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244A -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 Google Patents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244A
KR20210138244A KR1020200056328A KR20200056328A KR20210138244A KR 20210138244 A KR20210138244 A KR 20210138244A KR 1020200056328 A KR1020200056328 A KR 1020200056328A KR 20200056328 A KR20200056328 A KR 20200056328A KR 20210138244 A KR20210138244 A KR 2021013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soybean
fruit
soybean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토마토 주식회사
최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토마토 주식회사, 최윤식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토마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8244A/ko
Publication of KR2021013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6Ultra high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과일을 활용 한 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선과일(냉동포함)의 자체 산도를 활용하여 단백질로 이루어진 콩 음료의 산도를 적절히 조절 함으로서 콩 음료 특유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ph조절로 비가열성 살균효과를 주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콩 음료의 성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콩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비가열 초고압처리(HPP: High Pressure Processing)로 유통기간을 대폭 늘려 콩즙(전두유)의 영양과 비가열 처리 신선과일의 맛과 영양의 조화시켜 안전하게 마실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Manufacturing method of soybean drink using fresh fruit and the fruit drink}
본 발명은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선과일(냉동포함)의 자체 산도를 활용하여 단백질로 이루어진 콩 음료의 산도를 적절히 조절 함으로서 ph4.6 부근에서 대두 단백질의 등전점을 피하여 특유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비가열성으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콩 음료의 성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콩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유통기간을 대폭 늘려 안전하게 마실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 음료(두유)는 유당불내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영양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며, 대표적인 영양으로는 콩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콩에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이신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을 보충해 준다. 이러한 두유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젖산균 등을 첨가하여 여러 종류의 음료를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5078호
대두유, 탈지분유, 유청단백, 베타사이클로텍스트린, 포도당, 자당을 적정 비율로 혼합, 균질화하여 85-90℃온도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냉각한 시료에 혼합유산균 종균을 접종하여 40℃, 8시간동안 정치배양한 발효원액을 제조한후 발효커드 49.93-69.93중량부와 과채발효엑기스 24-50중량부, 과실프리저브 0-8중량부를 혼합, 균질화한 호상의 발효제품과 과채발효엑기스가 함유된 멸균 안정당액(과채발효엑기스 5-80중량부, 과실프리저브 0-12중량부, 펙틴 0.3중량부, 요구르트향 0.07중량부, 물 19.63-84.63중량부를 혼합한 액)을 1:2의 비율로 혼합, 균질화한 액상의 발효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콩을 이용한 발효유의 제조방법과 대두 및 과채발효의 새로운 가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과채발효엑기스가 함유된 호상 및 액상의 대두유 유산균발효제품은 성인병에 대한 관심이 많은 장년층의 건강식과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식, 그리고 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에게 유용한 저칼로리, 저콜레스테롤의 유산균 발효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당의 소화에 어려움이 있는 한국사람에게 효과적인 저유당의 동물성, 식물성 단백질이 조화된 유산균발효제품 제조방법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6304호
물체를 나노 스케일로 쪼개면 표면적 증대, 음용용이, 침전감소, 흡수율향상, 용해도증가, 냄새소멸, 비가열성 살균효과 뿐만 아니라, 성질도 달라진다는 자연의 법칙(NANO EFFECT)과 모든 식물(植物)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용 소재의 입자를 나노급 입자로 쪼개어 표면적을 확장시킨 후 정제수의 물분자간에 분자결합(Molecular Binding)으로 기능성 소재의 100%를 함유한 기능성 용액으로 변환 시키고 이를 천연식재에 함유된 물분자와 분자결합으로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식재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시키는 효과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위의 방법으로 천연 식재에 기능성 성분을 접착 시킨후 식재의 섬유질을 다공질로 팽화(膨化)시켜 식감이 향상된 스낵과자형의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하거나, 위 기능성 소재의 100%를 함유한 기능성 용액을 커피나 곡류나 면류나 주류나 음료나 다양한 베이커리 식품에 함유된 물 분자와의 분자결합으로 함유시켜 인류가 매일 약용 또는 건강보조제로 섭취하는 기능성분을 식음료를 통하여 섭취하여 인체흡수율을 증가시키고 항암, 항산화 효과와 면역성을 증진 시켜 인류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기능성 힐링 식음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2607호
