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869A -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869A
KR20210140869A KR1020200057512A KR20200057512A KR20210140869A KR 20210140869 A KR20210140869 A KR 20210140869A KR 1020200057512 A KR1020200057512 A KR 1020200057512A KR 20200057512 A KR20200057512 A KR 20200057512A KR 20210140869 A KR20210140869 A KR 2021014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guide
cover
guide body
seedling trans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수
Original Assignee
주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수 filed Critical 주진수
Priority to KR102020005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0869A/ko
Publication of KR2021014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 가이드는 전체적인 형상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에 세로 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모종의 손상 없이 모종 이식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Seedling transplanting guider and 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종의 손상 없이 모종 이식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키울 때에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농작물의 원활한 발육과 생장을 위하여 씨앗을 모판이나 포트에 먼저 심어 싹이 어느정도 크기로 성장한 후 밭으로 이식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모종을 이식하는 작업은 과거에는 작업자가 호미 등을 이용해 하나하나 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모종 이식 전용장치가 개발되어 모종 이식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넓고 평평한 경작지에서는 승용형의 모종 이식 장치를 이용해 모종 이식 작업을 진행할 수 있지만, 좁거나 경사진 경작지에서는 승용형의 모종 이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아 휴대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모종 이식 장치를 사용한다.
휴대 가능한 모종 이식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개번호 제10-2017-0025577호의 '다기능 휴대형 모종 이식장치'가 있다. 상기 모종 이식장치는 모종이식본체(30)의 내부에 모종을 넣은 상태에서 모종이식본체(30)의 하단부를 이랑(43)에 삽입한 후 모종이식본체(30) 하단부의 제1쐐기편(33)과 제2쐐기편(34)을 벌려 모종이식본체(30)의 하단이 개방되면 이랑(43)의 홈에 모종이 안착되게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즉, 상기 모종 이식장치로 모종 이식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모종이식본체(3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제1쐐기편(33)과 제2쐐기편(34)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필요하고,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장치를 구성해주어야 하므로 장치를 경량화·소형화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
KR 10-2017-0025577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동작을 단순화하여 모종 이식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장치를 보다 단순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에 세로 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힌지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는 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면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타단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핸들; 및 상기 커버를 닫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와 나란한 통과홀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과홀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가 돌출된 방향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의 벽체 외면과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 본체 내에 모종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커버를 여는 속도보다 닫는 속도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절개부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 개폐부재는 수평한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힌지 결합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벽체 외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소정 각도 내에서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 본체 대비 비중량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면은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면 중 힌지 결합부 반대측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셔블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모종 이식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적인 형상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및 상기 모종 이식 가이드를 소정 높이에 고정한 상태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에 의하면, 단순한 동작에 의해 모종의 손상 없이 모종 이식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종 이식 가이드는 동작이 단순하므로 장치를 경량화 및 소형화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는 2개 이상의 모종 이식 가이드를 구비하여,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여러 이랑에 대해 동시에 모종 이식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다기능 휴대형 모종 이식장치'에 관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를 이용하여 모종 이식작업을 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를 구성하는 조절수단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를 구성하는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를 구성하는 커버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를 구성하는 경사 컨베이어에 관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를 구성하는 안착 가이드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는 가이드 본체(11), 커버(12) 및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본체(11)는 전체적인 형상이 짧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공간을 갖는다. 가이드 본체(11)의 벽체에는 세로 방향으로 절개부(11a)가 형성된다. 절개부(11a)는 가이드 본체(11)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커버(12)는 가이드 본체(11)의 하단면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에 힌지 결합한다. 커버(12)의 가이드 본체(11)에 대한 개폐 각도에 따라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은 커버(12)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커버(12)의 힌지 결합부는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에서 절개부(11a)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조절수단은 가이드 본체(11)에 대한 커버(12)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절수단은 커버(12)가 열리는 방향으로 커버(12)에 힘을 가하거나 커버(12)가 닫히는 방향으로 커버(12)에 힘을 가한다. 조절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모종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용해 모종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랑의 모종 이식 위치로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본체(11)에 모종(S)을 삽입한다. 모종(S)이 가이드 본체(11) 내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는 커버(12)가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한다.
