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388A -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388A
KR20210138388A KR1020200056654A KR20200056654A KR20210138388A KR 20210138388 A KR20210138388 A KR 20210138388A KR 1020200056654 A KR1020200056654 A KR 1020200056654A KR 20200056654 A KR20200056654 A KR 20200056654A KR 20210138388 A KR20210138388 A KR 2021013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rt
lens
conductive
dispose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이상아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8388A/ko
Priority to CN202180035145.3A priority patent/CN115605792A/zh
Priority to EP21803973.3A priority patent/EP4152069A4/en
Priority to PCT/KR2021/005816 priority patent/WO2021230594A1/ko
Priority to JP2022569221A priority patent/JP2023526300A/ja
Priority to US17/925,196 priority patent/US20230194856A1/en
Publication of KR2021013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각각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한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특성 상, 자동차의 실내, 외 온도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분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겨울에는 영하 이하의 온도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라 카메라의 렌즈 및 글라스를 포함한 구성들에는 성에를 포함한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만족스런 촬영물이 획득되지 못하거나, 제품의 고장을 야기시킬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에 사용되는 차량용 카메라는 기온의 변화, 습도 등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렌즈 표면에 발생되는 성에(Fogging), 얼음(Icing)이 생성되어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 표면을 발열시키는 방식으로 De-Fogging, De-Icing 하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의 곡률에 의해 렌즈의 중심부가 아닌 렌즈의 주변부로의 전류밀도의 편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변부로의 전류밀도의 편중으로 인하여 렌즈 중심부의 De-Fogging, De-Icing을 위해 불필요한 전류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렌즈 표면의 성에(Fogging), 얼음(Icing) 등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De-fogging, De-icing을 통해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에 성에를 포함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 전류 밀도를 높여 렌즈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의 De-Fogging, De-Icing에 사용되는 전류의 최소화 및 De-Fogging, De-Icing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각각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부의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의 곡률과 상이하고, 상기 경계부의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곡률은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경계부 중 상기 제1도전부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주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와, 상기 주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주변부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1면과,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1면을 연결하는 상기 전극의 표면에서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2면을 연결하는 상기 전극의 상기 표면에서의 최단거리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은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 각각의 곡률은 상기 경계부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2도전부와 상기 제1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전극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는 제1항의 렌즈 모듈;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렌즈 아래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일단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타단은 홀더에 배치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평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중심부과 상기 제2도전부의 중심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단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단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2도전부를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중 상기 제1도전부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단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단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는 상기 제1도전부의 중심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중심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 최단 경로는 상기 전극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거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 표면의 성에(Fogging), 얼음(Icing) 등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De-fogging, De-icing을 통해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에 성에를 포함한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 전류 밀도를 높여 렌즈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De-Fogging, De-Icing에 사용되는 전류의 최소화 및 De-Fogging, De-Icing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전류 밀집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De-Icing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 따른 De-Icing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전류 밀집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De-Icing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 따른 De-Icing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30)는 홀더(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30)는 제1홀더(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30)는 제2홀더(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30)는 스페이서(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30)는 복수의 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130)는 스페이서(140)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렌즈(130)는 제1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복수의 렌즈(13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2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복수의 렌즈(130) 중 피사체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물체측을 향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중심부(210)와 주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1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210)의 곡률은 주변부(2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중심부(210)은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광축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플랜지부일 수 있다. 주변부(220)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부(22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변부(200) 중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을 평탄부라 이름할 수 있다. 주변부(220)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주변부(220)의 곡률은 중심부(210)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주변부(220)이 곡률은 '0'일 수 있다. 주변부(22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주변부(220)의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의 곡률은 '0'일 수 있다.
