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551A -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551A
KR20210137551A KR1020217033171A KR20217033171A KR20210137551A KR 20210137551 A KR20210137551 A KR 20210137551A KR 1020217033171 A KR1020217033171 A KR 1020217033171A KR 20217033171 A KR20217033171 A KR 20217033171A KR 20210137551 A KR20210137551 A KR 2021013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container body
flow path
lea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458B1 (ko
Inventor
신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부에 액화 가스를 저류하고, 설치된 위치에서의 대기압보다 큰 압력까지 대응 가능한 설계 압력을 갖는 용기 본체 (60) 와, 용기 본체 (60) 의 내외에 걸쳐서 형성되고, 일단이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서 액화 가스의 액상 (L) 중에 개구하고, 타단이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액화 가스의 도출 유로 (64) 를 형성하는 도출 배관 (63) 과,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의 기상 (L) 이 존재하는 위치와, 도출 유로 (64) 를 연통 가능한 연통부 (65) 를 구비하는 액화 가스 저류 탱크이다.

Description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액화 가스 저류 탱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4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81680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LNG 나 LPG 등의 액화 가스를 저류하는 탱크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탱크에 저류된 액화 가스는, 화력 발전소에서 연료로서 사용되거나 도시가스의 원료로서 사용되거나 한다.
또, 이와 같은 탱크를 탑재한 선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종류의 탱크의 내부에는 펌프가 형성되고, 탱크 내의 액화 가스가 배관을 통해서 주기로 보내져, 선박의 연료로서 사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76900호
그런데 예를 들어 외기에 의해 탱크가 가열되는 것 등에 의해, 탱크 내부에서 액화 가스가 증발하여 탱크 내부가 대기압보다 고압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예를 들어 탱크의 내부의 액화 가스를 탱크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배관에 형성된 밸브의 개스킷의 불량이나, 배관의 용접 불량 등으로 배관에 문제가 생겨, 배관이 그 도중에서 대기 중에 개구해 버리면, 탱크 내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액화 가스가 압출되고,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어, 대량의 액화 가스가 누설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설계 압력 (내압) 이 큰 중소형의 탱크에서는 탱크 내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압이 커져 액화 가스의 누설량이 많아져 버린다.
또 액화 가스의 누설량이 많아지는 경우, 누설된 액화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드립 트레이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어, 비용 증대로 이어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간이한 구성으로 액화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액화 가스 저류 탱크는, 내부에 액화 가스를 저류하고, 설치된 위치에서의 대기압보다 큰 압력까지 대응 가능한 설계 압력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에 걸쳐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액화 가스의 액상 중에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화 가스의 도출 유로를 형성하는 도출 배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 가스의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 가능한 연통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저류 탱크에서는, 만일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출 유로가 그 도중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버리면, 액화 가스의 증발에 의해 대기압보다 용기 본체 중이 고압이 되어 있는 경우, 액화 가스의 액상이 대기압과 용기 본체의 내부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누설되어 버린다. 본 양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여도, 연통부에 의해 액화 가스의 기상과 도출 유로를 연통함으로써 도출 유로의 압력을 액화 가스의 기상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용기 본체의 내부의 압력과 도출 유로의 압력을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액화 가스의 액상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에서는, 상기 연통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배관을 접속하고, 내부에 접속 유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이며,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는, 상기 접속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 유로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연통부로서 접속관을 형성하고, 접속관의 접속 유로를 개폐 밸브에 의해 개방함으로써, 만일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출 유로가 그 도중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버렸다고 해도, 접속관의 접속 유로에 의해 액화 가스의 기상을 도출 유로로 유입시킴으로써 도출 유로의 압력을 액화 가스의 기상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대기압과 용기 본체의 내부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액화 가스의 액상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개폐 밸브에 의해 접속 유로를 폐색함으로써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통상 운전 시에는, 액화 가스의 액상이 접속 유로에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액화 가스의 액상을 도출 배관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외부로 도출하는 경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에서는,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도출 배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접속 유로를 폐색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도출 배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접속 유로를 상기 도출 유로를 개재하여 연통함으로써 상기 접속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형성된 3 방 밸브여도 된다.
이 경우, 접속 유로를 개폐하는 기능과, 도출 유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나의 3 방 밸브로 겸할 수 있어, 일부러 접속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도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따로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다운이나 공간 절약화로 이어진다.