그 후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수단을 동작시켜 모종(S)이 가이드 본체(11)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커버(12)를 회전시킨다. 커버(12)가 개방되면서 커버(12)의 힌지 결합부 반대측 단부는 이랑의 상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이랑에 이식홈(G)을 형성하고, 모종은 개방된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통과하여 이식홈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다음 모종 이식 위치로 수평하게 이동시킨다. 모종 이식 가이드(10)가 수평하게 이동하더라도 가이드 본체(11)의 벽체에는 절개부(1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종이 절개부(11a)를 통과하여 손상 없이 가이드 본체(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면서 조절수단에 의해 커버(12)가 닫히도록 하면, 커버(12)에 의해 밀렸났던 흙은 모종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12)가 완전히 닫히면 가이드 본체(11) 내에 다시 모종을 삽입하고 다음 위치에서 모종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에 의하면, 커버(12)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이랑에 이식홈을 형성하고 이식홈 내에 모종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간격마다 조절수단을 동작시켜 거의 연속적으로 모종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에 의하면 장치를 아래로 이동시켜 이랑에 이식홈을 형성하고 장치의 하단을 개방하여 이식홈에 모종이 안착되도록 한 후 장치를 위로 들어올려 장치로부터 모종이 이탈하게 함으로써 한 번의 모종 이식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용하여서는 보다 수월하게 모종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는 동작이 단순하므로 장치를 경량화 및 소형화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는 형성하여야 할 이식홈의 깊이 또는 모종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모종 이식 가이드(10)로 형성하는 이식홈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커버(12)의 직경만을 조절할 수도 있고, 커버(12)와 가이드 본체(11)의 직경을 조절할 수도 있다.
조절수단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13a), 핸들(13b) 및 스프링(1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13a)는 일단이 커버(12)에 고정되며 장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13a)는 예를 들어, 커버(12)의 하면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힌지 결합부를 거쳐 가이드 본체(11)의 상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와이어(13a)에 장력이 가해지면 커버(12)는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와이어(13a)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 커버(12)를 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면, 와이어(13a)의 일단은 커버(12)의 하면 중앙부 외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핸들(13b)은 와이어(13a)의 타단과 연결되어 와이어(13a)를 타단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즉, 핸들(13b)을 동작시키면 와이어(13a)에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핸들(13b)은 가이드 본체(11)에 대하여 고정되되 별도의 연결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13c)은 커버(12)를 닫는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서, 커버(12)를 열 때에는 와이어(13a)에 스프링(13c)의 탄성력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핸들(13b)을 동작시킴으로써 커버(12)를 열 수 있고, 핸들(13b)을 놓아 와이어(13a)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스프링(13c)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12)가 닫힐 수 있게 된다. 스프링(13c)은 가이드 본체(11)와 커버(12)의 힌지 결합부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일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11)의 벽체 내측면과 커버(12)의 상면을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일 수도 있다. 스프링(13c)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커버(12)를 닫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면 위치와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스프링(13c)은 커버(12)를 서서히 닫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2)가 빠르게 닫혀 모종(S)을 손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3c)의 탄성력은 커버(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보다 약간만 크게 함으로써 커버(12)가 서서히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조절수단이 와이어(13a), 핸들(13b) 및 스프링(13c)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12)의 하면에는 와이어 고정부(12d)가 형성되고 와이어(13b)의 일단에는 걸림부(E)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2d)는 커버(12)의 하면 중앙부에 위치하고, 와이어(13a)가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통과홀(H)을 구비한다. 