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649A -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649A
KR20210137649A KR1020200055701A KR20200055701A KR20210137649A KR 20210137649 A KR20210137649 A KR 20210137649A KR 1020200055701 A KR1020200055701 A KR 1020200055701A KR 20200055701 A KR20200055701 A KR 20200055701A KR 20210137649 A KR20210137649 A KR 2021013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ushroom
mushroom medium
medium
colle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동
Original Assignee
정성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동 filed Critical 정성동
Priority to KR102020005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649A/ko
Publication of KR2021013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649A/ko
Priority to KR1020220157391A priority patent/KR20220162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은 폐 버섯배지가 배출되는 장소 및 배출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는 단계; 수거된 폐 버섯배지로부터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리되는 단계;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쇄되어 수분이 조절되는 단계;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이 성형 장치에서 처리되어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는 단계; 및 재활용 자원이 포장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폐 버섯배지의 배출 시기 및 양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Description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A Managing System for a Waste Mushroom Media}
본 발명은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폐 버섯 배지를 수거하여 예를 들어 펠릿 또는 이와 유사한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 재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 또는 이와 유사한 버섯의 재배에 사용된 버섯배지는 버섯생육이 완료되면 폐기물로 처리되고 이로 인하여 처리에 따라 비용이 소요되면서 자원 낭비가 된다. 버섯배지는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기성 재료 또는 반추 동물의 사료로 재활용이 될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1-0095487은 발효시킨 폐 버섯배지를 사용하여 돼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6-0114035는 폐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폐 버섯배지의 활용을 위하여 적절한 양의 폐 버섯배지가 수집될 필요가 있고, 적절한 시기에 수거되어 폐 버섯배지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버섯 재배지에서 발생되는 폐 버섯배지가 효과적으로 수거되고, 폐 버섯배지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11-0095487(노정만, 2011.08.25. 공개) 폐 버섯배지를 사용하여 돼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10-2015-0114035(주식회사 놀 에너지, 2015.10.12. 공개) 폐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장소에서 배출되는 폐 버섯배지를 수거하여 폐 버섯배지의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펠릿과 같은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은 폐 버섯배지가 배출되는 장소 및 배출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는 단계; 수거된 폐 버섯배지로부터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리되는 단계;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쇄되어 수분이 조절되는 단계;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이 성형 장치에서 처리되어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는 단계; 및 재활용 자원이 포장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폐 버섯배지의 배출 시기 및 양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은 펠릿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거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알림 수단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폐 버섯배지의 처리시스템은 다양한 버섯 생육 장소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는 폐 버섯배지를 수거하여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장소에 위치하는 버섯 재배지에서 배출되는 폐 버섯배지에 의한 환경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은 폐 버섯배지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되어 자원 재활용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탈피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펠릿 제조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폐 버섯배지가 처리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은 폐 버섯배지가 배출되는 장소 및 배출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는 단계(S11); 수거된 폐 버섯배지로부터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리되는 단계(S12);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쇄되어 수분이 조절되는 단계(S13);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이 성형 장치에서 처리되어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는 단계(S14); 및 재활용 자원이 포장되어 저장되는 단계(S15)를 포함하고,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폐 버섯배지의 배출 시기 및 양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다양한 종류의 버섯 재배를 위한 버섯배지가 다양한 장소에서 배출될 수 있고, 버섯배지는 예를 들어 톱밥 배지가 버섯의 재배를 위하여 사용되고, 폐 버섯배지로 배출될 수 있다. 