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485A -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 Google Patents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485A
KR20210143485A KR1020200060306A KR20200060306A KR20210143485A KR 20210143485 A KR20210143485 A KR 20210143485A KR 1020200060306 A KR1020200060306 A KR 1020200060306A KR 20200060306 A KR20200060306 A KR 20200060306A KR 20210143485 A KR20210143485 A KR 2021014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pper
neck support
portabl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득일
백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비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비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비소재
Priority to KR102020006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3485A/ko
Publication of KR2021014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막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및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30mm 이하인, 구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APPARATUS FOR MASSAGE COMPRISING COPPER}
본 발명은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30mm 이하인,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탄력이 줄어 살이 처지게 되고, 주름이 생기며, 또한 오랜 기간 자외선에 노출되면 각질이 두꺼워져 피부가 투명감을 잃어버리면서 피부의 신진대사가 저하됨과 동시에 수분 및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피부 노화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크림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피부에 바르거나, 피부에 물리적인 자극을 주어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피부에 탄력을 유지시키는 마사지(Massage) 등이 있다.
마사지(Massage)는 아라비아어의 압박(Mass)과 그리스어의 '주무르다'에서 기원한 것으로 피부나 근육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서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임파액, 조직액 등 체액의 흐름을 촉진하여 국소(局所)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마사지는 주로 사람의 손을 이용하기 때문에 마사지를 하는 사람의 손 마디나 근육에 무리가 올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한 힘을 계속해서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마사지를 할 때 균일한 힘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손에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한 형태로 제작된 마사지 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사지 도구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통 원기둥 형상을 갖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본체와 본체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된 회전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사지를 하기 위한 부위에 회전 롤러를 밀착시켜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롤러가 회전하면서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주게 된다.
최근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면서, 얼굴에 대한 지방 제거 및 피부 탄력 증가 등의 목적으로 얼굴을 마사지하기 위한 전용 마사지 기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사지 기구들은 단순한 손잡이 본체와 회전 롤러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순수하게 마사지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어서 지방 제거 효과 또는 피부 탄력 증가와 같은 미용 효과가 매우 미미하고, 이러한 미용 효과들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아주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사지 기구의 특성상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여 기구를 잡게 되므로 손에 있는 바이러스등과 같은 외부 세균이 마사지 기구를 이용하여 마사지를 하는 피부에 옮겨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54401-0000호 (등록일 : 2014.01.15)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구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30mm 이하이고,
상기 파지부 또는 목지지부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음각형태로 새겨질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의 표면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새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를 누르거나 문질러서 마사지를 하거나,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 대신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접촉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은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보다 크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상기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제2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는 별도의 목지지부 없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또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지지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과 반구가 결합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목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2는 도 1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4는 도 3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6은 도 5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2는 도 1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4는 도 3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다.
도 6은 도 5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막대는 99.9% 이상의 구리로 구성되거나, 구리에 아연을 첨가하여 만든 황동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는 주기율표의 11족에 속하며 전자로 꽉 채워진 d-전자껍질과 하나의 s-오비탈 전자를 가지고 있어 높은 연성과 전기 및 열 전도성을 지닌다. 이 원소들의 채워진 d-껍질은 금속 결합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s-전자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금속들에 비교해 공유 결합의 특성이 부족하며 상대적으로 결합이 약하다. 결과적으로 구리는 무른 성질과 큰 연성을 가지게 된다. 구리는 순수한 금속 중 은에 이어 실온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구리는 회색이나 은색이 아닌 독특한 천연색을 가지고 있는데, 순수한 구리는 주황색을 띠며 공기에 노출되면 불그스름하게 변한다. 구리가 특징적인 색깔을 띠는 이유는 채워진 3d-오비탈과 반만 채워진 4s-오비탈 사이의 전자 전이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두 궤도 사이의 에너지 차이가 주황색 빛에 해당한다.
구리는 일반적으로 제1구리(cuprous)와 제2구리(cupric)로 불리는 +1과 +2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매우 다양한 화합물을 만든다. 구리의 이성분 화합물 중 산화물로는 산화 제1 구리(Cu2O)와 산화 제2 구리(CuO)가 알려져 있으며 황화물에는 황화 구리(I) (Cu2S) 와 황화 구리(II) (CuS)가 알려져 있다. 또한 구리는 할로젠 원소 X(X = Cl, Br, I)와 반응하여 CuX2와 CuX 형태의 화합물을 만든다. 이중 CuI2는 만들어지지 않는데, 이는 I- 이온이 Cu2+를 Cu+로 환원시키기 때문이며 다음과 같이 CuI와 I2가 얻어진다.
