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913A - 엔진 - Google Patents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913A
KR20210141913A KR1020217014731A KR20217014731A KR20210141913A KR 20210141913 A KR20210141913 A KR 20210141913A KR 1020217014731 A KR1020217014731 A KR 1020217014731A KR 20217014731 A KR20217014731 A KR 20217014731A KR 20210141913 A KR20210141913 A KR 2021014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racket
engine
c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츠시마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39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01N3/02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the structure being monolithic, e.g.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6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 F01N2510/068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catalytic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엔진 (100) 은,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ATD (43) 를 갖는다. 엔진 (100) 은, 엔진 본체 (1) 와, 지지대 (8) 와, 전측 지지 브래킷 (91) 과,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을 구비한다. 지지대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엔진 본체 (1) 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고, 지지대 (8) 를 지지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고 전측 지지 브래킷 (91)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고, 지지대를 지지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지지대 (8) 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하 장착 보스 (91a) 를 갖는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지지대 (8) 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 장착 보스 (91a) 를 갖는다.

Description

엔진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에 장착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기 정화 장치를 사용하여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이러한 종류의 구성을 갖는 건설 기계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의 건설 기계는, 엔진과, 엔진과는 별도로 형성된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 룸 내에 배치하고,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 부재에 의해서 유압 펌프의 상방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국제공개 2012/056643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의 구성에 있어서는, 배기 정화 장치가 엔진과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및 배기 정화 장치의 배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였다. 스페이스 절약의 관점에서,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의 상측에 배치하여 당해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에 지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지만, 엔진 본체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배기 정화 장치를 간단히 엔진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 구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위치 결정 지그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배기 정화 장치를 간단히 엔진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엔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엔진이 제공된다. 즉, 이 엔진은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갖는다. 엔진은, 엔진 본체와, 지지대와, 제 1 지지 브래킷과, 제 2 지지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은, 상기 엔진 본체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당해 엔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당해 엔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하 장착부를 갖는다.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 장착부를 갖는다.
이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본체의 상방에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는 양측으로부터 지지대를 지지함으로써, 지지대를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 브래킷 및 제 2 지지 브래킷에 상하 장착부와 수평 장착부를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재치 (載置) 한 지지대를 부착할 때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지대 (내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다.
상기한 엔진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엔진은 플라이휠과, 냉각 팬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팬은 냉각을 위해서 회전한다. 상기 냉각 팬과 상기 플라이휠은,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은, 상기 냉각팬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기 플라이휠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대는 제 1 지지 브래킷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작업시에, 냉각 팬이 방해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엔진 본체에 고정된 제 1 지지 브래킷에 대해서 지지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엔진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엔진은, 제 3 지지 브래킷과, 제 4 지지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은, 상기 엔진 본체의,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이 배치된 측 및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이 배치된 측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지지 브래킷은,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 4 지지 브래킷은, 적어도 상기 엔진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부품과,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제 2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지지대를 4 개의 측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지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3 지지 브래킷 및 제 4 지지 브래킷에 있어서 부품끼리의 위치 변화를 허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지지 브래킷 및 제 2 지지 브래킷에 의한 지지대의 위치 결정을 유지하면서, 지지대를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엔진은,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엔진은 장착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장착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대에 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장착 위치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사양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대해서 공통된 지지대를 겸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관리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엔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엔진에 있어서의 흡기 및 배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 은, ATD 및 지지대를 엔진 본체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ATD 및 지지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ATD 및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제 1 보조 부재를 지지대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은, 제 2 보조 부재를 지지대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 은, ATD 를 지지대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전측 지지 브래킷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을 엔진 본체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 은, 후측 지지 브래킷 및 배기측 지지 브래킷을 엔진 본체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센서 지지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는, 변형예의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은, ATD 가 변형예의 지지대에 장착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엔진 (1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엔진 (100) 에 있어서의 흡기 및 배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100) 은 디젤 엔진으로서, 예를 들어 트랙터 등의 농업 기계 및 스키드 스티어 로더 등의 건설 기계 등에 탑재된다. 엔진 (100) 은, 예를 들어 4 개의 기통을 갖는 직렬 4 기통 엔진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기통의 수는 4 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엔진 (100) 이 구비하는 엔진 본체 (1) 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엔진 (100) 의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칭한다. 엔진 (100)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늘고 긴 대략 장방형으로 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은 크랭크축 (10) 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에는, 크랭크축 (10) 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어느 것과도 직교하는 방향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칭한다. 엔진 (100) 의 높이 방향은 제 1 방향에 상당하고, 길이 방향은 제 2 방향에 상당하며, 폭 방향은 제 3 방향에 상당한다.
엔진 본체 (1)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오일 팬 (11) 과, 실린더 블록 (12) 과, 실린더 헤드 (13) 와, 헤드 커버 (14) 로 구성되어 있다.