기호성 및 생리활성이 증대된 유산균 발효 전두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콩 미세분말을 이용한 전두유를 제조하고 상기 전두유에 과채류를 첨가한 다음 유산균을 접종 배양하여 유산균 발효 전두유를 제조하고 상기 각 전두유의 유산균수, 항산화 활성, 관능검사를 비교 평가한 결과콩 미세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두유에 과채류를 첨가하고 유산균 발효하여 영양학적, 기능적, 품질 및 기호도 측면에서 두유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고 제조된 전두유를 두부, 마요네즈, 치즈,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5078호 (공개일 : 1998.11.05)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6304호 (공개일 : 2015.10.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2607호 (공개일 : 2017.06.08)
본 발명은 콩즙(전두유)에 여러 가지 신선 과,채를 혼합하고 신선과일(냉동포함)을 활용하여 과일 자체의 산으로 산도를 조절해 줌으로서 콩 음료 특유의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비가열성으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콩 음료의 성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콩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선과일을 활용하여 산도를 조절함으로써 유통기간을 대폭 늘려 안전하게 마실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 과채류를 혼합 한 콩 음료를 제조할 때 신선과일(냉동포함)을 일정량 투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도(PH)를 5~6 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서 비가열 방식으로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를 주게 되므로, 과,채류 고유의 맛과 향, 영양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콩음료 특유의 침전을 방지하면서 산도조절에 의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게 하는 신선과일을 활용한 콩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신선과일을 활용 한 콩 음료의 제조방법은, 콩즙 35~45중량%;, 블루베리 13~20중량%; 사과 25~35중량%;, 올리고당 6~9중량%;,산약 3~7중량%;,그리고 정제수 3~7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온도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 혼합하여 ph를 5.0~6.0으로 조절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금속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여 살균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콩즙 35~45중량%;, 비트 8~12중량%;, 산약 7~10중량%;, 사과 30~35중량%; 올리고당 6~9중량%;,그리고 정제수 3~5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온도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여 살균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콩즙 38~45중량%;, 케일 6~11중량%;, 시금치 5~10중량%;, 사과 25~35중량%; 올리고당 5~8중량%;,그리고 정제수 9~11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온도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여 살균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콩즙 38~45중량%;, 바나나 15~20중량%;, 사과 25~32중량%; 올리고당 4~6중량%;,그리고 정제수 8~12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온도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여 살균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콩즙 40~45중량%;, 산약 10~15중량%;, 사과 28~35중량%; 올리고당 5~9중량%;, 정제수 5~10중량%;그리고 홍삼농축액 0.5~1.0중량%;, 또는 인삼분말 0.5~1.0중량%;,을 교반 탱크에서 15~25℃ 온도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여 살균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콩즙은, 콩을 선별하고 이물질 및 불순물 세척, 제거하는 제1단계(S10); 상기 콩을 6~8시간 동안 불리는 제2단계(S20); 상기 콩 껍질과 배아를 제거하는 제3단계(S30); 80~100℃로 25~30분간 삶은 다음, 14~16℃의 물에 급속 냉각하는 제4단계(S40); 및 콩 1㎏을 기준으로 물 5.0~5.5㎏을 넣고 콩을 180~220㎛로 마이크로 분쇄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콩즙은, 콩 고형분 함량이 7.0브릭스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가열 초고압(HPP) 처리는, 4,800~5,200기압에서 80~10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과채류 음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콩즙에 다양한 과채를 혼합하여 과채가 가진 기능성 및 영양성분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과채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2) 특히, 콩즙을 제조할 때 콩 껍질과 함께 배아를 제거하므로, 배아를 제거하지 않고 제조한 두콩즙에서 나는 쓴맛을 제거하여 과채류 음료의 맛을 개선할 수 있다.
