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282A -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282A
KR20220127282A KR1020227027586A KR20227027586A KR20220127282A KR 20220127282 A KR20220127282 A KR 20220127282A KR 1020227027586 A KR1020227027586 A KR 1020227027586A KR 20227027586 A KR20227027586 A KR 20227027586A KR 20220127282 A KR20220127282 A KR 2022012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rget
target beam
signal
los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안위안 왕
후아밍 우
예 시
지쑨 좡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1Identifying the radio enviro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8Multipath in signal rece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4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solution or of measurements contributing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Description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측위 프로토콜에서 NR 및 LTE 시스템과 관련된 측위 기술은 주로 관련 측위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측위를 구현한다. NR 시스템을 예를 들면, 관련 측위 방식에서, 상향링크 측위의 경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빔에 따라 측위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측위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측정 정보 (예를 들어, 도달 시간)에 따라,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측 장치가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인접 셀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측위 기준 신호의 빔이 NLOS 경로이면, 네트워크측 장치는 상기 빔이 NLOS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단말 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측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련 측위 방식에 존재하는 측위가 정확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로서, 상기 제1 장치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이고, 상기 제1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2 측면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므로,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1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2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01월14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 출원 번호가 202010039189.0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고 단지 부분적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적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1. 가시선 (line of sight, LOS)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파 조건은 LOS 환경과 비 NLOS 환경으로 구분된다. 가시선 조건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서 차단되지 않고 직선으로 전파되려면 제1 프레스넬 영역 (First Fresnel zone)에 전파를 차단하는 물체가 없어야 하며,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신호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상기 프레스넬 영역의 크기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와 송수신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NR 측위에서 수신 및 측정된 신호의 도달 시간 또는 도달 각도가 직접 경로인지 여부는 최종 측위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측위 방식은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아니면 LOS 경로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 관련 측위 방법
LTE RRC에 의해 UE에 설정되는 SRS 정보의 대부분은 기본 정보 (36.331 SoundingRS-UL-Config에서 알 수 있듯이, 대역폭, 주파수 도약 순환 쉬프트 등을 포함)이며, SRS 전력 설정에는 기준 전력이나 QCL 설정이 없다.
R15 sounding 신호는 측위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측위 관련 설정이 없으며, 그 설정은 주로 usecase: beamManagement, codebook, nonCodebook and antennaSwitching를 지원하며, 채널 감지를 위한 구성은 서빙 셀만 고려한다.
R16은 UE에 의해 전송되는 SRS 신호의 QCL 기준 신호 및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서빙 셀 및 주변 셀로 향하도록 설정하며, SRS 설정은 RRC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서빙 셀은 이웃 셀과 단말의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설정된 QCL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SRS 설정이 부적절할 경우, UE는 설정된 기준 신호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거나 송신 방향을 변경하는데, 이때, 서빙 셀과 인접 셀 또는 LMF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설정을 유효한 설정으로 업데이트할 수 없다. 또한, 설정된 QCL 및 기준 측정이 실패할 경우, 효과적인 해결책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위 방식에 따르면, 제1 장치에 의해 제2 장치에 보고된 제1 정보에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므로,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식은 상향링크 측위를 위한 UE SRS의 실제 송신빔 각도 보고에 적용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측위를 위한 UE PRS의 측정각 보고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RSTD 또는 도달 시간 (Time of arrive, TOA) 또는 도달 각도 (Angle of arrive, AOA) 또는 출발 각도 (Angle of departure, AOD) 인접 빔의 에너지 변화도 보고할 수 있다.