제1렌즈(200)는 경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230)는 중심부(210)와 주변부(220)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주변부(220)의 외측 가장자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계부(230)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 반경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과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 반경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반경과 다를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 반경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반경과 다를 수 있다. 경계부(230) 중 제1도전부(400)와 인접한 영역과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은 양면이 오목한 형상(biconcave shape)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230) 중 제2도전부(400)와 인접한 영역과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은 양면이 오목한 형상(biconcave shape)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계부(230) 중 제1도전부(400)와 인접한 영역과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은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계부(230) 중 제2도전부(400)와 인접한 영역과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은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제1도전부(40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과 이격될 수 있다. 경계부(23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제2도전부(50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전극(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300)은 제1렌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은 제1렌즈(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은 제1렌즈(200)의 중심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은 제1렌즈(200)의 주변부(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제1렌즈(200)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전극(300)은 제1렌즈(200)의 제2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300)은 제1렌즈(200)의 제1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00)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IZO(Indium Zinc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은 Metal mesh를 포함할 수 있다. Metal mesh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은 나노 와이어(Nano wire)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300)은 전도성 코팅면일 수 있다. 전극(300)은 전도성 코팅층일 수 있다. 전극(3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300)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전도막일 수 있다. 전극(300)은 ITO(Indium Tin Oxide) 코팅면일 수 있다. 전극(300)은 ITO(Indium Tin Oxide) 코팅층일 수 있다. 전극(300)은 전류가 공급될 경우 제1렌즈(200)의 표면을 발열시킬 수 있다. 전극(300)은 전류가 공급될 경우 제1렌즈(200)의 제2면을 발열시킬 수 있다. 전극(300)은 전류가 공급될 경우 제1렌즈(200)의 중심부(210)와 주변부(220)를 발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도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전극(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전극(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렌즈(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렌즈(200)의 제2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2도전부(500)와 중심부(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2도전부(500)를 바라보는 제1면(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420)은 렌즈(13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영역(420)은 제2영역(430)과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영역(420)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2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430)은 제1방향으로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영역(430)은 제1영역(420)과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영역(430)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1)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1)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3)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4)와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3)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면(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440)은 경계부(230)를 향할 수 있다. 제1면(440)은 경계부(230)를 향하여 볼록할 수 있다.
제1면(42210)은 제1-1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면(421)은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면(421)는 제1방향으로 제2도전부(500)의 제2-1면(521)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면(440)는 제1-2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면(422)은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면(422)은 제1방향으로 제2도전부(500)의 제2-2면(522)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1-1면(421)과 제1-2면(422)은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2면(422)은 제1-1면(421) 보다 경계부(2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1면(421)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1)는 제1도전부(400)의 제1-2면(422)과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1면(421)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1)는 제1도전부(400)의 제1-2면(422)과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제1-1면(421)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3)는 제1-1면(422)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4)와 상이할 수 있다. 제1-1면(421)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3)는 제1-1면(422)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경계부(230) 중 제1도전부(400)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로 휘어질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경계부(230) 중 제1도전부(400)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곡률은 경계부(23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은 경계부(23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부호는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부호와 반대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의 휘어진 방향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의 휘어진 방향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반경은 경계부(23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경계부(23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과 이격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2도전부(500)와 제1렌즈(20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렌즈(200)의 주변부(220)의 외측 가장자리(240)보다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2도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렌즈(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렌즈(200)의 제2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도전부(400)와 중심부(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도전부(400)를 바라보는 제2면(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3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520)은 렌즈(13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3영역(520)은 제4영역(530)과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영역(520)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4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530)은 제1방향으로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4영역(530)은 제3영역(520)과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영역(520)과 제4영역(530)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43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과 제1렌즈(200)의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2면(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면(540)은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면(540)은 경계부(230)를 향할 수 있다. 제2면(540)은 경계부(230)를 향하여 볼록할 수 있다.