(3) 그리고, 콩 고형분의 함량이 7.0브릭스 이상이 되게 하여 콩즙 속 콩 함량을 높여 과채류 음료의 기능성과 더불어 콩 단백질의 함량을 늘려 영양성분을 늘릴 수 있다.
(4) 또한, 과채와 콩을 혼합하여 포장한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살균 처리하므로, 포함된 원료의 맛과 향 및 과,채 고유의영양성분 그대로 살리면서도 제품의 유통 기간을 늘려 오랫동안 안전하게 마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과채류 음료에 사용하는 두유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두유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먼저 콩즙 제조하고, [도 2]와 같이 제조한 콩즙에 여러 가지 과채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에, 여기서는 콩즙 제조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후에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콩즙 제조 방법>
콩즙 제조는, [도 1]과 같이, 5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각 단계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단계(S10)는, [도 1]과 같이, 콩을 제조할 콩을 선별하고 콩에 섞인 이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콩즙 제조에 사용할 콩은 콩즙 제조에 사용하는 콩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대두나 파주 장단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두는 다른 콩과 비교하여 단백질과 지방산이 풍부하여 고기로 만들어서 단백질 섭취에 이용하는 콩을, 파주장단콩은 단백질과 칼슘 함량이 높고 항암작용과 당뇨병 예방 효과와 더불어 중금속 해독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2단계(S20)는, [도 1]과 같이, 불리는 단계이다. 이는, 선별하여 이물을 제거한 콩이 후술할 마이크로 분쇄 과정(S50)에서 잘 갈리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콩의 불리기 과정인 제2단계(S20)는 6~8시간 동안 불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콩이 말린 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이보다 더 오래 불리면 콩에 함유한 단백질이 물속으로 녹아 나가거나 섬유질이 과도하게 불어 콩즙이 비지로 빠져나가고, 또한 콩이 싹 틔울 준비를 하여 콩의 성분 자체가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콩을 덜 불리면 콩이 잘 갈리지 않아 콩물이 적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제3단계(S30)는, [도 1]과 같이, 콩 껍질과 배아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콩 껍질은 제거하지 않아도 되나, 콩 껍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콩을 분쇄할 때 분쇄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콩즙을 마실 때 식감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미리 콩 껍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쇄 후에도 완전히 갈리지 않은 콩 껍질이 부유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칠 수도 있다.
또한, 배아는 콩의 대표적인 성분인 이소플라본이 많은 부분으로 알려졌으나 떫거나 신맛을 내는 부분이므로, 이러한 배아 부분을 제거하여 콩즙이 신맛이나 떫은맛을 내지 않게 한다.
제4단계(S40)는, [도 1]과 같이, 이처럼 콩 껍질과 배아를 제거한 콩을 분쇄하기 쉽게 삶고서 냉각하는 단계이다. 이때, 콩은 분쇄가 잘 되면서도 영양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콩은 80~100℃ 온도에서 약 25~30분 동안 푹 삶고, 14~16℃ 물에 집어넣어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50)는, [도 1]과 같이, 콩을 분쇄하여 두유를 얻는 단계이다. 이때, 두유는 콩 1㎏을 기준으로 물 5.0~5.5㎏을 넣고 콩을 180~220㎛로 마이크로 분쇄하여 콩즙(전두유)를 마실 때 입 안에서 이물감이 없게 하면서도 편리하게 마실 수 있게 분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콩즙(은 그 안에 들어있는 콩 함량이 7.0브릭스 이상이 되게 제조함으로써, 소화 흡수가 쉬운 콩 단백질과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소플라본, 그리고 영양소 대사에 도움을 주는 아스파라긴산 등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콩즙은, [도 2]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과채를 혼합하여 과채류 음료를 제조한다. 이때의 과채류 음료는 다음과 같이, 5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채류 음료 제조방법>
제1단계(S100)는, [도 2]와 같이, 콩즙과 더불어 과일과 야채를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과채는 채소 중에서 과실과 씨를 식용으로 하는 오이나 참외와 같은 박과 채소, 토마토나 가지 등의 가짓과 채소, 콩과 채소, 그리고 딸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계(S100)는 콩즙에 블루베리, 산약, 사과, 올리고당, 정제수를 아래의 [표 1]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한다.
