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723A -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723A
KR20210141723A KR1020217035123A KR20217035123A KR20210141723A KR 20210141723 A KR20210141723 A KR 20210141723A KR 1020217035123 A KR1020217035123 A KR 1020217035123A KR 20217035123 A KR20217035123 A KR 20217035123A KR 20210141723 A KR20210141723 A KR 2021014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radio bearer
data
data packe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713B1 (ko
Inventor
싱 리우
Original Assignee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해당 방법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것과,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 1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는,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나 에러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어 유저 기기 간의 무선 베어러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와 주위와의 정보 교환(Vehicle to X, 이하 줄여서 'V2X'라고 하며, vehicle to everything이라고도 함)은 장래의 고속도로 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기술로, 주로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줄여서 3 GPP라고 함)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차량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연구한다. V2X 통신은 차차간 통신(Vehicle to Vehicle, 줄여서 V2V라고 함), 도로와 차량 사이의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줄여서 V2I라고 함) 및 차와 보행자 사이의 통신(Vehicle to Pedestrian, 줄여서 V2P라고 함)을 포함한다. V2X의 응용에 의해서 운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정체나 차량의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며, 교통 효율과 차량 탑재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향상시키는 등이 가능하다.
V2X 통신 중 V2V 통신은, 종래 유저 기기(user equipment, 줄여서 UE라고 함)와 기지국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상의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과는 다른 통신 방법이다. V2V 통신에서는, 유저 기기와 유저 기기가 직접 통신을 행하고, 유저 기기와 유저 기기와의 사이의 링크는 사이드 링크(sidelink, 줄여서 SL라고 함)가 된다.
제5세대 이동 통신(줄여서 5G라고 함)이란, 제5세대 휴대 전화 통신 규격으로, 제5세대 이동 통신 기술이라고도 불린다. 5G는 신무선 기술(New Radio, 줄여서 NR라고 함)이라고도 불리며 V2X의 응용에 대응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5G NR 통신을 행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와 서비스 품질 플로우(Quality of Service flow, QoS flow, QoS 플로우라고도 함)를 확립함으로써 유저 기기와 기지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실현되지만, 유저 기기 사이의 사이드 링크에 있어서의 무선 베어러의 확립이나, 정확하고 에러가 없는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적절히 해결되고 있지 않다.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본 개시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으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은,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방법은 또한,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으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방법은, 또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와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제 2 무선 베어러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으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데이터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은,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방법은, 또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또한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와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설정 응용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제 1 확립 모듈과,
상기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설정 응용 모듈은,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1 설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2 설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 3 설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또한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 하는 정보 전송 모듈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식별자 수신 모듈과,
상기 기지국에게, 상기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식별자 전송 모듈과,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또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와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1 우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과,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데이터 구분 모듈과,
상기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데이터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데이터 구분 모듈은,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1 구분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2 구분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3 구분 서브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대해서,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또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또한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2 우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것과,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 1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나 에러의 발생을 회피할 수가 있어서 유저 기기 사이의 무선 베어러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그 외의 특징 및 측면은,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명확하게 된다.
명세서의 일 부분으로서 포함되는 도면은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나타내며,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에 있어서의 RLC 레이어의 계층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여러가지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같은 부호는 같은 또는 유사한 기능의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실시예의 여러가지 측면을 나타내지만,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도면은 비례해서 도시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이라는 용어는, '예, 실시예, 또는 설명예로서의 역할을 완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가 반드시 다른 실시예보다 바람직한 또는 유리한 것이라고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다양한 상세한 정보를 나타낸다. 약간의 상세한 정보가 없어도, 본 개시를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몇 가지 실례에서는 본 개시의 취지를 강조하기 위해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 수단, 요소 및 회로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5G NR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기기와 기지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무선 베어러 및 QoS 플로우를 확립함으로써 실현된다.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은 QoS flow ID(줄여서 QFI라고 함)를 가지는 1개의 QoS 플로우에 매핑 해서 관련지어질 수 있고, 그리고 1개의 무선 베어러에 매핑해서 관련지어질 필요가 있다. 여러가지 업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는 서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의 설정을 가져도 된다. 통상,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는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 식별자(무선 베어러 ID)에 의해 구별된다. 5G NR V2X의 유저 기기와 유저 기기 사이의 사이드 링크에 있어서, 유니 캐스트 시나리오의 경우, 유저 기기와 유저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는 유저 기기와 기지국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QoS 모델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유저 기기와 유저 기기 사이의 사이드 링크에 있어서, 데이터로부터 QoS 플로우로, QoS 플로우로부터 무선 베어러로 매핑해서 관련지어짐으로써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다.