제2면(540)은 제2-1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면(521)은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면(521)은 제1방향으로 제1도전부(400)의 제1-1면(421)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면(540)은 제2-2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면(522)은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면(522)은 제1방향으로 제1도전부(400)의 제1-2면(422)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1면(521)과 제2-2면(522)은 광축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2면(522)은 제2-1면(521) 보다 경계부(2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1면(521)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2-2면(522)과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제2-1면(521)과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도전부(500)의 제2-2면(522)과 경계부(230)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1면(521)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1면(522)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제2-1면(521)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2-1면(422)과 외측 가장자리(240)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경계부(230) 중 제2도전부(500)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로 휘어질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경계부(230) 중 제2도전부(500)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로 휘어질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곡률은 경계부(23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은 경계부(23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부호는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부호와 반대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의 휘어진 방향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의 휘어진 방향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반경은 경계부(23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경계부(23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은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의 곡률 반경의 곡률 중심과 이격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과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biconcave shape)를 가질 수 있다. 제2도전부(500)의 제2면(510)과 제1도전부(400)의 제1면(410)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도전부(400)와 제1렌즈(20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도전부(400)와 제1렌즈(200)의 광축 및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2도전부(500)는 제1렌즈(200)의 주변부(220)의 외측 가장자리(240)보다 제1렌즈(200)의 경계부(2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 사이의 전극(30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최단거리는 모든 영역에서 동일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단부와 제2도전부(500)의 단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d5)는 제1도전부(400)의 중심부와 제2도전부(500)의 중심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d6)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통전 최단 경로는 제1렌즈(200)의 주변부(220)의 적어도 일부와 제1렌즈(200)의 중심부(210) 영역을 지나는 최단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표면에서의 최단거리(d5)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표면에서의 최단거리(d6)와 같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최단거리(d5)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상기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최단거리(d6)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d5, d6)는 렌즈(200)의 주변부(220) 상에 배치되는 전극(300)의 영역과, 렌즈(200)의 중심부(210) 상에 배치되는 전극(300) 영역의 최단 거리를 합한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중심부과 제2도전부(500)의 중심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d8)는 제1도전부(400)의 단부와 제2도전부(500)의 단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d7)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최단 직선거리(d7, d8)는 전극(300)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아닐 수 있다. 즉, 제1도전부(400)의 중심부와 제2도전부(50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중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전부(400)의 단부와 제2도전부(500)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중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영역(420)과 제2도전부(500)의 제3영역(520)을 연결하는 최단 직선거리(d7)는 제1도전부(400)의 제2영역(430)과 제2도전부(500)의 제4영역(530)을 연결하는 최단 직선거리(d8)보다 클 수 있다.
제1도전부(400)의 제1-1면(421)과 제2도전부(500)의 제2-1면(521)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표면에서의 최단거리(d5)는 제1도전부(400)의 제1-2면(421)과 제2도전부(500)의 제2-2면(522)을 연결하는 전극(300)의 상기 표면에서의 최단거리(d6)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d5, d6)는 렌즈(200)의 주변부(220) 상에 배치되는 전극(300)의 영역과, 렌즈(200)의 중심부(210) 상에 배치되는 전극(300) 영역의 최단 거리를 합한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최단거리는 제1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 사이의 전극(300)의 표면 상의 최단거리는 저항이 가장 낮은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전류는 저항이 가장 낮은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 사이의 전극(300)의 표면 상의 최단거리로 편중되어 흐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렌즈(200)의 중심부(210)으로 전류가 밀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200)의 중심부(210)의 온도는 제1렌즈(200)의 주변부(220)의 온도보다 단시간에 상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심부(210)에 발생되는 Fogging, Icing의 제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의 x축은 시간(s)을 나타내고 y축은 온도(°C)를 나타내고, (a)는 제1렌즈의 시간당 온도를 나타낸 곡선이고, (b)는 제1렌즈의 중심부의 제2면의 시간당 온도를 나타낸 곡선이고, (c)는 제1렌즈의 중심부의 제1면의 시간당 온도를 나타낸 곡선이고, (d)는 제1렌즈의 주변부의 시간당 온도를 나타낸 곡선이고, (e)는 De-Icing 가능 구간을 나타내고, (f)는 De-Icing 불가능 구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의 렌즈 모듈은 20초까지 De-Icing구간인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15초까지 De-Icing구간으로 종래의 린즈 모듈보다 빠른 시간에 De-fogging, De-Icing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본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접착제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도전부(400)에 공급되는 전류는 ACF 본딩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다. 제1도전부(400)에 공급되는 전류는 ACF 본딩에 의해 제1도전부(400)에서 전극(300)을 향하는 정방향으로만 전달될 수 있다. 전류는 ACF 본딩에 의해 전극(300)으로부터 제1도전부(400)로의 역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에 공급되는 전류는 ACF 본딩에 의해 전극(300)으로 공급되고, 전극(300)에 공급되는 전류는 제2도전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류는 ACF 본딩에 의해 제2도전부(400)에서 전극(300)을 향하는 역방향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전극(300)과 마주보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부(400)는 제1도전부(40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도전부(400)는 제2도전부(40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각각 연성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의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1렌즈(20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1렌즈(130)는 제1면이 광축에서 볼록하고 제2면이 광축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제1렌즈(200)는 제1면이 광축에서 볼록하고 제2면이 광축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복수의 렌즈(13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2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복수의 렌즈(130) 중 피사체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물체측을 향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렌즈(200)의 제1면은 적어도 일부에서 볼록하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1렌즈(200)의 제2면은 적어도 일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200)는 중심부(210)와 주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1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210)의 곡률은 주변부(220)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중심부(210)은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광축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210)는 제1렌즈(200)의 제2면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중심부(2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플랜지부일 수 있다. 