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685A -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685A
KR20210137685A KR1020200055805A KR20200055805A KR20210137685A KR 20210137685 A KR20210137685 A KR 20210137685A KR 1020200055805 A KR1020200055805 A KR 1020200055805A KR 20200055805 A KR20200055805 A KR 20200055805A KR 20210137685 A KR20210137685 A KR 20210137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ssage
button
notification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천강운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685A/ko
Publication of KR2021013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3Single detectors using dual technolog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A61H2201/5028Contact activation, i.e. activated at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user to b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사용자가 기 등록해놓은 외부의 디바이스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 상기 안착부에 사용자가 긴급상황 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알림을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안마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는지 판단하는 버튼부 작동판단단계 및 상기 버튼부가 눌러진 경우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긴급상황을 알리는 알림이 전송되는 알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마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Massage Apparatus}
본 발명은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1/3에 달하는 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동안 일을 한다. 일을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직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자세 변화가 매우 미미하게 이루어져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고 특정 근육이 뭉치기 쉽다. 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 이외에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거나 운동이 병행되지 않으면 피로가 누적되기 쉬우며 혈액순환도 잘 되지 않는다.
현대인들의 피로를 줄여주기 위해 발 마사지 장치 또는 안마의자 등 많은 안마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안마장치 중 의자의 형태를 띠는 안마장치는 사용자가 앉아서 안마를 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제어부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으나 일방적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나 알림등을 전송하여 안마장치로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것에 그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3391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장년층 이상의 사용자들이 안마장치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긴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간단하게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의료기관 또는 지인들에게 긴급상황을 전파하고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사용자가 기 등록해놓은 외부의 디바이스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 상기 안착부에 사용자가 긴급상황 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알림을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안마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는지 판단하는 버튼부 작동판단단계 및 상기 버튼부가 눌러진 경우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긴급상황을 알리는 알림이 전송되는 알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가 눌러진 경우 안마강도가 감소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이 제거되는 긴급코스 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알림전송단계를 통해 알림이 전송된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권한부여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 작동판단단계에서 상기 버튼부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안내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성안내단계가 수행된 후 다시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는지 판단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버튼부가 한번 더 눌려지면 상기 디바이스로 알림을 전송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확인단계에서 기 결정된 시간동안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지 않을 경우 상기 서버부를 통해 알림이 전송되는 것이 방지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간단하게 조작하여 주변의 지인이나 의료기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여 원격으로 안마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제어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오작동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알림이 잘못전송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안마장치, 서버부 및 디바이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안착부(31), 제2 안착부(32), 제3 안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엉덩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신체 중 둔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측의 궁둥이(또는 궁둥짝), 궁둥이의 상 측에 해당하는 부분인 엉덩이, 궁둥이 및 엉덩이를 모두 포함하는 볼기 등으로 세분화되어 다양하게 호칭된다. 다만, 각각의 명칭에 따라 일률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개인차가 있어 각각의 명칭들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기가 어려워 이를 일반화하여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둔부 전체를"엉덩이" 또는 "둔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상술한 별개의 명칭들은 엉덩이의 하측 또는 상측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엉덩이"라는 용어로 인해, "엉덩이"의 사전적인 의미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사용자의 둔부 전체 또는 경우에 따라 둔부 전체를 포함하며 둔부와 인접한 신체부위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해석되어야 함을 명확히 한다.
제1 안착부(31)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제1 안착부(31)에 엉덩이 부분만 안착되는 것은 아니고,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허벅다리 부분이 제1 안착부(3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3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 중 사용자가 걸터앉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안착부(32)는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제2 안착부(32)가 사용자의 상체만 안착시킨다는 의미는 아니고, 제1 안착부(31)가 안착시키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상 측이 제2 안착부(32)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착부(32)는 엉덩이의 상측 부분을 포함한 상체를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의자의 등받이 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으면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의 상 측이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31)에서 엉덩이의 하 측을 지지하고 제2 안착부(32)에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상체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안착부(32)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만 지지할 수도 있고, 허리부분뿐만 아니라 목 부위 또는 머리부위까지 모두 안착시켜 지지할 수도 있다.