그리고 걸림부(E)는 와이어(13a)의 일단에 구비되며, 통과홀(H)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조절수단은 와이어(13a)의 일단을 와이어 고정부(12d)의 통과홀(H)에 통과킨 후 와이어(13a)의 일단에 걸림부(E)를 용접 접합함으로써 구부리기 쉽지 않은 와이어(13a)를 구부리지 않고도 커버(12)에 고정해줄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2d)는 와이어(13a)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통과홀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 와이어(13a)는 통과홀을 통과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커버(12)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2d)는 커버(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이때 통과홀(H)은 와이어 고정부(12d)가 돌출된 방향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3a)의 일단부가 커버(12)의 하면에서 아래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커버(12)가 닫혀있는 경우에도 가이드 본체(11)와 커버(12)의 힌지 결합부를 거치면서 꺾이는 와이어(13a)의 꺾인 각도가 크지 않으며, 따라서 핸들(13b)을 동작시켰을 때 와이어(13a)가 힌지 결합부와 크게 마찰하지 않고 와이어(13a)의 타단 방향으로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11)의 벽체 외면과 커버(12)의 하면에는 와이어 통로부(11b, 12b)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통로부(11b, 12b)는 와이어(13a)가 지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와이어(13a)가 와이어 통로부(11b, 12b)를 통과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3a)가 작업시의 외력에 의해 배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꼬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와이어 통로부(11b, 12b)는 가이드 본체(11)의 외면에서 커버(12)와의 힌지 결합부 상부로 가이드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커버(12)의 하면에서 와이어(13a)의 일단이 결합되는 부분과 힌지 결합부 사이에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통로부(11b, 12b)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13a)가 지나는 경로 상에서 연속되게 형성되지 않고 와이어(13a)가 지나는 경로 상에서 이격 배치된 다수 개의 짧은 토막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짧은 토막 형상의 부재에는 와이어(13a)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어 통로부는 가이드 본체(11)가 커버(12)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에도 형성되어, 와이어(13a)가 힌지 결합부를 구성하는 힌지 핀과 마찰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힌지 핀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13b)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나,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핸들(13b)이 자동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도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핸들(13b)은 자동 제어 수단에 의해 일정한 시간마다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조절수단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13d), 연결 로드(13e) 및 왕복 핸들(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샤프트(13d)는 커버(12)의 상면에서 힌지 결합축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연결 로드(13e)는 일단부가 샤프트(13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연결 로드(13e)는 가이드 본체(11)의 벽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왕복 핸들은 샤프트(13d)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왕복 운동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수단은, 왕복 핸들을 조작함에 의해 연결 로드(13e)가 샤프트(13d)를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커버(12)를 개폐하게 된다.
조절수단은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가이드 본체(11) 내에 모종이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커버(12)의 개폐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센서에 의해 가이드 본체(11) 내에 모종이 삽입된 것이 확인되면 커버(12)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로는 예를 들어, 비젼 센서나 접촉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센서는 조절수단이 자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핸들(13b)을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2)의 하면에서 힌지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는 날(12a)이 형성될 수 있다.
날(12a)은 다수 개의 뾰족한 톱니를 가지는 톱날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12)가 개방되면서 이랑의 상면에 이식홈을 형성할 때 이랑의 상면에 더 쉽게 파고들 수 있다. 또한, 이랑의 상면에 멀칭 비닐(V)이 덮여있는 경우에도 뾰족한 날(12a)로 멀칭 비닐을 쉽게 찢은 후 이식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2)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블부(1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셔블부(12c)는 커버(12)의 상면 중 힌지 결합부 반대측 테두리를 따라서 커버(12)의 상면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셔블부(12c)는 모종이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통과하여 이식홈에 안착된 후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다음 모종 이식 위치로 수평하게 이동시키면서 커버(12)가 닫힐 때, 보다 많은 양의 흙을 모종이 심어진 이식홈 측으로 밀어내어 모종의 뿌리 부분이 흙 내에 보다 확실하게 묻히게 함으로써 모종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본체(11)의 하단면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본체(11)의 하단면은 가이드 본체(11)의 축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 본체(11)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12) 또한 가이드 본체(11)의 하단면 형상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본체(11)의 축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원형일 때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본체(11)의 하단면은 타원형이 되며, 이러한 하단면의 장축은 가이드 본체(11)의 축방향과 수직한 단면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길게 형성된 커버(12)는 이랑의 상면에 이식홈을 더 깊게 형성할 수 있어, 모종의 뿌리 부분이 흙 내에 충분히 깊게 안착될 수 있다.