V2X 통신에 있어서, 서로 통신하는 2개의 유저 기기는, 자신에게 대응하는 코어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 기초해서 QoS 플로우 및 무선 베어러의 확립을 행하기 위해 사이드 링크 상에 확립된 QoS 플로우 및 무선 베어러가, 매핑 룰 및 전송 파라미터의 설정에 있어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을 확보할 수 없다.
NR 통신에서는, NR 무선 프로토콜 스택은, 유저 플레인과 컨트롤 플레인으로 나누어진다. 유저 플레인(User Plane, UP) 프로토콜 스택은, 유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클러스터이고,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 CP) 프로토콜 스택은, 시스템의 제어 시그널링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클러스터이다. NR의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은 상위로부터 차례로, SDAP 레이어(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층), PDCP 레이어(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층), RLC 레이어(Radio Link Control,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층), MAC 레이어(Media Access Control,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및 PHY(Physical, 물리층)이다. 이 중에서, SDAP 레이어는 QoS 플로우로부터 무선 베어러로의 매핑 및 관련 짓기를 실행하고,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에 QFI를 마킹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DCP 레이어와 RLC 레이어는 무선 베어러를 단위로 해서 구성되고, 개별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가 다른 무선 베어러에 대응해도 되고, 1개 이상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가 1개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해도 된다. MAC 레이어는 복수의 무선 베어러에 의해 공유되고, 복수의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 패킷으로 다중화하며, 송신을 위해서 물리층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MAC 레이어는 다른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경우에,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가 다른 무선 베어러로부터의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다른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sub header)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ID(logical channel identity, LCID)를 포함하게 한다. 수신 장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LCID에 기초해서 데이터 패킷을 역다중화하고, 다른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각각을 대응하는 RLC 엔티티와 PDCP 엔티티에 송신한다.
5G NR V2X 통신에 있어서, RLC 레이어는 TM(Transparent Mode, 투과 모드), UM(Unacknowledged Mode, 비확인 모드), AM(Acknowledged Mode, 확인 모드)의 3개의 모드로 데이터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UM 모드에서는,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와의 사이에 확립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수신 장치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 정보를 피드백할 필요가 없다. AM 모드에서는,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와의 사이에 확립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수신 장치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LC 스테이터스 리포트(RLC status report)를 송신 장치에 답신할 필요가 있다.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RLC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기초해서, 재송신할 데이터 패킷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재송신한다고 결정한 경우, 재송신 버퍼(retransmission buffer)로부터 재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특정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유저 기기 사이에 무선 베어러를 확립할 때에, 양자 사이에서 동일한 LCID에 의한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 경우가 있다. 즉, 제 1 유저 기기는 데이터 패킷 1을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하고(제 1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에 대응한다. 여기서, 데이터 패킷 1은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여기서의 상위 레이어는 RLC 레이어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RLC 레이어보다 상위의 프로토콜 층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층으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생성 데이터, 또는 RRC 레이어로부터의 RRC 시그널링 등이다. 본 개시의 후술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패킷은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 1에 응답해서 답신된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을 수신하기 위해서(제 1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에 대응한다. RLC 스테이터스 리포트는 상위 레이어의 데이터가 아니고, RLC 레이어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시그널링이다.), LCID=1의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다. 제 2 유저 기기도, 제 1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2를 송신하고(제 2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에 대응한다),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 2에 응답해서 답신된 스테이터스 리포트 2를 수신하기 위해서(제 2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에 대응한다), LCID=1의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다.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 각각에 있어서, LCID=1의 무선 베어러의 2개의 방향의 데이터 전송(즉, 수신)에 대응하는 2개의 RLC 엔티티가 설치되어 있다. AM 모드에서는, 제 1 유저 기기는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LCID=1의 무선 베어러를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 패킷 2, 및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 1에 응답해서 송신된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을 수신하면, 데이터 패킷 2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1 각각이 대응하는 MAC 서브 헤더에 있어서 LCID=1으로 마킹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해당 데이터 패킷 2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을 어느 RLC 엔티티로 송신할지를 결정하지 못해서,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나 에러가 생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개의 관점으로부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 1 유저 기기를 예로 하는 경우, 데이터 패킷 2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을 구분해서 대응하는 RLC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과, RLC 엔티티에 의해 데이터를 언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패키지 2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의 설정을 통일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가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에 의해 데이터 패킷 2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1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는 본 개시와 관련된 몇 개의 실시 형태의 예이다. 