3. 다른 용어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은 또는의 뜻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의 뜻을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단지 관련 객체의 관련 관계를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는데, 즉: A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또는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등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를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역할 또는 기능을 가진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을 구분하며, 당업자는 “제1”, “제2”는 수량 및 실행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서로 다른 장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치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 (영어: of)”, “해당 (영어: corresponding, relevant)” 및 “대응하는 (영어: corresponding)”은 때때로 혼용될 수 있으며, 그 구분에 대해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한,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가리킨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5G 통신 시스템, 미래 진화 시스템 또는 다중 통신 융합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계 대 기계 (Machine to Machine, M2M), D2M, 매크로 및 마이크로 통신, 향상된 모바일 인터넷 (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초고 신뢰 저지연 통신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및 대규모 사물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과 같은 다양한 적용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는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네트워크측 장치와 네트워크측 장치 간의 통신, 네트워크측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및 기타 시나리오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또는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와 네트워크측 장치 간의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 장치 (100) 및 제2 장치 (2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제1 장치 (100) 및 제2 장치 (200)가 하나만 도시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장치 (100)는 단말 장치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장치 (200)는 수신 장치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 (100)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 (200)는 네트워크측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장치 (100)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 (200)는 서버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장치 (100)는 네트워크측 장치이고 제2 장치 (200)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기지국, 핵심 네트워크 장치, 송수신 포인트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장치는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네트워크 중의 기지국 송수신기 (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며,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NB (NodeB) 또는 LTE 중의 eNB 또는 eNodeB (evolutional NodeB)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측 장치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측 장치는 또한 5G 통신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측 장치 또는 미래 진화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측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 장치는 무선 단말 장치 또는 유선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기타 서비스 데이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진화 PLMN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등 일 수 있다. 무선 단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핵심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포켓형, 핸드 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 장치 등과 같은 이동 전화 (또는 “휴대폰”이라 함) 및 이동 단말 장치를 갖춘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일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는 개인 휴대 통신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 (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 장치일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는 모바일 장비,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 UE 단말 장치, 액세스 단말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단말 장치 유닛, 단말 장치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Mobile Station) 및 이동국 (Mobile), 원격 스테이션 (Remote Station), 원격국, 원격 단말 장치 (Remote Terminal), 가입자 장치 (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에이전트 (User Agent), 단말 장치 등 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은 단말 장치가 휴대폰인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다.
상기 서버는 단일 서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센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서버는 측위 서버로 지칭될 수 있고, 상기 측위 서버는 측위 서버 (LoCation Services, LCS), 또는 측위 관리 기능 서버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 또는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 (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ESMLC)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위 방법은 다음 단계 2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201: 제1 장치는 제1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장치가 네트워크측 장치인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정보 또는 대상 신호의 측정 결과로 전송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장치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이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서버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보고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보고된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측정 빔, 즉 상기 대상 빔은 제1 장치가 수신단으로 사용될 때 상기 대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일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상기 대상 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측정 결과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하향링크 신호이고, 하향링크 측위 기준 신호 (DL-Positioning Reference Signal, DL-PRS), 동기 신호 블록 (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CSI Reference Signal, CSI-RS), 추적 기준 신호 (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상 신호에 대응하는 빔인데, 즉 상기 대상 빔은 제1 장치가 송신단으로 사용될 때 상기 대상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빔일 수 있다. 상기 대상 신호는 상향링크 기준 신호이고, 사운딩 기준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기준 신호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상기 대상 빔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된 보고 정보에 대응하는 빔 또는 UE에 의해 보고된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빔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이 송신 빔인 경우, 상기 송신 빔은 이번에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부 또는 일부분 빔일 수 있다. 