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076A -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076A
KR20210138076A KR1020217033484A KR20217033484A KR20210138076A KR 20210138076 A KR20210138076 A KR 20210138076A KR 1020217033484 A KR1020217033484 A KR 1020217033484A KR 20217033484 A KR20217033484 A KR 20217033484A KR 20210138076 A KR20210138076 A KR 2021013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cell
measurement result
rsrp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 시
펭 순
후아밍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8Combination of several spaced transmitters or receivers of known loc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transponder or a refl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8Hybrid positioning by deriving positions from different combinations of signals or of estimated positions in a single position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Description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3월 26일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234824.8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측위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는 하향링크 측위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이다. 단말(User Equipment, UE)은 다수의 셀(cell) 또는 다수의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로부터의 PRS를 측정하여 다수의 cell 또는 전송 포인트 간의 기준 신호 시간 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를 획득한다. 그 다음, UE는 측정을 통해 획득된 RSTD를 측위 서버에 송신하고, 측위 서버는 연산을 통해 UE의 위치를 얻는다.
하향링크 측위 방법에서, UE는 정확한 도달 시간(Time of Arrival, TOA)을 획득하지 못하고, 추정된 위치는 적어도 세 개의 기지국 도달 시간 차(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표준에서는 기준 신호 시간 차(Time Difference of Reference Signal, RSTD)로 표시됨))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절대 시간이 아니라 상대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원칙적인 관점에서, 2개 기지국이 측위에 참여하면 UE의 한 갈래 쌍곡선 궤적을 결정할 수 있고, 3개 기지국이 측위에 참여하면 UE를 아주 작은 영역으로 한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한 개 기지국을 추가하면 UE를 다른 한 영역으로 한정할 수 있고, 겹치는 부분을 취하여 UE의 범위를 축소할 수 있다. LTE 하향링크 측위에서, UE가 다수의 기지국 또는 다수의 셀로부의 PRS를 측정하여 RSTD를 획득하고, 그 다음 RSTD 정보를 네트워크 측의 측위 서버에 보고하며, 마지막으로 측위 서버가 연산을 통해 UE의 위치를 얻는다.
뉴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서, PRS는 서빙 셀 또는 인접 셀에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 방식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UE는 측위를 수행할 때 서빙 셀 또는 인접 셀로부터의 다중 빔(beam)의 PRS를 측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중 beam 측정 결과 보고의 복잡도와 오버헤드가 많이 증가된다. 다중 beam인 경우, 현재 다중 beam의 측정 결과에 대한 합리적인 보고 방법이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다중 beam의 측정 결과 보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제5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측에서의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 측에서의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RSRP 및 TOA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N개 빔의 측정 결과를 결정하여 보고함으로써, 다중 빔이 PRS를 수신할 때 측위 측정 정보의 보고를 구현할 수 있다. 보고하기 위한 빔의 측정 결과는 RSRP 및 TOA에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을 포함하다’는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명시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을 사용하여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예컨대,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세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 또는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 장치(12)를 포함하고, 단말(11)은 사용자 단말 또는 기타 단말 측 장치,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로봇 등 단말 측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11)의 구체적 유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5G 기지국, 이후 버전의 기지국,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고, 또는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기술적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또는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5G 기지국만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네트워크 장치의 구체적 유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단말이 측위에 참여된 각 셀의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빔 스위핑 방식을 통해 각 셀의 상이한 빔에서 PRS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모든 빔에 의해 전송된 PRS를 측정하여 빔 측정 결과를 얻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이 전송 방식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며, 여기서는 추가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RSRP에 근거하여 제1 셀의 빔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TOA에 근거하여 제1 셀의 빔 그룹을 결정할 수 있고, 또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RSRP 및 TOA에 근거하여 제1 셀의 빔 그룹을 결정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기 N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도달 시간(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N개 빔이 상기 제1 셀에서 도달 시간(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이다. 상기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K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일 수 있고,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일 수도 있고,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고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으로부터 선택한 처음 K개 빔일 수도 있다. 상기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처음 L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일 수 있고,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고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으로부터 선택한 처음 L개 빔일 수도 있다.
