozzle 32 forming the dot 22 . .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rming a band-like film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one pix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ozzle 32 for discharging the ink forming the film in the inspection object.

이와 같이, 검사대상의 노즐의 선택에 있어서, 도트(22)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면 된다. 검사대상의 노즐(32)의 선택 시에, 도트(22)를 형성하기 위한 노즐(32)은, 반드시 검사대상에 포함시키면 된다. 도트(22)의 형성에는 이용되지 않고, 막(26)의 형성에는 이용되는 노즐(32)에 대해서는, 막(26)의 형상이나 치수에 근거하여, 검사대상에 포함시킬지 아닌지를 결정하면 된다. 다만,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함과 함께, 추가적으로, 묘화처리에 관련되지 않는 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해도 된다.In this way, in the selection of the nozzle to be inspected, not only the dots 22 are paid attention, but at least some of the nozzles that are scheduled to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or the nozzles that eject the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inspec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it as a nozzle. When the nozzle 32 to be inspected is selected, the nozzle 32 for forming the dots 22 may be included in the inspection object without fail. Regarding the nozzle 32 that is not used to form the dots 22 and is used to form the film 26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be included in the inspection object based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film 26 . However, at least some of the nozzles from which ink is ejected in the drawing process or the nozzles that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s not related to the drawing process are additionally inspected. You may select as a target nozzle.

상술한 각 실시예는 예시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복수의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의한 동일한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실시예마다 하나하나 언급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n exampl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partial substitutions or combinations of configurations shown in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by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embodiments, it is not mentioned for each embodiment one by 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improvements, combinations, and the like are possible.

10 기대
11 이동기구
11X X방향이동기구
11Y Y방향이동기구
12 가동테이블
13 지지부재
20 기판
21 패스영역
22 도트
23 검사패턴의 도트
24 검사패턴
25 검사영역
26 막
27 막만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
30 잉크토출유닛
31 잉크젯헤드
32 노즐
33 경화용 광원
40 촬상장치
50 제어장치
51 기억부
52 제어부
10 anticipation
11 moving mechanism
11X X direction movement mechanism
11Y Y direction movement mechanism
12 movable table
13 support member
20 board
21 pass area
22 dots
23 Dot of inspection pattern
24 inspection pattern
25 inspection area
26 act
Area where only the 27 Acts are placed
30 Ink discharge unit
31 inkjet head
32 nozzles
33 light source for curing
40 imaging device
50 control
51 memory
52 control