당업자는 이하의 예나 실제의 수요에 따라서 실시 형태의 예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형태 1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제 1 유저 기기에 응용되고, 단계 S11~단계 S14를 포함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또는 갱신)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 1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저 기기는 여러가지 형식의 단말 기기여도 되고, 액세스 단말, 유저 유닛, 유저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줄여서 MS라고 함), 리모트 스테이션, 리모트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 단말,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무선 통신 기기, 유저 에이전트 또는 유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또한 허니컴 휴대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줄여서 SIP라고 함) 전화, 와이어리스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줄여서 WLL라고 함) 스테이션,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줄여서 PDA라고 함), 와이어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그 외의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래의 5G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또는 장래에 진화하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줄여서 PLMN라고 함)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등이어도 되고, 본 개시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은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무선 베어러의 매핑 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은,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유저 기기와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QoS 플로우에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QoS 플로우로부터 무선 베어러에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및 무선 베어러 전송 파라미터의 설정을 통일하고, 데이터 전송 중에 제 1 유저 기기와 제 2 유저 기기가 같은 설정인 것을 확보함으로써,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및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는 같은 설정을 갖고, 모두 RLC 엔티티에 의해 언팩될 수 있고, 또한 제 2 유저 기기에 있어서 수신된 후에 식별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나 에러의 발생이 회피되고, 유저 기기 사이의 무선 베어러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이 확보되어 양자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가 무선 베어러가 동일한지 여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해당 방법은, 단계 S12의 전에,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유저 기기가 독자적으로 무선 베어러의 매핑 룰 및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지 못하고,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지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 1 유저 기기는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확인을 획득하고 나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한다. 이에 반해, 제 1 유저 기기가 독자적으로 무선 베어러를 확립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의 확인을 위한 전송은 필요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base station, 줄여서 BS라고 함)이란, 기지국 기기라고도 불리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배치되어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2G 네트워크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무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줄여서 BTS라고 함)을 포함하고, 3G 네트워크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노드 B(NodeB)를 포함하고, 4G 네트워크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진화한 노드 B(evolved NodeB, eNB)를 포함하며,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줄여서 WLAN라고 함)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줄여서 AP라고 함)이다. 5G 신무선(New Radio, 줄여서 NR라고 칭한다)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gNB 계속 및 진화하는 노드 B(ng-eNB)를 포함한다. gNB와 단말의 사이에서 NR 기술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ng-eNB와 단말 사이에서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기술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gNB와 ng-eNB의 양쪽은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장래의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 등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는 진화한 데이터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줄여서 EPC라고 함),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여도 되고, 장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새로운 타입의 코어 네트워크여도 된다. 5G 코어 네트워크는 일련의 디바이스로 구성되고, 모빌리티 관리 등의 기능의 액세스 및 모빌리티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데이터 패킷 루팅 전송이나 QoS(Quality of Service)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유저 플레인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세션 관리, IP 주소의 할당·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등을 실현할 수 있다. EPC는 모빌리티 관리나 게이트웨이 선택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MME, 데이터 패킷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S-GW(Serving Gateway), 단말 주소 할당, 레이트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P-GW(PDN Gateway)로 구성될 수 있다.