상기 송신된 부분적 빔은 단말 장치에 의해 자체로 선택된 빔이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빔 식별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및 LOS 경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송신 빔 I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빔 ID는 미리 구성 (즉, 서로 다른 빔 또는 서로 다른 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ID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되거나 또는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한된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송신 빔 ID는 단말 장치의 자세 정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기준 신호 또는 하향링크 기준 신호의 지시 정보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상기 수신 빔은 이번에 단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전부 또는 일부분 빔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부분적 빔은 단말 장치에 의해 자체로 선택된 빔이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식별 정보는 대상 빔 I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빔 ID와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대응 관계가 존재하는데, 즉, 서로 다른 빔 ID는 서로 다른 빔 방향에 대응된다. 상기 대상 빔 ID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수신 빔 I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빔 ID는 미리 구성 (즉, 서로 다른 빔 또는 서로 다른 빔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ID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되거나 또는 묵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한된 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 빔 ID는 단말 장치의 자세 정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속 2회 획득한 수신 빔의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빔 식별 정보만으로 수신 빔의 방향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 식별 정보는 LOS 경로 수신 빔 또는 NLOS 경로 수신 빔만을 지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는 왕복 지연 (Round trip time, RTT)의 시간 정보, TOA시간 정보, 도달 시간 차이 (Time difference of arrive, TDOA) 시간 정보, 기준 신호 시간 차이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TD) 정보,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R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TOA시간 정보는 제1 장치가 대상 빔을 통해 측정하여 얻은 대상 신호의 도달 시간일 수 있고, 상기 TDOA시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에 의해 측정된 대상 신호와 기준 신호의 도달 시간 차이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제1 장치가 수신 빔의 전부 또는 일부분 방향 정보 및/또는 수신 빔 ID를 보고할 때, 해당 신호 측정 결과에서 수신 빔 ID만 보고하면 되며, 상기 수신 빔 ID는 수신 빔의 수신 방향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수신 방향 정보와 수신 빔 ID 사이의 대응 관계는 미리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이 송신 빔인 경우, 제1 장치가 송신 빔의 전부 또는 일부분 방향 정보 및/또는 송신 빔 ID를 보고할 때, 해당 신호 측정 결과에서 송신 빔 ID만 보고하면 되며, 상기 송신 빔 ID는 송신 빔의 송신 방향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송신 방향 정보와 송신 빔 ID 사이의 대응 관계는 미리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빔의 방위각, 앙각,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방위각은 대상 빔의 각도로 간주될 수 있고, 제1 장치는 대상 빔의 각도를 획득한 후, 대상 빔의 각도를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각도로 변환하는데, 즉, 상기 방위각은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대상 빔의 끼인각이며, 또한,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지리학적 북쪽은 제1 장치의 나침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방위각은 기준 빔의 각도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기준 빔은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되거나 네트워크측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앙각은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인데, 예를 들어, 앙각 = 0도인 경우, 대상 빔의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앙각 = 90 도인 경우, 즉 대상 빔은 수평 방향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가 대상 빔의 방위각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방위각의 측정 오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가 대상 빔의 앙각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앙각의 측정 오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가 대상 빔의 빔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빔폭의 측정 오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측정 오차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측정 오차는 고정 오차 범위일 수도 있고,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되는 오차 범위일 수도 있고, 미리 지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된 오차 단위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치는 지리학적 북쪽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 GCS 방향을 식별하는 능력 및 방향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의 능력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측정된 신호의 신호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빔이 송신 빔인 경우,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제1 장치의 송신 빔에 의해 보고된 신호의 신호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포함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되, N은 양의 정수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는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변화는 가우스 분포 모델일 가능성이 일정하게 존재하며, 대상 빔이 LOS 경로에 해당하는 빔인 경우, 대상 빔의 에너지는 가우스 분포의 정점 또는 변곡점일 가능성이 일정하게 존재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가우스 함수는 T-요소 가우스 함수일 수 있고, T는 1, 2, 3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가우스 함수는 단일 모드 또는 혼합 가우스 함수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는 T개 단밀 모드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 또는 혼합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일 수 있다. 혼합 가우스 함수의 구성 요소는 N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는 상기 N개 빔의 에너지의 평균값일 수도 있고, 상기 N개 빔의 에너지의 분산일 수도 있고, 상기 N개 빔의 에너지의 평균 제곱 오차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 중의 각 빔의 에너지 정보 또는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는 상기 N개 빔에서 상기 대상 빔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 및 대상 빔과 대상 빔 간의 에너지 차이 정보 (즉, 차이는 0)를 포함한다. 또한, 대상 빔과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가 0이므로, 제1 장치와 제2 장치는 상기 N개 빔에서 상기 대상 빔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빔과 대상 빔 간의 차이의 양수 값과 음수 값을 기반으로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준위를 결정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N개 빔에서 상기 대상 빔을 제외한 나머지 N-1개 빔의 에너지 준위 추세를 결정함으로써,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값과 대상 빔의 에너지 값의 차이를 계산하며, 특정 빔과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가 음수이면, 상기 빔의 에너지가 대상 빔의 에너지보다 낮고, 특정 빔과 대상 빔 간의 에너지 차이가 양수이면, 상기 빔의 에너지가 대상 빔의 에너지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대상 빔 및 상기 대상 빔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N-1개 빔을 포함한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1 장치에 의해 제2 장치에 제1 정보가 보고되는 경우, 상기 제1 장치는 제2 장치에 상기 대상 빔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보고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는 대상 빔의 에너지와 대응하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상기 대상 빔은 Qcl 또는 TCI에 의해 지정된 수신 빔이거나 또는 가장 강한 수신 빔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상기 대상 빔은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구성된 보고 정보에 대응하는 빔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보고된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빔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고정 대상 빔에 의해 M개 송신 빔이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며, M은 양의 정수이다.