또,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는, 상기 개폐 밸브에 의해 상기 접속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액화 가스를 상기 도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도출시킬 때에, 상기 개폐 밸브에 의해 상기 접속 유로를 폐색시켜도 된다.
만일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액화 가스가 도출 유로의 도중으로부터 누설된 경우여도, 통상 시에는 개폐 밸브에 의해 접속 유로를 개방해 두면, 액화 가스의 액상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액화 가스의 액상을 도출 유로를 통해서 용기 본체로부터 도출시킬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제어 장치가 개폐 밸브에 의해 접속 유로를 폐색시킴으로써, 액화 가스의 액상을 도출 배관을 통해서 용기 본체의 외부로 도출하는 경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에서는, 상기 연통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하도록 상기 도출 배관에 형성된 연통 구멍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연통부로서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매우 간이한 구성으로, 용기 본체 내부의 액화 가스의 기상을 도출 유로에 유입시켜, 도출 유로의 압력을 액화 가스의 기상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출 유로가 대기에 개방되어 버려도, 액화 가스의 액상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액화 가스 저류 탱크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 가능한 대기 개방용 배관과, 상기 대기 개방용 배관의 내부의 유로를 개폐 가능한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밸브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내부의 압력이 설계 압력을 초과하기 전에 용기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선박은, 상기의 액화 가스 저류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에 의하면, 상기의 액화 가스 저류 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연통부에 의해 액화 가스의 기상을 도출 유로에 유입시킬 수 있어, 도출 유로의 압력을 액화 가스의 기상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만일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출 유로가 대기에 개방되어 버려도, 액화 가스의 액상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압출되어 액화 가스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의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액화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의 종단면도이고 도 1 의 X-X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의 종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은, 액화 가스로서 액화천연가스 (LNG ;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액화석유가스 (LPG ; Liquefied Petroleum Gas) 를 수송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00) 은, 선체 (10), 브리지 (20), 카고 탱크 (30), 주기 (40), 및 연료 탱크 (액화 가스 저류 탱크) (50)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10) 는, 현측 (11), 선저 (12) 및 상갑판 (13) 을 가지고 있다. 현측 (11) 은, 좌우 1 쌍의 현측 외판 (11a) 을 가지고 있다. 선저 (12) 는, 이들 좌우의 현측 외판 (11a) 끼리를 하부에서 접속하는 선저 외판 (12a) 을 가지고 있다.
상갑판 (13) 은, 선저 (12) 보다 상방에서 좌우 1 쌍의 현측 외판 (11a) 을 접속하고 있다. 상갑판 (13) 은, 선수 (10a) 로부터 선미 (10b) 에 걸쳐서 연장되는 노출 갑판이다. 상갑판 (13) 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박 (100) 의 항행 상태에 따라서는 선박 (100) 의 선미 (10b) 측이 내려감으로써, 상갑판 (13) 자체도 선미 (10b) 측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선체 (10) 는, 이들 현측 (11), 선저 (12) 및 상갑판 (13) 에 의해, 선미 꼬리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대략 상자상이 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선체 (10) 내에 있어서의 선미 (10b) 측의 부분은, 기관실 (14) 로 되어 있다. 선체 (10) 내에 있어서의 기관실 (14) 보다 선수 (10a) 측의 부분은, 기관실 (14) 과 격벽 (15a) 에 의해 구획된 카고 홀드 (15) 로 되어 있다.
브리지 (20) 는, 선체 (10) 의 상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 (20) 는, 선체 (10) 의 상부에 있어서의 선미 (10b) 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기관실 (14)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 (20) 는 복수 계층을 이루고 있다. 브리지 (20) 의 상층에는, 선박 (100) 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실 (21) 이 형성되어 있다. 조종실 (21) 은, 선박 (100) 의 전방을 높은 곳으로부터 전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고 탱크 (30) 는, 선체 (10) 의 카고 홀드 (15) 내에 선미 꼬리 방향으로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3 개) 가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카고 탱크 (30) 끼리의 사이에는, 각 카고 탱크 (30) 가 수용되는 구획을 나누는 격벽 (15b)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고 탱크 (30) 는, 평판상의 탱크 벽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된 방형 탱크이다. 카고 탱크 (30) 내에는, 화물로서의 액화 가스 (LNG 나 LPG) 가 상압 저온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상압 저온 상태」란, 액화 가스를 가압하지 않고 저온으로 하는 것만으로 액화 가스의 액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선박 (100) 에는, LPG 를 저온의 액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증발 가스 처리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증발 가스 처리 장치로서는 재액화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재액화 장치는, 카고 탱크 (30) 에서 액화 가스가 외부의 열에 의해 증발함으로써 배출된 증발 가스를, 카고 탱크 (30) 의 외부에서 냉각하여 재차 액화시킨다. 이와 같이 액화된 가스는, 액화 가스로서 카고 탱크 (30) 내로 되돌려진다.