오일 팬 (11) 은, 엔진 (100) 의 하부 (하측의 단부) 에 형성되어 있다. 오일 팬 (11) 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일 팬 (11) 의 내부에는 엔진 (100) 을 윤활하기 위한 엔진 오일이 저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12) 은 오일 팬 (11) 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12) 의 하부에는 크랭크축 (10) 등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실린더 블록 (12) 의 상부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실린더 (30) 가 형성되어 있다. 4 개의 실린더 (30) 는 크랭크축 (10) 의 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30) 에는 피스톤이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30) 내부의 피스톤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은, 도시 생략된 커넥팅 로드를 개재하여 크랭크축 (10) 과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축 (10) 은, 각각의 실린더 (30) 에 있어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함으로써 회전한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13) 는, 실린더 블록 (12) 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13) 및 실린더 블록 (12) 에 의해서, 도 2 에 나타내는 연소실 (31) 이 각각의 실린더 (30) 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헤드 커버 (14) 는 실린더 헤드 (13) 의 상측에 형성된다. 헤드 커버 (14) 의 내부에는, 도시 생략된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시 생략된 푸시 로드 및 로커 암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작 밸브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엔진 (100) 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냉각 팬 (6) 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냉각 팬 (6) 은 크랭크축 (10) 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한다. 냉각팬 (6) 은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엔진 (100) 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 (도시하지 않음) 에 공기를 통과시킴과 함께, 엔진 (100) 에 바람을 쏜다. 이 결과, 엔진 (100) 이 냉각된다.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냉각 팬 (6) 과 반대측에는 플라이휠 하우징 (61) 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플라이휠 하우징 (61) 의 내부에는 엔진 (100) 의 플라이휠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이라고 할 때에는, 플라이휠 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이다.
계속해서, 흡기 및 배기의 흐름에 착안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등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100) 은, 흡기부 (2) 와, 동력 발생부 (3) 와, 배기부 (4) 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흡기부 (2) 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흡기부 (2) 는, 흡기관 (21) 과, 스로틀 밸브 (22) 와, 흡기 매니폴드 (23) 와, 과급기 (24) 를 구비한다.
흡기관 (21) 은, 흡기 통로를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내부로 흘릴 수 있다.
스로틀 밸브 (22) 는 흡기 통로의 중도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 (22) 는, 도시 생략된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서 그 개방도를 변경함으로써, 흡기 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킨다. 이로써, 흡기 매니폴드 (23) 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
흡기 매니폴드 (23) 는, 흡기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흡기관 (21) 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 매니폴드 (23) 는, 흡기관 (21) 을 개재하여 공급된 공기를 실린더 (30) 의 수에 따라서 분배하고, 각각의 실린더 (30) 에 형성된 연소실 (31) 로 공급한다.
동력 발생부 (3) 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 개) 의 실린더 (30) 로 구성된다. 동력 발생부 (3) 는, 각 실린더 (30) 에 형성된 연소실 (31) 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각 연소실 (31) 에서는, 흡기 매니폴드 (23) 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압축된 후에, 도시 생략된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분사된다. 이로써, 연소실 (31) 에서 연소가 발생되어,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동력은, 크랭크축 (10) 등을 개재하여 동력 하류측의 적절한 장치로 전달된다.
과급기 (2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25) 과, 샤프트 (26) 와, 컴프레서 (27) 를 구비한다. 컴프레서 (27) 는, 샤프트 (26) 를 개재하여 터빈 (25) 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소실 (31) 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터빈 (25) 의 회전에 수반하여, 컴프레서 (27) 가 회전함으로써, 도시 생략된 에어 클리너에 의해서 정화된 공기가 압축되어 강제적으로 흡입된다.
배기부 (4) 는, 연소실 (31) 내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부 (4) 는, 배기관 (41) 과, 배기 매니폴드 (42) 와, ATD (배기 가스 정화 장치) (43) 를 구비한다. ATD 는 After Treatment Device 의 약칭이다.
배기관 (41) 은 배기 가스 통로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연소실 (31) 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흘릴 수 있다. 배기관 (41) 은, 과급기 도입관 (51) 과, 접속관 (52) 과, 배출관 (53) 을 구비한다.
배기 매니폴드 (42) 는,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배기관 (41) 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 매니폴드 (42) 는, 각 연소실 (31) 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를 모아 배기관 (41) (구체적으로는, 과급기 도입관 (51)) 으로 유도한다.
배기 매니폴드 (4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직방체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헤드 (13) 의 횡방향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엔진 본체 (1) 에 대해서 배기 매니폴드 (42) 가 장착되는 측을 배기측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전술한 흡기 매니폴드 (23) 는, 실린더 헤드 (13) 가 갖는 횡방향의 면 중, 배기 매니폴드 (42) 와는 반대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엔진 본체 (1) 에 대해서 흡기 매니폴드 (23) 가 장착되는 측을 흡기측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배기측과 흡기측은, 엔진 (100) 의 폭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 (42) 의 배기 가스는, 과급기 도입관 (51) 을 통과하여 과급기 (24) 로 흐른다. 배기 가스는, 과급기 (24) 의 터빈 (25) 을 구동시킨 후, 접속관 (52) 을 통과하여 ATD (43) 로 흐른다.
ATD (43) 는, 배기 가스의 후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ATD (43) 는, 배기관 (41) 의 중도부에 배치되어 있다. ATD (43) 는, 배기 가스 내에 함유되는 NOx (질소산화물), CO (일산화탄소), HC (탄화수소) 등의 유해 성분 및 입자상 물질 (Particulate Matter) 을 제거함으로써, 배기 가스를 정화한다.
ATD (43) 는, DPF 장치 (44) 와, SCR 장치 (45) 를 구비한다. DPF 는 Diesel Particulate Filter 의 약칭이다. SCR 은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의 약칭이다.