여기서, RSRP에 따라 선택한 처음 L개 빔과 TOA에 따라 선택한 처음 K개 빔에는 동일한 빔이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측정 결과를 보고할 때 실제로 한 개 빔의 측정 결과만 보고하며, 따라서 N<L+K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이를 통해 빔의 측정 결과가 반복적으로 보고되는 것을 피하여 빔 측정 결과 보고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인다.
예컨대,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은 빔 A, 빔 B 및 빔 C를 포함하고,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은 빔 B, 빔 D, 빔 E 및 빔 F를 포함한다. 이때, 실제로 보고되는 빔의 개수는 6, 즉 N=6이다.
구체적으로,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할 때, 보고되는 내용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보고되는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RSRP 및 TOA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N개 빔의 측정 결과를 결정하여 보고함으로써, 다중 빔이 PRS를 수신할 때 측위 측정 정보의 보고를 구현할 수 있다. 보고하기 위한 빔의 측정 결과는 RSRP 및 TOA에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진일보로,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own 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own Link Time Angle Of Departure, 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단말은 전부 또는 일부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또한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DL-TDOA 기술 및 DL-AoD 기술에 대해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장치가 DL-TDOA 기술을 구성한 경우, 단말은 DL-TDOA 기술과 연관된 측정 결과만 보고하되, 예컨대 RSTD, RSTD quality,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및 RSRP qual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장치가 DL-AoD 기술을 구성한 경우, 단말은 DL-AoD 기술과 연관된 측정 결과만 보고하되, 예컨대 RSRP 및 RSRP qual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DL-TDOA 기술 및 DL-AoD 기술에 대해 각각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구현 솔루션에서, 단말은 기술에 상관없이 전부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다른 일 구현 솔루션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 보고 내용에 근거하여, DL-TDOA 기술과 연관된 측정 결과 또는 DL-AoD 기술과 연관된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해당 보고 내용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예컨대 LPP)의 측위 보조 데이터 시그널링 필드에 실리거나 측위 정보 요청 시그널링에 실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적어도 3개 셀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물리적 셀에만 한정되지 않고, TP, TRP 등과 같은 가상 셀일 수도 있다. 해당 기준 셀은 RSTD의 기준 셀(해당 셀을 기준으로 RSTD를 계산함) 또는 RSRP의 기준 셀(해당 셀을 기준으로 다른 셀 및 다른 beam의 상대 RSRP 값을 계산함)일 수 있다. 인접 셀은 기준 셀 이외의 측위에 참여하는 셀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RSTD의 기준 셀 및 RSRP의 기준 셀은 동일한 셀일 수 있고, 상이한 셀일 수도 있다.
RSTD 및 RSRP를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기준 빔(reference beam)에 기초하여 계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N이 상이한 값을 갖는 경우에 해당되는 기준 빔의 정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 및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N이 1인 경우, 단말은 기준 셀의 어느 한 개 beam에만 기초하여 측정 정보를 보고하며, 해당 beam은 기준 빔(reference beam)으로 사용될 수 있다. N이 1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에 reference beam을 정의함으로써, 단말은 해당 beam의 timing 및/또는 RSRP의 값에 근거하여 기준 셀 또는 인접 셀 내의 다른 beam의 timing 및/또는 RSRP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에 근거하여 어느 beam을 reference beam으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단말은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근거하여 reference beam의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서, reference beam은 기준 셀의 다수의 beam 중의 어느 한 개 beam이다. 해당 beam은 RSRP가 가장 높은 beam, TOA가 가장 작은 beam 또는 다른 지정된 beam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빔 글부의 측정 결과의 보고 방식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식은 이하 방식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식 1: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방식 2: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상기 방식 1에서,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 셀 식별자,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 부가 경로, 기준 품질, 기준 신호 시간 차,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식 2에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예컨대, 일 구체적인 구현 솔루션에서, 단말은 우선 측정을 통해 기준 셀의 다수의 beam의 TOA 정보를 획득했다. 단말은 직접 네트워크 측의 지시에 따라 이 중의 N개 beam의 TOA 정보에 대해 아래와 같은 처리 중의 하나를 수행한다.
1. N개 beam의 TOA 측정 결과에 대하여 평균을 낸다.
2. N개 beam의 TOA에 대해 가중평균을 내되, 가중계수는 측정 품질과 관련될 수 있다.
3. reference beam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 품질이 가장 좋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beam의 TOA를 선택한다.
