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011A -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011A
KR20210141011A KR1020200058047A KR20200058047A KR20210141011A KR 20210141011 A KR20210141011 A KR 20210141011A KR 1020200058047 A KR1020200058047 A KR 1020200058047A KR 20200058047 A KR20200058047 A KR 20200058047A KR 20210141011 A KR20210141011 A KR 2021014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interlocking
wires
pairs
mai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민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민 filed Critical 김수민
Priority to KR102020005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011A/ko
Publication of KR2021014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65G17/1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and move in contact with a gui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65G17/365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having open bottom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2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with guiding means to remain in a load-carrying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을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일정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면 각각에는 상기한 복수의 걸림홈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되는 원형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의 반대 방향인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동휠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중간 및 상부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각각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 연동휠 및 복수의 상부 연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복수의 하부 연동휠 및 복수의 중간 연동휠과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베어링이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 복수의 하부 연동휠, 복수의 중간 연동휠,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와;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에 하나씩 형성된 채 복수의 고정브라켓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측 걸림봉 각각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물품적재판;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Automatic wire transfer device for managing plant storage and storage of goods, storage, import and export}
본 발명은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촌에서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부추, 대파 등 각종 식물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모종판이나 재배판을 상,하,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보관해 놓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물류 보관창고에 설치하여 일정기간 동안 저장 또는 보관하고자 하는 각종 물품을 효율적으로 반입하여 물품적재판에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물품적재판에 적층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자동으로 순차적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부추, 대파 등의 식물을 땅에서 재배하게 될 때에는 농업인은 식물의 씨앗을 심는 일에서부터 새싹이 자라난 식물을 가꾸는 모든 일을 담당하여야 하는데, 땅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가꾸기 위해서는 농업인은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밭고랑 사이를 왕복해야 하는 때문에 힘들고 많은 수고가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인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수경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선자세로 이동하면서 식물을 재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람이 이동하면서 식물을 재배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고와 힘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씨앗의 발아에서부터 육성시키는 재배과정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식물공장 등이 제안되어 특허 등록 제10-1136032호로 소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식물공장은 씨앗의 발아 과정에서부터 육성시키는 전 재배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므로 시설비가 비싸고 고급 인력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촌에서는 생산된 농산물을 저온창고 등에 일정기간 동안 저장 내지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생산된 농산물을 포장상자 또는 포장자루에 담아 상기 저온창고에 적층하게 되는데, 이때 포장된 농산물을 저온창고에 입고하여 적층하는 일이나 적층되어 있는 농산물을 반출하는 일 등을 사람이 직접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물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생산된 물품을 포장상자에 수납하여 보관창고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물품이 들어있는 포장상자를 상하로 적층시켜서 보관하게 되면 많은 갯수의 포장상자를 적층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포장상자를 보관창고 내부로 옮겨서 적층시키는 반입작업과 적층 보관된 포장상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꺼내는 반출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등록특허 제10-1136032호(2012. 04. 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 등에서 부추, 대파 등 식물을 재배할 때에는 식물의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한 모종판 또는 발아된 새싹을 재배하기 위한 다수의 재배틀을 상,하,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적층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방향을 향해 간헐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다수의 재배틀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을 동일한 온ㆍ습도 조건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비닐하우스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을 생산하여 저온창고 등에 일정기간 동안 보관하고자 할 때 생산된 농산물을 포장상자 및 포장자루에 담아 저온창고에 상,하,좌,우 일정 간격으로 차례대로 적층 보관하는 반입작업과, 적층 보관되어 있는 포장상자 및 포장자루를 하나씩 차례대로 꺼내는 반출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닥에 일정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면 각각에는 상기한 복수의 걸림홈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되는 