예시적으로, 대상 빔이 수신 빔인 경우,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제1 장치의 고정 수신 빔이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에너지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제1 장치의 서로 다른 수신 빔에 의해 측정된 신호 에너지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및/또는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및/또는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를 측정한 후,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LOS 경로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장치가 제2 장치에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를 보고한 후, 제2 장치는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bit 0 또는 bit 1로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는 LOS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단말 장치는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아니면 LOS 경로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일정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판단 결과가 정확한지 여부에 대해 100% 확신할 수 없으므로, 단말 장치는 제2 장치에 LOS 품질 정보를 보고하고, 제2 장치는 LOS 품질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장치의 위치를 측위할 때 상기 LOS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LOS 품질 정보는 Xbit를 통해 LOS 판단 결과의 신뢰성 및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에 LOS 품질 정보가 포함된 경우, 대응하는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을 LOS 경로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장치에 의해 보고된 제1 정보에 LOS 품질 정보가 없는 경우, 대응하는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을 NLOS 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식별 정보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빔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식별 정보이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측위 방법이 상향링크 측위인 경우, 단말 장치는 송신 방향 정보 및 대응하는 송신 빔 식별 정보를 함께 보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 (Time Streaming Protocol, TRP) 지시 정보, 셀 지시 정보 및 측정 신호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측정 신호가 PRS인 경우, 상기 측정 신호 지시 정보는 하향링크 측위 기준 신호 자원 세트 식별자 (DL-PRS resource set ID), 하향링크 측위 기준 신호 자원 식별자 (DL-PRS resource ID)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신호가 SSB인 경우, 상기 측정 신호 지시 정보는 SSB ID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신호가 TRS인 경우, 상기 측정 신호 지시 정보는 TRS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신호가 CSI-RS인 경우, 상기 측정 신호 지시 정보는 CSI-RS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위 방법에 있어서,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므로,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단계 201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 A1 및 단계 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A1: 제1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A2: 제1 장치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장치에 의해 측정이 필요한 제1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장치를 위해 구성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제1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대상 빔의 정보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수신단인 경우,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수신 에너지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수신 방향 정보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1 장치는 대상 신호를 측정하는데, 즉 제1 정보에는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수신 에너지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1 장치는 대상 빔을 통해 대상 신호의 수신 에너지를 측정하는데, 즉 제1 정보에는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송신단인 경우,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송신 에너지를 송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송신 방향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전부 또는 일부분 빔을 요청하기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단계 201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 B1를 더 포함한다. 즉:
단계 B1: 제1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보고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보고 구성 정보는 제1 장치에 의해 보고할 것이 필요한 제1 정보를 지시한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가 제1 장치를 위해 구성한 보고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1와 결부하여, 상기 단계 201는 다음 단계 B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B2: 제1 장치는 보고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정보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제1 장치는 상기 보고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보고될 제1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대상 빔의 정보는 상기 보고 구성 정보와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수신단인 경우, 상기 보고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수신 에너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수신 방향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송신단인 경우, 상기 보고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신호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송신 관련 빔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송신 에너지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신호의 송신 방향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상기 제1 장치에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를 보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할 때, 상기 단계 A1 및 단계 A2에 해당하는 측정 방식 또는 상기 단계 B1 및 단계 B2에 해당하는 보고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단계 A1 및 단계 A2에 해당하는 측정 방식과 상기 단계 B1 및 단계 B2에 해당하는 보고 방식을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C1: 제2 장치는 제1 장치를 위해 제1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단계 C2: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기준 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방향과 기준 빔의 방향의 끼인각 또는 상기 대상 빔의 방향에 대응하는 빔 ID와 기준 빔의 방향에 대응하는 빔 ID의 차이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C3: 