4. reference beam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 결과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beam의 TOA를 선택한다.
다음, 단말은 측정을 통해 인접 셀의 N개 beam의 TOA 정보를 획득했다. 단말은 직접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에 따라 인접 셀의 복수 개 beam의 TOA 정보에 대해 아래와 같은 처리 중의 하나를 수행한다.
1. N개 beam의 TOA 측정 결과를 평균하여 RSTD를 계산한다.
2. N개 beam의 TOA를 가중평균하여 RSTD를 계산한다.
3. 측정 품질이 가장 좋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beam의 TOA를 선택하고, reference beam에 근거하여 RSTD를 계산한다.
4. 측정 결과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beam의 TOA를 선택하고, reference beam에 근거하여 RSTD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RSTD 정보 및 연관되는 cell ID, beam ID, PRS ID 및 port 등 정보를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빔 그룹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하고, 공동 처리 결과를 보고하므로,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의 크기와 복잡도를 줄일 수 있고, 동시에 네트워크 장치의 처리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상이한 값을 갖는 N에 대응되는 단말의 보고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솔루션 1: UE는 1개 PRS beam에 기초하여 보고하되, 1개 PRS beam은 RSRP가 가장 높은 beam일 수 있고, 또는 가장 작은 TOA에 대응되는 beam일 수 있다.
(1) 기준 셀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UE는 기준 셀의 어느 1개 beam에 기초하여 보고하되, 보고하는 내용은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가 1개 beam에만 기초하여 보고하기 때문에 해당 beam은 reference beam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Beam ID는 해당 Beam의 ID이고, 측위 기준 신호 자원 식별자(PRS resource ID)와 관련된다.
Cell ID는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layer Cell Identity, PCI), 글로벌 셀 식별자(global cell ID) 및 타겟 대상 중의 하나일 수 있고, 타겟 대상은 TP ID 또는 TRP ID일 수 있다.
PRS ID는 네트워크 측이 PRS에 구성한 ID이다.
Port 정보는 현재의 측정 결과가 속하는 PRS port를 나타낸다.
reference quality는 네트워크 측에서 정확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beam에 대응되는 채널 TOA 검출의 품질을 포함한다.
Additional path: 해당 beam에서 결정된 RSTD의 path timing과 관련된 하나 또는 다수의 부가 path의 timing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측이 보다 정확한 측위를 수행하도록 한다.
RSRP는 해당 beam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다.
RSRP quality는 해당 beam에 의해 추정된 RSRP의 품질이다.
(2) 인접 셀 관련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UE는 인접 셀의 어느 1개 PRS beam에 기초하여 보고하되, 보고하는 내용은 Beam ID, Cell ID, PRS ID, RSTD, RSTD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STD는 해당 beam이 기준 셀(reference beam)에 기초하여 산출한 기준 시간 차이다.
RSRP는 reference beam에 대한 해당 beam의 RSRP 값이다.
솔루션 2: UE는 2개 PRS beam에 기초하여 보고하되, 2개 PRS beam은 RSRP가 가장 높은 beam 및 가장 작은 TOA에 대응되는 beam일 수 있다.
(1) 기준 셀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것은 reference beam 정보 및 기준 셀의 다른 1개 beam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reference beam 정보를 보고하는 것은 Beam ID, Cell ID, PRS ID, reference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reference beam은 기준 셀의 2개 beam 중의 어느 한 beam을 가리킨다. 기준 셀 또는 인접 셀의 다른 beam의 timing은 해당 reference beam의 TOA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기준 셀 또는 인접 셀의 다른 beam의 RSRP는 reference beam의 RSRP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reference beam은 RSRP가 가장 높은 beam 또는 TOA가 가장 작은 beam일 수 있다.
기준 셀의 다른 1개 beam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은 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reference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Reference time difference는 reference beam의 TOA에 대한 해당 beam의 TOA의 시간 차이다.