제1 안착부(31) 및 제2 안착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안착부(33)는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 안착부(33)는 사용자의 무릎 부분 이하의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안착부(33)는 사용자의 발 및 종아리를 포함하는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안착부(33)에 안착되는 신체 부위가 사용자의 발 및 종아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앉은 자세를 고려할 때 무릎 이하의 부분이 제3 안착부(33)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안착부(33)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무릎 이하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공간은 제3 안착부(33)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제3 안착부(33)의 전면이 폐쇄되어 제3 안착부(33)의 상 측에서 하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안착부(33)의 전면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하체 측이 수월하기 안착될 수 있고, 제3 안착부(33)의 전면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정강이 또는 정강이에 인접한 부위들에게도 안마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신체는 사람마다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제3 안착부(33)는 안착되는 부위의 길이가 달라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3 안착부(33)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안착부(31), 제2 안착부(32), 제3 안착부(33)는 각각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안착부는 신체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체부위를 안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안마를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안착부에는 안마를 수행하는 안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들은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1), 베이스(1)와 연결되는 연결부(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앉아 안착부에 신체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는 조작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안마장치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안마장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조작부(5)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는 버튼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41)는 안마장치에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될 때 사용자의 손과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마장치를 이용하는 도중 어느 때라도 버튼부(41)를 누를 수 있다.
버튼부(41)는 사용자가 위급상황 시 눌러 주변에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인들에게 긴급상황임을 알리는 알림을 보내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안마장치, 서버부 및 디바이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는 서버부(S)와 통신될 수 있다. 서버부(S)에는 사용자가 기 등록해놓은 외부의 디바이스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긴급상황시 긴급상황임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되는 지인, 가족 또는 병원과 같은 연락처 정보를 미리 서버부(S)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부(S)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를 때 활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르면 제어부(7)가 서버부(S)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디바이스로 알림을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지인이나 병원 등과 같이 긴급상황시 연락을 취해야할 대상에게 별도로 연락을 취하지 않아도 긴급상황임을 알리는 알림이 전달되므로 지인, 가족 또는 의료기관에서 긴급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
안마장치는 모든 연령대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나 젊은 연령대의 사용자의 경우 안마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긴급상황이 생겨도 대처를 잘할 수 있다. 다만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의 경우 안마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연령대 높은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간편히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안마장치에는 버튼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는 제어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르면 스피커(6)를 통해 의식을 잃지 않도록 하는 음성이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동시에 제어부(7)가 서버부(S)를 통해 기 등록된 디바이스(D)로 긴급상황임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인가단계(S1), 버튼부 작동판단단계(S2) 및 긴급코스 동작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인가단계(S1)는 안마장치에 전원이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전원인가단계(S1)는 단순히 전기적으로 전원과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안마장치의 사용을 위해 안마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버튼부 작동판단단계(S2)는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르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팔이 위치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버튼부(41)를 눌러 긴급상황임을 사용자의 지인이나 의료기관으로 알릴 수 있다.
버튼부(4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안마장치는 작동 중이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3). 반면에 버튼부(41)가 눌러지면 안마장치는 작동 중이던 동작을 중지하고 긴급코스로 동작(S4)될 수 있다.
긴급코스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이 수행되는 코스일 수 있다.
첫번째(이하 제1 동작)로 안마장치 중 팔 및 다리를 압박하는 공기가 제거되어 신체의 말단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제거될 수 있다.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사용하는 도중 어떠한 긴급상황이 발생할지 예상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인 안마장치의 작동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하는 것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두번째(이하 제2 동작)로, 안마장치 자체의 각도나 움직임이 멈추어 버튼부(41)가 눌러진 상태로 멈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 버튼부(41)의 작동만으로 예상하기 어려우므로 버튼부(41)를 누를 당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세번째(이하 제3 동작)로 안마강도가 감소되며 엉덩이부터 목까지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의식이 불명한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한 강도로 사용자의 신체를 자극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동작 내지 제3 동작은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긴급코스는 제1 동작 내지 제3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긴급코스 동작(S4)는 사용자가 긴급상황 발생시 버튼부(41)를 누르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는 전원인가단계(S1), 버튼부 작동판단단계(S2), 알림전송단계(S4), 권한부여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 작동 판단단계(S2)에서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름으로써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부(S)와 통신하여 서버부(S)에 기 저장되어있는 디바이스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알림전송단계(S4)는 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알림이 전송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르면 안마장치의 제어부(7)는 서버부(S)와 통신하여 기 등록된 디바이스로 긴급상황을 전파하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부(41)를 누르면 제어부(7)는 서버부(S)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합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는 문자메세지 또는 어플을 통한 알림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기 등록된 디바이스는 단순히 핸드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의료기관에 연락이 가능한 디바이스도 알림이 전송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권한부여단계(S5)는 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41)를 긴급상황시 누르게 되므로 안마장치를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알림을 전달받는 자에게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알림을 전달받은 자에게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이 부여되면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안마장치가 긴급코스로 동작되거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부(41)의 작동이 감지되면 긴급코스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버튼부(41)의 작동이 감지되면 안마장치의 동작은 유지되며 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주변사람들에게 안마장치의 제어를 위임할 수 있다.