커버(12)는 가이드 본체(11)의 축방향과 수직한 단면보다 더 길게 형성되지만 가이드 본체(11)의 벽체 외부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커버(12)의 장축이 커버(12)의 힌지 결합축과 수직을 이루어 커버(12)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 본체(11) 하단면의 경사 방향은 커버(12)의 힌지 결합축과 수직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커버(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부의 반대 방향에서 가이드 본체(11)의 벽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는 힌지 결합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랑의 상면에 이식홈을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랑의 상면이 완벽하게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는 이유로 커버(12)가 닫혔을 때 커버(12)와 이랑의 상면이 닿지 않도록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랑의 상면에서 약간 이격시킨 상태에서 모종 이식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커버(12)가 길게 형성되면 커버(12)와 이랑의 상면 사이에 간격이 있더라도 이랑의 상면에 충분히 깊은 이식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2)는 가이드 본체(11)에 대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하여야 할 이식홈의 깊이에 따라 가이드 본체(11)에 서로 다른 크기의 커버(1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조절수단은 커버(12)의 여는 속도보다 닫는 속도가 더 작도록 커버(12)의 개폐를 조절해줄 수 있다.
커버(12)가 빠르게 열리면 이랑 상면의 멀칭 비닐을 쉽게 찢을 수 있고 이식홈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12)가 천천히 닫히면 커버(12)가 빠르게 닫힘으로 인해 가이드 본체(11)를 빠져나가는 모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커버(12)가 너무 천천히 닫히는 경우에는 한 위치에 모종을 이식하고 다음 위치로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동시킬 때 커버(12)가 덜 닫혀 커버(12)의 날(12a)에 의해 멀칭 비닐이 손상될 수도 있으므로, 다음 위치로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모종 이식 가이드(10)가 위치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커버(12)가 닫힐 수 있도록 커버(12)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한다.
커버(12)가 천천히 닫히도록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조절수단에 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자동 제어 수단을 구비시키거나, 커버(12)를 닫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13c)과 함께 스무버를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커버(12)는 소정 각도 내에서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의 열리는 각도는 가이드 본체(11)의 하면과는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고 가이드 본체(12)의 벽체와는 1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2)가 너무 작은 각도로 열리어 이랑 상면에 이식홈이 너무 작게 형성되거나, 너무 큰 각도로 열리어 이랑 상면의 멀칭 비닐이 필요 이상으로 찢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2)는 가이드 본체(11) 대비 비중량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는 그 무게에 의해 이식홈을 형성할 때 이랑의 상면에 더 큰 힘을 가해줄 수 있으므로 이식홈을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멀칭 비닐을 보다 쉽게 찢을 수 있다.
가이드 본체(11)는 절개부 개폐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절개부 개폐부재는 절개부(11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또는 막대 형상 부재로서, 가이드 본체(11)의 벽체에 힌지 결합하여 각도에 따라 절개부를 개폐한다. 절개부 개폐부재의 힌지 결합축은 절개부의 연장 방향인 가이드 본체(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수평한 방향의 힘에 의해서는 회전하여 절개부(11a)를 개방하고, 경사 방향이나 세로 방향의 힘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아 절개부(11a)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종이 가이드 본체(11) 내에 위치하거나 가이드 본체(11)를 통과하여 이식홈 내에 삽입되는 중에 절개부(11a) 방향으로 기울어져 넘어지게 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모종이 이식홈 내에 완전히 안착된 후 모종 이식 가이드(10)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종이 절개부 개폐부재에 수평한 방향의 힘을 가할 때에는 열리어 가이드 본체(11) 내에서 이탈될 수 있다.