형태 2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제 1 유저 기기에 응용되며, 단계 S21~단계 S23를 포함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게,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 2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즉, AM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무선 베어러는, 제 2 유저 기기에 있어서 확립된, 제 1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무선 베어러이다. 이로써,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확립한 제 3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와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것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해당 방법은 또한,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 3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제 1 유저 기기는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유저 기기는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스테이터스 리포트(즉 제 3 데이터)를 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 프로세스와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송신 프로세스 각각이 다른 무선 베어러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 기기의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해당 방법은 또한 LCP(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제 3 무선 베어러와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제 2 무선 베어러(즉 제 3 데이터)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행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태스크의 종별, 전송 시간, 전송량 등에 따라서, 다른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다르고, 우선도가 높은 무선 베어러에 전송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 2 무선 베어러와 제 3 무선 베어러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제 3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보다 우선도가 높기 때문에, 제 1 유저 기기는 리소스를 제 3 데이터에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형태 3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제 1 유저 기기에 응용되고 단계 S31~단계 S33를 포함한다.
단계 S31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32에 있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 4 데이터는,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2 유저 기기가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유저 기기는, 제 4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제 2 유저 기기와 제 1 유저 기기의 사이에 제 4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다. 제 2 유저 기기와 제 1 유저 기기의 사이에 제 4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것은 이하를 포함한다.
제 2 유저 기기는, 제 1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데이터 패킷 a)을 송신하고, 및/또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a)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스테이터스 리포트 a)를 수신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 M의 제 4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며, 대응하는 RLC 엔티티를 확립한다. 한편, 제 1 유저 기기도,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a)을 수신하고, 및/또는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a)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즉 스테이터스 리포트 a)를 송신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 M의 제 4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며, 대응하는 RLC 엔티티를 확립한다.
또한, 제 1 유저 기기는 나아가 제 4 무선 베어러를,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b)을 송신하고, 및/또는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b)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즉 스테이터스 리포트 b)를 수신하는 것에 이용해서 대응하는 RLC 엔티티를 확립한다. 제 2 유저 기기는 나아가 제 4 무선 베어러를,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b)을 수신하고, 및/또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즉 스테이터스 리포트 b)를 송신하는 것에 이용해서, 대응하는 RLC 엔티티를 확립한다.
본 개시에 기재된 제 4 무선 베어러란,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에 있어서 같은 LCID를 가지는 무선 베어러를 가리킨다. 이 때문에, 제 4 무선 베어러의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에 있어서의 LCID가 같고, 한편 무선 베어러 ID가 다른 경우, 제 4 무선 베어러는 다른 2개의 무선 베어러라고 생각해도 된다. 제 4 무선 베어러의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에 있어서의 LCID가 같고, 한편 무선 베어러 ID도 같은 경우, 제 4 무선 베어러는 1개의 무선 베어러라고 생각해도 된다.
제 1 유저 기기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 b를 송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b를 수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는 동일한 RLC 엔티티이며, 데이터 패킷 a를 수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a를 송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는 동일한 RLC 엔티티이다. 제 1 유저 기기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 b를 송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a를 송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는 같은 경우도 있고, 다른 경우도 있으며, 데이터 패킷 a를 수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와 스테이터스 리포트 b를 수신하기 위한 RLC 엔티티는 같은 경우도 있어, 다른 경우도 있다.
데이터 전송의 프로세스는,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 a(즉 제 4 데이터의 1종)를 수신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a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a를 송신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b를 송신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 b에 응답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b(즉 제 4 데이터의 1종)를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유저 기기가 제 4 데이터를 구분한 후, 상이한 데이터를, 대응하는 RLC 엔티티 또는 RLC 서브 레이어를 송신해서 처리를 행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은,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와 제 2 유저 기기의 설정 정보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 경우, 2개의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설정이 다르다. AM 모드에 있어서, 양자가 모두 동일한 무선 베어러에 의해 데이터의 자발 전송 및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피드백을 행하는 경우, 제 1 유저 기기가 수신한 제 4 데이터를 예로서 실시 형태 3을 설명한다.