성분 함량
콩즙 35~45중량%
블루베리 13~20중량%;
산약 3~7중량%
사과 25~35중량%
정제수 3~7중량%
올리고당 6~9중량%
여기서, 콩즙(전두유)는 소화흡수가 쉬운 글리시닌, 성장에 필요한 리신, 트립토판과 맛을 내는 글루탐산과 영양소 대사에 도움을 주는 아스파라긴산, 그리고 충치를 예방하는 글리신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과는 순환계와 심장질환을 예방하는 HDL 콜레스테롤이 풍부하고, 탄수화물과 유기산 그리고 펙틴을 함유하여 소화가 잘 되며,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 감기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루베리는 푸른색 색소인 안토시아닌, 새콤달콤한 당분, 점성이 있는 펙틴 등을 함유하며, 식이섬유와 칼슘, 철, 그리고 망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안토시안인은 사람의 안구에 있는 로돕신이라는 색소체와 관련이 있어 블루베리 색소가 로돕신의 재합성 작용을 활성화하여 눈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안토시아닌은 눈의 단백질이 노화로 발생하는 백내장을 억제하고, 특히 당뇨병에 기인한 망막염과 백내장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돕신 재합성의 활성화 촉진 이외에도, 암 순응 촉진 효과, 모세혈관 보호 작용, 항산화 작용, 비타민 P와 같은 작용, 항궤양 활성 및 항염증 작용, 정장 작용(식이섬유) 등의 효능이 있다.
산약(마)은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며,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이외에도 아미노산, 칼륨, 철분, 비타민, 단백질, 지방, 그리고 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마는 점막에서 분리되는 뮤신은 자양강장제로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뮤신은 기관 보호와 소화 운동을 촉진하고, 위점막의 뮤신은 위산과다와 위궤양 치료에 사용한다. 이외에도, 성장 호르몬 등의 분비를 촉진하는 아르기닌, 소화 불량이나 위장장애 등에 효과가 있는 디오스게닌과 다포게닌, 그리고 세포에 표면활성제로 작용하여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는 사포닌 성분을 포함한다.
정제수는 물에 함유된 이온, 고체입자, 미생물과 유기물 그리고 용해된 기체류 등을 제거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물을 말한다.
과당은 육탄당의 하나로, 포도당을 이용하지 못하는 당뇨병 환자용 감미료, 쇠약자나 어린이의 영양제 외에 해독, 강심, 이뇨제 등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감미료로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또 흡습성을 이용하여 카스텔라, 스펀지케이크 등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사과는 7㎜ 타공망을 통해 착즙한 다음, 이를 100메쉬의 거름망을 통해 거른 것을 사용한다. 이는, 착즙한 사과즙을 얻는 동시에, 즙에 함유한 미세한 이물질도 함께 걸러주기 위함이다.
올리고당은 저칼로리이기 때문에 설탕대신 올리고당을 사용하게 되는데, 몸매관리유지와 비만예방에도 도움이 되며,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과식을 예방한다는 점에서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
올리고당은 단맛의 보조적인 차원에서 설탕을 대체하는 감미료로서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장건강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 사용하였다.