절개부 개폐부재는 절개부 개폐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에 의해 평소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1)의 단면은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본체(11)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가이드 본체(1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모종에 붙어있는 흙이 가이드 본체(11)의 내측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적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1)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는 가이드 본체(11)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인 경우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11)는 살빼기 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본체(11)의 벽체에 구조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구멍을 형성하거나 절개부(11a) 주변 벽체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하는 방법으로 살빼기를 하면, 가이드 본체(11)를 경량화시킬 수 있어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이용한 모종 이식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에 대해 설명하면서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설명시 언급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는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모종 이식 가이드(10) 복수 개와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한다. 도 10 등에서는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가 2개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서로 이격된 2개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모종 이식 장치(1)는 서로 나란한 두 이랑에 대해 모종 이식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여 작업의 효율을 더 높여줄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단순히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 가이드(10)와 모종을 운반하면서 각 모종 이식 가이드(10)에 모종을 하나씩 공급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20)의 몸체 역할을 하는 연결부재 프레임(21)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24)를 배치하여 모종 이식 장치(1)를 이동시키면서, 연결부재 프레임(21)의 좌우에 경사 컨베이어(22)와 가로 컨베이어(23)를 각각 배치하여 가로 컨베이어(23)의 아래에 위치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10)에 모종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종 이식 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중앙 부분에 수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모종 적치부(27)에 위치한 모종을 경사 컨베이어(22)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면 경사 컨베이어(22)가 작동하면서 모종이 경사 컨베이어(22)의 하단부까지 이동하고, 모종이 경사 컨베이어(22)의 하단부 끝까지 이동한 후에는 경사 컨베이어(22)의 하단부 아래에 위치한 가로 컨베이어(23) 위로 떨어진다. 가로 컨베이어(23)의 동작에 의해 모종은 가로 컨베이어(23)의 바깥측 단부 아래에 위치한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가이드 본체(11) 내로 떨어지고,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동작에 의해 이식홈 내에 안착된다.
이러한 모종 이식 장치(1)의 경사 컨베이어(22)와 가로 컨베이어(23)는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종 이식 장치(1)의 이동은 연결부재 프레임(21)의 후방에 배치된 핸들부(25)를 작업자가 직접 미는 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 등의 구동 장치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연결부재 프레임(21)의 상부에 배치된 태양전지판(26)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핸들(13b)은 연결부재(20)의 핸들부(25) 상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모종 이식 장치(1)를 이동시키면서 핸들(13b)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커버(12)를 동작시키는 핸들(13b)은 커버(12)와 가로 컨베이어(23)를 함께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커버(12)가 한번 열릴 때 가로 컨베이어(23)가 하나의 모종을 모종 이식 가이드(10)로 공급해줄 수 있는 만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모종 이식 장치(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로 컨베이어(23)는 서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이때 모종 이식 가이드(10)도 각 가로 컨베이어(2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로 컨베이어(23)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 장치(1)는 이랑의 간격에 맞추어 가로 컨베이어(23)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작업 조건에서 모종 이식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컨베이어(22)의 벨트 상에는 격자형의 칸막이(P)가 구비되어 종횡으로 다수 개의 모종 안착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종 안착 공간(A)에는 모종이 하나씩 안착되어 경사진 경사 컨베이어(22) 상에서 모종이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로 컨베이어(23)로 모종이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다.
경사 컨베이어(22)에 격자형의 칸막이(P)가 구비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 컨베이어(22)의 길이방향 칸막이 벽체에는 경사 컨베이어(2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임(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컨베이어(22)에 칸막이(P)가 구비되면 칸막이(P)의 높이에 의해 경사 컨베이어(22)에서 벨트의 두께가 커지게 되어 경사 컨베이어(22)의 양단부에 위치한 방향 전환부에서 벨트의 꺾임이 어려워질 수 있는데, 상기한 것과 같이 트임(B)을 형성하면 방향 전환부에서 트임(B)이 벌어지면서 경사 컨베이어(22)의 벨트가 원활하게 꺾일 수 있다.
