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371A - 파워모듈 - Google Patents

파워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371A
KR20210141371A KR1020210060423A KR20210060423A KR20210141371A KR 20210141371 A KR20210141371 A KR 20210141371A KR 1020210060423 A KR1020210060423 A KR 1020210060423A KR 20210060423 A KR20210060423 A KR 20210060423A KR 20210141371 A KR20210141371 A KR 20210141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substrate
terminal
electrode pattern
bus bar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KR2021014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01L23/043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 conductive base as a mounting as well as a lead for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047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the container being a hollow construction and having a conductive base as a mounting as well as a lead for the semiconductor body the other leads being parallel to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5Laminates or multilayers, e.g. direct bond copper ceramic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모듈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기재와 상기 세라믹기재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세라믹기판(300)과 상기 세라믹기판(300)이 설치되며 양단에 단자가 배치된 하우징(100)과 상기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과 상기 단자를 면대 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하는 버스바(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전류 또는 전압의 저저항을 패스(pass)하는 구조의 버스바를 적용하여 저항을 최대한 낮추고 발열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워모듈{POWER MODULE}
본 발명은 파워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출력 전력 반도체 칩을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한 파워모듈에 관한 것이다.
파워모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 등의 모터 구동을 위해 고전압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파워모듈 중 양면 냉각 파워모듈은 반도체 칩의 상, 하부에 각각 기판을 설치하고 그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방열판을 구비한다. 양면 냉각 파워모듈은 단면에 방열판을 구비하는 단면 냉각 파워모듈에 비해 냉각 성능이 우수하여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양면 냉각 파워모듈은 두 기판의 사이에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의 전력 반도체 칩이 실장되므로 고전압으로 인해 높은 발열과 주행 중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강도와 고방열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836658호(2018.03.0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와 고방열 특성을 가지고, 접합 특성이 우수하며, 전류 경로를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전류 또는 전압의 저저항을 패스(pass)하는 구조의 버스바를 적용하여 저항을 최대한 낮추고 발열을 최소화하도록 한 파워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바의 유연성을 극대화한 파워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바의 양측을 단자 및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금속층)에 연결하여 접합 성능을 향상시키고 대전류와 전압을 패스(pass)하는 구조를 구현하도록 레이저 웰딩 공법을 적용하는 파워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파워모듈은 세라믹기재와 상기 세라믹기재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세라믹기판과, 세라믹기판이 설치되며 양단에 단자가 배치된 하우징과,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과 상기 단자를 면대 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다.
버스바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구리 리본일 수 있다.
버스바는 일측에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고 반대편 타측에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는 상기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이 상기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에 비해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다.
버스바는 굴곡진 구조로 될 수 있다.
버스바는 두께가 0.1mm~0.5mm 범위일 수 있다.
전극 패턴은 제1 전극 패턴, 제2 전극 패턴 및 제3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단자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며, 버스바는 제1 단자와 제1 전극 패턴을 연결하고, 제1 단자와 제3 전극 패턴을 연결하며, 제2 단자와 제2 전극 패턴을 연결하기 위한 3개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는 관통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는 일측에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1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고 반대편 타측에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2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며, 관통슬롯은 상기 제1 레이저 웰딩 영역과 상기 제2 레이저 웰딩 영역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슬롯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는 일측에 비해 타측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고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는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중간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는 단자와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에 각각 레이저 웰딩으로 접합될 수 있다.