제2 장치는 제3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의 내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제1 장치에 의해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중 하나, 예를 들어 방향각이 보고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D1: 제1 장치는 제2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D2: 제2 장치는 제2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2 정보는 적어도 상기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제2 장치가 서버인 경우, 서버는 기지국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된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제3 장치의 신호에 관한 전송 각도 정보를 획득하고, 자체의 빔의 전송 각도 정보와 제3 장치의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결부하여 판단 및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는 서버인 경우, 단말 장치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전에 서버로부터 네트워크측 장치의 신호에 관한 전송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는 자체의 빔의 각도 정보 및 네트워크측 장치의 각도 정보를 결부하여 수신 빔을 무시하거나 재선택하고, 재선택된 빔을 서버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1 후에,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 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301: 제1 장치는 제2 장치에 제1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302: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303: 제2 장치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제2 장치는 제1 정보 및 로컬 정보 또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업로드된 관련 정보를 결부하여 대상 신호가 LOS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대상 신호가 LOS 경로가 아닌 경우, 제2 장치는 새로운 QCL정보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1 장치에 빔의 전부 또는 부분적 각도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새로운 QCL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빔은 LOS 경로의 빔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는 측위 서버인 경우, 제3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이며, 단말 장치가 신호 수신 또는 측정 장치인 경우, 상기 로컬 정보는 측위 서버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의 송신 신호와 관련된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적어도 방향 정보 또는 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의 관련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보고되는 신호 또는 대상 빔의 전송 방향 정보 또는 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장치는 상기 정보에 따라 대상 신호의 수신 빔이 LOS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LOS빔이 아니면, 제2 장치는 상기 LOS빔의 관련 신호 측정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도록 제1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장치는 LOS빔 및 수신된 신호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제2 장치는 제1 장치에 전부 또는 부분적 빔 각도 정보 또는 수신 신호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는 측위 서버인 경우, 제3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이고 단말 장치는 신호 송신 장치이면, 상기 로컬 정보는 측위 서버에 저장된 네트워크측 장치의 수신 빔에 관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적어도 방향 정보 또는 빔 정보,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의 관련 정보,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보고되는 신호 또는 대상 빔의 전송 방향 정보 또는 빔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장치는 상기 정보에 따라 대상 신호의 수신 빔이 LOS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LOS빔이 아니면, 제2 장치는 LOS빔의 관련 신호 측정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도록 네트워크측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장치는 LOS빔 및 수신된 신호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제2 장치는 제1 장치에 전부 또는 부분적 빔 각도 정보 또는 수신 신호 정보를 보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301은 다음 단계 301a 또는 단계 30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301a: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제2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인 경우, 제1 장치는 RRC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한다.
단계 301b: 상기 제2 장치가 서버인 경우, 제1 장치는 경량 프레젠테이션 프로토콜 (Lightweight Presentation Protocol, LPP), NRPP 또는 진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서버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단말 장치에 의해 서버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 장치는 LPP, NRPP 또는 그 진화 프로토콜을 통해 보고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단말 장치에 의해 기지국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 장치는 RRC을 통해 보고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기지국에 의해 서버로 제공되는 경우, 기지국은 LPPa, NRPPa 또는 그 진화 프로토콜을 통해 보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대상 빔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의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 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304: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대상 빔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신호가 LOS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방위각 정보 및/또는 앙각 정보 및/또는 빔폭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빔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미리 지정된 지시 관계를 통해 대상 빔의 방향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방향 정보 및 빔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이 예시는 빔 식별 정보와 방향 정보 간의 관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빔 식별 정보는 측정 신호 또는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관계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식별 정보로 이해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또는 인접한 N-1개 빔 및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및 빔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이 예시는 빔 식별 정보와 에너지 정보 간의 관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빔 식별 정보는 또한 측정 신호 또는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관계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식별 정보로 이해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LOS 경로 지시 정보이다.