원형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의 반대 방향인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동휠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중간 및 상부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각각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 연동휠 및 복수의 상부 연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복수의 하부 연동휠 및 복수의 중간 연동휠과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와;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베어링이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 복수의 하부 연동휠, 복수의 중간 연동휠,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와;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에 하나씩 형성된 채 양측 고정브라켓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측 걸림봉 각각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물품적재판;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는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 각각의 걸림봉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베어링의 구름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상부 연동휠, 상기 양측 중간 연동휠 및 상기 메인 구동휠과 하부 연동휠 각각의 사이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횡설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중상부 가이드레일, 중하부 가이드레일, 하부 가이드레일이 각각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이동기구는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관통하도록 하나씩 횡설되는 복수의 걸이봉과, 상기 복수의 걸이봉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중상부 가이드레일·중하부 가이드레일·하부 가이드레일 및 메인 구동휠과 복수의 연동휠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베어링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 각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날개에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가 각각 밀착 고정되도록 부착하는 복수의 와이어크램프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은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이동기구를 하나 내지 두개씩 건너뛰는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은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마주하도록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 중 서로 마주하는 일측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걸이봉 일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브라켓과, 상기 수직브라켓 각각의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브라켓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수평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촌에서는 와이어 자동이동장치를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하고 프레임 구조물의 상,중,하부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연동휠과 복수의 중간 연동휠 및 하부 연동휠과 메인 구동휠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적재판에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복수의 식물재배판을 상,하,좌,우로 배열 설치한 상태에서 각종 식물을 재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쌍의 와이어를 자동으로 간헐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작업자는 설정된 위치에 선자세로 정지해 있거나 앉아있는 자세에서 재배하고 있는 식물을 선별하여 수확할 수 있으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 씨앗의 파종작업 및 재배한 식물의 수확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는 각종 물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생산된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에 각종 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를 상,하,좌,우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물품적재판에 각각 하나씩 차례대로 적층시키면서 간헐 회전이동시키는 상태로 입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에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를 출고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를 자동으로 간헐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복수의 물품적재함 각각에 적층 보관하고 있는 포장상자를 차례대로 이동시켜 출고할 수 있으므로 각종 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들의 반입 및 반출 작업을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이동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상,중,하부에 배열 설치된 메인 구동휠, 하부 연동휠, 중간 연동휠, 상부 연동휠 및 복수쌍의 와이어의 연결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D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X-X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에 식물재배판 및 포장상자를 상,하 일정 간격으로 적층 배열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 및 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와 물품적재판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는 메인 구동휠 및 상,중,하부 연동휠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회전이동기구와 물품적재판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을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와이어 자동이동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는 지면 등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일정길이 및 일정높이를 형성하도록 ㄷ자형 찬넬, ㄴ자형 앵글, 사각형 파이프 등의 형강(形鋼)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물(2)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2)의 일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3a)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의 반대측에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 연동휠(3b)과 상기 메인 구동휠(3a) 및 하부 연동휠(3b)보다 높은 위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연동휠(3c-1)(3c-2) 및 상기 중간 연동휠(3c-1)(3c-2)보다 높은 위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는 프레임 구조물(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구동휠(3a), 하부 연동휠(3b), 중간 연동휠(3c-1)(3c-2),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가 한쌍을 이루는 구조로서 총 4가닥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의 프레임 