DPF 장치 (44)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DPF 케이스 (44a) 내에 수용되어 있는 도시 생략된 산화 촉매, 필터를 개재하여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일산화탄소, 일산화질소, 입자상 물질 등을 제거한다. 산화 촉매는, 백금 등으로 구성되고,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미연 (未燃) 연료, 일산화탄소, 일산화질소 등을 산화 (연소) 하기 위한 촉매이다. 필터는, 산화 촉매보다 배기 가스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폴 플로형의 필터로서 구성된다. 필터는, 산화 촉매로 처리된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입자상 물질을 포집한다.
DPF 케이스 (44a) 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대략 원통상의 중공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는, 그 길이 방향이 엔진 (100) 의 길이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엔진 본체 (1) 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는, 후술하는 SCR 케이스 (45a) 보다,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배기측 (과급기 (24) 및 배기 매니폴드 (42) 가 위치하는 측) 에 배치되어 있다.
DPF 장치 (44) 내의 내부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가 냉각 팬 (6) 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플라이휠 하우징 (61) 에 가까운 측을 향해서 흐른다. DPF 장치 (44) 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연결관 (54) 으로 흐른다. 연결관 (54) 은, DPF 장치 (44) 및 SCR 장치 (45) 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상의 부분을 갖고 있다. 배기 가스는, 연결관 (54) 에 있어서 플라이휠 하우징 (61) 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냉각팬 (6) 에 가까운 측을 향해서 흐른다. 배기 가스는, 연결관 (54) 에 있어서 도시 생략된 우레아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우레아와 혼합된다. 그 후, 배기 가스는 연결관 (54) 으로부터 SCR 장치 (45) 로 흐른다.
SCR 장치 (45)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SCR 케이스 (45a) 내에 수용되어 있는 SCR 촉매, 슬립 촉매를 개재하여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NOx 를 제거한다. SCR 촉매는, 암모니아를 흡착하는 세라믹 등의 소재로 구성된다.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NOx 는, 암모니아를 흡착한 SCR 촉매에 접촉함으로써 환원되고, 질소와 물로 변화된다. 슬립 촉매는, 암모니아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슬립 촉매는,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백금 등의 촉매로서, 암모니아를 산화시켜 질소와 물로 변화시킨다.
SCR 케이스 (45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대략 원통상의 중공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SCR 케이스 (44a) 는, 그 길이 방향이 엔진 (100) 의 길이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엔진 본체 (1) 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 SCR 케이스 (45a) 는, DPF 케이스 (44a) 보다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흡기측에 장착되어 있다. 즉, DPF 케이스 (44a) 와 SCR 케이스 (45a) 는,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SCR 장치 (45) 내의 내부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가 냉각 팬 (6) 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플라이휠 하우징 (61) 에 가까운 측을 향해서 흐른다. SCR 장치 (45) 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SCR 케이스 (45a) 의 배기 가스의 출구에 접속된 배출관 (53) 을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ATD (43) (즉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를 엔진 본체 (1) 의 상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에 대해서, 도 3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엔진 (1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전」이란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서 냉각팬 (6) 에 가까운 측을 의미하고,「후」란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서 플라이휠 하우징 (61) 에 가까운 측을 의미한다. 단, 이들 방향의 호칭은 편의적인 것으로, 엔진 (100) 이 기계에 장착되는 방향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에 있어서, ATD (43) 를 엔진 본체 (1) 의 상방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8) 와 지지 브래킷 (9) 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TD (43) (즉,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는, 지지대 (8) 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 (9) 을 개재하여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대 (8) 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판상의 주물로 구성된다. 지지대 (8) 에 있어서, DPF 케이스 (44a) 의 하부 및 SCR 케이스 (45a) 의 하부와 대면하는 부분은, 당해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의 외주면을 따른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지지대 (8) 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2 개의 원호상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 (8)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대 (8) 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이 엔진 (100) 의 높이 방향과 일치하고, 길이 방향이 엔진 (100) 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며, 폭 방향이 엔진 (100) 의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엔진 본체 (1) (구체적으로는, 헤드 커버 (14)) 의 상방에 위치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 (8) 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70) 와, 제 2 지지부 (80) 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부 (70) 는 전측에 배치되고, 제 2 지지부 (80) 는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대 (8) 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지지부 (70) 는,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T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부 (70) 에는,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와,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에는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의 전단이 장착된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에는 지지 브래킷 (9) 이 장착된다.
제 2 지지부 (80)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부 (80) 에는,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에는,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의 후단이 장착된다.
또한, 제 2 지지부 (80) 에는,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와,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와,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및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에는, 각각 지지 브래킷 (9) 이 장착된다.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으로 2 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도 동일하다. 폭 방향 일측의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및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에는 DPF 케이스 (44a) 가 장착된다. 폭 방향 타측의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및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에는, SCR 케이스 (44a) 가 장착된다.
2 개의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의 구성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2 개의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의 구성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지지대 (8)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편측 (구체적으로는 DPF 케이스 (44a) 측) 에 위치하는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및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 전측 장착부 (81) 에는, 도 4 부터 도 7 까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부재 장착부 (81a) 와, 케이스 지지부 (81b) 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부재 장착부 (81a)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 (8) (제 1 지지부 (70)) 의 전단으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부재 장착부 (81a) 에는, 제 1 보조 부재 (87) 가 볼트 등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 1 보조 부재 (87) 는, 도 5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조 부재 (87)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부재 장착부 (81a) 의 상면에 실린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보조 부재 장착부 (81a) 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제 1 보조 부재 (87)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부재 장착부 (81a)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 제 1 보조 부재 (87) 는,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이, 제 1 보조 부재 (87) 에 닿은 상태에서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제 1 보조 부재 (87) 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이, 제 1 보조 부재 (87) 에 고정된다.