레이저 웰딩은 지그재그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강도와 고방열 특성을 가지고, 접합 특성이 우수하며, 전류 경로를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고속 스위칭에 최적화되어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전류 또는 전압의 저저항을 패스(pass)하는 구조의 버스바를 적용하여 저항을 최대한 낮추고 발열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웰딩 공법을 이용하여 버스바의 접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버스바를 단자 및 전극 패턴에 연결하는 공정을 간편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도 버스바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연결 부품 간 비틀림 또는 진동, 외부 충격으로 인한 구리 리본의 열화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 레이저 웰딩 공법을 적용하여 버스바의 양측을 단자 및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금속층)에 연결하므로 접합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재그 패턴 형상의 레이저 웰딩을 수행하므로 넓은 접합면적을 확보하여 대전류 또는 전압의 저저항을 패스(pass)하는 구조를 구현하면서 저항을 최대한으로 낮추고 발열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세라믹기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세라믹기판의 상면과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 세라믹기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 세라믹기판의 상면과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CB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핀 및 버스바가 상부 세라믹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레이저 웰딩 영역을 보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가 단자와 전극 패턴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자와 세라믹기판의 금속층을 연결한 버스바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웰딩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버스바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10)은 하우징(100)에 파워모듈을 이루는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여 형성한 패키지 형태의 전자부품이다. 파워모듈(10)은 하우징(100) 안에 기판 및 소자를 배치하여 보호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파워모듈(10)은 다수의 기판 및 다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파워모듈(10)은 하우징(100),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 PCB 기판(400) 및 방열판(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중앙에 상하로 개구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가 위치된다. 하우징(100)은 중앙의 빈 공간에 방열판(500),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 및 PCB 기판(400)이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양측의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에 외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볼트(630)가 체결된다.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는 전원의 입출력단으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파워모듈(10)은 하우징(100)의 중앙의 빈 공간에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 PCB 기판(400)이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하면에 방열판(500)이 배치되고, 방열판(500)의 상면에 하부 세라믹기판(200)이 부착되고,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부에 상부 세라믹기판(30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부에 PCB 기판(40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하우징(100)에 PCB 기판(400)이 배치된 상태는 PCB 기판(400)의 가장자리에 요입되게 형성된 안내홈(401,402)과 안내홈(401,402)에 대응되게 하우징(100)에 형성된 안내리브(101) 및 걸림턱(1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400)은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 개의 안내홈(401,402)이 형성되고, 이들 중 일부의 안내홈(401)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리브(101)가 안내되고 이들 중 나머지 일부의 안내홈(40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02)이 통과되어 걸어진다.
또는, 하우징(100)의 중앙의 빈 공간에 방열판(500),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이 수용되고, 그 상면에 PCB 기판(400)이 배치된 상태는 체결볼트(미도시)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우징(100)에 PCB 기판(400)을 안내홈과 걸림턱 구조로 고정하는 것이 체결볼트로 고정하는 경우 대비 조립 시간을 줄이고 조립 공정이 간편하다.
하우징(100)은 네 모서리에 체결공(103)이 형성된다. 체결공(103)은 방열판(500)에 형성된 연통공(501)과 연통된다. 체결공(103)과 연통공(501)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50)가 체결되고, 체결공(103)과 연통공(501)을 관통한 고정볼트(150)의 단부는 방열판(500)의 하면에 배치될 고정지그의 고정공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에 버스바(700)가 연결된다. 버스바(700)는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를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연결한다. 버스바(700)는 3개가 구비된다. 버스바(700) 중 하나는 제1 단자(610) 중 +단자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제1 전극 패턴(a)과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제1 단자(610) 중 -단자를 제3 전극 패턴(c)과 연결하며, 나머지 하나는 제2 단자(620)를 제2 전극 패턴(b)과 연결한다. 제1 전극 패턴(a), 제2 전극 패턴(b) 및 제3 전극 패턴(c)은 후술할 도 7 및 도 10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워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파워모듈(10)은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복층 구조이며,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사이에 반도체 칩(G)이 위치된다. 반도체 칩(G)은 GaN(Gallium Nitride) 칩,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JFET(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HEMT(High Electric Mobility Transis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칩(G)은 GaN 칩을 사용한다. GaN(Gallium Nitride) 칩(G)은 대전력(300A) 스위치 및 고속(~1MHz) 스위치로 기능하는 반도체 칩이다. GaN 칩은 기존의 실리콘 기반 반도체 칩보다 열에 강하면서 칩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반도체 칩(G)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세라믹기재와 세라믹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세라믹기판으로 형성된다.
세라믹기재는 알루미나(Al2O3), AlN, SiN, Si3N4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금속층은 세라믹기재 상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박으로 반도체 칩(G)을 실장하는 전극 패턴 및 구동소자를 실장하는 전극 패턴으로 각각 형성된다. 예컨데, 금속층은 반도체 칩 또는 주변 부품이 실장될 영역에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다. 금속박은 알루미늄박 또는 동박인 것을 일 예로 한다. 금속박은 세라믹기재 상에 780℃~1100℃로 소성되어 세라믹기재와 브레이징 접합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세라믹기판을 AMB 기판이라 한다. 실시예는 AMB 기판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DBC 기판, TPC 기판, DBA 기판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구성 및 방열 효율면에서 AMB 기판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한 이유로,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AMB 기판임을 일 예로 한다.