즉, 기 등록된 디바이스가 가족이나 지인의 핸드폰인 경우 또는 앱을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부(7)는 알림을 받아 디바이스(D)로 상황을 전달받는데 그치지 않고 기 등록된 디바이스에 제어권한을 부여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은 음성안내단계(S22) 및 확인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41)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마장치를 이용하면서 잘못 누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 작동단계(S21)에서 버튼부(41)가 눌려지는 것이 감지더라도 사용자의 실수를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음성을 통해 사용자가 잘못 누른지 여부를 안내하는 음성안내단계(S22)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안내단계(S22)는 사용자에게 음성을 통해 긴급상황임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음성안내가 완료되면 안마장치는 사용자가 다시 버튼부(41)를 작동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확인단계(S23)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기 결정된 시간동안 버튼부(41)를 다시 누르지 않는 경우 서버부(S)를 통해 알림이 전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사용자의 지인이나 의료기관을 혼란케하는 경우를 방비할 수 있다.
음성안내단계(S22)가 수행된 후 버튼부(41)가 한번 더 눌려지면 안마장치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디바이스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베이스 2: 연결부 3: 안착부 31: 제1 안착부 32: 제2 안착부
33: 제3 안착부 4: 팔 안마부 41: 버튼부 5: 조작부 6: 스피커부
7: 제어부

Claims (6)

  1.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사용자가 기 등록해놓은 외부의 디바이스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 상기 안착부에 사용자가 긴급상황 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알림을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안마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인가단계;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는지 판단하는 버튼부 작동판단단계; 및
    상기 버튼부가 눌러진 경우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긴급상황을 알리는 알림이 전송되는 알림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눌러진 경우 안마강도가 감소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이 제거되는 긴급코스 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전송단계를 통해 알림이 전송된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안마장치의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권한부여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작동판단단계에서 상기 버튼부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안내단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단계가 수행된 후 다시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는지 판단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단계에서 상기 버튼부가 한번 더 눌려지면 상기 디바이스로 알림을 전송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 기 결정된 시간동안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지 않을 경우 상기 서버부를 통해 알림이 전송되는 것이 방지되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55805A 2020-05-11 2020-05-11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37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05A KR20210137685A (ko) 2020-05-11 2020-05-11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05A KR20210137685A (ko) 2020-05-11 2020-05-11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685A true KR20210137685A (ko) 2021-11-18

Family

ID=7871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805A KR20210137685A (ko) 2020-05-11 2020-05-11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76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391A (ko) 2015-11-30 2017-06-08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납땜 합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391A (ko) 2015-11-30 2017-06-08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납땜 합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8732B (zh) 具备按摩机的按摩系统
TWI734018B (zh) 按摩機系統、用於按摩機系統的按摩機及可穿戴測定設備
TWI671067B (zh) 按摩裝置及按摩系統
KR101879209B1 (ko) 생체신호 인식을 통한 건강관리가 가능한 안마의자
KR20200061519A (ko) 수면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수면 안마 의자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97103B1 (ko) 사용자의 숙면 및 개운한 기상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마의자 및 그 제어방법
CN106361551A (zh) 一种具有多项健康指标检测功能的按摩椅
US7543887B2 (en) Safety dental chair
CN112190437A (zh) 按摩椅控制系统
CN114555026B (zh) 倾斜/升降椅
KR102072561B1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96508B1 (ko) 전동안마서비스 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8754A (ko) 지능형 마사지 의자
KR20170049171A (ko) 안마의자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2006081824A (ja) マッサージ機
KR20190076928A (ko) 신체 케어 장치
KR101863005B1 (ko) 의료용 다기능 쿠션
CN112672722B (zh) 按摩机
JP2020010781A (ja) マッサージ機
KR20210137685A (ko)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JP2019216950A (ja) マッサージ機
JP2002238965A (ja) 問診マッサージ装置
KR20170069822A (ko) 헬스케어체어 구조
JP6240106B2 (ja) 訪問理美容と介護の連携システム及び端末
KR100919838B1 (ko)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