구조물(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메인 구동휠(3a), 복수의 하부 연동휠(3b), 복수의 중간 연동휠(3c-1)(3c-2),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을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가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는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양측 고정브라켓(51)(52)과,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51)(52) 각각의 일단(도 6 참조)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날개(53)(54) 각각에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1가닥씩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와이어크램프(55)와,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51)(52) 각각의 사이사이에는 양단이 관통하도록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봉(56)과,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51)(52) 사이사이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의 걸림봉(56) 각각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한쌍씩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베어링(57)(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틀(7a)이나 각종 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상자(7b)를 적층 배열하기 위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적재판(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6) 각각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매달리는 상태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6)은 복수쌍의 와이어(4a)(4b)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양측 고정브라켓(51)(52)의 사이에 도 7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 고정브라켓(52)(52)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양측 걸림봉(56) 각각의 일단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브라켓(61)(62)과, 상기 수직브라켓(61)(62) 각각의 끝단(도면상 하단 참조)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평 날개(63)(64)와, 상기 수평날개(63)(64) 각각에 양단이 볼트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평지지판(6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물(2)의 하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2)의 하부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수평상태로 횡설되는 복수의 메인 회전축(31) 각각의 양단에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메인 회전축(31) 각각의 일단에는 모터(9)의 출력축에 형성된 출력체인기어(9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체인(92)으로 연결되는 구동체인기어(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구동휠(3a)은 모터(9)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은 구동체인기어(93)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회전축(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회전축(31)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에는 도 8의 (가)도시와 같이 그 주연부에 복수의 걸림홈(3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양면에는 복수의 걸림홈(33)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대칭상으로 형성되는 좁은 폭의 양측 원형테두리(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이 회전하게 되면 그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홈(33) 각각으로 복수쌍의 와이어(4)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걸림봉(56)이 차례대로 걸림되면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들과 같이 회전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 연동휠(3b), 복수의 중간 연동휠(3c-1)(3c-2), 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은 프레임 구조물(2)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축(부호 생략)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각각의 연동휠들 주연부에는 도 8의 (나)도시와 같이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형성된 양측 고정브라켓(51)(5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원형지지테두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연동휠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 원형지지테두리(35)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의 고정브라켓(51)(52) 각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봉(56)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양측 지지베어링(57)(58)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의 프레임 구조물(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 구동휠(3a)과, 하부 연동휠(3b), 중간 연동휠(3c-1)(3c-2),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은 무한궤도상으로 연결 설치된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지베어링(57)(58)들의 구름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는 프레임 구조물(2)의 상,중,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을 비롯하여 복수의 하부 연동휠(3b), 복수의 중간 연동휠(3c-1)(3c-2), 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와, 상기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은 수직상으로 매달린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물품적재판(6)에 적층되는 복수의 식물재배틀(7a) 또는 포장상자(7b)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가 밑으로 쳐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한 식물재배틀(7a) 또는 포장상자(7b)를 안전하게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물(2)에는 상,하 방향을 향해 다단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2)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다단상으로 수평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사이의 상부에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베어링(57)을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레일(8a)과, 상기 상부 연동휠(3d-1) 사이의 하부와 상기 중간 연동휠(3c-2)의 상부를 연결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베어링(57)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중상부 가이드레일(8b)과, 상기 중간 연동휠(3c-2)의 하부와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상부 및 상기 하부 연동휠(3b)의 상부와 상기 중간 연동휠(3c-1)의 하부 각각의 사이에 수평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가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복수의 지지베어링(57)이 수평상으로 구름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중하부 가이드레일(8c)과, 상기 메인 구동휠(3a)과 상기 하부 연동휠(3b) 각각의 하부 사이에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를 수평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레일(8d)이 상,하 방향을 향해 다단상으로 수평하게 횡설되어 있다.