PCB 기판(40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파워모듈(10)은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PCB 기판(400)의 3층 구조로 구성된다. 고전력용 제어를 위한 반도체 칩(G)을 상부 세라믹기판(200)과 하부 세라믹기판(300)의 사이에 배치하여 방열 효율을 높이고, 저전력용 제어를 위한 PCB 기판(400)을 최상부에 배치하여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PCB 기판(400)의 손상을 방지한다.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 PCB 기판(400)은 핀으로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방열판(500)은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방열판(500)은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을 위한 것이다. 방열판(5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열판(500)은 하우징(10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파워모듈의 각 구성별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모듈의 각 구성별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각 구성별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도면을 확대하거나 과장하여 표현한 부분이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기본 도면과 일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100)은 중앙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에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가 위치된다. 하우징(100)은 양단에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가 일체로 고정되게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파워모듈은 이격된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연결핀을 인서트 사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하우징(100)의 제조시 연결핀을 제외하여 제조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연결핀이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형상을 단순화하여 파워모듈의 비틀림 모멘트에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하우징(100)은 네 모서리에 체결공(103)이 형성된다. 체결공(103)은 방열판(500)에 형성된 연통공(501)과 연통된다. 제1 단자(610)와 제2 단자(620)에는 지지공(104)이 형성된다. 지지공(104)에는 제1 단자(610) 및 제2 단자(620)를 모터 등의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지지볼트(630)가 체결된다(도 10 참조).
하우징(100)은 단열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한 열이 하우징(100)을 통해 상부의 PCB 기판(400)에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00)은 방열 플라스틱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한 열이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로 방열될 수 있도록 방열 플라스틱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높은 내열성과 뛰어난 강도, 내약품성, 내마모성을 가지며 150℃ 이상에서 장시간 사용 가능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중 하나의 재료로 된 것일 수 있다.
반도체 칩(G)은 스위치로서 반복 동작을 하는데 그로 인해 하우징(100)은 고온과 온도변화에 스트레스를 받게 되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고온과 온도변화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방열 특성도 우수하다.
실시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에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된 단자를 인서트사출 적용하여 하우징(100)을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된 하우징(100)은 열을 전파시켜 외부로 방열시킨다. 하우징(100)은 수지에 고열 전도율 필러를 충전함으로써 일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보다 열전도성을 더 높일 수 있고 알루미늄에 비해 경량인 고방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의 내외부에 그래핀 방열코팅재를 도포하여 방열 특성을 가지도록 한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세라믹기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방열판(500)의 상면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반도체 칩(G)과 방열판(500)의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판(500)으로 전달하고, 반도체 칩(G)과 방열판(500)의 사이를 절연하여 쇼트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방열판(500)의 상면에 솔더링 접합될 수 있다. 방열판(500)은 하우징(10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솔더링 접합을 위한 솔더는 SnAg, SnAgC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부 세라믹기판의 상면과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세라믹기재(201)와 세라믹기재(201)의 상하면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층(202,203)을 포함한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은 세라믹기재(201)의 두께가 0.68t이고, 세라믹기재(201)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한 금속층(202,203)의 두께가 0.8t인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면(200a)의 금속층(202)은 구동소자를 실장하는 전극 패턴일 수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실장되는 구동소자는 NTC 온도센서(210)일 수 있다. NTC 온도센서(21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면에 실장된다. NTC 온도센서(210)는 반도체 칩(G)의 발열로 인한 파워모듈 내의 온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하면(200b)의 금속층(203)은 방열판(500)에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절연 스페이서(220)가 접합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면에 접합되며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이격 거리를 규정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이격 거리를 규정하여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에 실장된 반도체 칩(G)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효율을 높이고, 반도체 칩(G)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쇼트와 같은 전기적 충격을 방지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접합된다. 절연 스페이서(220) 간의 간격은 방열 효율을 높이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도면상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을 기준으로 할 때 가장자리를 둘러 배치되며, 일 예로 8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일체로 접합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부에 상부 세라믹기판(300)을 배치할 때 얼라인을 확인하는 용도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절연 스페이서(220)가 접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반도체 칩(G)이 실장된 상부 세라믹기판(300)을 배치할 때, 절연 스페이서(220)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얼라인을 확인하는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을 지지하여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휨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실장된 칩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에 실장된 칩 및 부품 간의 절연을 위해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 스페이서는 Al2O3, ZTA, Si3N4, AlN 중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이 혼합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2O3, ZTA, Si3N4, AlN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이 우수한 절연성 재료이다.