케이스 지지부 (81b) 는, 제 1 지지부 (70) 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지지부 (81b) 의 상면에는, DPF 케이스 (44a) 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DPF 케이스 (44a) 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 (81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돌기 (81c) 는, 도 6 의 하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도 되고, 도 6 의 상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1 개의 돌기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지지 돌기 (81c) 를 개재하여,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이, 케이스 지지부 (81b) (나아가서는 지지대 (8)) 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보조 부재 (87) 에 장착된다. 바꿔 말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의 하면과 제 1 지지부 (70) 의 상면 사이에 간극 (C1) 이 형성된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지지부 (80) 의 중도부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는, 제 1 케이스 장착부 (고정부) (821) 와, 제 2 케이스 장착부 (고정부) (822) 를 구비한다.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와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는,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지지대 (8) 의 폭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1 쌍의 장착 보스로 구성된다. 각각의 장착 보스에는, 장착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장착공끼리의 간격은, 예를 들어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의 외경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 2 보조 부재 (88) 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도 되고, 제 2 보조 부재 (88)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는,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보다 전방 (냉각팬 (6) 측)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DPF 케이스 (44a) 를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는,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보다 후방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DPF 케이스 (44a) 를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 2 보조 부재 (88) 를 형성하는 장소로서,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중 어느 것이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이로써, 지지대 (8) 는, 사양에 따라서 길이가 상이한 DPF 케이스 (44a) 의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이한 사양의 DPF 케이스 (44a) 에 대해서 공통된 지지대 (8) 를 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DPF 케이스 (44a) 의 장착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 에는,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제 2 보조 부재 (88) 가 형성되는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의 후단부가,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보조 부재 (장착 부재) (88) 를 개재하여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장착되어 있다.
이어서, DPF 케이스 (44a) 를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 8 등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8 은, ATD 를 지지대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후단 (SCR 케이스 (45a) 의 후측) 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더욱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46) 는,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플랜지부 (46) 는, 예를 들어 판 부재로 형성된 대략 원환상의 부재를 DPF 케이스 (44a) 의 외주에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 (46) 는, 예를 들어 DPF 케이스 (44a) 의 하측에 있어서의 외주면 (즉, 외주면의 일부) 으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대 (8) 의 제 2 지지부 (80) 에는, 당해 플랜지부 (46) 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 (71) 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71) 는,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를 구성하는 1 쌍의 장착공 사이로서, 지지대 (8)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가 지지대 (8) 상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46) 는 개구부 (71) 를 통과하여 지지대 (8) 의 하방으로부터 노출된다.
제 2 보조 부재 (88) 는,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보조 부재 (88) 는, 그 길이 방향이 엔진 (100) 의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보조 부재 (88) 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도 7 의 예에서는,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보조 부재 (88) 의 후단에는, DPF 케이스 (44a)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 (46)) 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착공은,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가 지지대 (8) 상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플랜지부 (46) 가 제 2 보조 부재 (88) 의 후측의 면 (장착공이 형성된 부분) 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부 (46) 는,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제 2 보조 부재 (88) 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DPF 케이스 (44a) 의 후단은, 제 2 보조 부재 (88) 를 개재하여 지지대 (8) 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에 있어서는, 플랜지부 (46) 가 제 2 보조 부재 (88) 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DPF 케이스 (44a) 가 제 2 지지부 (80) 와의 사이에 도 5 의 간극 (C2) 을 형성하도록, 플랜지부 (46) 에 형성되는 볼트공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가 지지대 (8) 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DPF 케이스 (44a) 의 전단의 일부만이 지지대 (8) (지지 돌기 (81c)) 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즉, DPF 케이스 (44a) 는, 거의 지지대 (8) 의 상방에 뜬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 결과, DPF 케이스 (44a) 의 외주면과 지지대 (8) 의 상면 사이의 간극 (C1, C2) 으로, 회전하는 냉각팬 (6) 이 생성하는 공기 (바람) 를 흘릴 수 있다. 이 결과, ATD (43) 의 방열 효과가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지대 (8) 의 제 2 지지부 (80) 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창부 (72) 가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8 개)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창부 (72) 는, 두께 방향으로 지지대 (8) 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ATD (43) 의 방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지지대 (8) 에 있어서는, 삼각 형상의 통기창부 (72) 가 복수 나란히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통기창부 (72) 의 형상 및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릿상의 통기창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8) 의 전단에 있어서, 지지대 (8) 의 하측면으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는, 예를 들어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대략 깔때기상으로 형성되어도 되어,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의 하면에는, 볼트 등을 하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형성된 상하 장착 보스 (91a) 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지대 (8) 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별도의 장착 구조로 구성되어도 된다.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는, 도 4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8) 의 후단에 있어서 더욱 후방으로 돌출되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 개) 형성되어 있다.