황동은 고체의 구리 속에 아연이 녹아들어가는 범위(약 35%까지)의 것을 α황동이라고 하는데, 전연성(展延性)이 크므로 두들기거나 늘려서 판 ·봉 ·선 ·관 등으로 가공해서 사용한다. 아연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경도(硬度)와 강도가 증가하고, 합금의 색도 구리의 붉은기가 도는 색에서 황색에 접근해 간다.
고체의 구리에 고용(固溶)되는 양 이상으로 아연이 들어가면 여분의 아연은 구리와 β 라는 별개의 고체를 만들기 때문에 합금은 α 와 β의 두 가지 고체의 혼합물(2相이 된다고 한다)이 되고, 색은 다시 붉은기가 더해지게 된다. 이러한 2상의 합금 중 대표적인 것은 40% 아연의 이른바 사륙황동으로, 건재(建材)의 쇠붙이 장식, 문의 손잡이 등 놋쇠장식은 대부분 이것이며, α황동보다 견고하고 마모되지 않는다. α황동의 대표적인 것은 30% 아연의 칠삼황동으로, 기물 등과 같이 판에서 따내어 만드는 것에는 이것이 많다. 동전도 α황동이다. 칠삼황동 이외의 α황동도 성분에 따라 여러 가지 용도가 있다. 20% 아연 이하의 것은 금색에 가깝고, 소량의 납을 가하면 더욱 금과 같은 색이 되므로 금단추 ·휘장(徽章) ·불단(佛壇)의 장식구 등으로 사용된다. 20% 아연의 것은 금박의 대용으로 서적의 금글자, 금색 인쇄에 사용되지만, 오래 되면 검게 변한다
이와 같이, 구리와 황동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과 같이 전염과 확산하는 속도가 빠른 질병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바이러스가 오래 머물러 있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구리와 황동은 이러한 질병 바이러스가 빠르면 바로 길어도 수분 이상 머물러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항균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를 누르거나 문질러서 마사지를 하거나,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 대신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접촉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엘리베이터등의 버튼 스위치를 항균 필름으로 덮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를 이용하면 별도의 항균 필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도 버튼 또는 스위치를 누르는 신체의 일부(주로 손)를 대신할 수 있으므로 질병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얼굴이나, 손, 등, 허리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를 마사지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사지 도구의 경우에도, 다양한 질병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마사지 도구를 통하여 인체에 전염될 가능성이 높으나,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한 휴대용 막대의 경우 이러한 바이러스의 노출 및 유지시간을 최소화시켜 인체에 감염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한 휴대용 막대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다. 상기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30mm 이하이다.
상기 파지부 또는 목지지부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음각형태로 새겨질 수 있고,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의 표면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새겨질 수 있다. 이렇게 문자, 기호 또는 숫자를 새기는 경우 본 발명품의 소유자가 누구인지를 표시하거나, 주의사항 또는 홍보문구등을 다양하게 기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리를 포함한 휴대용 막대는 3가지 실시예를 가지며, 이하 각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고, 도 2는 도 1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머리부와 함께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은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보다 크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상기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제2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는 별도의 목지지부 없이 연결된다.
각 부분의 수치는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치를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그립감을 제공하면서 휴대하기에 편한 수치는 휴대용 막대(100a)의 길이는 120mm, 제1 머리부의 최대 단면지름(20a)은 10mm, 목지지부의 최소 단면 지름(40a)은 7mm로 형성하고, 목지지부와 제1 머리부를 합한 길이(B)는 40mm, 파지부의 최대 단면 지름(10a)은 15mm, 제2 머리부의 최대 단면 지름(30a)은 2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고, 도 4는 도 3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타단을 평면으로 구성한 이유는 본 제품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원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마사지 하기 위함이다. 즉,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제1 실시예의 발명과 달리, 제2 실시예에 의한 발명은 평면으로 형성된 타단을 바닥에 놓고 사용자가 마사지 하기를 원하는 손, 발, 허리등의 신체부위를 갖다대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의 길이를 5mm로 형성하여, 여기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등을 새겨서 사용할 수 있다.