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브레이징 접합된다. 절연 스페이서(220)를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솔더링 접합하면 솔더링 또는 가압 소성시 열적 기계적 충격으로 인해 기판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징 접합한다. 브레이징 접합은 AgCu층과 Ti층을 포함한 브레이징 접합층을 이용할 수 있다. 브레이징을 위한 열처리는 780℃~9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브레이징 후, 절연 스페이서(220)는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금속층(202)과 일체로 형성된다. 브레이징 접합층의 두께는 0.005mm~0.08mm로 절연 스페이서의 높이에 영향을 미치치 않을 만큼 얇고 접합 강도는 높다.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사이에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가 설치된다.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는 상하 복층 구조의 기판에서 연결핀을 대신하여 전극 패턴 간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는 전기적 로스(loss) 및 쇼트(shot)를 방지하면서 기판 간을 직접 연결하고 접합 강도를 높이며 전기적 특성도 개선할 수 있다.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는 일단이 브레이징 접합 방식으로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전극 패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는 반대되는 타단이 브레이징 접합 방식 또는 솔더링 접합 방식으로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에 접합될 수 있다. 인터커넥션 스페이서(230)는 Cu 또는 Cu+CuMo 합금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 세라믹기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 세라믹기판의 상면과 하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적층 구조의 중간 기판이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하면에 반도체 칩(G)을 실장하고, 고속 스위칭을 위한 하이 사이드(High Side) 회로와 로우 사이드(Low Side) 회로를 구성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세라믹기재(301)와 세라믹기재(301)의 상하면에 브레이징 접합된 금속층(302,303)을 포함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세라믹기재의 두께가 0.38t이고 세라믹기재의 상면(300a)과 하면(300b)에 전극 패턴의 두께가 0.3t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세라믹기판은 상면과 하면의 패턴 두께가 동일해야 브레이징시 틀어지지 않는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금속층(302)이 형성하는 전극 패턴은 제1 전극 패턴(a), 제2 전극 패턴(b), 제3 전극 패턴(c)으로 구분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의 금속층(303)이 형성하는 전극 패턴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금속층(302)이 형성하는 전극 패턴과 대응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전극 패턴을 제1 전극 패턴(a), 제2 전극 패턴(b), 제3 전극 패턴(c)으로 구분한 것은 고속 스위칭을 위해 하이 사이드(High Side) 회로와 로우 사이드(Low Side) 회로로 분리하기 위함이다.
반도체 칩(G)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300b)에 솔더(Solder), 은 페이스트(Ag Paste) 등의 접착층에 의해 플립칩(flip chip) 형태로 구비된다. 반도체 칩(G)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에 플립칩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와이어 본딩이 생략되어 인덕턴스 값을 최대한 낮출 수가 있게 되어, 이에 의해 방열 성능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칩(G)은 고속 스위칭을 위해 2개씩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칩(G)은 2개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 중 제1 전극 패턴(a)과 제2 전극 패턴(b)을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가 제2 전극 패턴(b)과 제3 전극 패턴(c)을 연결하는 위치에 병렬로 배치된다. 일 예로 반도체 칩(G) 하나의 용량은 150A이다. 따라서 반도체 칩(G) 2개를 병렬 연결하여 용량이 300A가 되도록 한다. 반도체 칩(G)은 GaN 칩이다.
반도체 칩(G)을 사용하는 파워모듈의 목적은 고속 스위칭에 있다. 고속 스위칭을 위해서는 Gate drive IC 단자에서 반도체 칩(G)의 Gate 단자 간이 매우 짧은 거리로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반도체 칩(G) 간을 병렬로 연결하여 Gate drive IC와 Gate 단자 간 연결 거리를 최소화한다. 또한, 반도체 칩(G)이 고속으로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칩(G)의 Gate 단자와 Source 단자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반도체 칩(G)과 반도체 칩(G)의 사이의 중심에 연결핀이 연결되도록 Gate 단자와 Source 단자를 배치할 수 있다. Gate 단자와 Source 단자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지 않거나 패턴의 길이가 달라지면 문제가 발생한다.
Gate 단자는 낮은 전압을 이용하여 반도체 칩(G)을 온오프(on/off)시키는 단자이다. Gate 단자는 연결핀을 통해 PCB 기판(400)과 연결될 수 있다. Source 단자는 고전류가 들어오고 나가는 단자이다. 반도체 칩(G)은 Drain 단자를 포함하며, Source 단자와 Drain 단자는 N형과 P형으로 구분되어 전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Source 단자와 Drain 단자는 반도체 칩(G)을 실장하는 전극 패턴인 제1 전극 패턴(a), 제2 전극 패턴(b), 제3 전극 패턴(c)을 통해 전류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Source 단자와 Drain 단자는 전원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도 1의 제1 단자(610) 및 제2 단자(620)와 연결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제1 단자(610)는 +단자와 -단자를 포함하며, 제1 단자(610)에서 +단자로 유입된 전원은 도 8에 도시된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제1 전극 패턴(a), 제1 전극 패턴(a)과 제2 전극 패턴(b)의 사이에 배치된 반도체 칩(G) 및 제2 전극 패턴(b)을 통해 제2 단자(620)로 출력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제2 단자(620)로 유입된 전원은 도 8에 도시된 제2 전극 패턴(b), 제2 전극 패턴(b)과 제3 전극 패턴(c)의 사이에 배치된 반도체 칩(G) 및 제3 전극 패턴(c)을 통해 제1 단자(610)의 -단자로 출력된다. 예컨데, 제1 단자(610)에서 유입되고 반도체 칩(G)을 통과하여 제2 단자(620)로 출력되는 전원을 하이 사이드(High Side), 제2 단자(620)에서 유입되고 반도체 칩(G)을 통과하여 제1 단자(610)로 출력되는 전원을 로우 사이드(Low Side)가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세라믹기판(300)은 NTC 온도센서(210)에 대응하는 부분에 커팅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상면에 NTC 온도센서(210)가 장착된다. NTC 온도센서(210)는 반도체 칩(G)의 발열로 인한 파워모듈 내의 온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NTC 온도센서(210)의 두께가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사이의 간격에 비해 두꺼워 NTC 온도센서(210)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간섭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TC 온도센서(210)와 간섭되는 부분의 상부 세라믹기판(300)을 커팅하여 커팅부(310)를 형성한다.