제 2 유저 기기가 다른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다른 데이터의 RLC 헤더의 'D/C' 필드를 다르게 한다. 이 'D/C' 필드는 1 비트를 점유하고, 데이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즉 데이터 패킷 a)인지, 또는 제 2 유저 기기가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즉 스테이터스 리포트 b)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다른 RLC 헤더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유저 기기가 데이터의 RLC 헤더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제 2 유저 기기가 제 4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MAC 서브 헤더에 지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다른 데이터를 마킹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는, MAC 서브 헤더에 있어서의 지시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제 4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에 있어서의 RRLC 레이어의 계층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를 하나 이상의 RLC 서브 레이어로 계층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 필드로 구분하는 등,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를 식별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서, 제 1 RLC 레이어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2 RLC 서브 레이어를, RLC 레이어의 다른 기능의 실현에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해당 방법은 나아가 LCP(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한편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유저 기기 및 제 2 유저 기기는 모두 논리 채널 식별자 M의 무선 베어러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때문에, 제 1 유저 기기를 예로 해서, 스테이터스 리포트 a 및 데이터 패킷 b가 동시에 패킷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제 1 유저 기기는 스테이터스 리포트 a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여유 리소스가 있는 경우, 데이터 패킷 b에 할당한다.
본 개시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은, 5G(5Generation) 통신 시스템에 더해서, 4G, 3G 통신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고, 나아가 6G, 7G 등 장래의 각종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아키텍쳐에도 응용하고, 네트워크 아키텍쳐는 릴레이 네트워크 아키텍쳐, 듀얼 링크 아키텍쳐, V2X 아키텍쳐 등의 아키텍쳐를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를 예시로 해서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명했지만, 본 개시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의 발명에 적합한 한 개인의 기호 및/또는 실제의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 스텝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제 1 유저 기기에 응용되고, 정보 수신 모듈(41), 설정 응용 모듈(42), 제 1 확립 모듈(43) 및 제 1 송신 모듈(44)을 포함한다.
정보 수신 모듈(41)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설정 응용 모듈(42)은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한다.
제 1 확립 모듈(43)은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한다.
제 1 송신 모듈(44)은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 1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설정 응용 모듈(42)은,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1 설정 서브 모듈과,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의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2 설정 서브 모듈과,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 3 설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장치는 나아가,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모듈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장치는 나아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식별자 수신 모듈과,
기지국에게,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식별자 전송 모듈과,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2 유저 기기에 자발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장치는 나아가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제 3 데이터는, 제 1 유저 기기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장치는 나아가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제 3 무선 베어러와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제 2 무선 베어러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1 우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장치는 나아가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과,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데이터 구분 모듈과,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제 4 데이터는,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1 유저 기기로 자발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2 유저 기기가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데이터 구분 모듈은,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1 구분 서브 모듈과,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2 구분 서브 모듈과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3 구분 서브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실시 가능한 일 형태에서는, 해당 장치는 나아가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또한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2 우선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를 예시로 해서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명했지만, 본 개시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의 발명에 적합한 한 개인의 기호 및/또는 실제의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서 각 모듈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는, 데이터 수신의 혼동이나 에러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고, 유저 기기 간의 무선 베어러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및/또는'이라고 하는 용어는, 이러한 사항의 관련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3개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란, A만, A와 B 양쪽 모두, B만이라고 하는 3개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라는 부호는 그 앞뒤의 사항이 '또는'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제 2, 제 3, 제 4 등의 표현은, 기재되는 대상을 구분해서 나타내기 위해서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장치 수 또는 데이터량을 한정하는 것도 아니며, 본 개시에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망라적인 것은 아니고, 개시된 각 실시예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다. 설명된 각 실시예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여러가지 수정이나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채용된 용어는, 각 실시예의 원리, 실제의 응용 또는 시장에 있어서의 기술에의 기술적 개선을 최적으로 해석하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 실시예를 다른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2)

  1.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으로서,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것은,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것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과,
    기지국에게, 상기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와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
    상기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데이터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은,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또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유저 기기를 응용하는 무선 베어러 확립 장치로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응용하는 설정 응용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1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는 제 1 확립 모듈과,