이 올리고당은 유산균의 좋은 먹이가 되기 때문인데, 올리고당은 위에서 쉽게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장까지 도달해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주며 유익균들이 올리고당을 분해하면서 장에 좋지 않은 균들이 번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변비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혼합은 교반 탱크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교반 조건은 온도범위 5~22℃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혼합하는 성분의 비율은 콩즙(전두유) 38중량%,블루베리 16중량%, 사과 30중량%, 산약 5중량%, 올리고당 7중량%, 정제수4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제2단계(S200)는, [도 2]와 같이,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이물은 금속 이물로 자력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물 제거는 상기 제1단계(S100)에서 혼합한 혼합물이 자력을 인가한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한다. 이때, 관에는 8,000~10,000가우스의 자력을 인가한다. 가장 바람직한 세기의 자력은 10,000가우스이다.
제3단계(S300)는, [도 2]와 같이,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한 다음 ?L핑하여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때,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은 유리 용기나 캔 또는 합성수지에 담아서 제품화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캔이나 합성수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이처럼 ?L핑한 제품을 후술할 제5단계(S500)에서 비가열 초고압(HPP) 처리로 살균할 때, 유리 용기의 경우 깨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4단계(S400)는, [도 2]와 같이,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검사는 금속 검출기를 이용하여 제3단계(S300)에서 캡핑한 제품이 금속 검출기를 통과할 때, 비철금속이 함유되어 있는지에 따라 불량을 구분한다.
제5단계(S500)는, [도 2]와 같이, 비철금속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에 대해 살균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살균은 제품을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초고압(HPP) 처리는 열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열에 약한 영양소가 살아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산화하지 않아 원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재료의 맛과 색깔 그리고 영양성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초고압(HPP) 공정으로 살균하는 조건은, 4,800~5,200기압에서 80~100초,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기압에서 90초간 살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콩즙(전두유)를 주재료로 소화흡수가 쉬운 단백질과 성장에 도움을 주는 리신, 영양소 대사에 도움을 주는 아스파라긴산 등 다양한 영양 성분과 더불어 여기에 함유한 과일과 과채가 가진 다양한 기능을 통해 기능성 과채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물의 성분과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혼합물의 조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
콩즙 38~45중량%
비트 8~12중량%
산약 7~10중량%
사과 30~35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정제수 2~5중량%
[표 2]에서, 콩즙과 사과, 산약, 올리고당, 정제수에 관한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비트의 효능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비트는 아삭한 식감과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며 붉은 색소인 베타인이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항산하 작용을 통해 암 예방과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특히, 색소인 베타인은 토마토의 8배 정도에 달하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폐암과 폐염 등의 암 예방 효과와 염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2]는 상술한 성분이 콩즙 40중량%, 비트 10중량%, 산약 8중량%, 사과 33중량%,올리고당 6중량%, 정제수 1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물의 성분과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혼합물의 조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성분 함량
콩즙 38~45중량%
케일 6~11중량%
시금치 5~11중량%
사과 25~35중량%
산약 3~7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정제수 3~7중량%
[표 3]에서, 콩즙,산약,올리고당,정제수, 사과에 관한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케일, 시금치의 효능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케일은 녹황색 채소 중에서 항산화 작용과 유해산소 예방 그리고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가장 높고, 이외에도 칼슘, 인, 철, 비타민 A, 섬유질, 비타민 C, E, K를 함유하여 피를 만드는 조혈작용과 빈혈에 좋고, 청혈 작용과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금치는 혈당이 낮고 산화방지제로 알려진 알파-리포산이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시키고 당뇨병을 개선시키며. 시금치에 풍부한 엽산이 뇌의 혈관을 압박하는 호모시스테인의 작용을 억제한다. 또한 두뇌를 활성화 시켜 뇌 관련 질환을 예방한다.
시금치에는 13종류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도 풍부해 강력한 항산화 기능을 해 다양한 질병이나 노화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비타민C와 산화 방지제인 플라보노이드가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엽산이 심장혈관 시스템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마그네슘을 비롯한 다양한 미네랄이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시금치에는 산소를 세포로 운반해주는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인 철분이 풍부한데 철분결핍성 빈혈을 예방한다.