(도 1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를 농촌에서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의 좌측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물(2)에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고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1) 각각에 매달린 상태로 설되어 있는 물품적재판(6) 각각에 식물재배틀(7a)을 하나씩 적층시킨 상태로 배열 설치하고, 상기 물품적재판(6)에 하나씩 적층 배열되는 복수의 식물재배틀(7a)을 이용하여 각종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일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식물재배틀(7a)에 재배되고 있는 각종 식물에 물(수분)을 골고루 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식물재배틀(7a)에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및 상기 식물재배틀(7a)에서 재배된 식물을 수확하는 수확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설정된 위치에 선자세 또는 앉은 자세로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의 프레임 구조물(2)에 설치되는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자동으로 간헐적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씨앗의 파종작업 및 재배된 식물의 수확작업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를 각종 물품을 제조하는 공장에서는 각종 물품을 보관창고 등에 설치하여 생산된 각조 물품을 보관창고에 입고시킬 때도 6의 우측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적재판(6)에 포장상자(7b)를 하나씩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보관상자(7b)를 출고시킬 때에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자동으로 간헐적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복수의 물품적재판(6)에 하나씩 적층되어 있는 보관상자(7b)를 차례대로 출고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물품이 포장된 포장상자(7b)를 보관창고에 입고시키는 반입작업 및 출고시키는 반출작업을 자동으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는 프레임 구조물(2)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베어링(57)(58)들이 프레임 구조물(2)의 상,중,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을 비롯하여 하부 연동휠(3b), 중간 연동휠(3c-1)(3c-3), 상부 연동휠(3d-1)(3d-2) 및 상부 가이드레일(8a), 중상부 가이드레일(8b), 중하부 가이드레일(8c), 하부 가이드레일(8d)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구동휠(3a)은 모터(9)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9)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 2의 도시와 같이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메인 구동휠(3a)에 연결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이동기구(5)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봉(56)은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걸림홈(33)에 걸림되어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걸림봉(56)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베어링(57)(58)은 원형테두리(34)를 따라 구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중하부 가이드레일(8c)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상기 중하부 가이드레일(8c)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베어링(57)(58)이 중하부 가이드레일(8c)에 지지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면서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원형테두리(34) 상부로 진입하여 구름이동하게 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상부로 진입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지지베어링(57)(58)이 원형테두리(34)를 따라 회전하는 상태로 구름이동하여 메인 구동휠(3a)의 하부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하부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베어링(57)(58)은 상기 원형테두리(34)의 하부를 벗어나는 동시에 하부 가이드레일(8d)에 지지되는 상태로 구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8d)을 따라 회전이동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 각각은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밀착 고정시키는 양측 절곡날개(53)(54)가 걸이봉(56)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바르게 선 상태를 말함)로 구름이동하는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어서,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하부로 회전이동하여 하부 가이드레일(8d)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도 3의 하측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르게 선 상태로 하부 가이드레일(8d)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상태로 상기 하부 연동휠(3b)을 향해 수평상으로 구름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8d)을 수평상으로 구름이동하게 되는 회전이동기구(5)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8d)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된 상태로 회전이동하는 상태가 된다.(도 3의 하측부분 참조)
이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8d)을 따라 하부 연동휠(3b)의 하부를 향해 회전이동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기동기구(5) 각각은 걸림봉(56)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베어링(57)(58)이 상기 하부 연동휠(3b)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지지베어링(35)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연동휠(3b)의 상부로 구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연동휠(3b)의 하부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회전이동기구(5)는 상기 하부 연동휠(3b)의 상부에서 고정브라켓(51)(52)이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양측 절곡날개가 걸이봉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를 말함)가 되며(도 1 좌측부분 참조),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51)(52)이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하부 연동휠(3b)의 상부로 구름이동하게 되는 회전이동기구(5)는 뒤집힌 상태 그대로 중하부 가이드레일(8c)의 도면상 좌측단부를 따라 중간 연동휠(3c-1)의 하부를 향해 구름이동하게 된다.