커팅부(310)를 통해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사이 공간에 몰딩을 위한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다.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하부 세라믹기판(200)의 사이를 절연하기 위해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를 주입해야 한다.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를 주입하기 위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한쪽면을 커팅하여 커팅부(3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커팅부(310)는 NTC 온도센서(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NTC 온도센서(210)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는 반도체 칩(G)의 보호, 진동의 완화 및 절연의 목적으로 하부 세라믹기판(200)과 상부 세라믹기판(300) 사이의 공간과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PCB 기판(400) 사이의 공간에 충진할 수 있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에 쓰루홀(Through Hole)(320)이 형성된다. 쓰루홀(320)은 상하 복층의 기판 구조에서 상부 세라믹기판(300)에 실장되는 반도체 칩(G)을 PCB 기판(400)에 실장되는 구동소자와 최단거리로 연결하고, 하부 세라믹기판(200)에 실장된 NTC 온도센서(210)를 PCB 기판(400)에 실장되는 구동소자와 최단거리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쓰루홀(320)은 반도체 칩이 설치되는 위치에 2개씩 8개가 형성되고, NTC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위치에 2개가 설치되어 총 10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쓰루홀(32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에서 제1 전극 패턴(a)과 제3 전극 패턴(c)이 형성된 부분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a)에 형성된 다수 개의 쓰루홀(32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제1 전극 패턴(a)으로 유입된 전류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전극 패턴(a)으로 이동하고 반도체 칩(G)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3 전극 패턴(c)에 형성된 다수 개의 쓰루홀(320)은 반도체 칩(G)으로 유입된 전류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하면의 제3 전극 패턴(c)을 통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제3 전극 패턴(c)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쓰루홀(320)의 직경은 0.5mm~5.0mm일 수 있다. 쓰루홀(320)에는 연결핀이 설치되어 PCB 기판의 전극 패턴과 연결되고 이를 통해 PCB 기판(400)에 실장되는 구동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하 복층의 기판 구조에서 쓰루홀(320) 및 쓰루홀(320)에 설치되는 연결핀을 통한 전극 패턴 간 연결은 최단 거리 연결을 통해 다양한 출력 손실을 제거하여 파워모듈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에는 복수 개의 비아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비아홀(330)은 기판 면적 대비 최소 50% 이상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비아홀(330)의 면적은 기판 면적 대비 최소 50% 이상 적용되는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0% 이하로 가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 패턴(a)에는 152개의 비아홀이 형성되고 제2 전극 패턴(b)에는 207개의 비아홀이 형성되고 제3 전극 패턴(c)에는 154개의 비아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전극 패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비아홀(330)은 대전류 통전 및 대전류 분산을 위한 것이다. 하나의 슬롯 형태로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전극 패턴과 하면의 전극 패턴을 도통시키면 한쪽으로만 고전류가 흘러 쇼트,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아홀(330)에는 전도성 물질이 충진된다. 전도성 물질은 Ag 또는 Ag 합금일 수 있다. Ag 합금은 Ag-Pd 페이스트일 수 있다. 비아홀(330)에 충진된 전도성 물질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상면의 전극 패턴과 하면의 전극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비아홀(330)은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비아홀(330)은 도 8의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CB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PCB 기판(400)은 반도체 칩(G)을 스위칭하거나 NTC 온도센서(도 7의 도면부호 210)가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GaN 칩)을 스위칭하기 위한 구동소자가 실장된다. 구동소자는 Gate Drive IC를 포함한다.