가로 컨베이어(23)에도 칸막이(P)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로 컨베이어(23)의 칸막이(P)는 가로 컨베이어(23)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형성되어 가로 컨베이어(23)가 동작함에 의해 모종을 하나씩 모종 이식 가이드(10)로 공급해줄 수 있다. 가로 컨베이어(23)가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커버(12)를 동작시키는 핸들(13b)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커버(12)가 한번 열릴 때 가로 컨베이어(23)는 한칸씩 움직이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가로 컨베이어(23)에 있어서도 길이방향 칸막이 벽체에는 가로 컨베이어(2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임(B)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경사 컨베이어(22)의 칸막이 벽체에 트임(B)이 형성될 때, 경사 컨베이어(22)의 각 모종 안착 공간(A) 내에는 중량판(C)이 배치될 수 있다. 중량판(C)은 경사 컨베이어(22)의 폭방향과 나란한 칸막이 벽체 중 더 위에 위치하는 것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그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량판(C)은 해당 중량판(C)이 위치한 모종 안착 공간(A)이 경사 컨베이어(22)의 직선 구간에 위치할 때에는 칸막이 벽체들이 서로 나란한 상태로 위치하고 모종 안착 공간(A)을 모종의 뿌리에 달린 흙덩이가 채우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 벽체와 나란한 상태로 위치하지만, 모종 안착 공간(A)이 경사 컨베이어(22)의 방향 전환부에 들어서면 트임(B)이 벌어져 모종 안착 공간(A)이 넓어지게 되고 흙덩이와 중량판(C) 사이에 여유 공간이 생기면서 그 중량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중량판(C)은 모종 안착 공간(A) 내의 흙덩이를 밀어내어 모종이 가로 컨베이어(2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중량판(C)은 가로 컨베이어(23)의 칸막이 벽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는 안착 가이드(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가이드(28)는 가로 컨베이어(23)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세워진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착 가이드(28)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 컨베이어(23)의 모종 안착 공간(A)을 이탈한 모종(S)을 지지하여 모종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종 이식 가이드(10) 내에 모종이 세워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28)에서 가로 컨베이어(23) 방향의 면에는 다수 개의 롤러(D)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D)는 모종이 안착 가이드(28)를 따라 아래로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착 가이드는 경사 컨메이어(22)의 경사 아래방향 단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경사 컨베이어(22)에서 가로 컨베이어(23)로 공급되는 모종이 뒤집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모종 이식 장치(1)는 사람이 앞으로 미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뒤로 끄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모종 이식 장치(1)의 이동 방향에 따라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절개부(11a)는 앞 또는 뒤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종 이식 가이드(10)는 도 10 등에서와 같이 모종 이식 장치(1)에서핸들부(25)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핸들부(25)와 같은 방향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작업 중에 작업자가 모종 이식 작업의 진행 상태를 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종 이식 가이드(10)가 핸들부(25)와 같은 방향에 배치되면, 이에 맞추어 경사 컨베이어(23)의 경사 방향과 작동 방향, 그리고 가로 컨베이어(23)의 배치 위치를 변경해주어야 할 것이다.
형성하여야 할 이식홈의 깊이 또는 모종의 종류에 따라, 모종 이식 장치(1)에는 다른 크기의 모종 이식 가이드(10)가 장착될 수 있다.
모종 이식 장치(1)는 도 10 등에서와는 달리, 작업자가 어깨에 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의 모종 이식 가이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는 카운트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운트기는 경사 컨베이어(22)나 가로 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경사 컨베이어(22) 등이 회전하는 각도를 통해 이식된 모종의 개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컨베이어(23)에서 하나의 칸막이(P)가 회전하는 각도만큼 가로 컨베이어(23)가 회전한 것을 통해 모종 하나가 이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에서 바퀴(24)의 회전력의 경사 컨베이어(22), 가로 컨베이어(23) 또는 모종 이식 가이드(10)의 커버(12)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24)가 회전함에 의해 경사 컨베이어(22) 등이 함께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2)를 동작시키기 위한 핸들(13b)이 한번 동작할 때마다 가로 컨베이어(23)는 하나의 칸막이(P)만큼 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컨베이어(23)에 형성된 모든 칸막이(P)가 한번씩 회전할 때마다 경사 컨베이어(22)가 하나의 칸막이(P)만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로 컨베이어(23)의 각 칸막이(P)에 채워졌던 모종이 모두 이식되고 나면, 경사 컨베이어(22)가 동작하여 가로 컨베이어(23)의 각 칸막이(P)에 모종을 다시 공급해줄 수 있다.
경사 컨베이어(22)와 가로 컨베이어(23) 등의 연동 동작 제어는 기어와 같은 기계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사 컨베이어(22)의 칸막이(P)는 경사 컨베이어(22)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 컨베이어(22) 상의 칸막이(P)는 지면에 대해서는 거의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어, 칸막이(P) 내에서 모종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1)는 농약 살포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이때 농약 살포기는 커버(12)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2)가 열려 모종이 이식되고 난 후 곧바로 모종에 농약이 살포될 수 있다.
