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009A -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 Google Patents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009A
KR20210141009A KR1020200058029A KR20200058029A KR20210141009A KR 20210141009 A KR20210141009 A KR 20210141009A KR 1020200058029 A KR1020200058029 A KR 1020200058029A KR 20200058029 A KR20200058029 A KR 20200058029A KR 20210141009 A KR20210141009 A KR 2021014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s
opening
transfer unit
measur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475B1 (ko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102020005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4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G01G13/006Container supply or discharge mech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20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screw conveyors in the weigh recepta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이송스크류 구동에 의해 저장탱크로부터 계량용기에 이송되는 분말 또는 입자 형태의 곡물을 계량하되, 임의설정량으로 수용되는 경우 계량용기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임의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장착되고, 입자 또는 분말 형태의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정역회전 가능한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저장탱크의 곡물을 배출관 바닥면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바닥면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바디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계량용기;
상기 계량용기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계량용기에 수용된 곡물을 계량하되, 곡물이 임의설정값으로 채워질 경우 상기 개폐판을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제2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a grain scale machine}
본 명세서는 곡물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스크류 구동에 의해 계량용기에 이송되는 분말 또는 입자 형태의 곡물을 계량하되, 임의설정량으로 채워지는 경우 계량용기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각종 양념류 또는 밀가루 등의 분말을 계량하는 종래의 계량장치는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호퍼를 통해 공급된 재료를 배출하여 호퍼 하부에 구비된 진동피더의 진동에 의해 1차적으로 대용량, 즉 총계량 중량의 95%가 공급이 되면 배출버킷의 하부에 장착된 로드셀의 전기적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될 경우 진동피더의 속도를 감소시켜 나머지 5%의 소용량을 공급하고, 소망하는 100%의 중량이 되면 진동피더의 동작이 정지하며 배출버킷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수단인 배출 게이트가 개방되며 배출되도록 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전술한 배출버킷에서 배출하는 동안에는 진동피더의 동작이 정지되어 공급 작업이 중단되고, 또한 배출이 완료되고 95%의 대용량 충진과 5%의 미세 충진으로 다시 충진하기 위한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하루에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많은 작업시간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99735호에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저장탱크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계량용기에 이송(feeding)되는 분말 또는 입자 형태의 곡물을 로드셀에 의해 임의설정량 계량할 경우, 저장탱크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곡물 이송됨을 정지시키고 계량용기의 배출구를 개방시켜 곡물을 배출시키는 동작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분말형태의 곡물이 계량용기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누적될 경우, 계량용기를 분리시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임의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장착되고, 입자 또는 분말 형태의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정역회전 가능한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저장탱크의 곡물을 배출관 바닥면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바닥면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바디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계량용기;
상기 계량용기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계량용기에 수용된 곡물을 계량하되, 곡물이 임의설정값으로 채워질 경우 상기 개폐판을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제2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저장탱크로부터 계량용기에 이송되는 분말 또는 입자 형태의 곡물을 로드셀에 의해 임의설정량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배출시킴에 따라 계량오차가 거의 없는 곡물 계량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탱크로부터 곡물이 계량용기에 임의설정량 이송될 경우, 저장탱크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곡물 이송됨을 정지시키고 계량용기의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하여 반복되는 작업 싸이클타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분말형태의 곡물이 계량용기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누적될 경우 계량용기를 곡물 저장 및 이송부로부터 분리시켜 청결하게 세척함에 따라 위생성 및 계량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계량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 계량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계량기에서, 계량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5(a,b)는 도 1에 도시된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의 개폐판 개폐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a,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10);
베이스(10)에 장착되고, 임의높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11);
포스트(11) 상단에 장착되고, 입자(일 예로서, 좁살 등) 또는 분말(일 예로서, 밀가루 등) 형태의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2)와, 정역회전(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 가능한 제1 구동모터(13)(일 예로서, 3개가 설치됨)에 의해 회전시 저장탱크(12)의 곡물을 배출관(16a)(일 예로서, 3개가 설치됨) 바닥면의 배출구(14)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5)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17)와, 바디(17)의 바닥면 배출구(18)를 개폐시키도록 바디(17)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개폐판(19)(일 예로서, 3개가 설치됨)을 포함하는 계량용기(20)(일 예로서, 3개가 설치됨);
계량용기(20) 일측에 장착되고, 계량용기(20)에 수용된 곡물을 계량하되, 곡물이 임의설정값으로 채워질 경우 개폐판(19)을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도록 정역회전(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 가능한 제2 구동모터(21)를 제어하기 위해 검출신호를 마이콤(미 도시됨)에 전송하는 로드셀(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계량용기(20)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전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안착홈(23)이 형성되는 고정판(24);
바디(17)의 외측면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안착홈(23)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핀(25)과,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26)이 임의위치에 대향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판(27);
제2 구동모터(21)에 연결되어 캠운동하는 캠(28)의 압착핀(29)에 의해 압착시 가이드홈(26)을 따라 원운동하는 회동핀(30) 양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바디(17)의 좌우 외측면에 중간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제2 구동모터(21)의 구동으로 원운동하는 압착핀(29)에 의해 회동핀(30)을 압착시킴에 따라 회동될 경우 개폐판(19)을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개방핀(31)이 타단에 형성되는 레버(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원운동하는 압착핀(29)이 설정된 임의위치에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압착핀(29)을 가압하는 외력을 제거시켜 개폐판(19)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바디(17) 바닥면의 배출구(18)를 폐쇄시키도록 제2 구동모터(21)에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역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33)(일 예로서, 근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4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에 곡물 투입시 튀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퍼 이고, 35는 포스트(11) 일측에 장착되고, 제1,2 구동모터(13,21)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파워버튼 등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35a)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a,b)에서와 같이, 입자 또는 분말 형태의 곡물을 저장탱크(12)에 투입시킬 경우 계량용기(20)의 개폐판(19)은 닫힌(closed)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5a 참조).
