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848A -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848A
KR20210137848A KR1020200056194A KR20200056194A KR20210137848A KR 20210137848 A KR20210137848 A KR 20210137848A KR 1020200056194 A KR1020200056194 A KR 1020200056194A KR 20200056194 A KR20200056194 A KR 20200056194A KR 20210137848 A KR20210137848 A KR 2021013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extract
culture
ro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848A/ko
Publication of KR2021013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2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퇴적토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통한 파라쿠마릭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PSEUDOALTEROMONAS SP. ROA-050 STRAIN WITH SKIN WHITENING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멜라닌(melanin) 생성을 저해하는 신규한 균주인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상기 균주의 미백 용도, 및 상기 균주를 통한 파라쿠마릭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고, 기미 또는 잡티를 생성하는 데는 여러 요인들이 관여하며, 특히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멜라노사이트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여러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멜라닌 색소로,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다양한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요인, 자외선 등의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에 널리 분포하는 흑색 또는 갈색의 페놀 고분자로서, 그 함량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며, 주로 환경적인 스트레스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균에서는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곰팡이에서는 건조, 고온, 자외선, 살균제, 용해효소에 대한 세포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식물의 진균증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식물에서 멜라닌은 세포벽의 중요한 강화 요소로 작용한다. 포유류에서는 흑색 및 갈색의 유멜라닌(eumelanin)과 분홍 내지 적색을 띄는 피오멜라닌(pheomelanin)의 2가지 형태로 나뉘고, 사람 신체에서 주로 머리카락과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과도한 빛을 차단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티로시나제는 식물, 미생물, 포유동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멜라닌 생합성의 가장 중요한 효소이다. 이 효소는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고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흑색 또는 갈색의 멜라닌을 생성한다(G. Prota, 1992, Melanins and Melanogenesis).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하는 원인 중에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 저해제는 미백화장품 소재뿐만 아니라 부분색소침착(localized hyperpigmentation) 치료제로도 활용되고 있다(K, Maeda, J. Soc. Cosmet. Chem., 1991, 42, 361).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으며, 케라티노사이트가 노화되어 제 기능을 다하고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케라티노사이트와 함께 피부로부터 제거된다. 현재까지 피부 미용적 측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멜라닌의 생합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 물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집중되었으며, 멜라닌 생성 저해제로서 파라메톡시페놀(p-methoxy phe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직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저해제들은 활성이 약하거나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외에 피부괴사, 색소 세포 변성, 피부 세포 독성, 피부 자극 유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역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미백 물질들의 대안으로서 안전하고 미백 효능이 높은 천연물을 발굴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동해안 해양퇴적토에서 분리한 해양 그람 음성균(Marine Pseudoalteromonas)의 일종인 슈도알테로모나스속 (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가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미백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기탁번호 KCTC14174BP로 기탁된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14174BP로 기탁된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가지는 신규한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또는 이하에서 ROA-050 균주로도 불리운다)”는 해양 박테리아(marine bacteria)의 슈도알테로모나스속에 속하는 균주이다. 상기 균주는 남해 해양퇴적토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하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1) 미백 활성을 가짐;
(2)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
(3)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의 처리 조건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함;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을 생성함: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상기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은 피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 생성된 멜라닌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과 같이 피부에서 멜라닌의 함량을 낮추고, 색소의 침착을 억제하는 기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거나,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로 인해 증가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의 처리 조건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억제율은, 알부틴(arbutin) 대비 1배 내지 20배, 1배 초과 내지 20배, 2배 내지 20배, 3배 내지 20배, 4배 내지 20배, 5배 내지 20배, 6배 내지 20배, 7배 내지 20배, 8배 내지 20배, 9배 내지 20배, 10배 내지 20배, 11배 내지 20배, 12배 내지 20배, 13배 내지 20배, 14배 내지 20배, 또는 15배 내지 2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이차대사산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파라쿠마릭산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 및/또는 이로부터 생성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파라쿠마릭산은, 적은 농도로 강한 미백 효능을 가져 미백제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활성)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뿐 아니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바람직하게는, 광학 이성질체) 또는 유도체가 