비타민A는 피부와 모발을 포함한 신체 조직의 성장에 필요하고 콜라겐 형성에도 관여하여 피부를 좋게 한다.
시금치에 풍부한 비타민 K는 칼슘의 흡수를 향상시키므로 뼈를 튼튼하게 하고 여러 미네랄 성분이 생리중인 여성에게 영양을 보충할 수 있다. 특히 임신기간에는 엽산을 많이 소모하는데 시금치는 엽산이 매우 풍부하다. 루테인과 제아잔틴은 황반변성, 백내장 등 눈 질환을 예방한다.
시금치의 베타카로틴, 엽산 등의 성분은 강력한 항암성분들인데 이런 녹황색 채소를 매일 먹으면 위암 발생이 약 35%, 대장암은 40%나 감소한다.
섬유질이 풍부한 완전 알카리성 식품으로 변비에 좋고 위장을 편안하게 한다. 주독도 풀어주고 장속에 있는 찌꺼기를 배설시켜 준다.
시금치에 들어있는 성분 중에 하나인 <틸라코이드>는 포만감 자극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식욕 억제를 돕는다. 이런 효과를 보려면 생채 그대로 먹는 것보다는 즙을 짜서 먹으면 효과적이다.
이러한 케일 및 시금치는 26,000~30,000rpm, 가장 바람직하게는 28,000rpm의 속도로 믹서기에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2]는 상술한 성분이 두유 40중량%, 케일 7중량%, 시금치 6중량%, 산약 5중량%, 사과 31중량%, 올리고당 6중량%, 정제수5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혼합하여 교반하는 혼합물의 성분과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혼합물의 조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
콩즙 38~45중량%
망고 15~18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사과 25~30중량%
정제수 10~13중량%;
[표 4]에서, 콩즙, 사과, 올리고당, 정제수에 관한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망고의 효능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망고에는 비타민A와 카로틴 성분이 함유되어 눈이 피로할 때 각막이나 안구건조증이 있을때, 눈이 침침하거나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있을때 섭취하면 시력을 유지하는데 좋고, 야맹증과 황반변성을 비롯한 눈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망고에는 비타민C, 비타민E 등 피부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피부 콜라겐을 생성해주어 머리카락 수분 유지에 도움이 되고, 피부 재생 및 회복에 좋은 식품이며,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망고는 비타민과 칼슘, 식이섬유, 폴리페놀, 카로틴 등이 풍부하여 활성 산소에 의해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발암 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데도 도움을 주어 면역력 강화에 좋으며 수험생에게도 굉장히 좋은 식품이다.
망고는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망고는 맛도 좋지만 영양도 풍부하여 과일의 왕으로 불린다. 이는 풍부한 항산화물질과 칼슘, 비타민 A, C, E 등 비타민이 굉장히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각종 미네랄 또한 풍부하여 피로 회복에 좋은 과일이어서 피로회복에도 도움이 되면서 다이어트에 좋은 식품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망고 껍질 속에 포함된 피토케미컬 성분은 지방세포가 성장하는 것을 막아주어 항비만의 효과가 있어 망고를 껍질째 섭취하면 비만억제에 좋고,
망고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나트륨이 적고, 100g당 64kal로 저칼로리 식품이다.
다만 망고는 탄수화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과량 섭취만 피한다면 망고는 다이어트에도 좋은 식품이라고 할수 있다.
또한 망고에는 비타민 B6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비타민 B6은 건강한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생성되는데 필요한 성분으로, 불면증을 예방하고 숙면을 도와주며 아침 시간 정신을 맑게 깨워주는 효능이 있어 불면증 뿐 아니라 우울증에도 도움을 준다.