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에는, 볼트 등을 수평 방향 후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형성된 수평 장착 보스 (91a) 의 수평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에 있어서, DPF 케이스 (44a) 가 장착되는 측의 지지대 (8) 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는, 지지대 (8) 의 하측면으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돌출되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는,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에는, 볼트 등을 상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에 형성된 장착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에 있어서, SCR 케이스 (45a) 가 장착되는 측의 지지대 (8) 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와 마찬가지로, 지지대 (8) 의 하측면으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돌출되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의 하면에는, 볼트 등을 상측으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에 형성된 장착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및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지지대 (8)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칭이 아닌 각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및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 (8) 의 약간 후방측에 형성되고,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 (8) 의 약간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을 개재하여, 지지대 (8) 를 지지할 때,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의 각각이 작은 경우여도, 지지대 (8) (나아가서는 ATD (43)) 를 양호한 밸런스로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각각의 장착부 (볼트를 삽입하는 장소) 의 위치는, 지지대 (8) 를 적당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에 있어서의 소정의 거리,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에 있어서의 소정의 거리,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에 있어서의 소정의 거리, 및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에 있어서의 소정의 거리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 9 및 도 10 등을 참조하여, 지지대 (8) 를 엔진 본체 (1) 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 브래킷 (9)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는,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을 엔진 본체 (1) 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후측 지지 브래킷 (92) 및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을 엔진 본체 (1) 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지지 브래킷 (9) 은, 전측 지지 브래킷 (제 1 지지 브래킷) (91) 과, 후측 지지 브래킷 (제 2 지지 브래킷) (92) 과, 배기측 지지 브래킷 (제 3 지지 브래킷) (93) 과, 흡기측 지지 브래킷 (제 4 지지 브래킷) (94) 을 구비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후측 지지 브래킷 (92),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주물로 형성되어 있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냉각 팬 (6) 측에 있어서,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어, 지지대 (8) 를 지지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의 하부에는, 볼트를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복수의 장착공과, 엔진 본체 (1) (예를 들어, 실린더 헤드 (13)) 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엔진 본체 (1) 에 고정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의 상측에는, 상하 장착 보스 (상하 장착부) (91a) 가,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의 위치 및 수에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상하 장착 보스 (91a) 에는,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상하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 장착 보스 (91a) 의 상면은, 지지대 (8) 의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방향에서의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면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상하공과, 상기 서술한 복수의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의 각각에 형성된 장착공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지지대 (8) 가 고정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에 있어서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어, 지지대 (8) 를 지지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의 하측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복수의 장착공과, 엔진 본체 (1) (예를 들어, 실린더 헤드 (13)) 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엔진 본체 (1) 에 고정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의 상단에는, 수평 장착 보스 (수평 장착부) (91a) 가,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의 위치 및 수에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수평 장착 보스 (92a) 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수평공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 장착 보스 (91a) 의 상면은, 지지대 (8) 의 후단 브래킷 장착부 (84) 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길이 방향에서의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면으로 되어 있다.
수평 장착 보스 (92a) 에 형성된 수평공과, 상기 서술한 복수의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의 각각에 형성된 장착공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지지대 (8) 가 고정된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배기 매니폴드 (42) 가 배치된 배기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 2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지지대측 블록 (제 2 부품) (96) 과, 엔진 본체측 블록 (제 1 부품) (97) 을 구비한다.
지지대측 블록 (96)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측 블록 (97)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측 블록 (96) 의 하단에는, 엔진 본체측 블록 (97) 과 연결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착공은,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측 블록 (96) 의 상단에는, 지지대 (8)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착공은,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측 블록 (96)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의 상단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을 지지대측 블록 (96) 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의 하단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을 엔진 본체 (1)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 (13)) 에 장착되기 위해서 사용된다.
지지대측 블록 (96) 은, 그 하단에 형성된 장착공과,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공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장착함으로써, 엔진 본체측 블록 (97) 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지지대 (8) 를 실린더 헤드 (13) 에 대해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큰 블록상의 부품인 실린더 헤드 (13) 에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이 장착됨으로써, 지지대 (8) 및 ATD (43) 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측 블록 (97) 의 하측에 형성된 장착공과, 엔진 본체 (1) 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장착함으로써, 엔진 본체 (1) 에 고정된다.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흡기 매니폴드 (23) 가 배치된 흡기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된 2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상측 블록 (제 2 부품) (98) 과, 하측 블록 (제 1 부품) (99) 을 구비한다.