Claims (19)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잉크젯헤드와,
상기 잉크젯헤드의 노즐에 대향하는 위치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잉크젯헤드와 상기 기판 중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기판의, 잉크가 착탄되는 면을 촬상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잉크젯헤드 및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며,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는 제어장치를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몇 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는 묘화처리와,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며, 검사대상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검사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노즐로부터는 잉크를 토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일부의 영역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검사용 토출처리와,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서 잉크가 착탄된 영역을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처리를 행하는 잉크도포장치.
An inkjet he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ink;
a moving mechanism for disposing a substrat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and moving one of the inkjet head and th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other;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k strikes;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inkjet head and the moving mechanism and interprets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he control device is
a drawing process of discharging ink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t least some of the nozzles that are scheduled to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or the nozzles that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in which ink is not discharged from the nozzle and the ink reaches a portion of the substrate;
An ink application apparatus which acquires an image which imaged the area|region where ink has landed by the said imaging device in the said discharge process for said inspection, and performs judgment processing which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function of a nozzle from the acquire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잉크로 이루어지는 패턴은,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각 토출된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서 고립되며, 다른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와 이어지지 않는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의 형성에 이용될 예정의 노즐, 또는 상기 복수의 도트의 형성에 이용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잉크도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awing process, the pattern made of the ink formed on the substrate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in which the ink respectively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is isolated on the substrate and does not connect with the ink ejected from other nozzles,
The control device is an ink applying device for selecting a nozzle scheduled to be used for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or a nozzle used for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as a nozzle to be inspected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묘화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캔동작과,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동작을 반복하는 잉크도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first direction,
The control device is
In the drawing process, a scanning operation for discharging ink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nd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n the first direction An ink application device that repeats a shift operation to move 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반복되는 스캔동작의 1회마다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잉크도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executes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for each repeated scan operation, and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selects a nozzle scheduled to eject ink in a corresponding scan operation, or a nozzle that ejected ink. An ink application device selected as a nozzle to be insp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대응하는 스캔동작 후, 다음의 스캔동작을 행하기 전에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는 잉크도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control device executes the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after a corresponding scan operation before performing a next scan ope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반복되는 스캔동작 중 복수 회의 스캔동작에 대응하여 1회의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복수 회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잉크도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executes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ing onc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among the repeated scanning operations, and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ing, a nozzle scheduled to eject ink in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can operations. , or an ink application device that selects a nozzle that has ejected ink as a nozzle to be insp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화각 내의 영역의 치수보다 좁은 범위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잉크도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is an ink applying device that, in the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hits the ink in a range narrower than a dimension of a region within an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각 토출된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서 서로 연속되지 않고 고립되어 있는 검사패턴을 형성하는 잉크도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ontrol device is an ink applying device configured to form an inspection pattern in which the inks respectively ejected from a plurality of nozzles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tinuous on the substrate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판정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착탄된 잉크의 위치, 평면시에 있어서의 형상 및 치수에 근거하여,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잉크도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device is an ink applying device that, in the judgment processing,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function of the nozzl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k that has landed on the substrate, and the shape and size in a planar view.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잉크젯헤드와,
상기 잉크젯헤드의 노즐에 대향하는 위치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잉크젯헤드와 상기 기판 중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기판의, 잉크가 착탄되는 면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를 구비한 잉크도포장치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노즐을 제어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며,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며,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몇 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는 묘화처리와,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상기 묘화처리에서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며, 검사대상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검사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노즐로부터는 잉크를 토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일부의 영역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검사용 토출처리와,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서 잉크가 착탄된 영역을 상기 촬상장치로 촬상한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처리를 행하는 제어장치.
An inkjet he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ink;
a moving mechanism for disposing a substrat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and moving one of the inkjet head and the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other;
As a control device for an ink application device provided with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 surface on which the ink hits the substrate,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nozzles to discharge ink,
Controlling the moving mechanism to relatively move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nalyze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a drawing process of discharging ink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t least some of the nozzles that are scheduled to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or the nozzles that eject ink in the drawing process are selected as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nd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to be inspected, a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in which ink is not discharged from the nozzle and the ink reaches a portion of the substrate;
A control device that acquires an image obtained by capturing an area in which ink has landed by the imaging device in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and performs judgment processing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malfunction of a nozzle is present from the acquired im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잉크로 이루어지는 패턴은, 상기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각 토출된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서 고립되며, 다른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와 이어지지 않는 복수의 도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의 형성에 이용될 예정의 노즐, 또는 상기 복수의 도트의 형성에 이용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제어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drawing process, the pattern made of the ink formed on the substrate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in which the ink respectively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nozzles is isolated on the substrate and does not connect with the ink ejected from other nozzles,
In the discharge processing for inspection, a nozzle scheduled to be used for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or a nozzle used for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ots is selected as a nozzle to be inspected.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묘화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를 토출시키는 스캔동작과,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헤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동작을 반복하는 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first direction,
In the drawing process, a scanning operation for discharging ink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nd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n the first direction A control device that repeats the shift operation to move.
제12항에 있어서,
반복되는 스캔동작의 1회마다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제어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is executed for each repeated scan operation, and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a nozzle scheduled to eject ink in a corresponding scan operation or a nozzle that ejected ink is selected as a nozzle to be inspected. Control device to be selected as .
제13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스캔동작 후, 다음의 스캔동작을 행하기 전에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는 제어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ntrol device for executing the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after a corresponding scan operation, before performing a next scan operation.
제12항에 있어서,
반복되는 스캔동작 중 복수 회의 스캔동작에 대응하여 1회의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복수 회의 스캔동작에서 잉크를 토출할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한 노즐을,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는 제어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mong the repeated scanning operations,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is executed onc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and in the inspection ejection process, a nozzle or ink to which ink is to be ejected in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scan operations is ejected A control device that selects one nozzle as a nozzle to be insp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화각 내의 영역의 치수보다 좁은 범위에 잉크를 착탄시키는 제어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the control device for landing ink in a range narrower than a dimension of a region within an angle of view of the imaging device in the second direction.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토출처리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각 토출된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서 서로 연속되지 않고 고립되어 있는 검사패턴을 형성하는 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In the discharging process for inspection, a control device for forming an inspection pattern in which inks respectively ejected from a plurality of nozzles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tinuous on the substra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착탄된 잉크의 위치, 평면시에 있어서의 형상 및 치수에 근거하여,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어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 control device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function of a nozzle in the judgment processing,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k that has landed on the substrate, and the shape and size in a planar view.
기판에 대하여 잉크젯헤드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잉크젯헤드의 복수의 노즐 중 일부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잉크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묘화하고,
상기 패턴을 묘화하기 전, 상기 묘화의 도중, 및 묘화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기에, 상기 패턴의 묘화로 잉크를 토출시킬 예정의 노즐, 또는 잉크를 토출시킨 노즐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대상의 노즐로서 선택하며, 검사대상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고, 검사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노즐로부터는 잉크를 토출시키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일부의 영역에 검사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검사패턴의 화상을 취득하며,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노즐의 동작불량의 유무를 판정하는 잉크젯헤드검사방법.
Drawing a pattern made of ink by discharging ink from some nozzles among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inkjet head while relatively moving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Before drawing the pattern, during drawing, and after drawing, at least one of the nozzles scheduled to discharge ink by drawing the pattern or at least a part of the nozzles from which ink is discharged is selected as the nozzle to be inspected. to discharge ink from a nozzle to be inspected, and not to eject ink from a nozzle that has not been inspected, and to form an inspection pattern in a portion of the substrate,
An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pection pattern,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lfunction of a nozzle from the acquired image.
KR1020210063339A 2020-05-20 2021-05-17 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 KR2021014366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8087A JP2021181071A (en) 2020-05-20 2020-05-20 Ink coating device, control device of the same, and inkjet head inspection method
JPJP-P-2020-088087 2020-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63A true KR20210143663A (en) 2021-11-29