망고에는 각종 비타민과 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펙틴을 비롯한*?*섬유소,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 수분은 장내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과 장 청소, 변비 증상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망고의 좋은 효능으로 뇌기능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비타민B6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수면 사이클과 기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루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집중력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개선하는 등 뇌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소화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망고는 식이섬유가 굉장히 풍부한 식품인데 식이섬유는 체내 독소와 노폐물을 배출해주고, 칼륨 또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체내 수분 불균형을 막아주고 소화 능력을 향상시켜 주며, 위장 장애인 크론병을 예방해준다.
망고는 각종 성인병 예방에 좋다. 망고의 식이섬유, 펙틴은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주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 좋고, 망고의 칼슘과 비타민k는 뼈를 튼튼하게 해주어 골다공증 예방, 폴리페놀 성분은 항암효과, 베타카로틴 성분은 전립선암, 결장암 예방 효과, 이 외에도 고혈압, 유방암, 천식 등 다양한 성인병 예방에 좋은 식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4]에서의 혼합물의 함량은 콩즙 40중량%, 망고 16중량%, 올리고당 6중량%, 사과 26중량%, 정제수 1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의 성분과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혼합물의 조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5]에 따른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
콩즙 38~42중량%
바나나 15~20중량%
사과 25~32중량%
올리고당 4~7중량%
정제수 9~12중량%
[표 5]에서 콩즙, 사과, 정제수, 올리고당에 관한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바나나의 효능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바나나에 들어있는 수용성 식이섬유와 펙틴의 작용으로 변비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준다. 단, 덜 익은 바나나를 섭취하게 될 경우 반대로 바나나에 있는 탄닌 성분의 작용으로 변비에 걸릴 수 있고, 바나나를 먹으면 산성을 중화하고 위장 내벽을 코팅해 줌으로서 위의 자극을 줄이고 속을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바나나의 부포테닌이라는 성분의 작용으로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고, 활동성을 활발하게 만들어 주며, 발기부전 및 정력에 도움을 준다.
바나나에서 나오는 냄새는 시상하부를 자극해 주어 식욕 억제에 도움이 되고, 섭취시 포만감을 높여 체중감량에 도움이 된다.
바나나에 들어있는 칼륨의 작용으로 체내의 나트륨을 배출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바나나에 들어있는 아미노산 성분의 작용으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바나나에 들어있는 트립토판 성분의 작용으로 뇌에 기분을 좋아지게 한다는 세로토닌의 분비를 도와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5]에서의 함량은 콩즙 40중량%, 바나나 16중량%, 정제수 11중량%, 사과 28중량%, 올리고당 5중량%, 땅콩 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교반하여 혼합하는 혼합물의 성분과 함량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제조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혼합물의 조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6]에 따른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 6]와 같다.
성분 함량
콩즙 38~42중량%
산약 10~14중량%
사과 32~36중량%
올리고당 4~7중량%
정제수 6~10중량%
[표 5]에서 콩즙, 사과,산약, 정제수, 올리고당에 관한 효능은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6]에서의 함량은 콩즙 40중량%, 산약 12중량%, 정제수 8중량%, 사과 34중량%, 올리고당 6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콩즙를 주재료로 다양한 과일과 과채를 혼합하여 과채류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과채류 음료를 포함한다.