주기 (40) 는, 선체 (10) 내의 기관실 (14) 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주기 (40) 는 LNG 나 LPG 등의 액화 가스 (LG) 를 연료로 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주기 (40) 의 연료가 되는 액화 가스 (LG) 는, LNG 나 LPG 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액화 가스 연료 등이어도 된다. 주기 (40) 의 구동에 의해, 선체 (10) 의 선미 (10b) 의 하방에 형성된 스크루 (41) 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연료 탱크 (50) 에 대해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50) 는 탱크 지지부 (51) 를 개재하여 상갑판 (1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 (50) 는, 예를 들어 선수 꼬리 방향으로 3 개가 배열된 카고 탱크 (30) 중 중앙의 카고 탱크 (30) 의 상방의 상갑판 (1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 (50) 는, 액화 가스 (LG) 를 고압 상태로 저류 가능한 용기 본체 (60) 와,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를 용기 본체 (60) 의 외부로 도출하는 펌프 (62) 및 도출 배관 (63) 과,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용기 본체 (60) 의 내부와 도출 배관 (63) 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부 (65) 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 (60) 는, 내압 용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 (60) 의 설계 압력 (내압) 은, 용기 본체 (60) 의 액면 높이 위치 h 에서의 액화 가스 (LG) 의 액두압보다 큰 압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액면 높이 위치 h 란, 용기 본체 (60) 의 내면의 상단 (上端) 부터 액화 가스 (LG) 의 액면까지의 연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1 m 당의 LNG 의 액두압은 약 50 (kPa) 이기 때문에, 액화 가스 (LG) 가 LNG 이고 용기 본체 (60) 의 액면 높이 위치 h 가 2 (m) 인 경우, 용기 본체 (60) 의 설계 압력은 약 100 kPa 보다 커져 있다. 즉 용기 본체 (60) 내의 압력은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을 용기 본체 (60) 의 상부까지 압상하는 데에 충분한 압력이며, 그 결과, 용기 본체 (60)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크고, 또한,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을 압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용기 본체 (60) 의 상부에는,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이 존재하는 위치와 용기 본체 (60) 의 외부를 연통 가능한 대기 개방용 배관 (72) 과, 대기 개방용 배관 (72) 의 내부의 유로를 개폐 가능한 안전밸브 (71) 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밸브 (71) 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압력이 설계 압력을 초과하기 전에 용기의 내부의 기상을 대기에 개방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펌프 (62) 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 형성되고,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액화 가스 (LG) 를 주기 (40) 에 압송한다. 펌프 (62) 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등의 구동부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용기 본체 (60) 에 저류된 액화 가스 (LG) 는 절연성을 가지므로, 용기 본체 (60) 내에 구동부를 형성해도 문제는 없다. 펌프 (62) 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서 용기 본체 (60) 의 하부에 저류된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중에 배치되도록, 용기 본체 (60) 의 저부 (60a), 혹은 저부 (60a) 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출 배관 (63) 은, 용기 본체 (60) 의 내외에 걸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출 배관 (63) 은 용기 본체 (60) 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출 배관 (63) 의 일단은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서 펌프 (62) 의 토출구 (도시 생략) 에 접속되어 있다. 즉, 도출 배관 (63) 의 일단은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중에 개구되어 있다. 도출 배관 (63) 의 타단은 주기 (40) 에 접속되어 있다. 즉, 도출 배관 (63) 의 타단은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출 배관 (63) 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을 유통시켜 주기 (40) 로 유도하는 도출 유로 (64)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60) 내에서는,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의 액면 상에, 액화 가스 (LG) 가 증발하여 생성된 기상 (G) 이 존재하고 있다.