예시적으로, 빔 식별 정보는 특정 빔에 해당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빔의 고유 식별 표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향링크 측위에서, 빔 식별 정보는 SRS resource ID 및/또는 SRS resource set ID와 같은 SRS신호 또는 다른 상향링크 신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향링크 측위에서, 빔 식별 정보는 PRS resource ID 및/또는 PRS resource set ID와 같은 PRS신호 또는 다른 하향링크 신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RTT측위 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신호의 식별자만 사용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측위의 빔 정보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접한 두 수신 빔의 방향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수신 빔의 방향 정보는 빔 식별 정보 또는 기본 정보만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또는, 인접한 두 수신 빔의 수신 에너지 변화 정보가 변경되지 않거나 변경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의 정보는 업로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방법의 첨부도면에 도시된 측위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예를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특정 구현 시, 상기 각 방법의 도면에 도시된 측위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예시된 임의의 다른 결합 가능한 도면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이며, 상기 제1 장치 (400)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4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식별 정보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는 RTT의 시간 정보, TOA시간 정보, TDOA시간 정보, RSTD정보, RSRP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빔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보고된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결과와 대응되는 측정 빔이고,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상기 대상 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측정 결과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하향링크 신호이고, DL-PRS, SSB, CSI-RS, 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대상 신호와 대응되는 빔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상향링크 기준 신호이고, SRS,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정보 또는 신호 측정 정보를 통해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빔의 방위각, 앙각,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위각은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며; 및/또는, 상기 방위각은 기준 빔의 각도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이며; 및/또는, 상기 앙각은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장치는 지리학적 북쪽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 GCS 방향을 식별하는 능력 및 방향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의 능력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포함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되, N은 양의 정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이고, 상기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며; 상기 가우스 함수는 T-요소 가우스 함수이고, T는 1, 2, 3 중 적어도 하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 중의 각 빔의 에너지 정보 또는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대상 빔 및 상기 대상 빔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N-1개 빔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고정 대상 빔에 의해 M개 송신 빔이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bit 0 또는 bit 1로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는 LOS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는 획득 모듈 (40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 (402)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결정 모듈 (401)은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 (402)에 의해 수신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며; 및/또는, 상기 획득 모듈 (402)은 또한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보고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 모듈 (401)은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 (402)에 의해 수신된 보고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정보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 (402)은 또한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상기 기준 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 (402)은 적어도 상기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에 결정 모듈 (401)에 의해 결정된 제1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송신 모듈 (403)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 (403)은 상기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네트워크측 장치인 경우, RRC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에 제1 정보를 보고하며; 또는, 상기 제2 장치가 서버인 경우, LPP, NRPP 또는 진화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서버에 상기 제1 정보를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장치를 제공하며, 제1 장치에 의해 결정된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기 때문에,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제2 장치에 보고된 후,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 나타낸 임의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이 반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 모듈 (401)과 같은 제1 장치 (400)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모듈은 실선 박스로 도시되고, 획득 모듈 (402)과 같은 제1 장치 (400)에 포함되어도 되고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모듈은 점선 박스로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이며, 상기 제2 장치 (500)는 획득 모듈 (501) 및 결정 모듈 (502)을 포함하되, 획득 모듈 (501)은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며; 결정 모듈 (502)은 획득 모듈 (501)에 의해 획득된 제1 정보에 따라,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직접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식별 정보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는 DL-PRS, SSB, CSI-RS, 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빔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식별 정보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대상 빔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의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빔의 방위각, 앙각,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위각은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며; 및/또는, 상기 방위각은 기준 빔의 각도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방향 정보이며; 및/또는, 상기 앙각은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포함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되, N은 양의 정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이고, 상기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며; 상기 가우스 함수는 T-요소 가우스 함수이고, T는 1, 2, 3 중 적어도 하나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 중의 각 빔의 에너지 정보 또는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N개 빔은 상기 대상 빔 및 상기 대상 빔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N-1개 빔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고정 대상 빔에 의해 M개 송신 빔이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는 LOS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결정 모듈 (502)은 또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에 LOS 품질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을 LOS 경로로 결정하며; 상기 LOS 품질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에 상기 LOS 품질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대상 빔을 NLOS 경로로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장치는 제1 장치를 위해 제1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5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기준 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 (501)은 적어도 상기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므로,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 모듈 (502)과 같은 제2 장치 (500)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모듈은 실선 박스로 도시되고, 구성 모듈 (503)과 같은 제2 장치 (500)에 포함되어도 되고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모듈은 점선 박스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치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 나타낸 임의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이 반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며, 상기 단말 장치 (100)는 무선 주파수 장치 (101), 네트워크 모듈 (102), 오디오 출력 장치 (103), 입력 장치 (104), 센서 (105), 디스플레이 장치 (106), 사용자 입력 장치 (107), 인터페이스 장치 (108), 메모리 (109), 프로세서 (110) 및 전원 (111) 등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단말 장치 (100)의 구조가 단말 장치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 장치 (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100)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장치, 웨어러블 기기, 만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 (110)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에 의해 결정된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보가 제2 장치에 보고된 후,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단말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1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화 과정에 신호를 송수신하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 (110)에서 처리하고;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 (1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 (1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 (100)는 네트워크 모듈 (102)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 (103)는 무선 주파수 장치 (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 (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 (103)는 단말 장치 (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103)는 스피커, 부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 (1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 (104)는 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041) 및 마이크로폰 (1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 (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 (1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 (109) (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 (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 (1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 장치 (100)는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10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 