폐 버섯배지는 다양한 장소에서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되는 시기 또는 양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폐 배지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고(S11),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폐 버섯배지가 수거될 수 있다. 폐 배지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버섯 재배지에 대한 위치 정보, 버섯 재배지의 규모, 버섯 재배지에서 폐 버섯배지가 배출되는 시기 또는 이와 유사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처리 비용과 관련된 비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폐기물 처리 비용 및 수거에 따른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전자적으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알림 정보가 생성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폐 버섯배지의 수거 및 처리 비용과 관련된 정보가 정기적으로 산출되어 저장되고, 비용 알림 정보가 생성되어 폐 버섯배지의 배출한 곳 또는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기관에 전송될 수 있다.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장소에서 배출되는 폐 버섯배지가 수거되어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S12). 폐 버섯배지는 비닐에 포장될 수 있고, 배출 과정에서 다양한 오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 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오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비닐 또는 환경오염 물질은 저장소에 보관이 되기 전, 보관 과정 또는 분쇄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S12). 저장소에 보관이 된 폐 버섯배지가 분쇄 장치에 의하여 분쇄가 될 수 있고, 분쇄 과정에서 또는 분쇄된 이후 수분이 조절될 수 있다(S13). 분쇄 과정에서 비닐 또는 환경오염 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탈피 장치에 의하여 비닐이 분리되면서 이와 동시에 분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 배지는 건조에 의하여 수분 조절이 될 수 있다(S13). 그리고 분쇄 배지의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펠릿 또는 가축 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S14). 수분 조절이 된 분말 배지는 펠릿 제조 장치에 의하여 펠릿으로 만들어지거나, 발효 과정을 통하여 가축 사료로 만들어지거나, 이와 유사한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S14). 이와 같이 분말 배지로부터 만들어진 펠릿 또는 가축 사료와 같은 재활용 소재는 포장이 되어 저장될 수 있다(S15). 분말 배지는 다양한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에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탈피 장치(2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거가 된 폐 버섯배지는 탈피 장치(20)에 의하여 비닐이 제거되면서 파쇄가 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금속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이 탈피 장치(2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탈피 장치(20)는 폐 버섯배지가 투입되는 투입 유닛(21); 투입 유닛(21)으로부터 투입된 폐 버섯배지가 분쇄되는 파쇄 모듈(24)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22); 파쇄가 된 폐 버섯배지의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 유닛(23); 및 비닐이 배출되는 비닐 토출 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 비닐봉지와 둘러싸인 폐 버섯배지가 경사진 유도로를 가지는 투입 유닛(21)을 통하여 투입되면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된 파쇄 모듈(24)에 의하여 비닐이 제거되면서 파쇄가 될 수 있다. 파쇄 모듈(24)은 투입되는 폐 버섯배지의 비닐을 절단하여 분리시키는 회전 분리기 및 회전 유닛(25)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의 둘레 면에 형성된 파쇄 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27)의 구동에 의하여 모터(27)와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에 연결된 회전 유닛(25)이 회전되면서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비닐은 비닐 토출 유닛(26)으로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고, 파쇄가 된 배지 분말이 경사진 유도로를 형성하는 배출 유닛(2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프레임(F)에 설치될 수 있고, 투입 유닛(21)이 하우징(22)의 한쪽 끝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유닛(23)이 하우징(22)의 한쪽 측면에 경사로를 형성하면서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22)의 다른 측면에 비닐 토출 유닛(26)이 형성될 수 있다. 탈피 장치(20)는 프레임(F)에 결합된 롤러와 같은 이동 수단(R)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펠릿 제조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은 펠릿으로 만들어진다. 