모두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파라쿠마릭산”은 염,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파라쿠마릭산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의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파라쿠마릭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ROA-050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미백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ROA-050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미백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ROA-050 균주,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0.001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배양물”은 균주를 배지에 배양하여 영양분을 섭취하고 물질대사를 통해 생겨난 부산물이 포함된 배지를 의미하며, 상기 배지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배지를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 상기 배지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상기 배지를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배양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와 함께 배양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양 배지는 상기 균주를 배양하게 위하여 공지의 적절한 배지를 선택할 수 있으나, 유용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에 최적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양 배지는 SYP, 마린 브로스(Marine broth (BD)) 등일 수 있다. 상기 SYP의 배지 형태는 고체배지와 액체배지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액체배지일 수 있다. 배양물을 얻기 위한 배양기간은 유효한 이차대사 산물의 생산이 활발한 약 7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SYP의 배지는 전분(Soluble starch),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펩톤(Peptone), 해양 소금(sea salt)을 사용한다. 고체배지 같은 경우는 400 mL 기준으로 전분(Soluble starch) 4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6 g, 펩톤(Peptone) 0.8 g, 한천 (Agar) 7.2 g, 해양 소금(sea salt) 13.9 g에 증류수(Distilled water) 400 mL을 추가한다. 액체배지 같은 경우는 4 L 기준으로 전분(Soluble starch) 40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6 g, 펩톤(Peptone) 8 g, 해양 소금(sea salt) 139 g에 증류수 (Distilled water) 4 L을 추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물 및/또는 이의 추출물은 이들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건조물 및 농축물은, 상기 배양물 및/또는 이의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슈도알테로모나스속 (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의 배양물을, 적절한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로서,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디클로로메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은 유효성분인 파라쿠마릭산을 다량 수득할 수 있는 분획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알코올(예를 들어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용매로 분획된 분획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메탄올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물/에탄올 분획물은 상기 유기용매 추출물을 에탄올 40, 60, 80, 100%(v/v) 용액으로 추가로 분획하여 얻어진 소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 및/또는 소분획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파라쿠마릭산을 비롯하여 유용한 이차대사산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미백” 또는 "피부 미백"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예컨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및 잡티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멜라닌의 합성 저해, 분해 또는 탈색을 통해 피부에서의 색소침착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은 멜라닌 생성 저해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연고, 외용 연고, 크림, 폼, 화장수,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세정료, 입욕제, 선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비경구 투여 제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부형제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매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되는 담체 또는 매체는 용매, 분산제, 흡수 촉진제, 및 1종 이상의 불활성 부형제(전분, 폴리올, 과립제, 극미세 셀룰로스(microfine cellulose), 미세결정형 셀룰로스(예컨대, 셀피어, 셀피어 비즈(Celphere beads), 희석제, 윤활제, 결착제(binder), 붕해제 등을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부형제 그리고 상기 추가의 성분의 예로는, 결착제, 충전제, 붕해제, 윤활제, 항미생물제 및 코팅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연고, 크림, 페이스트제, 외용 액제, 글리세로젤라틴(glycerogelatins), 찰제(liniments), 외용산제, 에어로졸 및 경고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포함하는 외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치료 가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또는 검버섯 등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비경구 투여(예컨대, 경피 투여, 패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 경로로서 경피 투여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 경로로서 패치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패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그 기능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패치는 전형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소형의 접착 붕대로, 이들 붕대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형태는 지지체 위에 위치시킨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접착성의 단일체이다. 저장소는 전형적으로는 미용학 또는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감압성의 접착제로부터 형성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피부 접촉 표면에 적합한 접착제 박층이 제공된 비접착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이 이들 패치로부터 패치를 부착한 객체에 투여되는 속도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한 피부의 투과성이 보통의 사람 및 피부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배양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들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분획물들을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분획물들을 얻는 단계 이전에, 상기 균주를 파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라쿠마릭산은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양 단계는 파라쿠마릭산의 생산에 최적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배지의 종류, 배양 기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배지의 종류는, SYP, 마린 브로스(Marine broth (B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SYP의 배지 형태는 고체배지와 액체배지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액체배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양 단계의 액체 배양은 SYP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균주 콜로니 2-3개당 액체배지 20 내지 30 mL의 비율로 접종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YP의 배지는 전분(Soluble starch),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펩톤(Peptone), 해양 소금(sea salt)을 사용한다. 