Family

ID=7860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39A KR20210143663A (en) 2020-05-20 2021-05-17 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181071A (en)
KR (1) KR20210143663A (en)
CN (1) CN113696626A (en)
TW (1) TW20214419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5521A1 (en) * 2021-11-29 2023-06-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ejection device, ejection state evalu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bo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243A (en) 2002-03-04 2003-09-09 Seiko Epson Corp Plotting method, plott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t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 emiss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pdp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phoresis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method of forming spacer, method of forming metallic wiring, method of forming lens, method of forming resist and method of forming light diffusion bod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0155B2 (en) * 1999-06-18 2004-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Image forming device
WO2007132726A1 (en) * 2006-05-12 2007-11-22 Toray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JP2008100138A (en) * 2006-10-17 2008-05-01 Seiko Epson Corp Liquid droplet discharg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333744B2 (en) * 2007-01-15 2009-09-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ejection method and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JP5176570B2 (en) * 2008-02-01 2013-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8100499B2 (en) * 2009-03-30 2012-01-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rint head roll
CN102267289B (en) * 2010-05-12 2014-05-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Ink-jet device
JP5158992B2 (en) * 2010-12-21 2013-03-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Defect recording elemen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WI511794B (en) * 2011-08-05 2015-12-11 Sumitomo Heavy Industries A film pattern forming apparatus, a film pattern forming method, and a device adjusting method
JP5994223B2 (en) * 2011-08-31 2016-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RECORDING DEVICE, RECORD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5182337A (en) * 2014-03-25 2015-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rint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inting system
JP6903937B2 (en) * 2017-02-21 2021-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How to create test patterns, test patterns, printing systems, progra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243A (en) 2002-03-04 2003-09-09 Seiko Epson Corp Plotting method, plott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t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 emiss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pdp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phoresis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method of forming spacer, method of forming metallic wiring, method of forming lens, method of forming resist and method of forming light diffusio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96626A (en) 2021-11-26
JP2021181071A (en) 2021-11-25
TW202144194A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158B1 (en) Droplet ejecting apparatus, droplet eject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594447B1 (en) Droplet ejecting apparatus, droplet eject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7815274B2 (en) Method for identifying misdirecting nozzles in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US20090309905A1 (en) Droplet Discharging and Drawing Apparatus
JP2018143975A (en) Droplet discharge device, droplet discharge method, progra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07136330A (en) Ink ejection apparatus and ink ejection method
KR20090126854A (en) Array head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compensating alignment error thereof
KR20210143663A (en) Apparatus for applying in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k-jet head
JP2004141758A (en) Method of correcting dot position of droplet discharge device, alignment mask, droplet discharge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an electronic equipment
JP4221543B2 (en) Multi-nozzle inkjet recording device
KR20180021647A (en) Droplet ejection apparatus and droplet ejection condition correction method
KR102161040B1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CN117325563A (en) Ink jet device, control method and substrate
JP2006130383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on of dot shift
US9636913B2 (en) Nozzle ejection trajectory detection
JP2022158880A (en) Printer and printer control method
JP2006297175A (en) Liquid drop delivery apparatus, liquid drop delivery method and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optical apparatus
JP4704168B2 (en) Defective pixel repair device, defective pixel repair system, and defective pixel repair method
KR102638457B1 (en) Nozzle inspection method, nozzle inspection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716902B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rror of recording head
JP2019155307A (en) Inkjet discharge inspection method and inkjet coating method
JP2022158367A (en)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printer
WO2022172762A1 (en) Droplet discharging device and droplet discharging method
KR102510910B1 (en) Maintenance unit and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including the same
KR20230032165A (en) Inkjet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kjet printing device and inkjet print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