탈피 장치(20)에 의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어진 배지 분말은 펠릿 장치로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유닛 또는 다른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또는 배지 분말은 저장소에 저장된 이후 적절한 시기에 펠릿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펠릿 장치는 배지 분말이 투입되는 호퍼(31); 호퍼(31)의 아래쪽에 배치된 그라인딩 유닛(31a); 그라인딩 유닛(31a)에 의하여 균일 분말로 만들어진 배지 균일 분말을 이송시키는 제1 피더(321); 및 제1 피더(321)로부터 이송된 배지 균일 분말을 첨가 성분과 혼합하는 혼합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더(321)를 통하여 이송되는 배지 균일 분말은 조절 유도 수단(33)을 통하여 이송되면서 수분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유도 수단(33)은 둘레 면에 형성된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히터에 의하여 배지 균일 분말의 수분이 조절되면서 이와 동시에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유도 수단(33)으로 첨가 성분이 보조 투입 유닛(37)을 투입되어 배지 균일 분말과 함께 혼합 모듈(34)로 투입될 수 있다. 첨가 성분은 예를 들어 숯 또는 이와 유사한 펠릿의 연소 특성 또는 발화 특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 될 수 있다. 제2 피더(322)에 의하여 첨가 성분과 혼합되면서 금속 성분이 제거된 배지 균일 분말은 압축 유닛(35)으로 투입될 수 있다. 압축 유닛(35)은 균일 분말을 압축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압축 유닛(35)으로 접착 투입 유닛(38)에 의하여 접착 성분이 투입될 수 있다. 접착 성분과 함께 압축이 된 배지 균일 분말을 성형 모듈(36)으로 펠릿으로 만들어져 수거 유닛(39)에서 수거될 수 있다. 성형 모듈(36)은 다수 개의 성형 실린더(361); 성형 실린더(361)의 내부로 이동되어 배지 균일 분말을 압축시키는 압축 피스톤(362); 성형 실린더(361)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 블록(364); 및 성형 실린더(361)의 내부로 배지 균일 분말을 투입시키는 분말 투입 유닛(36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말 투입 유닛(363)을 통하여 성형 실린더(361)의 내부로 배지 균일 분말이 투입될 수 있고, 압축 피스톤(362)의 앞쪽에 형성된 압축 부재(362a)가 성형 실린더(361)의 내부에 형성된 압축 경로(361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조절 블록(364)에 의하여 압축 경로(361a)의 내부 압력이 조절되면서 성형 실린더(36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커터(367)에 의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어 펠릿(P)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펠릿이 수거 유닛(39)에 수집되어 포장될 수 있다. 펠릿(P)은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참조하면,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다양한 폐 버섯배지의 수거를 위한 스케줄을 설정하는 폐 배지 수거 스케줄 모듈(41); 수거된 폐 버섯배지로부터 비닐과 같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면서 분쇄하여 저장하는 탈피/분쇄 모듈(42); 및 분쇄된 배지 분말을 분류하여 성형하는 분류 및 성형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폐 배지 수거 스케줄 모듈(41)은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폐 버섯배지를 정해진 일정에 따라 수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폐 배지 수거 스케줄 모듈(41)은 폐 버섯배지의 수거 또는 처리와 관련된 수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수거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수거 애플리케이션은 폐 버섯배지의 수거 일정과 관련된 알림 기능 또는 비용 산출 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탈피/파쇄 모듈(42)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탈피 장치 또는 파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 및 성형 모듈(43)은 파쇄가 된 배지 분말의 상태에 따라 펠릿으로 만들거나, 가축 사료로 만들거나 또는 다른 재활용 자원으로 만드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폐 버섯배지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류 및 성형 모듈(43)은 배지 분말의 상태 또는 종류에 따라 만들어지는 재활용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분류 및 성형 모듈(43)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펠릿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 분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폐 버섯배지가 처리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폐 버섯배지의 처리 방법은 폐 버섯배지의 발생 및 수거와 관련된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는 단계(P51); 수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장송에서 발생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알림이 발생되는 단계(P52); 알림에 따른 수거와 관련된 비용이 산출되어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P53); 알림에 따른 폐 버섯배지가 수거되어 저장되는 단계(P54); 수거된 폐 버섯배지의 상태가 확인되어 탈피가 되면서 분쇄가 되는 단계(P55); 분쇄 배지가 분류되어 건조가 되면서 수분 함량이 조절되는 단계(P56); 분류에 따라 펠릿 또는 다른 재활용 자원으로 성형되는 단계(P58); 및 성형된 재활용 자원의 양 및 관련 비용에 기초하여 비용이 산출되어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서 비용 알림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P58)을 포함한다.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면(P51),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수거 알림이 만들어져 서로 다른 장소의 폐 버섯배지의 배출 장소로 전송될 수 있다(P12). 수거 알림은 수동으로 전송되거나, 수거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져 설치되어 전송되거나, 다양한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거 알림이 작동되어 전송되면(P52), 폐 버섯배지의 수거에 따른 비용 및 부수적인 비용이 산출되어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P53). 이후 수거 알림에 따른 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폐 버섯배지가 수거되어 저장될 수 있다(P54). 수거된 폐 버섯배지는 창고 형태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저장 과정에서 함수율이 조절될 수 있다. 저장소에 저장된 폐 버섯배지의 상태가 확인되어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탈피 장치에 의하여 탈피가 되면서 파쇄가 될 수 있고(P56),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펠릿 장치에 의하여 펠릿으로 성형될 수 있다(P57). 이와 같이 펠릿으로 성형되면 포장이 되어 저장될 수 있고 펠릿 성형 비용을 참조하여 수거로부터 성형에 이르는 전체 비용이 수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P58). 선택적으로 관련 비용이 비용 알림 정보로 만들어져 관련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폐 버섯배지는 다양한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탈피 장치 21: 투입 유닛