장치 (100)가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 (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 (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자세 식별 (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 (1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 (1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106)는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은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1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 (107)는 터치 패널 (1071) 및 기타 입력 장치 (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 (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 (1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 (1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 (1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1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 (1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 (10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 (1071) 외에, 사용자 입력 장치 (107)는 기타 입력 장치 (1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 (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 (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 (1071)은 디스플레이 패널 (10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 (10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 (110)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 (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 (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단말 장치 (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이 통합되어 단말 장치 (1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 (108)는 외부 장치와 단말 장치 (1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 (I/O)포트, 비디오 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1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 (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 장치 (100)의 하나 이상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단말 장치 (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 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0)는 단말 장치 (100)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 (100)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 (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 (1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 장치 (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장치 (100)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 (1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1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 (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장치 (100)는 또한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111) (예를 들어,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전원 (111)는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 (1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 (1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제1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장치가 서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며, 상기 서버 (800)는 프로세서 (801), 송수신기 (802), 메모리 (803), 사용자 인터페이스 (8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 (802)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고, 프로세서 (801)는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및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므로, 서버는 대상 빔의 특정 방위를 정확하게 측위하여 더 높은 정확도로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통신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서,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8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803)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 (8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8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 (8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 (803)에는 프로세서 (8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 (8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하지만,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제2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서버를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에 따른 측위 방법의 다양한 단계가 구현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함유”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으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적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단말 장치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저장 매체 (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43)

  1. 제1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방법으로서,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직접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대상 신호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대상 신호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는 왕복 지연 (RTT)의 시간 정보, 도달 시간 (TOA) 시간 정보, 도달 시간 차이 (TDOA) 시간 정보, 기준 신호 시간 차이 (RSTD) 정보,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보고된 대상 신호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측정 빔이며;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상기 대상 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측정 결과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하향링크 신호이고, 하향링크 측위 기준 신호 (DL-PRS), 동기 신호 블록 (SSB),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CSI-RS), 추적 기준 신호 (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은 상기 제1 장치에 의해 송신된 대상 신호에 대응하는 빔이며;
    상기 대상 신호는 상향링크 기준 신호이고, 사운딩 기준 신호 (SRS), 복조 기준 신호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위치 정보 또는 신호 측정 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빔의 다음 사항, 즉: 방위각, 앙각,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각은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며;
    및/또는, 상기 방위각은 기준 빔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각도의 방향 정보이며;
    및/또는, 상기 앙각은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2 장치로부터 제1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기준 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지리학적 북쪽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 GCS 방향을 식별하는 능력 및 방향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포함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되, N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는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이며;
    상기 가우스 함수는 T-요소 가우스 함수이고, T는 1, 2, 3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 중의 각 빔의 에너지 정보 또는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대상 빔 및 상기 대상 빔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N-1개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고정 대상 빔에 의해 M개 송신 빔이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는 LOS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측정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장치로부터 보고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적어도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제2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 장치에 적용되는 측위 방법으로서,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직접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는 대상 신호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대상 신호는 상기 대상 빔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신호의 측정 정보는 하향링크 측위 기준 신호 (DL-PRS), 동기 신호 블록 (SSB),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CSI-RS), 추적 기준 신호 (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방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에너지 변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제1 정보에 대상 빔의 정보가 없는 경우, 제2 장치는 대상 빔의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3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대상 빔의 다음 사항, 즉: 방위각, 앙각, 빔폭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위각은 지리학적 북쪽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이며;
    및/또는, 상기 방위각은 기준 빔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각도의 방향 정보이며;
    및/또는, 상기 앙각은 수직 방향에 대한 상기 대상 빔의 끼인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장치를 위해 제1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기준 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3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을 포함하는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되, N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의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되는 가우스 함수 매개변수이며;
    상기 가우스 함수는 T-요소 가우스 함수이고, T는 1, 2, 3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N개 빔 중의 각 빔의 에너지 정보 또는 상기 N개 빔과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 빔은 상기 대상 빔 및 상기 대상 빔과 공간적으로 인접한 N-1개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고정 대상 빔에 의해 M개 송신 빔이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에 상기 대상 빔의 LOS 경로 판단 결과의 신뢰성 또는 품질을 나타내는 LOS 품질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을 LOS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에 상기 LOS 품질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대상 빔을 NLOS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적어도 대상 신호의 전송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이며, 상기 제1 장치는,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0.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이며, 상기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장치의 측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대상 빔의 방향 정보, 상기 대상 빔의 에너지 변화 정보, LOS 경로 지시 정보, 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LOS 경로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이 LOS 경로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빔 식별 정보는 상기 대상 빔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는 통신 장치.