농약 살포기는 커버(12)를 동작하게 하는 와이어(13a)에 연결되어 커버(12)와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는 모종 이식 가이드와 이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종 이식 가이드는 상기했던 모종 이식 가이드(1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본체, 커버 및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가이드 본체에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했던 모종 이식 가이드(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는 모종 이식 가이드를 소정 높이에 고정한 상태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2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의 가이드 본체가 절개부 없이 전체 둘레 상에서 연속되는 벽체를 구비한다는 것 외에는 상기한 모종 이식 장치(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종 이식 장치는 이송부재의 이동에 따라 모종 이식 가이드가 소정 높이 상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중간중간에 조절수단으로 커버를 개방하여 이식홈을 형성하고 가이드 본체에 공급된 모종이 개방된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통과하여 이식홈 내에 안착되게 하는 방법으로 이식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모종 이식 가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커버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이식홈의 형성과 모종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모종 이식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종 이식 장치는 감자와 같이 싹이 크게 자라지 않은 모종을 심는데 이용되거나 씨앗을 심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모종 이식 장치
10 : 모종 이식 가이드 11 : 가이드 본체
11a : 절개부 11b : 와이어 통로부
12 : 커버 12a : 날
12b : 와이어 통로부 12c : 셔블부
12d : 와이어 고정부 13a : 와이어
13b : 핸들 13c : 스프링
20 : 연결부재

Claims (13)

  1. 전체적인 형상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에 세로 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힌지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는 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면은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타단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핸들; 및
    상기 커버를 닫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와이어와 나란한 통과홀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 본체 내에 모종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커버를 여는 속도보다 닫는 속도를 더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절개부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 개폐부재는 수평한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힌지 결합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벽체 외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소정 각도 내에서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의 단면은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12.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복수의 모종 이식 가이드; 및
    상기 복수의 모종 이식 가이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장치.
  13. 전체적인 형상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본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하단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모종 이식 가이드; 및
    상기 모종 이식 가이드를 소정 높이에 고정한 상태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 장치.
KR1020200057512A 2020-05-14 2020-05-14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KR20210140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12A KR20210140869A (ko) 2020-05-14 2020-05-14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12A KR20210140869A (ko) 2020-05-14 2020-05-14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869A true KR20210140869A (ko) 2021-11-23

Family

ID=7869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512A KR20210140869A (ko) 2020-05-14 2020-05-14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08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77A (ko) 2015-08-29 2017-03-08 윤영빈 다기능 휴대형 모종 이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77A (ko) 2015-08-29 2017-03-08 윤영빈 다기능 휴대형 모종 이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2758B (zh) 一种可选取块状农作物的种植施肥一体机
EP0569803B1 (en) Machine of the type placed on the ground for transplanting a series of potted seedlings
CN109068569A (zh) 用于相对于农田的农业植株进行定点施用的具有至少一个施用构件的机具和施用单元
KR101303756B1 (ko) 마늘 파종기
CN109220116B (zh) 一种全自动红薯秧苗移栽机
KR101746902B1 (ko) 점파식 파종기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어셈블리
KR101790094B1 (ko) 고구마순 삽식기
EP0266643A2 (en) Transplanting machine
KR100275634B1 (ko) 마늘 파종기
KR100318052B1 (ko) 마늘 파종기
JPH10127112A (ja) 移植機
US3815524A (en) Mulch pot planter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US5461994A (en) Seed drill planting assembly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KR20210140869A (ko) 모종 이식 가이드 및 모종 이식 장치
AU654039B2 (en) Improved cultivator
US3272159A (en) Farm implement for seeding
KR102296261B1 (ko) 모종 정식기
US2173771A (en) Ground preparing machine
CN210840575U (zh) 一种果园林地树下避让式打草松土机
KR100501407B1 (ko) 밭이랑 성형 및 비닐자동도포용 로터리
JP2012187081A (ja) 移植機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KR101241768B1 (ko) 파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종자 배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