(2) 인접 셀 관련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UE는 인접 셀의 어느 2개 beam에 기초하여 정보를 보고하되, 각 빔(per beam)이 보고하는 내용은 Beam ID, Cell ID, PRS ID, RSTD, RSTD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솔루션 3: N이 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UE는 N개 PRS beam에 기초하여 보고한다. N개 PRS beam은,
상기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도달 시간(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1) 기준 셀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것은 reference beam 정보 및 기준 셀의 다른 1개 beam의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reference beam 정보를 보고하는 것은 Beam ID, Cell ID, PRS ID, reference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reference beam은 기준 셀의 N개 beam 중의 어느 한 개 beam이다. 기준 셀 또는 인접 셀의 다른 beam의 timing은 해당 reference beam의 TOA를 기준으로 할 수 있고, 기준 셀 또는 인접 셀의 다른 beam의 RSRP는 reference beam의 RSRP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reference beam은 RSRP가 가장 높은 beam 또는 TOA가 가장 작은 beam일 수 있다.
기준 셀의 다른 beam의 정보를 보고함에 있어서, per beam이 보고하는 정보는 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reference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2) 인접 셀 관련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UE는 인접 셀에서 RSRP가 가장 높은 N개 beam에 기초하여 정보를 보고하되, 각 빔(per beam)이 보고하는 내용은 Beam ID, Cell ID, PRS ID, RSTD, RSTD quality, additional path, RSRP, RSRP quality 및 por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302: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임 - ;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예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 양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설명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400)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401);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402);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송신 모듈(402)은 구체적으로,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내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도 2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500)는,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501);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502);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임 - ;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송신 모듈(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도3 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단말(6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장치(603), 입력 장치(604), 센서(605), 디스플레이 장치(606), 사용자 입력 장치(607), 인터페이스 장치(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도 6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구체적으로,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내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RSRP 및 TOA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N개 빔의 측정 결과를 결정하여 보고함으로써, 다중 빔이 PRS를 수신할 때 측위 측정 정보의 보고를 구현할 수 있다. 보고하기 위한 빔의 측정 결과는 RSRP 및 TOA에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6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화 과정에 신호를 송수신하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서 처리하고;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601)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6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603)는 무선 주파수 장치(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603)는 단말(6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603)에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입력 장치(6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6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6041)와 마이크로폰(6042)이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6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컨대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6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6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6042)은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6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6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6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6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606)는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6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607)에는 터치 패널(6071)과 기타 입력 장치(60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말하며, 사용자가 그 위에서 또는 근처에서 진행하는 터치 동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6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6071) 근처에서 진행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6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6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607)는 터치 패널(6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6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6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6071)은 디스플레이 패널(6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6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6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통합하여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608)는 외부 장치와 단말(60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6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6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6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6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6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6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6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6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메모리(6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XXXX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및 버스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송수신기(702)는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임 - ;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은 실제 빔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송수신기(702)는 또한,
상기 단말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된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RSRP 및 TOA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N개 빔의 측정 결과를 결정하여 보고함으로써, 다중 빔이 PRS를 수신할 때 측위 측정 정보의 보고를 구현할 수 있다. 보고하기 위한 빔의 측정 결과는 RSRP 및 TOA에 근거하여 합리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측위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703)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7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703)에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701), 메모리(703), 메모리(7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측의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의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개시의 기술 방안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 장치(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기지국 등)에 의해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개시의 목적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29)