상기 중하부 가이드레일(8c)의 좌측단부를 따라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구름이동하게 되는 회전이동기구(5)는 중간 연동휠(3c-1)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지지테두리(35)의 하부를 따라 상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부 연동휠(3d-1)을 향해 상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상부 연동휠(3d-1)의 원형지지테두리(35)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상부 연동휠(3d-1)에 형성된 원형지지테두리(35)를 따라 상부로 구름이동하게 되는 회전이동기구(5)는 고정브라켓(51)(52)이 거꾸로 뒤집힌 상태(도 4 참조)로 상부 가이드레일(8a)의 도면상 좌측단부를 따라 상부 연동휠(3d-2)을 향해 수평상으로 구름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8a)의 도면상 우측부분으로 구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상부 연동휠(3d-2)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연동휠(3d-2)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지지테두리(35)의 상부로 진입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고정브라켓(51)(52)이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진입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 회전이동기구(5)가 상부 연동휠(3d-2)의 하부로 구름이동함에 따 바르게 서는 상태가 되면서 지지베어링(57)(58)이 중상부 가이드레일(8b)을 따라 바르게 선 상태로 구름이동하게 된다.(도 1의 우측 상부 및 도 5, 도 7 참조)
상기 상부 연동휠(3d-2)의 하부를 벗어나 중상부 가이드레일(8b)의 도면상 우측단부를 따라 바르게 선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상기 중상부 가이드레일(8b)의 도면상 좌측단부에서 중간 연동휠(2c-2)에 형성된 원형지지테두리(35)의 상부로 구름이동한 후 하향을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될 때 고정브라켓(51)(52)이 다시 뒤집히는 상태가 되면서 상기 중하부 가이드레일(8c)을 따라 거꾸로 뒤집힌 채 구름이동하는 상태로 상기 메인 구동휠(3a)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도 3의 상측부분 참조)
따라서 상기 중하부 가이드레일(8c)을 따라 뒤집힌 채 구름이동하는 회전이동기구(5)는 고정브라켓(51)(52)이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지지베어링(57)(58)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봉(56)은 상기 메인 구동휠(3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3)에 차례대로 걸리게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가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회전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을 비롯하여 복수의 하부 연동휠(3b), 복수의 중간 연동휠(33-1)(3c-2), 복수의 상부 연동휠(3d-1)(3d-2) 각각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와 함께 메인 구동휠(3a)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이동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2)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회전이동시키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3a)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9)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서보모터(Servomotor)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간헐적 회전이동거리 및 간헐적 회전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를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등 설치할 경우, 각종 식물을 재배하는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물(2)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회전이동기구(5)에 매달린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적재판(6) 각각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는 모종판이나 일정 크기로 자란 새싹을 심어놓고 재배하는 식물재배틀(7a)을 하나씩 적층 배열해 놓는 방법으로 각종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의 프레임 구조물(2)에 살수관(미도시)을 설치하여 복수의 물품적재판(7a)에 적층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식물재배틀(7a)에 물을 살수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 놓은 복수의 물품재배판(6) 각각에 적층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식물재배틀(7a)에서 재배하고 있는 각종 식물에 물을 적당량씩 살수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물의 공급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물품적재판(7a) 각각에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물재배틀(7a)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선별적으로 관리 내지 수확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는 설정된 위치에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재배되는 식물을 선별적으로 관리 내지 수확하는 작업을 간편 신속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를 각종 물품을 제조하는 공장에 생산된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창고(미도시)에 설치해 놓은 경우에는 생산된 물품이 포장된 포장박스(7b)를 상기 와이어 자동이동장치(1)의 프레임 구조물(2)에 무한궤도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쌍의 와이어(4a)(4b)에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적재판(6) 각각에 보관상자(7b)를 하나씩 적층해 놓은 방법으로 복수의 보관상자(7b)를 차례대로 입고시킬 때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켜서 복수의 물품적재판(6) 각각에 보관상자(7b)를 하나씩 적층할 수 있으므로 보관상자(7b)를 보관창고에 입고시키는 반입작업을 간편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보관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상자(7b)를 차례대로 반출시킬 때에도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4a)(4b)를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보관상자(7b)를 차례대로 하나씩 출고하는 반출작업을 편리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와이어 자동이동장치 2 : 프레임 구조물
3a : 메인 구동휠 3b : 하부 연동휠
3c-1,3c-2 : 중간 연동휠 3d-1,3d-2 : 상부 연동휠
31 : 메인 회전축 33 : 걸림홈
34 : 원형테두리 35 : 원형지지테두리
4a,4b : 복수쌍의 와이어 5 : 회전이동기구
51,52 : 고정브라켓 53,54 : 절곡날개
55 : 와이어크램프 56 : 걸이봉
57,58 : 지지베어링 6 : 물품적재판
61,62 : 수직브라켓 63,64 : 수평날개