이때, 전술한 바디(17)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된 레버(32) 일단에 형성된 회동핀(30)은 측판(27)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26)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도 4 및 도 5a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량의 곡물이 저장탱크(12)에 투입될 경우, 제1 구동모터(13)에 연결된 이송스크류(15)의 회전에 의해 저장탱크(12)의 곡물을 배출관(16a)을 따라 이동시켜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14)를 통해 계량용기(20)에 투하시킨다.
임의량의 곡물이 계량용기(20)에 투하될 경우, 계량용기(20) 일측에 장착된 로드셀(22)에 의해 수용되는 곡물 하중을 계량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로드셀(22)에 의해 계량되는 계량용기(20)의 곡물 하중은 미리 측정한 계량용기(20)의 하중을 제외한 하중으로 산출될 수 있도록 영점 조정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계량용기(20)에 채워지는 곡물 하중이 설정된 임의설정값에 도달될 경우 로드셀(22)에 의해 계량된 하중신호가 마이콤에 전송된다. 이때 로드셀(22)에 의해 계량용기(20)의 곡물 하중을 계량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로 인해, 마이콤에서 제1 구동모터(13)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1 구동모터(13)에 연결된 이송스크류(15) 회전을 정지시킴에 따라 저장탱크(12)에서 계량용기(20)로 곡물 이송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마이콤에서 제2 구동모터(21)에 의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2 구동모터(21)에 연결된 캠(28)을 회전시키게 된다.
캠(28)의 캠운동시 일측면에 형성된 압착핀(29)에 의해 레버(32) 일단에 형성된 회동핀(30)을 가압하게 되므로, 회동핀(30)은 측판(27)에 형성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26)의 궤적을 따라 하강되어 가이드홈(26)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도 5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핀(30)이 가이드홈(26)의 궤적을 따라 원운동할 경우, 바디(17)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된 레버(32)를 이의 힌지핀(32a)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 인해, 전술한 레버(32) 타단에 형성된 개방핀(31)에 의해 개폐판(19)의 스토퍼(19a)를 바디(17) 외측면의 힌지핀(19b)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게 됨에 따라 계량용기(20)의 개폐판(19)을 회동시켜 바디(17)의 배출구(18)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계량용기(20)에 투하된 설정량의 곡물을 배출구(18)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된 설정량의 곡물을 포장용기(그릇 등)에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후속공정에서 포장지(미 도시됨)에 담아 포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구동모터(21)의 구동시 연동되는 레버(32)의 회동됨에 의해 개폐판(19)을 들어올려 바디(17)의 배출구(18)를 개방시킬 경우,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바닥면에 장착된 감지센서(33)에 의해 캠(28)의 압착핀(29)이 설정된 임의위치에 이동됨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압착핀(29)이 설정위치에 이동됨에 따라 개폐판(19)이 개방위치로 전환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3)의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감지센서(33)에 의한 감지신호가 마이콤에 인가될 경우, 마이콤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2 구동모터(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압착핀(29)에 의해 회동핀(30)을 가압한 외력이 제거된다.
이로 인해, 바디(17)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된 개폐판(19)은 이의 자중에 의해 힌지핀(19b)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개폐판(19)의 스토퍼(19a)에 의해 레버(32) 타단에 형성된 개방핀(31)을 가압하게 되므로 레버(32)를 이의 힌지핀(32a)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32) 일단에 형성된 회동핀(30)을 가이드홈(26)의 궤적을 따라 초기의 상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폐판(19)의 회동됨에 의해 바디(17)의 배출구(18)를 닫힘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곡물 계량기의 1싸이클의 작업공정이 종료된다.