22: 하우징 24: 파쇄 모듈
25: 회전 유닛 27: 모터

Claims (3)

  1. 폐 버섯배지가 배출되는 장소 및 배출된 폐 버섯배지의 수거와 관련된 수거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는 단계;
    수거된 폐 버섯배지로부터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리되는 단계;
    재생 가능한 부분이 분쇄되어 수분이 조절되는 단계;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이 성형 장치에서 처리되어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는 단계; 및
    재활용 자원이 포장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폐 버섯배지의 배출 시기 및 양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분이 조절된 재생 가능한 부분은 펠릿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거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알림 수단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KR1020200055701A 2020-05-11 2020-05-11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KR20210137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1A KR20210137649A (ko) 2020-05-11 2020-05-11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KR1020220157391A KR20220162665A (ko) 2020-05-11 2022-11-22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01A KR20210137649A (ko) 2020-05-11 2020-05-11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391A Division KR20220162665A (ko) 2020-05-11 2022-11-22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649A true KR20210137649A (ko) 2021-11-18

Family

ID=787172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01A KR20210137649A (ko) 2020-05-11 2020-05-11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KR1020220157391A KR20220162665A (ko) 2020-05-11 2022-11-22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391A KR20220162665A (ko) 2020-05-11 2022-11-22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376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87A (ko) 2010-02-19 2011-08-25 노정만 폐 버섯배지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돼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14035A (ko)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 놀 에너지 폐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87A (ko) 2010-02-19 2011-08-25 노정만 폐 버섯배지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돼지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14035A (ko)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 놀 에너지 폐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665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958B1 (ko) 버섯배지를 이용한 펠릿의 제조방법
CN101318196A (zh) 城市生活垃圾中资源高效分类回收处理工艺
KR20210137649A (ko) 폐 버섯배지의 처리 시스템
US7674303B2 (en) Methods for binding particulate solids
KR102267692B1 (ko)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 가공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03283421U (zh) 一种垃圾回收利用环保设备
TWI544974B (zh) 用以分離及處理固體廢棄物之方法
KR20160106921A (ko) 분쇄 건조 성형 일체형 폐기물 srf 제조장치
CN112210412A (zh) 一种利用园林垃圾制造生物颗粒燃料的系统及运行工艺
CN218308416U (zh) 非金属撕碎线
KR20140060839A (ko) 쓰레기 처리장치
CN105327929B (zh) 生活垃圾处理方法及其实现装置
KR100296791B1 (ko)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하는 방법
CN204672680U (zh) 一种移动式垃圾回收处理设备
KR20050001233A (ko) 음식물 쓰레기을 이용한 숯 제조방법 및 장치
CN205165332U (zh) 一种新型垃圾回收利用设备
KR20020056798A (ko) 고속진공발효건조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및퇴비화 방법
CN220160867U (zh) 一种生活和园林垃圾复合处理系统
CN215011822U (zh) 车载式绿植废弃物一体化处理系统
KR20060058347A (ko) 식물성 폐자원의 고체연료화 제조장치
KR20190024357A (ko) 이동형 해안 폐기물 고형연료 생산 시스템 및 해안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생산방법
CN214735594U (zh) 废滤网生质燃料棒的制作设备
CN218609254U (zh) 移动式生物质颗粒成型设备
CN218250093U (zh) 一种垃圾处理的垃圾衍生燃料造粒设备
JP2001252580A (ja) 廃棄合成樹脂材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