Claims (8)

  1. 콩즙 35~45중량%;, 블루베리 13~20중량%;, 산약 3~7중량%; 사과 25~35중량%;, 정제수 3~7중량%; 올라고당 6~9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시키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2. 콩즙 38~45중량%;, 비트 8~12중량%;, 산약 7~10중량%;, 사과 30~35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정제수2~5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 시키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3. 콩즙 38~45중량%;, 케일 6~11중량%;, 시금치 5~11중량%;, 사과 25~35중량%;, 산약 3~7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정제수 3~7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시키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4. 콩즙 38~45중량%;, 망고 15~18중량%;, 올리고당 5~8중량%;, 사과 25~30중량%; 정제수 10~13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5. 콩즙 38~42중량%;, 바나나 15~20중량%;, 사과25~32중량%; 정제수 9~12중량%; 올리고당 4~7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 시키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6. 콩즙 38~42중량%;, 산약 10~14중량%;, 사과32~36중량%; 정제수 6~10중량%; 올리고당 4~7중량%;를 교반 탱크에서 15~25℃ 범위에서 450~550rpm의 속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를 5.0~6.0으로 유지 시키는 제1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자력이 8,000~10,000가우스인 관을 통과하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
    이물을 제거한 혼합물을 캔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충전하여 캡핑하여 제품화하는 제3단계(S300);
    캡핑한 제품을 금속 검출기를 통과하여 비철금속의 함유 여부를 검사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품을 비가열 초고압(HPP: High Pressure Processing) 처리하는 제5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비가열 초고압(HPP) 처리는,
    4,800~5,200기압에서 80~10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즙을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과채류 음료.
KR1020200056328A 2020-05-12 2020-05-12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KR20210138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28A KR20210138244A (ko) 2020-05-12 2020-05-12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28A KR20210138244A (ko) 2020-05-12 2020-05-12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244A true KR20210138244A (ko) 2021-11-19

Family

ID=7871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28A KR20210138244A (ko) 2020-05-12 2020-05-12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824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078A (ko) 1997-03-28 1998-11-05 남승우 과채발효엑기스가 함유된 호상 및 액상의 대두유 유산균발효제품 제조방법
KR20150116304A (ko) 2014-04-07 2015-10-15 종 해 김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방법
KR20170062607A (ko) 2015-11-27 2017-06-08 완주로컬푸드 협동조합 기호성 및 생리활성이 증대된 유산균 발효 전두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078A (ko) 1997-03-28 1998-11-05 남승우 과채발효엑기스가 함유된 호상 및 액상의 대두유 유산균발효제품 제조방법
KR20150116304A (ko) 2014-04-07 2015-10-15 종 해 김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방법
KR20170062607A (ko) 2015-11-27 2017-06-08 완주로컬푸드 협동조합 기호성 및 생리활성이 증대된 유산균 발효 전두유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9946C (zh) 蓝莓保健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90115943A (ko) 두유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US20040253227A1 (en) Perioperative multivitamin protein beverage and additive for use in preparing an individual for fast surgical recovery
KR20130041388A (ko) 치아 종자 조성물
CN106721789A (zh) 一种燕麦复合亚麻酸饮料及其制备方法
JP2019527035A (ja) 植物性代替牛乳製造の方法とシステム(System & method for making vegetable alternative milk)
CN103598333A (zh) 一种健脾消食的酸奶及其加工工艺
CN112042862A (zh) 一种减肥代餐食品及应用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CN103271158B (zh) 谷物养生奶及其制备方法
CN110959688A (zh) 一种蛋白纤维奶昔粉及其制备方法
CN108740699A (zh) 一种罗汉果紫薯果泥及其制备方法
JP2023171542A (ja) 植物性タンパク質含有液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7158B1 (ko)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연육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156002B1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CN110463776A (zh) 草莓奶酪复合休闲果蔬制品及其制作方法
CA3093649A1 (en) Plant based vegan protein drink enriched with real fruit juice
CN112120083B (zh) 一种白果香橼露及其制备方法
CN109329683A (zh) 一种运动能量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716296B1 (ko) 한방성분과 단백질이 함유된 쌀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쌀 음료
KR101005892B1 (ko) 풍미가 향상된 토마토 잼의 제조방법
KR20210138244A (ko) 콩즙를 주재료로 하는 과채류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과채류 음료
KR101771432B1 (ko) 식이 섬유가 증가된 저당도 두유 및 그 제조방법
JP2023550574A (ja) タケノコ及び分離大豆タンパクを含む植物性プロテイ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餅の製造方法
US10271567B1 (en) Chinese meal pack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