  1. 단말에 적용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면, N은 실제 빔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는,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3.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제1 셀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임 - ;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빔;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이고, M은 N보다 큰 양의 정수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N개 빔;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M개 빔 중의 처음 N개 빔 - 상기 M개 빔은 상기 제1 셀에서 RSRP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임 - ;
    상기 제1 셀에서 TOA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L개 빔 및 RSRP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K개 빔, N≤L+K;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처음 L개 빔 및 상기 처음 K개 빔인 경우,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L+K이고,
    상기 처음 L개 빔과 상기 처음 K개 빔에 동일한 빔이 존재하지 않으면, N은 실제 빔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결과 및/또는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도달 시간 차(DL-TDOA)와 연관된 측정 결과이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하향링크 출발각(DL-AoD)과 연관된 측정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측정 결과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기준 셀 및 인접 셀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측위에 참여하는 셀은 인접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인 경우,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은 기준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N이 1보다 큰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기준 빔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기준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한 개 빔이고,
    여기서, 상기 기준 빔은 제1 빔의 타이밍(timing) 및/또는 RSRP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 빔은 상기 기준 셀의 빔 그룹 중의 빔 또는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이고, 상기 제1 빔과 상기 기준 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빔은,
    RSRP가 가장 높은 빔;
    TOA가 가장 작은 빔;
    지정된 제2 빔;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RSRP가 가장 높은 빔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TOA가 가장 작은 빔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그룹의 공동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 측정 결과는 상기 빔 그룹 내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공동 처리를 수행한 후의 측정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기준 빔 및 제3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3 빔은 상기 인접 셀의 빔 그룹 중의 빔임 - ;
    제2 사전설정 내용에 따라 제4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 - 상기 제4 빔은 상기 기준 빔의 빔 그룹에서 상기 기준 빔 이외의 빔임 - ;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빔 그룹의 각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사전설정 내용은 빔 식별자(Beam ID), 셀 식별자(Cell ID), 측위 기준 신호 식별자(PRS ID), 부가 경로(Additional path), 기준 품질(reference quality), 기준 신호 시간 차(RSTD), 기준 신호 시간 차 품질(RSTD quality), RSRP, 기준 신호 수신 전력 품질(RSRP quality) 및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설정 내용은 기준 시간 차(Reference time difference), Beam ID, Cell ID, PRS ID, Additional path, reference quality, RSRP, RSRP quality 및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처리는,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평균값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 내의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가중평균 계산을 수행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품질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상기 빔 그룹에서 측정 결과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빔 중의 처음 J개 빔의 측정 결과를 선택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25. 단말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단말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
    상기 단말로부터 빔 그룹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빔 그룹은 측위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빔 그룹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도달 시간(TO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된 N개 빔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N개 빔은 제1 셀의 빔이고, 상기 제1 셀은 측위에 참여한 셀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3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33484A 2019-03-26 2019-12-27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KR20210138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34824.8 2019-03-26
CN201910234824.8A CN111182579B (zh) 2019-03-26 2019-03-26 定位测量信息上报方法、终端和网络设备
PCT/CN2019/129240 WO2020192219A1 (zh) 2019-03-26 2019-12-27 定位测量信息上报方法、终端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076A true KR20210138076A (ko) 2021-11-18

Family

ID=7065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484A KR20210138076A (ko) 2019-03-26 2019-12-27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14335A1 (ko)
EP (1) EP3952411A4 (ko)
JP (1) JP7417626B2 (ko)
KR (1) KR20210138076A (ko)
CN (1) CN111182579B (ko)
BR (1) BR112021019133A2 (ko)
SG (1) SG11202110632SA (ko)
WO (1) WO2020192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9409B2 (ja) * 2020-05-12 2024-03-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CN115668802A (zh) * 2020-05-29 2023-01-31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报告定位测量
EP4192141A1 (en) * 2020-07-31 2023-06-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 management method, beam manage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390580A (zh) * 2020-10-20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上报方法、波束信息确定方法及相关设备
WO2022087792A1 (zh) * 2020-10-26 2022-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Ntn中的测量上报方法、接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584916A (zh) * 2020-11-30 2022-06-0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4828205A (zh) * 2021-01-18 2022-07-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定位方法及设备
WO2022165695A1 (zh) * 2021-02-04 2022-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选择的方法及装置