65 : 수평지지판 7a : 식물재배틀
7b : 포장상자 8a : 상부 가이드레일
8b : 중상부 가이드레일 8c : 중하부 가이드레일
8d : 하부 가이드레일 9 : 모터
91 : 출력체인기어 92 : 체인
93 : 구동체인기어

Claims (5)

  1. 바닥에 일정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면 각각에는 상기한 복수의 걸림홈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돌출되는 원형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의 반대 방향인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연동휠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중간 및 상부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주연부에는 각각 일정폭을 갖는 원형지지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 연동휠 및 복수의 상부 연동휠과;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과 복수의 하부 연동휠 및 복수의 중간 연동휠과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쌍의 와이어;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 채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베어링이 상기 복수의 메인 구동휠, 복수의 하부 연동휠, 복수의 중간 연동휠, 복수의 상부 연동휠 각각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와;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의 회전이동기구에 하나씩 형성된 채 양측 고정브라켓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측 걸림봉 각각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물품적재판;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는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 각각의 걸림봉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베어링의 구름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상부 연동휠, 상기 양측 중간 연동휠 및 상기 메인 구동휠과 하부 연동휠 각각의 사이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횡설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중상부 가이드레일, 중하부 가이드레일, 하부 가이드레일이 각각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이동기구는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관통하도록 하나씩 횡설되는 복수의 걸이봉과, 상기 복수의 걸이봉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중상부 가이드레일·중하부 가이드레일·하부 가이드레일 및 메인 구동휠과 복수의 연동휠을 따라 구름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베어링과,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의 일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날개에 상기 복수쌍의 와이어를 각각 밀착 고정시키도록 부착하는 복수의 와이어크램프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은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이동기구를 하나씩 내지 두개씩 건너뛰는 상태로 일정산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품적재판은 복수쌍의 와이어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마주하도록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이동기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 중 서로 마주하는 일측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걸이봉 일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브라켓과, 상기 수직브라켓 각각의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브라켓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수평지지판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KR1020200058047A 2020-05-15 2020-05-15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KR20210141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47A KR20210141011A (ko) 2020-05-15 2020-05-15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47A KR20210141011A (ko) 2020-05-15 2020-05-15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11A true KR20210141011A (ko) 2021-11-23

Family

ID=7869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47A KR20210141011A (ko) 2020-05-15 2020-05-15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10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32B1 (ko) 2011-07-20 2012-04-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32B1 (ko) 2011-07-20 2012-04-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JP6116546B2 (ja) 波状経路に沿って植物を育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7185113B2 (ja) トロリーコンベヤ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JPH03127919A (ja) トラフ移動型水耕栽培施設
KR20200055271A (ko) 버섯 재배 시설 및 시스템
KR102382163B1 (ko)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EP382645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apparatuses therefor
KR20210141011A (ko) 식물재배판 및 물품적재판의 보관, 반입, 반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와이어 자동 이동장치
WO2011067548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KR102090452B1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KR102125499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JPS6349025A (ja) 多段式移動回転栽培装置
KR101454162B1 (ko) 식물 재배시스템
KR102106087B1 (ko) 미래형 이동작업 시스템
KR20190068328A (ko) 생초 연속 재배장치
JP2668508B2 (ja) 果菜類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20130134223A (ko) 로터리 타입 다층 화분 농작물 재배장치
JPH0799852A (ja) 株間隔調整式搬送栽培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栽培パネル
JP3817870B2 (ja) 育苗施設
KR840002705Y1 (ko)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배장치
KR20230099699A (ko) 스마트 팜 시스템
CN116331853A (zh) 一种水泥场地育苗用摆盘装置及育苗方法
KR101314658B1 (ko) 양액 재배용 베드를 지지하는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