  42.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2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는 통신 장치.
  43.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위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27586A 2020-01-14 2021-01-12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20127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39189.0 2020-01-14
CN202010039189.0A CN113194531B (zh) 2020-01-14 2020-01-14 定位方法及通信设备
PCT/CN2021/071310 WO2021143685A1 (zh) 2020-01-14 2021-01-12 定位方法及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282A true KR20220127282A (ko) 2022-09-19

Family

ID=7686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586A KR20220127282A (ko) 2020-01-14 2021-01-12 측위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34213A1 (ko)
EP (1) EP4093108A4 (ko)
JP (1) JP7461483B2 (ko)
KR (1) KR20220127282A (ko)
CN (1) CN113194531B (ko)
BR (1) BR112022013534A2 (ko)
WO (1) WO2021143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4365A (zh) * 2021-09-30 2023-03-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直射径或非直射径指示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WO2023053409A1 (ja) * 2021-09-30 2023-04-0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4885284B (zh) * 2022-07-12 2022-09-20 南通飞旋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与无线通信的智能定位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1934C1 (ru) * 2015-01-22 2018-07-23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ue и устройство
BR112019004397A2 (pt) * 2016-09-09 2019-05-28 Sony Corp dispositivo e método de comunicação, e, mídia de gravaçã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EP3306337A1 (en) * 2016-10-10 2018-04-11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 User equipment local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1122455B2 (en) * 2017-02-28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sition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015196B (zh) 2017-04-07 2019-09-2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功率延迟分布与波达角测距的单节点室内定位方法
US11032792B2 (en) 2018-04-11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Navigation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radio beam
US20190361111A1 (en) * 2018-05-25 2019-11-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transmission timing of a positioning beacon from a time of reception of a referenc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4531B (zh) 2023-01-20
JP7461483B2 (ja) 2024-04-03
EP4093108A1 (en) 2022-11-23
EP4093108A4 (en) 2023-06-21
US20220334213A1 (en) 2022-10-20
BR112022013534A2 (pt) 2022-09-06
WO2021143685A1 (zh) 2021-07-22
CN113194531A (zh) 2021-07-30
JP2023511289A (ja)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82579B (zh) 定位测量信息上报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09803275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发送、接收方法、装置及系统
WO2019095898A1 (zh) 信号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4093108A1 (en)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719154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传输方法及设备
US20220295367A1 (en) Neighbor cell csi report sending method, neighbor cell csi report receiving method, and related devices
KR20220045170A (ko) 준 동일 위치 (qcl) 정보의 결정 방법, 구성 방법 및 관련 장치
CN112787780B (zh) Srs发射设置方法、信息配置方法、定位方法和相关设备
CN111278116A (zh) 上行信号发送方法及装置
CN111526551A (zh) 一种小区接入方法、设备及系统
CN110011766B (zh) 波束失败检测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2268197A1 (zh) 定位处理方法、定位参考信号发送方法、装置及设备
CN111800861A (zh) 功率控制方法及设备
US202103777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2822713B (zh) 一种srs上报处理方法及相关设备
EP4280719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347710B (zh) 一种定位方法和相关装置
US20230019838A1 (en) Measurement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sid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