각 부분의 수치는 범위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치를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그립감을 제공하면서 휴대하기에 편한 수치는 휴대용 막대(100a)의 길이는 50mm, 제1 머리부의 최대 단면지름(20a)은 10mm, 목지지부의 최소 단면 지름(40a)은 7mm로 형성하고, 파지부의 길이(C)는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이고, 도 6은 도 5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지지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과 반구가 결합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목지지부와 연결된다.
각 부분의 수치는 범위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치를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그립감을 제공하면서 휴대하기에 편한 수치는 휴대용 막대(100a)의 길이는 50mm, 제1 머리부의 최대 단면지름(20a)은 10mm, 목지지부는 단면 지름(40a)이 7mm인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하고, 파지부의 길이(C)는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부분의 수치는 범위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수치를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그립감을 제공하면서 휴대하기에 편한 수치는 휴대용 막대(100a)의 길이는 50mm, 제1 머리부의 최대 단면지름(20a)은 10mm, 목지지부인 원기둥의 단면 지름(40a)은 7mm로 형성하고, 파지부에서 두께가 일정한 부분의 길이(C)는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파지부
10a : 파지부의 단면 지름
20 : 제1 머리부
20a : 제1 머리부의 단면 지름
30 : 제2 머리부
30a : 제2 머리부의 단면 지름
40 : 목지지부
40a : 목지지부의 단면 지름
100 : 휴대용 막대
100a : 휴대용 막대의 길이
B : 목지지부와 제1 머리부를 합한 길이
C : 파지부의 길이

Claims (10)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지부;
    곡면으로 형성된 제1 머리부;및
    상기 파지부와 제1 머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보다 두께가 더 얇은 목지지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상기 파지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50mm 이하이며,
    구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이 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또는 목지지부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음각형태로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4. 제 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고무, 나무 또는 구리를 제외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물질의 표면에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6.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를 누르거나 문질러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7.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신체의 일부 대신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접촉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8.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은 제1 머리부의 단면 최대 지름보다 크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상기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제2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는 별도의 목지지부 없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9.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연결된 목지지부는 상기 파지부와 연결된 곳에서 상기 제1 머리부로 연결된 곳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10.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머리부와 반대쪽인 타단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지지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두께가 일정한 부분과 반구가 결합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목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KR1020200060306A 2020-05-20 2020-05-20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KR20210143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06A KR20210143485A (ko) 2020-05-20 2020-05-20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06A KR20210143485A (ko) 2020-05-20 2020-05-20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485A true KR20210143485A (ko) 2021-11-29

Family

ID=786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06A KR20210143485A (ko) 2020-05-20 2020-05-20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34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59A (ko) * 2020-05-21 2021-11-3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진 휴대용 누름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01B1 (ko) 2005-12-21 2014-01-22 자데 다비 코라사니 연속 압박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01B1 (ko) 2005-12-21 2014-01-22 자데 다비 코라사니 연속 압박 마사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59A (ko) * 2020-05-21 2021-11-3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진 휴대용 누름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0445A1 (en) Massage arch
KR20210143485A (ko) 구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막대
MXPA05001338A (es) Tela elastica y material de parte superior elastico.
US20180008075A1 (en) Sleeve puller
FR2481926A1 (fr) Lotion capillaire a base de plantes
CN209392663U (zh) 一种家庭便携式组合弹力训练器
JP2007252890A (ja) 新規な洗濯バサミ
KR20060083796A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손발 톱 깍기
JP3020529U (ja) 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使用健康数珠
KR0175644B1 (en) Eating utensil for the manually impaired & general public
Kim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research cases for handicapped people since 2000
JP2002065867A (ja) 健康器具
JP2009045400A (ja) 腹部手動マッサージ、指圧器
CN2491320Y (zh) 一种保健手把装置
JP3214427U (ja) 皮膚科医が考案した一人暮らしの人にも簡単にできる軟膏塗布具(ointment applier)
CN207412373U (zh) 阴茎增大按摩训练器
CN201131384Y (zh) 可强身健体的伞
CN2548658Y (zh) 铃杆
JP3180111U (ja) 健康パワーグリップ
Dean et al. Cardiovascular/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sinks or swims in the 21st century: addressing the health care issues of our time
CN201161053Y (zh) 一种无创祛除遗传性雀斑的新型器械
JP2004290281A (ja) 装身具
CN204840691U (zh) 一种颈肩保健带
KR200397061Y1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손발 톱 깍기
JP2002113062A (ja) マッサージ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