상측 블록 (98)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블록 (99)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블록 (98) 의 하단에는, 하측 블록 (99) 과 연결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착공은,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블록 (98) 의 상단에는, 지지대 (8)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착공은,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블록 (99)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블록 (98)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블록 (99) 의 상단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하측 블록 (99) 을 상측 블록 (98) 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측 블록 (99) 의 하단에는, 볼트 등을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은, 하측 블록 (99) 을 엔진 본체 (1)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블록 (12)) 에 장착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측 블록 (98) 은, 그 하단에 형성된 장착공과, 하측 블록 (99) 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공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장착함으로써, 하측 블록 (99) 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지지대 (8) 를 실린더 블록 (12) 에 대해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큰 블록상의 부품인 실린더 블록 (12) 에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이 장착됨으로써, 지지대 (8) 및 ATD (43) 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블록 (99) 의 하측에 형성된 장착공과, 엔진 본체 (1) 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구멍을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을 장착함으로써, 엔진 본체 (1) 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측 지지 브래킷 (91), 후측 지지 브래킷 (92),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엔진 본체 (1) 에 장착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있어서는, 하측으로부터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지지대 (8) 의 전단 브래킷 장착부 (83) 가 고정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있어서는, 볼트 등을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지지대 (8) 의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이 고정된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에 있어서는, 상방으로부터 볼트 등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당해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의 각각에, 지지대 (8) 의 배기측 브래킷 장착부 (85) 및 흡기측 브래킷 장착부 (86) 의 각각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대 (8) 가 엔진 본체 (1) 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엔진 본체 (1) 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가늘고 긴 ATD (43) 는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지지대 (8) 에 고정된다. 이로써, 만일 엔진 (100) 의 사양에 따라서 ATD (43) 의 길이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변화되더라도, 엔진 (100) 의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협소한 보닛의 내부에 엔진을 수용할 필요가 있는 소형 트랙터 등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에 있어서는, 지지대 (8) 를 엔진 본체 (1) 에 장착할 때, 사전에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을 엔진 본체 (1) 에 장착한 후, 지지대 (8) 를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장착한다. 그 후,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이, 엔진 본체 (1) 및 지지대 (8) 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의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의해서,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ATD (43) 의 지지대 (8) 를 엔진 본체 (1) 의 상방에 장착할 때, 그 삼차원적인 장착 위치를 간단하며 또한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즉,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 지그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지대 (8) 를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장착 보스 (91a) 는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이 아니라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 (6) 과 엔진 본체 (1) 사이에 위치해도, 지지대 (8) 를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를 삽입하는 작업 등을 할 때에, 냉각팬 (6) 이 방해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이 장착된 후,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이 장착된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모두 높이 방향에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하의 부품을 볼트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장착공에 적당한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의해서 정확히 위치 결정된 지지대 (8) 를,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에 의해서, 덜거덕거리거나 하는 일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이 구비하는 센서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지지 구조는, ATD (43) 의 열이 센서류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센서 지지 구조는, 주로 스페이서 (62) 를 구비하는 센서 지지 브래킷 (60) 으로 구성된다.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00) 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도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DPF 케이스 (44a) 의 배기 가스 출구측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의 상면에는, 예를 들어 DPF 장치 (44) 가 구비하는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압력차를 검출하는 차압 센서 (48) 가 지지되어 있다. 엔진 (100) (DPF 장치 (44))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의 DPF 케이스 (44a) 와는 반대측의 측면에는 ATD (43) 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49) 가 장착되어 있다.
엔진 (100) (DPF 장치 (44)) 의 길이 방향에서, 센서 지지 브래킷 (60) 에 있어서 DPF 케이스 (44a) 와 대면하는 측면에는, 당해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이 DPF 케이스 (44a) 와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기 위한 스페이서 (62) 가 복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62) 는, 예를 들어 엔진 (100) 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용접 등에 의해서 센서 지지 브래킷 (60)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62) 는, 예를 들어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을 DPF 케이스 (44a) 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로서도 기능한다.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은, 스페이서 (62) 를 개재하여 볼트 등에 의해서 DPF 케이스 (44a) 의 스티프너 (47) 에 장착되어 있다.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의 일방측 (예를 들어, 흡기측에 있어서의 단부) 이, 볼트 등을 개재하여, ATD (43) 와는 별도로 형성된 프레임 (50) 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을 안정된 자세에서 형성할 수 있다.
스티프너 (47) 는, DPF 케이스 (44a) 의 외주면으로부터 더욱 직경 방향 외측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 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스티프너 (47) 는, 예를 들어 판 부재로 형성된 플랜지 부재를 DPF 케이스 (44a) 의 외주에 장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은, DPF 케이스 (44a) 의 외주면과 떨어진 위치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DPF 케이스 (44a) 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센서 지지 브래킷 (60) 은, 스페이서 (62) 를 개재하여 스티프너 (47) 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 지지 브래킷 (60) 과 DPF 케이스 (44a) 가 직접 접속되는 면적을 스페이서 (62) 의 사이즈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DPF 케이스 (44a) 에서 발생되는 열이 센서 지지 브래킷 (60) 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 지지 구조에 의해서, 차압 센서 (48) 등의 센서류에 대해서 DPF 케이스 (44a) 로부터의 열에 의한 열해를 회피할 수 있다. 센서류를 ATD (43) 근방에 배치할 수도 있어, 배선의 컴팩트화 및 센서류의 레이아웃의 자유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은,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ATD (43) 를 갖는다. 엔진 (100) 은, 엔진 본체 (1) 와, 지지대 (8) 와, 전측 지지 브래킷 (91) 과,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을 구비한다. 지지대 (8) 는 ATD (43) 를 지지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엔진 본체 (1) 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당해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고, 지지대 (8) 를 지지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고 전측 지지 브래킷 (91)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 본체 (1) 에 장착되고, 지지대 (8) 를 지지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엔진 본체 (1) 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지지대 (8) 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하 장착 보스 (91a) 를 갖는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고 전측 지지 브래킷 (91)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지지대 (8) 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 장착 보스 (92a) 를 갖는다.