WO2022205478A1 (zh) * 2021-04-02 2022-10-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测量结果上报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896401B (zh) * 2023-02-01 2024-01-16 武汉世炬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终端通信波束的确定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59930B (zh) * 2007-12-11 2010-07-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定位测量信息交互方法、系统、基站及无线网络控制器
CN103209475B (zh) * 2012-01-16 2016-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定位服务器、终端和基站
CN103703841B (zh) * 2012-07-30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的定位方法、数据发送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3856894B (zh) * 2012-12-06 2019-05-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波束的定位方法及设备
US9755797B2 (en) * 2013-12-26 2017-09-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Localization-based beamforming scheme for systems with multiple antennas
US10557919B2 (en) * 2014-03-28 2020-02-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angle of arrival discriminator
WO2016129908A1 (ko) * 2015-02-13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640979B2 (ja) * 2015-07-08 2020-02-0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ロケーション情報
CN106341882A (zh) * 2015-07-17 2017-01-18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lte系统的终端定位方法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18026817A (ja) * 2016-08-10 2018-02-15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動作に対するパスロス導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3282782B1 (en) * 2016-08-12 2019-11-06 Nokia Technologies Oy Transmission of position reference signals with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EP3306337A1 (en) * 2016-10-10 2018-04-11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 User equipment local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0154496B2 (en) * 2016-11-10 2018-12-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ed reference signals in three dimensional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CN108260133B (zh) * 2016-12-28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测量上报的方法、网络侧设备及移动终端
WO2018159967A1 (ko) * 2017-02-28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포지셔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12056B2 (en) * 2017-05-05 2019-12-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positioning of devices in a beamformed communications system
US10736074B2 (en) * 2017-07-31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location determination by beamforming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N109392000A (zh) * 2017-08-09 2019-02-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定位、测量上报方法及装置
US10054661B1 (en) * 2017-08-14 2018-08-2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configuration record of base station antenna
US10686573B2 (en) * 2017-09-11 2020-06-16 Lenovo (Singapore) Pte Ltd Reference signals for radio link monitoring
WO2020037660A1 (zh) * 2018-08-24 2020-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JP7297879B2 (ja) * 2018-09-27 2023-06-2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動作をサポートする基地局を有する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機器の測位推定
EP3648496A1 (en) * 2018-11-01 2020-05-06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eam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sitioning measurement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1963150B2 (en) * 2018-11-01 2024-04-16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enhancements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CN111314952B (zh) * 2018-12-11 2021-11-09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上报的方法及装置
KR102630579B1 (ko) * 2019-01-11 2024-01-29 애플 인크. Ue 대 ue 크로스링크 간섭 측정 및 리포팅
EP3909155B1 (en) * 2019-01-11 2023-11-29 Apple Inc. Method for measurement of ue-to-ue reference signal in new radio networks with cross-link interference
US11310762B2 (en) * 2019-01-11 2022-04-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idle-mode positioning of UEs using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WO2020146820A1 (en) * 2019-01-11 2020-07-16 Apple Inc. Resource alloc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and beam management for new radio (nr) positioning
CN113475014B (zh) * 2019-02-14 2024-04-02 苹果公司 通过空中信号测量nr参考信号接收功率(rsrp)
US20220131676A1 (en) * 2019-02-14 2022-04-2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e triggered csi-rs
WO2020222956A1 (en) * 2019-04-30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group reporting for new radio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9133A2 (pt) 2021-11-30
CN111182579A (zh) 2020-05-19
US20220014335A1 (en) 2022-01-13
JP2022528836A (ja) 2022-06-16
SG11202110632SA (en) 2021-10-28
EP3952411A4 (en) 2022-05-11
WO2020192219A1 (zh) 2020-10-01
JP7417626B2 (ja) 2024-01-18
CN111182579B (zh) 2022-04-29
EP3952411A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8076A (ko) 측위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US11665571B2 (en)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user terminal
KR102593338B1 (ko) 빔 실패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20164594A1 (zh) 测量处理方法、参数配置方法、终端和网络设备
KR20210148359A (ko) Prs 자원 구성 방법, 측정 간격 구성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20140935A1 (zh) 信息上报方法及终端
CN110650492B (zh) 一种测量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20295367A1 (en) Neighbor cell csi report sending method, neighbor cell csi report receiving method, and related devices
KR20220045170A (ko) 준 동일 위치 (qcl) 정보의 결정 방법, 구성 방법 및 관련 장치
WO2020253587A1 (zh) Srs功率控制方法、srs功率控制的配置方法及相关设备
CN110831041A (zh) 小区波束失败处理方法、移动通信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10092630A1 (en) Method for cell management,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US20210105651A1 (en) Measurement gap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node
KR20220127282A (ko)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CN110011766B (zh) 波束失败检测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0253744A1 (zh) 信息上报、获取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0216331A1 (zh) 随机接入方法及终端
KR20220028094A (ko) 상향링크 송신 폐기 방법, 상향링크 송신 폐기 구성 방법 및 관련 장비
KR20210142734A (ko) 보고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장치
CN111132233B (zh) 一种分离承载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1182622B (zh) 功率配置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1278005B (zh) 能力信息上报方法、预编码矩阵指示反馈方法和相关设备
US20210314897A1 (en) Time l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3259957A (zh) 系统信息传输方法、终端、网络侧设备和s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