고체배지 같은 경우는 400 mL 기준으로 전분(Soluble starch) 4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6 g, 펩톤(Peptone) 0.8 g, 한천 (Agar) 7.2 g, 해양 소금(sea salt) 13.9 g에 증류수(Distilled water) 400 mL을 추가한다. 액체배지 같은 경우는 4 L 기준으로 전분(Soluble starch) 40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6 g, 펩톤(Peptone) 8 g, 해양 소금(sea salt) 139 g에 증류수 (Distilled water) 4 L을 추가한다
상기 배양 기간은, 파라쿠마릭산과 같은 유효한 이차대사 산물의 생산이 활발한 약 7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파라쿠마릭산의 생산에 최적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 방법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종류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에서 파라쿠마릭산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없이 공지의 용매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유기용매,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디클로로메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공지의 미생물 추출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초임계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셀라이트 또는 폴리스틸렌 또는 폴리아마드 흡착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 용매를 배양물 분량의 1 내지 3 부피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약 1 부피 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3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감압건조는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압건조 시 온도는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35℃, 예컨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개 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 수득 단계 또는 분리 정제 단계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RP-18, RP-8, RP-4, 폴리아미드, 도요펄 (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며, 용매로 클로로포름 (CHCl3)-메탄올, 초산에틸 (ethyl acetate)-메탄올, 염화메틸렌 (dichloromethane)-메탄올, 메탄올-물 또는 아세토나이트릴-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물 수득 단계에서는 20 내지 100%의 메탄올/물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C-18 역상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들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정제 단계에서는 상기 분획물 수득 단계에서 수득된 분획물들을 전체 또는 일부 선택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부, 예를 들어, 첫 번째와 네 번째 분획물을 각각 선택하여,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 H2O=30:70 용액을 이용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 또는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어, 미백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파라쿠마릭산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안전한 물질이고,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색소침착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어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품 개발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해양퇴적토로부터 분리한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의 SYP 고체배지에서의 형태를 나타난 사진이다.
도 2a는 ROA-050 균주의 추출물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실시예 3에서 분리 정제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한 1H NMR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실시예 3에서 분리 정제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한 질량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는 실시예 3에서 분리 정제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한 자외선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ROA-050 균주로부터 생성된 화합물의 농도 의존적 멜라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 선별 및 동정
1-1: 해양퇴적토로부터 균주 분리
본 발명자들은 2018년 10월 남해 포항 인근 해양퇴적토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퇴적토는 클린벤치에서 건조 후, 건조물을 멸균된 해수에 현탁하여 1/20으로 희석한 뒤 SYP 고체배지에 접종하고, 27℃에서 배양하면서 생성된 단일 균주를 SYP 고체배지에 다시 접종하여 순수한 균주를 분리 및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된 슈도알테로모나스속 (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는 전형적인 슈도알테로모나스 속에 속하는 균주의 형태적 양상이 관찰되었다(도 1).
1-2: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균주의 종 동정을 위해 SYP 액체배지에서 4일 동안 27℃에서 배양된 균주 1mL을 취하여 “Tissue Genomic DNA Isolation kit” (Cosmogenetech co, Ltd.. Seoul, South Korea)를 이용하여 제조회사 프로토콜에 의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종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 증폭을 27F 및 1492R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종류 서열 (5’ -> 3’) 서열번호
27F AGA GTT TGA TCC TGG CTC AG 2
1492R GGT TAC CTT GTT ACG ACT T 3
PCR 산물은 “PCR purification kit” (Cosmogenetech co, Ltd.. Seoul, South Korea)을 이용하여 정제 후, capillary electrophoresis (Applied Biosystems 3730XL)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ROA-050 균주로부터 얻어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GenBank/EMBL/DDBJ 데이터베이스의 BLAST 서치를 활용하여 이전에 보고된 균주들의 정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ROA-050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Pseudoalteromonas piscicida 균주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ROA-050 균주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에 속하는 균주로 판단되었다.