주변부(220)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부(22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변부(200) 중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을 평탄부라 이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주변부(220)는 제1렌즈(200)의 제1면에 형성되는 상면과, 제1렌즈(200)의 제2면에 형성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부(2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도전부(400)와 제2도전부(500)는 주변부(220)의 평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차량용 전방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사이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내부에는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의 내부에는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은 홀더(10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에는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홀에는 복수의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홀에는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홀에는 복수의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제1홀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110)는 후술할 제2홀더(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홀더(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는 제2홀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홀더(110)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홀더(110)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은 제1홀더(1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이 홀의 내부에는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의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의 내부에는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페이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40)는 복수의 렌즈(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40)는 복수의 렌즈(13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은 직경이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의 직경은 렌즈(130)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홀의 복수의 렌즈(130)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렌즈(200)가 배치되는 부분의 직경은 제1홀더(110)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홀더(100)는 제2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120)는 제1홀더(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120)는 제1홀더(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내부에는 제1홀더(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120)는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상판의 하면은 제1렌즈(2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는 제1렌즈(2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상판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상판의 홀의 직경은 제1렌즈(2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홀더(110)의 제1렌즈(200)가 배치되는 부분보다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측판은 제1홀더(110)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기판과 별도로 마련되는 추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기판의 일단은 기판에 배치되고 타단은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기판은 홀더(100)와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추가 기판은 렌즈 모듈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을 렌즈 모듈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130)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에 따르면, 제1렌즈(200)의 표면에 발생되는 성에(Fogging), 얼음(Icing) 등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 전류 밀도를 높여 제1렌즈(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200)의 표면의 De-Fogging, De-Icing에 사용되는 전류의 최소화 및 De-Fogging, De-Icing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각각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한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부의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의 곡률과 상이하고,
    상기 경계부의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과 마주보는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의 곡률과 상이한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곡률은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의 곡률과 상이한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한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경계부 중 상기 제1도전부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진 렌즈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주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와 상이한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와, 상기 주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제1렌즈의 상기 주변부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은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1면과,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2면을 포함하고,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1면을 연결하는 상기 전극의 표면에서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2도전부의 상기 제2-2면을 연결하는 상기 전극의 상기 표면에서의 최단거리와 같은 렌즈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은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는 렌즈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 각각의 곡률은 상기 경계부의 곡률과 상이한 렌즈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2도전부와 상기 제1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렌즈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렌즈인 렌즈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전극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렌즈 모듈.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는 제1항의 렌즈 모듈;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렌즈 아래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일단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타단은 홀더에 배치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6.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평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중심부과 상기 제2도전부의 중심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단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단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보다 작은 렌즈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2도전부를 바라보는 제1면을 포함하고,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1면과 제1-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1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는 상기 제1도전부의 상기 제1-2면과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사이의 최단 직선거리와 상이한 렌즈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부는 상기 제1렌즈의 상기 경계부 중 상기 제1도전부와 인접한 부분의 휘어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진 렌즈 모듈.