이로써, ADT (43) 를 엔진 본체 (1) 의 상방에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는 양측으로부터 지지대 (8) 를 지지함으로써, 지지대 (8) 를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상하 장착 보스 (91a) 와 수평 장착 보스 (92a) 를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위치 결정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지대 (8) (나아가서는 ATD (43)) 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은, 플라이휠과, 냉각 팬 (6) 을 구비한다. 냉각팬 (6) 은 냉각을 위해서 회전한다. 냉각 팬 (6) 과 플라이휠은,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은, 냉각 팬 (6) 측에 배치된다.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은, 플라이휠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대 (8) 는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볼트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작업시에, 냉각 팬 (6) 이 방해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엔진 본체 (1) 에 고정된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대해서, 지지대 (8) 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은,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과,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을 구비한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엔진 본체 (1) 의, 전측 지지 브래킷 (91) 이 배치된 측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이 배치된 측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측 (배기측) 에 배치된다.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엔진 본체 (1) 를 사이에 두고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과는 반대측 (흡기측) 에 배치된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은, 엔진 본체 (1) 와 지지대 (8) 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대측 블록 (96) 및 엔진 본체측 블록 (97) 으로 구성된다.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은, 엔진 본체 (1) 와 지지대 (8) 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상측 블록 (98) 및 하측 블록 (99) 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지지대 (8) 를 4 개의 측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지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에 있어서 부품끼리의 위치 변화를 허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측 지지 브래킷 (91) 및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의한 지지대 (8) 의 위치 결정을 유지하면서, 지지대 (8) 를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엔진 (100) 은 제 2 보조 부재 (88) 를 구비한다. 제 2 보조 부재 (88) 는, ATD (43) 를 지지대 (8) 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지지대 (8) 에는, 제 2 보조 부재 (88) 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케이스 장착부 (821) 및 제 2 케이스 장착부 (8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대에 대한 ADT (43) 의 장착 위치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사양의 ADT (43) 에 대해서 공통된 지지대 (8) 를 겸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 관리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의 지지대 (8x) 에 대해서, 도 12 및 1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변형예의 지지대 (8x)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ATD (43) 가 변형예의 지지대 (8x) 에 장착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변형예의 지지대 (8x)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73) 와, 전방 보조 부재 (74) 와, 후방 돌기부 (75) 와, 사이드 장착부 (76) 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73) 는, 대략 판상의 주물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정방형) 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73) 의 중도부에는, 복수의 통기창부 (72)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73) 의 전방 (엔진 (100) 의 냉각 팬 (6) 측) 에는, 전방 보조 부재 (74) 가 볼트 등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전방 보조 부재 (74) 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 1 보조 부재 (87) 와 거의 동일한 블록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보조 부재 (74) 는,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전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보조 부재 (87) 와 마찬가지로,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전단이, 전방 보조 부재 (74) 에 닿은 상태에서,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전방 보조 부재 (74) 에 장착된다.
전방 보조 부재 (74) 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케이스 지지부 (81b) 가 형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가 전방 보조 부재 (74) 에 장착되어 있을 때, 케이스 지지부 (81b) 가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전단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가 본체부 (73) 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당해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를 지지한다. 이로써,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전단의 하면과 본체부 (73) 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후방 돌기부 (75) 는, 본체부 (73) 의 후방측 (엔진 (100) 의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 에 있어서, 본체부 (73) 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가 지지대 (8x) 에 장착되어 있을 때, 후방 돌기부 (75) 는,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후단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가 본체부 (73) 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당해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를 지지한다. 이로써,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후단의 하면과 본체부 (73) 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지지대 (8x) 에 있어서도,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를 거의 지지대 (8x) 의 상방에 뜬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어, 방열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를 지지대 (8x) 에 장착할 때, 케이스의 외주에 걸어서 감는 밴드 등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밴드의 체결에 견디도록 강성을 증강시키는 구조를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에 있어서의 후방 돌기부 (75) 의 측면 (즉 지지대 (8x) 의 후측의 면) 에는,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가 지지대 (8x) 상에 재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플랜지부 (46) 가, 지지대 (8x) 의 후측의 면 (장착공이 형성된 부분) 에 접촉한다. DPF 케이스 (44a) (SCR 케이스 (45a)) 의 플랜지부 (46) 가 지지대 (8x) 의 후측의 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플랜지부 (46) (즉,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가 지지대 (8x) 에 고정된다.
사이드 장착부 (76) 는, 엔진 (100) 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상으로 형성되고, 지지대 (8x) 를 엔진 본체 (1) 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사이드 장착부 (76) 는,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 (8x) 의 양 사이드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100) 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드 장착부 (76) 의 측면의 각각에는, 장착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장착부 (76) 는, 엔진 (10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지지대 (8x) 에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장착부 (76) 는, 엔진 (100)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되는 볼트 등을 개재하여 엔진 본체 (1)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 (8x) 를 간단히 엔진 본체 (1) 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한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하 장착 보스 (91a) 는, 보스상으로 하는 것 대신에, 단순히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장착공이 형성되었을 뿐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수평 장착 보스 (92a) 도 마찬가지로, 보스상으로 하는 것 대신에, 단순히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장착공이 형성되었을 뿐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에 수평 장착 보스가 형성되고, 후측 지지 브래킷 (92) 에 상하 장착 보스가 형성되어도 된다.
전측 지지 브래킷 (91), 후측 지지 브래킷 (92),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의 형상은, 다른 부품과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배기측 지지 브래킷 (93) 및 흡기측 지지 브래킷 (94)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생략되어도 된다.
DPF 케이스 (44a) 및 SCR 케이스 (45a) 의 플라이휠 하우징 (61) 측의 단부는,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에 직접 장착되어도 된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는, 예를 들어,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판상 부재 등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케이스 후측 장착부 (82) 는, 지지대 (8)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케이스 장착부 (고정부) 를 구비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서, 제 2 보조 부재 (88) 는 지지대 (8) 의 상측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보조 부재 (88) 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ATD (43) 는 DPF 장치 (44) 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엔진 (100) 의 대략 장방형의 길이 방향은, 크랭크축 (10) 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이어도 된다.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엔진 (100) 이 대략 정방형이어도 된다.