PCB 기판(400)은 상면에 캐패시터(410)가 장착된다. 캐패시터(410)는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제1 전극 패턴(a)과 제2 전극 패턴(b)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반도체 칩(G)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제2 전극 패턴(b)과 제3 전극 패턴(c)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반도체 칩(G)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인 PCB 기판(400)의 상면에 장착된다.
반도체 칩(G)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인 PCB 기판(400)의 상면에 캐패시터(410)가 장착되면, 연결핀(도 10의 도면부호 900)을 이용하여 반도체 칩(G)과 Drive IC 회로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고속 스위칭에 보다 유리하다. 일 예로, 캐패시터(410)는 용량을 맞추기 위해 10개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단에 디커플링용도로 2.5㎌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의 캐패시터 10개를 연결하여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 관련식은 56㎌/630V×5ea= 2.8㎌에서 확인된다. Gate Drive IC 회로는 High side gate drive IC와 Low side gate drive IC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핀 및 버스바가 상부 세라믹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파워모듈(10)은 전극 패턴 간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핀(910)을 포함한다.
연결핀(91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PCB 기판(400)에 형성된 쓰루홀(Through Hole)에 끼워져 반도체 칩(G)을 실장하는 게이트 단자와 구동소자를 실장하는 전극 패턴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연결핀(910)은 하부 세라믹기판(200), 상부 세라믹기판(300) 및 PCB 기판(400)에 형성된 쓰루홀(Through Hole)에 끼워져 NTC 온도센서의 단자와 구동소자를 실장하는 전극 패턴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연결핀(91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과 PCB 기판(400)에 형성된 쓰루홀(Through Hole)에 끼워져 반도체 칩(G)을 실장하는 전극 패턴과 캐패시터를 실장한 전극 패턴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핀(91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에 실장되는 GaN 칩을 PCB 기판에 실장되는 구동소자와 최단거리로 연결하여 다양한 출력 손실을 제거하고 고속 스위칭이 가능하게 한다.
연결핀(910)은 상부 세라믹기판(300)에 설치다. 연결핀(910)은 핀의 수직도를 유지기 위해 복수 개의 연결핀(910)을 서로 연결하여 묶음 형태 연결핀(900)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핀(910)은 2×2 핀 또는 2×1 핀 또는 4×1 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핀(910)은 원기둥 형상이며, 외주에 원형의 날개부(911)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원기둥 형상의 연결핀(910)은 쓰루홀(도 7의 도면 부호 320)에 끼워지고 솔더링 접합될 수 있다.
묶음 형태 연결핀(900)은 복수 개의 연결핀(910)에 플라스틱 구조물(920)을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파워모듈의 이격 전극 구조에서 이격된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핀(910)은 다수 개이다. 따라서 다수 개의 연결핀(910)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에서 연결핀(910)을 묶음 형태 연결핀(900)으로 제작하면 연결핀(910)의 위치 정확도와 조립의 편의성을 높여 파워모듈(10)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세라믹기판(300)을 하우징(100)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610,620)와 연결하는 버스바(700)를 포함한다.
버스바(700)는 3개가 구비되며, 하나는 제1 단자(610) 중 +단자를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제1 전극 패턴(a)과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제1 단자(610) 중 -단자를 제3 전극 패턴(c)과 연결하며, 나머지 하나는 제2 단자(620)를 제2 전극 패턴(b)과 연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버스바(7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구리 리본(Cu Ribbon)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710)을 포함하고 반대편 타측에 전극 패턴과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720)을 포함한다. 대면적의 구리 리본 형상인 버스바(700)는 레이저 웰딩 공법으로 단자(610,620)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을 연결한다. 이는 와이어 연결이나 가장자리 본딩하여 연결하는 방법 대비 접합 성능이 극대화되고 공정이 단순화되며 저항을 최대한 낮추어 대전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버스바(700)는 단자(610,620)와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710)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a,b,c)과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720)에 비해 대면적이다. 대면적 레이저 웰딩 영역(710)은 대전력의 저항을 최대한 줄인다. 더욱이 대면적으로 레이저 웰딩하면 전체폭으로 전류가 이동하므로 저항을 낮추어 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레이저 웰딩 영역을 보인 사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이저 웰딩 영역(951,953)은 지그 재그 형태로 접합될 수 있고, 접합 면적이 넓다. 소정의 접합 면적을 갖는 구리 리본 형상은 대전류 또는 전압의 저저항을 패스(pass)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저항을 최대한 낮추는 효과가 있다. 버스바(700)를 형성하는 구리 리본의 두께는 0.1mm~0.5mm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버스바(700)가 넓은 접합 면적으로 단자(610,620)와 전극 패턴(a,b,c)을 연결하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도 저항을 낮출 수 있고 그에 따라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버스바(700)는 굴곡진 구조를 채용하여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유연성은 고온으로 인해 단자와 전극 패턴의 위치가 비틀렸을 때 버스바(700)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가 단자와 전극 패턴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버스바(700)는 단자(620)와 접합되는 부분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과 접합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의 버스바(700a)는 관통슬롯(730)이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700a)는 대면적 레이저 웰딩 영역(710)과 소면적 레이저 웰딩 영역(720)을 연결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관통슬롯(730)이 형성된다. 관통슬롯(730)은 버스바(700a)의 유동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파워모듈의 대전류 또는 고전압이 이동하는 버스바(700a)로 두께가 0.5mm 이상인 Cu 리본를 적용하는 경우, 연결 부품 간 비틀림 또는 진동, 외부 충격으로 인한 버스바(700a)의 열화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버스바(700a)에 다수 개의 관통슬롯(730)을 형성한다. 관통슬롯(730)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버스바(700)에 유연성을 최대로 부여한다.