  19. 곡면을 포함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배치되는 제1도전부와 제2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와 상기 제2도전부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가 만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부의 단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단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는 상기 제1도전부의 중심부와 상기 제2도전부의 중심부 사이의 통전 최단 경로와 동일한 렌즈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최단 경로는 상기 전극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거리인 렌즈 모듈.
KR1020200056654A 2020-05-12 2020-05-12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KR20210138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654A KR20210138388A (ko) 2020-05-12 2020-05-12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CN202180035145.3A CN115605792A (zh) 2020-05-12 2021-05-10 透镜模块和相机模块
EP21803973.3A EP4152069A4 (en) 2020-05-12 2021-05-10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PCT/KR2021/005816 WO2021230594A1 (ko) 2020-05-12 2021-05-10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JP2022569221A JP2023526300A (ja) 2020-05-12 2021-05-10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17/925,196 US20230194856A1 (en) 2020-05-12 2021-05-10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654A KR20210138388A (ko) 2020-05-12 2020-05-12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88A true KR20210138388A (ko) 2021-11-19

Family

ID=7852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654A KR20210138388A (ko) 2020-05-12 2020-05-12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94856A1 (ko)
EP (1) EP4152069A4 (ko)
JP (1) JP2023526300A (ko)
KR (1) KR20210138388A (ko)
CN (1) CN115605792A (ko)
WO (1) WO20212305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0805C (en) * 1993-03-02 1996-03-05 Douglas Alvin Reuber Double lens helmet face shield with electric heating field
JP5344346B2 (ja) * 2009-12-02 2013-11-20 山本光学株式会社 防曇レンズ類及び眼用保護具
KR101219854B1 (ko) * 2010-11-04 2013-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703019B2 (en) * 2012-08-28 2017-07-1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daptive optic and acoustic devices
KR102122550B1 (ko) * 2013-11-05 2020-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56516B1 (ko) * 2016-08-11 2023-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38141B1 (ko) * 2016-09-22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즈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4860B1 (ko) * 2016-11-29 202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TWI695991B (zh) * 2018-04-03 2020-06-1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利用不同折射率的材料所組成的鏡片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6300A (ja) 2023-06-21
EP4152069A4 (en) 2024-05-29
EP4152069A1 (en) 2023-03-22
US20230194856A1 (en) 2023-06-22
CN115605792A (zh) 2023-01-13
WO2021230594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9003B (zh) 显示装置及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20200204712A1 (en)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1318894C (zh) 电光装置、电子设备和电光装置的制造方法
US6613599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20005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KR20180017887A (ko) 카메라 모듈
US20140313403A1 (en) Camera module having ambient light sensor
JP2020506537A (ja) 電子モジュール、特に乗物搭載用に構成されるカメラのモジュール接続用可撓性導体トラック
KR102560086B1 (ko)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EP3951494A1 (en) Heating device and camera module
JP6939985B2 (ja) 調光ユニット
KR102447477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138388A (ko)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KR102549036B1 (ko) 카메라 모듈
US2005013472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CN211378099U (zh) 摄像头模组及具有该摄像头模组的电子装置
US1113209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0962847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clined side surface
CN112313568B (zh) 显示装置
JP4280990B2 (ja) 撮像装置
JP202253498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JP6979573B2 (ja) タッチセンサ
CN215773263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20230266640A1 (en) Camera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