1 : 엔진 본체
8 : 지지대
43 : ATD (배기 가스 정화 장치)
91 : 전측 지지 브래킷 (제 1 지지 브래킷)
91a : 상하 장착 보스 (상하 장착부)
92 : 후측 지지 브래킷 (제 2 지지 브래킷)
92a : 수평 장착 보스 (수평 장착부)
100 : 엔진

Claims (4)

  1.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갖는 엔진으로서,
    엔진 본체와,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엔진 본체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당해 엔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브래킷과,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당해 엔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하 장착부를 갖고,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 장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라이휠과,
    냉각을 위해서 회전하는 냉각팬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 팬과 상기 플라이휠은,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은, 상기 냉각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기 플라이휠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본체의, 상기 제 1 지지 브래킷이 배치된 측 및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이 배치된 측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측에 배치되는 제 3 지지 브래킷과,
    상기 엔진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4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 4 지지 브래킷은, 적어도 상기 엔진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부품과,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제 2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지지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장착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KR1020217014731A 2019-03-22 2020-03-05 엔진 KR20210141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4477A JP2020153336A (ja) 2019-03-22 2019-03-22 エンジン
JPJP-P-2019-054477 2019-03-22
PCT/JP2020/009338 WO2020195665A1 (ja) 2019-03-22 2020-03-05 エンジ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913A true KR20210141913A (ko) 2021-11-23

Family

ID=7255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731A KR20210141913A (ko) 2019-03-22 2020-03-05 엔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2973A1 (ko)
EP (2) EP3943728A4 (ko)
JP (3) JP2020153336A (ko)
KR (1) KR20210141913A (ko)
CN (1) CN113439155A (ko)
WO (1) WO20201956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43A (ko) 2010-11-25 2012-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260B2 (ja) * 2005-05-17 2011-06-15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排気管の構造
JP4928398B2 (ja) * 2007-09-20 2012-05-0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US7966979B2 (en) * 2009-01-26 2011-06-28 Caterpillar Inc. Mounting and cooling device for emissions system electronics
US20100186394A1 (en) * 2009-01-26 2010-07-29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ssembly
JP5616194B2 (ja) * 2010-01-14 2014-10-2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US20120017574A1 (en) * 2010-07-20 2012-01-26 Saad Hasan Strap for securing exhaust treatment device
JP5630216B2 (ja)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490739B2 (ja) * 2011-02-25 2014-05-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120273648A1 (en) * 2011-04-28 2012-11-0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JP5865040B2 (ja) * 2011-11-30 2016-02-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GB201207201D0 (en) * 2012-04-24 2012-06-06 Perkins Engines Co Ltd Emissions cleaning module for a diesel engine
US8607625B2 (en) * 2012-05-10 2013-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rvice test for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JP5296913B1 (ja) * 2012-10-02 2013-09-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ンジンユニット
JP5474155B1 (ja) * 2012-10-16 2014-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処理ユニット、排気処理ユニットの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方法
DE112013000161C5 (de) * 2013-03-15 2023-03-16 Komatsu Ltd. Abgasnachbehandlungseinheit und ein diese enthaltendes Baufahrzeug
WO2014155704A1 (ja) *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処理ユニット
JP2015083803A (ja) * 2013-10-25 2015-04-3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DE102013018450A1 (de) * 2013-11-05 2015-05-07 Man Truck & Bus Ag Abgasnachbehandlungssystem
JP2015190317A (ja) * 2014-03-27 2015-11-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KR20200009127A (ko) * 2014-03-20 2020-01-2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장치
JP6255328B2 (ja) * 2014-10-06 2017-12-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343220B2 (ja) * 2014-10-06 2018-06-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A2961716A1 (en) * 2014-10-06 2016-04-14 Yanmar Co., Ltd. Engine device
KR20170054494A (ko) * 2014-10-15 2017-05-17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장치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8162770A (ja) * 2017-03-27 2018-10-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43A (ko) 2010-11-25 2012-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53336A (ja) 2020-09-24
US20220162973A1 (en) 2022-05-26
JP2022130576A (ja) 2022-09-06
EP3943728A1 (en) 2022-01-26
JP7429262B2 (ja) 2024-02-07
EP4269761A1 (en) 2023-11-01
EP3943728A4 (en) 2022-11-02
WO2020195665A1 (ja) 2020-10-01
JP2024019353A (ja) 2024-02-08
CN113439155A (zh)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035B1 (en) Straddled vehicle
JP5328023B2 (ja) エンジン
US20100186381A1 (en) Exhaust system thermal enclosure
US20050224284A1 (en) Engine exhaust muffler with exhaust emission control function
KR10145118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JP2010203393A (ja) エンジン装置
JP2008138633A (ja) インジェクタの取付構造
JP2013189980A (ja) エンジン装置
JP5658310B2 (ja)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WO2010101018A1 (ja) エンジン装置
US9103256B2 (en) Exhaust emission control device
KR20210141913A (ko) 엔진
JP2013160145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328024B2 (ja) エンジン
JP2010216332A (ja) エンジン及びエンジン装置
JP5989155B2 (ja) エンジン装置
JP6411411B2 (ja) 作業車両
WO2010092857A1 (ja) エンジン装置
JP6979593B2 (ja) エンジン
JP491551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22009506A (ja) エンジン
JP5636358B2 (ja) エンジン装置
JP6181631B2 (ja)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JP2023076532A (ja) エンジン
KR20140012260A (ko) 산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