실시예에서, 관통슬롯(730)은 대면적 레이저 웰딩 영역(710)과 소면적 레이저 웰딩 영역(720)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버스바가 넓은 접합 면적으로 단자와 전극 패턴을 연결하므로 전체폭으로 전류가 이동할 수 있어 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 저항을 낮출 수 있으므로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진 구조의 버스바를 채용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므로, 고온으로 인해 단자와 전극 패턴의 위치가 비틀렸을 때 버스바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워모듈의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통슬롯(730)을 형성하여 유연성을 최대로 부여하므로 0.5mm 이상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도 연결 부품 간 비틀림 또는 진동, 외부 충격으로 인한 구리 리본의 열화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자와 세라믹기판의 금속층을 연결한 버스바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버스바(700)는 양측이 단자(610,620)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금속층(302)에 각각 레이저 웰딩으로 접합된다. 즉, 버스바(700)는 일측이 단자(610,620)에 레이저 웰딩으로 접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금속층(302)에 레이저 웰딩으로 접합된다.
레이저 웰딩은 접합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접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저항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접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레이저 웰딩은 고밀도의 에너지빔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용접법이다.
버스바(700)는 일측은 낮고 반대되는 타측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형상이다. 버스바(700)는 단자(610,620)와 접합되는 부분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금속층(302), 즉 전극 패턴(a,b,c)과 접합되는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위치에 높이 차가 발생하더라도 단자(610,620)와 금속층(302)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버스바(7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구리 리본(Cu Ribbon)으로 형성된다. 버스바(700)는 굴곡진 구조를 채용하여 유연성을 부여한다. 유연성은 고온으로 인해 단자(610,620)와 금속층(302)의 위치가 비틀렸을 때 버스바(700)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바(700)는 일측에 단자(610,620)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1 레이저 웰딩 영역(710)을 포함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금속층(302)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2 레이저 웰딩 영역(720)을 포함한다.
대면적의 구리 리본 형상인 버스바(700)는 레이저 웰딩 공법으로 단자(610,620)와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금속층(302)을 면대 면으로 연결한다. 이는 와이어 연결이나 가장자리 본딩하여 연결하는 방법 대비 접합 성능이 극대화되고 공정이 단순화되며 저항을 최대한 낮추어 대전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700)가 넓은 접합면적으로 단자(610,620)와 전극 패턴(a,b,c)을 연결하므로 접합영역 전체폭으로 전류가 이동할 수 있어 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 저항을 낮출 수 있으므로 발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레이저 웰딩 영역(710)은 제2 레이저 웰딩 영역(720)에 비해 면적이 넓다. 구체적으로, 버스바(700)는 단자(610,620)와 접합되는 제1 레이저 웰딩 영역(710)이 상부 세라믹기판(300)의 금속층(302) 즉, 전극 패턴(a,b,c)과 접합되는 제2 레이저 웰딩 영역(720)에 비해 대면적이다. 대면적인 제1 레이저 웰딩 영역(710)은 대전력의 저항을 최대한 줄여 전류의 고속 이동을 유리하게 한다. 더욱이 대면적으로 레이저 웰딩하면 전체폭으로 전류가 이동하므로 저항을 낮추어 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웰딩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버스바의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이저 웰딩은 접합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다. 지그재그 패턴은 접합면적을 넓혀 대전류를 패스(pass) 하고 저항을 최대한 낮추는 효과가 있다. 파워모듈은 특성상 대전류 또는 전압이 지속적으로 이동하므로 저항이 낮은 것을 추구한다. 버스바(700)를 단자(610,620) 또는 금속층(302)에 접합하는 레이저 웰딩 형상은 넓은 접합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술한 지그재그 패턴 외에도 원형 패턴이 연속하여 반복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이저 웰딩은 U자형이 상하로 반복되면서 연결되는 지그재그 패턴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넓은 접합면적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버스바가 넓은 접합면적으로 단자와 전극 패턴을 연결하므로 전체폭으로 전류가 이동할 수 있어 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구리 리본을 적용하여 저항을 낮출 수 있으므로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진 구조의 버스바를 채용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므로, 고온으로 인해 단자와 전극 패턴의 위치가 비틀렸을 때 버스바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워모듈의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웰딩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접합면적을 확보하여 대전류의 고속 이동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파워모듈 100: 하우징
101: 안내리브 102: 걸림턱
103: 체결공 104: 지지공
200: 하부 세라믹기판 201: 세라믹 기재
202,203: 금속층 210: NTC 온도센서
220: 절연 스페이서 230: 인터커넥션 스페이서
300: 상부 세라믹기판 301: 세라믹 기재
302,302: 금속층 310: 커팅부
320: 쓰루홀 330: 비아홀
400: PCB 기판 401: 안내홈
410: 캐패시터 500: 방열판
501: 연통공 610: 제1 단자
620: 제2 단자 630: 지지볼트
700: 버스바 900: 연결핀