상기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의 16S rRNA genes 염기서열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1
Pseudoalteromonas piscicida
GGCTCAGATTGAACGCTGGCGGCAGGCCTAACACATGCAAGTCGAGCGGTAACATTTCTAGCTTGCTAGAAGATGACGAGCGGCGGACGGGTGAGTAATGCTTGGGAACATGCCTTGAGGTGGGGGACAACCATTGGAAACGATGGCTAATACCGCATAATGTCTACGGACCAAAGGGGGCTTCGGCTCTCGCCTTTAGATTGGCCCAAGTGGGATTAGCTAGTTGGTGAGGTAAAGGCTCACCAAGGCGACGATCCCTAGCTGGTTTGAGAGGATGATCAGCCACACTGGAACTGAGACACGGTCCAGACTCCTACGGGAGGCAGCAGTGGGGAATATTGCACAATGGGCGCAAGCCTGATGCAGCCATGCCGCGTGTGTGAAGAAGGCCTTCGGGTTGTAAAGCACTTTCAGTCAGGAGGAAAGGTTAGTAGTTAATACCTGCTAGCTGTGACGTTACTGACAGAAGAAGCACCGGCTAACTCCGTGCCAGCAGCCGCGGTAATACGGAGGGTGCGAGCGTTAATCGGAATTACTGGGCGTAAAGCGTACGCAGGCGGTTTGTTAAGCGAGATGTGAAAGCCCCGGGCTTAACCTGGGAACTGCATTTCGAACTGGCAAACTAGAGTGTGATAGAGGGTGGTAGAATTTCAGGTGTAGCGGTGAAATGCGTAGAGATCTGAAGGAATACCGATGGCGAAGGCAGCCACCTGGGTCAACACTGACGCTCATGTA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TCTACTAGGAGCTGGGGTCTTCGGACAACTTTTCCAAAGCTAACGCATTAAGTAGACCGCCTGGGGAGTACGGCCGCAAGGTTAAAACTCAAAT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TGCAACGCGAAGAACCTTACCTACACTTGACATACAGAGAACTTACCAGAGATGGTTTGGTGCCTTCGGGAGCTCTGATACAGGTGCTGCATGGCTGTCGTCAGCTCGTGTT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CTATCCTTAGTTGCCAGCGATTCGGTCGGGAACTCTAAGGAGACTGCCGGTGATAAACCGGAGGAAGGTGGGGACGACGTCAAGTCATCATGGCCCTTACGTGTAGGGCTACACACGTGCTACAATGGCAGGTACAGAGAGCAGCGAGCTAGCGATAGTGAGCGAATCCCTTAAAGCCTGTCGTAGTCCGGATTGGAGTCTGCAACTCGACTCCATGAAGTCGGAATCGCTAGTAATCGCAAATCAGAATGTT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GGAGTGGGTTGCTCCAGAAGTGGATAGTCTAACCTTCGG
실시예 2. 균주 배양물 및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된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균주를 2.5 L 배양 용기에 해수가 포함된 1 L 배양액 (10 g/L 전분, 4 g/L 효모 추출물, 2 g/L 펩톤)에 7일 동안 27℃, 130 rpm 조건에서 배양 후,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의 배양물을 얻었다.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의 배양물에 에틸아세테이트 1 L를 넣어 두 층을 분리하고 이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얻었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부터 진공회전 농축기를 이용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이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ROA-050 균주의 추출물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로 분석하였다 (도 2a).