한편, 분말 형태의 곡물이 저장탱크(12)에 투입된 후 이송스크류(15) 회전에 의해 배출구(14)를 통과하여 계량용기(20)에 투하된 후, 개폐판(19)이 개방상태로 회동될 경우 바디(17)의 배출구(18)를 통해 임의설정량으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경우, 곡물 일부가 계량용기(20)의 바디(17) 내측면에 달라붙어 누적될 수 있다.
이때, 계량용기(20)를 이의 측판(27)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고정핀(25)을 이와 대응되게 곡물 저장 및 이송부(16)의 고정판(24)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안착홈(23)으로부터 원터치형태로 분리시킨 후, 계량용기(20)의 바디(17) 내측면을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위생성을 확보하고, 곡물의 정확한 계량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base)
11; 포스트(post)
12; 저장탱크
13; 제1 구동모터
14; 배출구
15; 이송스스크류
16; 곡물 저장 및 이송부
17; 바디(body)
18; 배출구
19; 개폐판
20; 계량용기
21; 제2 구동모터
22; 로드셀(road cell)
23; 안착홈
24; 고정판
25; 고정핀
26; 가이드홈
27; 측판
28; 캠(cam)
29; 압착핀
30; 회동핀
31; 개방핀
32; 레버(lever)
33; 감지센서

Claims (3)

  1.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에 적용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임의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장착되고, 입자 또는 분말 형태의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정역회전 가능한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 상기 저장탱크의 곡물을 배출관 바닥면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곡물 저장 및 이송부;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바닥면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바디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계량용기;
    상기 계량용기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계량용기에 수용된 곡물을 계량하되, 곡물이 임의설정값으로 채워질 경우 상기 개폐판을 개방상태로 회동시키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제2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용기는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의 전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안착홈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핀과,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이 임의위치에 대향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판;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캠운동하는 캠의 압착핀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원운동하는 회동핀 양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좌우 외측면에 중간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원운동하는 상기 압착핀에 의해 상기 회동핀을 압착시킴에 따라 회동될 경우 상기 개폐판을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개방핀이 타단에 형성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 및 이송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원운동하는 상기 압착핀이 임의위치에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상기 압착핀을 가압하는 외력을 제거시켜 상기 개폐판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바디 바닥면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역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KR1020200058029A 2020-05-15 2020-05-15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KR10234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29A KR102348475B1 (ko) 2020-05-15 2020-05-15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29A KR102348475B1 (ko) 2020-05-15 2020-05-15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09A true KR20210141009A (ko) 2021-11-23
KR102348475B1 KR102348475B1 (ko) 2022-01-07

Family

ID=7869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29A KR102348475B1 (ko) 2020-05-15 2020-05-15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4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91B1 (ko) * 2013-07-31 2014-08-18 안태완 습식 혼합사료 계량 공급장치
KR20150111155A (ko) * 2014-03-25 2015-10-05 동한테크(주)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곡물 계량장치
JP2017015469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イシダ ホッパゲートの開閉機構と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91B1 (ko) * 2013-07-31 2014-08-18 안태완 습식 혼합사료 계량 공급장치
KR20150111155A (ko) * 2014-03-25 2015-10-05 동한테크(주)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곡물 계량장치
JP2017015469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イシダ ホッパゲートの開閉機構と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475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2367U (ja) スティック包装機
KR101456223B1 (ko) 자동 계량장치
EP0878695A2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measuring weight of powdery, granular or flaky material while feeding the same
KR102348475B1 (ko)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CN114509144A (zh) 连续送料计量系统及其控制方法
JP7062421B2 (ja) 混合物充填装置及び混合物充填方法
EP0181738B1 (en) Flow control apparatus
CN110589039A (zh) 一种变量给料装置及具有该变量给料装置的定量包装机
EP1768904B1 (en) Filling apparatus
CN208515881U (zh) 一种集成化配料称重包装线
CN216954800U (zh) 一种连续送料计量系统
CN215794590U (zh) 称重式螺杆充填包装机
CN210822857U (zh) 一种变量给料装置及具有该变量给料装置的定量包装机
KR101086958B1 (ko) 농산물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CN114715451A (zh) 一种粮食存储仓用自动称重计量装置
CN208585430U (zh) 一种打包秤及装置
CN1034895A (zh) 粉末或颗粒物自动装袋称量装置
EP0744597A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eeding of flowing material to a scale
RU24395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0324573B1 (ko) 고속,고정도계량기
CN214875731U (zh) 一种包装机量杯装置
WO2000073748A1 (fr) Mecanisme de distribution d'objets peses et dispositif de pesee
JPS63117821A (ja) 粉粒体の計量充填装置
CN216509237U (zh) 一种自动计量饲料包装设备
KR200398281Y1 (ko) 분말 자동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