710,720: 레이저 웰딩 영역 730: 관통슬롯
G: 반도체 칩(GaN 칩)

Claims (14)

  1. 세라믹기재와 상기 세라믹기재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세라믹기판;
    상기 세라믹기판이 설치되며 양단에 단자가 배치된 하우징; 및
    상기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과 상기 단자를 면대 면으로 접합하여 연결하는 버스바;
    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구리 리본인 파워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측에 상기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고 반대편 타측에 상기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는 파워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이 상기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레이저 웰딩 영역에 비해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인 파워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굴곡진 구조로 된 파워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두께가 0.1mm~0.5mm 범위인 파워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제1 전극 패턴, 제2 전극 패턴 및 제3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단자와 제1 전극 패턴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전극 패턴을 연결하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전극 패턴을 연결하기 위한 3개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관통슬롯이 형성된 파워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측에 상기 단자와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1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고 반대편 타측에 상기 전극 패턴과 레이저로 접합되는 제2 레이저 웰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슬롯은 상기 제1 레이저 웰딩 영역과 상기 제2 레이저 웰딩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워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 파워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측에 비해 타측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고 굴곡지게 형성된 파워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중간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된 파워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와 상기 세라믹기판의 전극 패턴에 각각 레이저 웰딩으로 접합된 파워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웰딩은 지그재그 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파워모듈.
KR1020210060423A 2020-05-15 2021-05-11 파워모듈 KR20210141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8040 2020-05-15
KR1020200058040 2020-05-15
KR20200058041 2020-05-15
KR1020200058041 2020-05-15
KR1020200058420 2020-05-15
KR20200058420 2020-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371A true KR20210141371A (ko) 2021-11-23

Family

ID=7852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423A KR20210141371A (ko) 2020-05-15 2021-05-11 파워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41371A (ko)
WO (1) WO202123061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8B1 (ko) 2016-06-2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4528B2 (ja) * 2007-01-17 2012-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配線接合方法
KR100879757B1 (ko) * 2007-12-05 2009-01-21 원황희 편조선과 접지고정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선제조방법
KR20140135443A (ko) * 2013-05-16 2014-11-26 주식회사 케이이씨 반도체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반도체 모듈
KR102362724B1 (ko) * 2014-10-06 2022-02-14 주식회사 솔루엠 전력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6361821B2 (ja) * 2015-04-27 2018-07-25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58B1 (ko) 2016-06-2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17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908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9852968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ealing region
CN104170085A (zh) 半导体装置
CN108780792B (zh) 功率模块及其制造方法以及功率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US20230326827A1 (en) Powe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13663A (ko) 파워모듈
KR20220004437A (ko) 파워모듈
KR20220004442A (ko) 파워모듈
KR20210146809A (ko) 파워모듈
KR20220010180A (ko) 파워모듈
KR20220004440A (ko) 파워모듈
KR20220004445A (ko) 파워모듈
KR20220015220A (ko) 파워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1371A (ko) 파워모듈
KR20210141372A (ko) 파워모듈
KR20210141903A (ko) 파워모듈
KR20220005117A (ko) 파워모듈
KR20220010179A (ko) 파워모듈
KR20210141010A (ko) 파워모듈
KR20220003178A (ko) 세라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파워모듈
CN113161308A (zh) 功率模块
KR20220003804A (ko) 파워모듈
KR20220003802A (ko) 파워모듈
US20230275010A1 (en) Power module
US20230178910A1 (en) Powe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