실시예 3.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00 mg)을 H2O와 EtOH의 40, 60, 80 및 100%까지 EtOH의 단계적 구배에 따르는 DIAION HP-20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였다. 그 중 40% 에탄올/ 60% 물로 분획한 첫 번째 분획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으며, 그 잔류물들은 1 mL 메탄올에 녹이고, 그 용액에 대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즉 파라쿠마릭산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유용한 이차대사산물인 파라쿠마릭산은 ROA-050 균주의 배양 후 약 7일째부터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분획물에 추가적으로 30% 아세토나이트릴/70% 물 조건 및 분당 2 mL의 유속의 용리조건으로, 10 mm × 250 mm의 RP-18 컬럼을 이용한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정제하였으며 머무름 시간 11분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를 수득하였다. 상기 분리한 화합물들을 MS (Agilent 6120 quadrupole LC-MS) 및 핵자기공명분광기 (AVANCE III 300 Bruker)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화합물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은 분자량 164이며, 분자식이 C9H8O3인 투명한 오일상의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2b).
상기 ROA-050 균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의 질량분석 결과를 도 2c에 나타내었으며, LC-MS상에서 확인한 자외선 스펙트럼 결과를 도 2d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Phenomenex Luna C-18 (2), 250×10.0 mm
2.0 mL/분, 5 mm, 100 Å, UV = 210 nm, 아세토나이트릴 (CH3CN):물(H2O)=30:70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파라쿠마릭산을 슈도알테로모나스 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로부터 머무름 시간 11분에 분리하였다.
이로써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의 배양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실시예 4. 멜라닌 생성 저해능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ATCC, USA)를 2 x 104 cells/well로 48 웰 플레이트에 600 μL씩 분주한 후에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 배지로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 배지(ATCC, USA)를 사용하였다. 멜라닌 생성 촉진 자극원인 α-MSH (0.4 uM, Sigma-Aldrich, USA)와 DMSO에 용해시켜 12.5, 25, 50 ppm 농도로 제조한 파라쿠마릭산을 동시에 섞은 배지를 제조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기존의 잘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 (Sigma-Aldrich, USA) 50 ppm을 사용하였다. 분주된 웰 내의 배지를 제거한 후에 제조된 배지를 웰 당 450 μL씩 넣어주었다. 72 시간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1N NaOH 를 웰 당 200 μL씩 넣어준 후 60℃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로부터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 시료 100 μL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겨 담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멜라닌 생성 저해도를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도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멜라닌생성 저해도(%) = 1 - (ODS-ODc)/(ODm-ODc)×100
ODS: 시험물질(화학식 1의 화합물)과 α-MSH를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ODm: α-MSH만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ODc: 시험물질(화학식 1의 화합물) 및 α-MSH 미처리 음성대조군(1N NaOH 100 μL)의 흡광도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슈도알테로모나스 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 유래 파라쿠마릭산은 12.5 ppm의 저농도에서 50 ppm의 양성대조군 알부틴과 약 38%로 비슷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25 ppm의 농도에서는 약 45%로 50 ppm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50 ppm의 동일 농도에서는 약 51%로 훨씬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파라쿠마릭산은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매우 우수하며,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미백 효능이 뛰어나고,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 및 병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174BP 20200428
<110> Redone Technologies Co., Ltd. <120> PSEUDOALTEROMONAS SP. ROA-050 STRAIN WITH SKIN WHITENING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KPCA200307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25 <212> RNA <213> Pseudoalteromonas piscicida <400> 1 ggctcagatt gaacgctggc ggcaggccta acacatgcaa gtcgagcggt aacatttcta 60 gcttgctaga agatgacgag cggcggacgg gtgagtaatg cttgggaaca tgccttgagg 120 tgggggacaa ccattggaaa cgatggctaa taccgcataa tgtctacgga ccaaaggggg 180 cttcggctct cgcctttaga ttggcccaag tgggattagc tagttggtga ggtaaaggct 240 caccaaggcg acgatcccta gctggtttga gaggatgatc agccacactg gaactgagac 300 acggtccaga ctcctacggg aggcagcagt ggggaatatt gcacaatggg cgcaagcctg 360 atgcagccat gccgcgtgtg tgaagaaggc cttcgggttg taaagcactt tcagtcagga 420 ggaaaggtta gtagttaata cctgctagct gtgacgttac tgacagaaga agcaccggct 480 aactccgtgc cagcagccgc ggtaatacgg agggtgcgag cgttaatcgg aattactggg 540 cgtaaagcgt acgcaggcgg tttgttaagc gagatgtgaa agccccgggc ttaacctggg 600 aactgcattt cgaactggca aactagagtg tgatagaggg