    상기 제 1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응용 모듈은,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데이터 패킷과 QoS 플로우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1 설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QoS 플로우와 무선 베어러 사이의 매핑 및 관련 짓기의 룰을 확립하는 제 2 설정 서브 모듈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베어러의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 3 설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모듈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의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현재 확립된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식별자 수신 모듈과,
    기지국에게, 상기 제 1 유저 기기에 대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와 논리 채널 식별자가 다른 제 3 무선 베어러를 확립시키도록,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식별자를 상기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식별자 전송 모듈과,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는 확인 모드 무선 베어러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제 3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데이터는, 상기 제 1 유저 기기가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3 무선 베어러와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2 무선 베어러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1 우선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제 4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과,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데이터 구분 모듈과,
    상기 구분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데이터는,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가 상기 제 1 유저 기기로부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분 모듈은,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1 구분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MAC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MAC 서브 헤더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2 구분 서브 모듈과,
    상기 제 1 유저 기기의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 1 RLC 서브 레이어가 상기 제 4 데이터의 RLC 헤더에 기초해서, 상기 제 4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 결과를 취득하는 제 3 구분 서브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논리 채널 우선 순위 결정에 있어서,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에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가 송신되고, 또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과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의 우선도가 같은 경우, 상기 제 4 무선 베어러에 의해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 송신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유저 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해서 생성한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제 2 우선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217035123A 2019-03-28 2020-01-14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KR102548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44638.2 2019-03-28
CN201910244638.2A CN111294980B (zh) 2019-03-28 2019-03-28 无线承载建立方法及装置
PCT/CN2020/071901 WO2020192250A1 (zh) 2019-03-28 2020-01-14 无线承载建立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723A true KR20210141723A (ko) 2021-11-23
KR102548713B1 KR102548713B1 (ko) 2023-06-27

Family

ID=7102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123A KR102548713B1 (ko) 2019-03-28 2020-01-14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91951A1 (ko)
EP (1) EP3952600A4 (ko)
JP (1) JP7478749B2 (ko)
KR (1) KR102548713B1 (ko)
CN (1) CN111294980B (ko)
WO (1) WO2020192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2534A1 (zh) * 2020-10-21 2022-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66B1 (ko) * 2008-02-01 201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lc pdu 전송 방법, 자원할당 방법 및 rlc 엔티티
CN102625377B (zh) * 2011-01-31 2014-06-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承载的建立方法、接入点设备、用户设备及系统
CN105163398B (zh) * 2011-11-22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和用户设备
CN103517351B (zh) * 2012-06-29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Drb建立方法及设备
CN107347215B (zh) * 2016-05-06 2019-11-08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在v2x网络中资源的分配方法及终端
EP3934320B1 (en) * 2016-06-03 2024-03-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V2x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512294B1 (en) * 2016-10-07 2021-06-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CN109005127B (zh) * 2017-02-03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QoS流处理方法、设备和通信系统
WO2018203305A1 (en) * 2017-05-05 2018-11-08 Nokia Technologies Oy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ing
CN108809510B (zh) * 2017-05-05 2023-0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处理方法和装置
WO2019029375A1 (en) * 2017-08-10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DUPLICATING LATERAL BINDING DATA
US20200037132A1 (en) * 2018-07-27 2020-01-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 ue search and notification for unicast over sidelink
KR20200094343A (ko) * 2019-01-30 2020-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을 관리 및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900180 (2019.02.15.)* *
3GPP R2-1900370 (2019.02.15.)* *
3GPP R2-1901116 (2019.02.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2600A1 (en) 2022-02-09
JP2022530743A (ja) 2022-07-01
CN111294980A (zh) 2020-06-16
EP3952600A4 (en) 2022-05-04
CN111294980B (zh) 2022-02-15
WO2020192250A1 (zh) 2020-10-01
KR102548713B1 (ko) 2023-06-27
JP7478749B2 (ja) 2024-05-07
US20220191951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29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data packet to user equipment in LTE-WLAN aggregation system
JP716726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反映式サービス品質(QoS)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205045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ービス品質(QoS)フロー基盤のULパケット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22010429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536262A (zh) 一种直通链路通信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344797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0506644B2 (en) Radio access network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IP packet processing method
CN109787791B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CN10835331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装置
WO2018059518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112335304B (zh) 一种数据发送方法、装置和通信系统
EP4039061B1 (en) Transfer of data packets in end-to-end multi-hop sidelink radio communication
WO2020143690A1 (zh) 一种无线承载的配置方法、终端及通信装置
US2022030382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7113207A1 (zh) 一种业务消息传输方法、第一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36205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2548713B1 (ko) 무선 베어러 확립 방법 및 장치
CN113630738A (zh) 一种侧行链路通信方法及装置
CN116232408A (zh) 中继方法、路由表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12361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1238318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017560B (zh) 数据转发方法和系统
CN115915286A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