tggtagaatt tcaggtgtag 660 cggtgaaatg cgtagagatc tgaaggaata ccgatggcga aggcagccac ctgggtcaac 720 actgacgctc atgtacgaaa gcgtggggag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780 gccgtaaacg atgtctacta ggagctgggg tcttcggaca acttttccaa agctaacgca 840 ttaagtagac cgcctgggga gtacggccgc aaggttaaaa ctcaaatgaa ttgacggggg 900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ttcgatgcaa cgcgaagaac cttacctaca 960 cttgacatac agagaactta ccagagatgg tttggtgcct tcgggagctc tgatacaggt 1020 gctgcatggc tgtcgtcagc tcgtgtt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1080 aacccctatc cttagttgcc agcgattcgg tcgggaactc taaggagact gccggtgata 1140 aaccggagga aggtggggac gacgtcaagt catcatggcc cttacgtgta gggctacaca 1200 cgtgctacaa tggcaggtac agagagcagc gagctagcga tagtgagcga atcccttaaa 1260 gcctgtcgta gtccggattg gagtctgcaa ctcgactcca tgaagtcgga atcgctagta 1320 atcgcaaatc agaatgttgc ggtgaatacg ttcccgggcc ttgtacacac cgcccgtcac 1380 accatgggag tgggttgctc cagaagtgga tagtctaacc ttcgg 1425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A-050 forward primer <400> 2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A-050 reverse primer <400> 3 ggttaccttg ttacgactt 19

Claims (14)

  1. 기탁번호 KCTC14174BP로 기탁된 슈도알테로모나스속(Pseudoalteromonas sp.) ROA-050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미백 활성을 갖는 것인,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인,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의 처리 조건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인, 균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p-coumaric acid)을 생성하는 것인, 균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
  7. 제1항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9. 제1항에 따른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또는 검버섯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따른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쿠마릭산의 제조 방법:
    Figure pat00006
    .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들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분획물들을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들을 얻는 단계 이전에,
    상기 균주를 파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디클로로메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제조 방법.
KR1020200056194A 2020-05-11 2020-05-11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KR20210137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94A KR20210137848A (ko) 2020-05-11 2020-05-11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94A KR20210137848A (ko) 2020-05-11 2020-05-11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848A true KR20210137848A (ko) 2021-11-18

Family

ID=787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194A KR20210137848A (ko) 2020-05-11 2020-05-11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78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4895C (en) Paxillin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cosmetic uses thereof
US20060216253A1 (en) Whitening cosmetics containing morus alba extracts
KR102319686B1 (ko)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210119794A (ko) 알터로모나스 속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10137848A (ko) 미백 활성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속 roa-050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176018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64602B1 (ko) 초록입 홍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1351A (ko) 수염틸란드시아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47919B (zh) 包含花津浦芽孢杆菌的培养物或其提取物的用于皮肤美白的组合物
KR20170122671A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102349785B1 (ko) 안트라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41613B1 (ko)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257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8356B1 (ko) 옥사조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30034B1 (ko)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KR102488533B1 (ko)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 기능성 항염 성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8453B1 (ko) 셀로움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982B1 (ko)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3B1 (ko) 월하미인꽃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15B1 (ko) 가는 갯능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68130B1 (ko)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4184B1 (ko) 미로테슘 베루카리아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