연통부 (65) 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이 존재하는 위치와, 도출 유로 (64) 를 연통 가능한 접속 유로 (66) 를 내부에 갖는 접속관이다. 접속관은,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 형성되고, 용기 본체 (60) 와 주기 (40) 사이에서 도출 배관 (63) 으로부터 분기하여 기상 (G) 이 존재하는 용기 본체 (60) 에 있어서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에는, 접속 유로 (66) 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 (67) 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밸브 (67) 는 예를 들어 원격 조작 밸브이고, 접속관이 도출 배관 (63) 으로부터 분기하는 위치에 형성된 3 방 밸브이다. 3 방 밸브는 도출 배관 (63) 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도출 유로 (64) 를 연통함과 함께 접속 유로 (66) 를 폐색하는 제 1 상태 S1 과, 도출 배관 (63) 에 있어서의 일단과 접속 유로 (66) 를 도출 유로 (64) 를 개재하여 연통함으로써 접속 유로 (66) 를 개방하는 제 2 상태 S2 를 전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3 방 밸브는 수동 밸브여도 된다.
여기서 연료 탱크 (50) 는, 개폐 밸브 (67) 를 동작시키는 제어 장치 (75)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 (75) 는 프로세서 등을 갖고, 동작 지령에 근거하여 개폐 밸브 (67) 의 제 1 상태 S1 과 제 2 상태 S2 를 전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은 개폐 밸브 (67) 는 접속 유로 (66) 를 개방하는 제 2 상태 S2 로 되어 있고, 액화 가스 (LG) 를 도출 유로 (64) 를 통해서 용기 본체 (60) 로부터 도출시킬 때에, 제어 장치 (75) 가 개폐 밸브 (67) 를 제 1 상태 S1 로 하여, 개폐 밸브 (67) 에 의해 접속 유로 (66) 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에서는, 연료 탱크 (50) 의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 (63) 에 문제가 발생하고, 도출 유로 (64) 가 그 도중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상정된다. 「문제」란, 예를 들어 도 2 의 A 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 (67) 의 개스킷 (도시 생략) 의 불량으로,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 (63) 의 도중에 도출 유로 (64) 가 대기에 개구되어 버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문제가 생겨 있는 경우에, 액화 가스 (LG) 의 증발에 의해 대기압보다 용기 본체 (60) 중이 고압이 되어 있으면,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이, 대기압과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용기 본체 (60) 의 외부로 압출되어 누설되어 버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여도 연통부 (65) 인 접속관에 의해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을 도출 유로 (64) 에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도출 유로 (64) 내의 압력을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대기압과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이 용기 본체 (60) 의 외부로 멋대로 압출되어 버려, 액화 가스 (LG) 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 (L) 이 계속 누설되어,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의 대부분이나, 또는, 거의 전부가 용기 본체 (60) 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관을 용기 본체 (60) 에 형성한다는 간이한 구성으로, 액화 가스 (LG) 의 탱크로부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된 대량의 액화 가스 (LG) 를 수용하기 위한 대형의 드립 트레이를 형성할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선박 (100) 의 항행 중에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 (63) 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액화 가스 (LG) 가 도출 유로 (64) 로부터 누설된 경우여도, 항상, 개폐 밸브 (67) 를 제 2 상태 S2 로 하여 접속 유로 (66) 를 개방해 두면, 접속 유로 (66) 와 도출 유로 (64) 를 연통하여 도출 유로 (64) 의 압력을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의 압력과 동등하게 해 둘 수 있다. 이 결과, 액화 가스 (LG) 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액화 가스 (LG) 를, 도출 유로 (64) 를 통해서 용기 본체 (60) 로부터 도출시킬 필요가 생겼을 때, 즉 주기 (40) 에 액화 가스 (LG) 를 공급할 때에는, 제어 장치 (75) 가 개폐 밸브 (67) 를 제 1 상태 S1 로 하여 접속 유로 (66) 를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액화 가스 (LG) 를, 도출 배관 (63) 을 통해서 주기 (40) 를 향하여 도출하는 경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안전밸브 (71)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압력이 설계 압력을 초과하기 전에 용기 본체 (6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에서는, 연료 탱크 (80) 가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연료 탱크 (80) 에 있어서의 개폐 밸브 (87) 는 연통부 (85) 로서의 접속관에 형성된 원격 조작 밸브이다. 도출 배관 (63) 에는 개폐 밸브 (67) 와는 별도로 도출 밸브 (88) 가 형성되어 있다. 도출 밸브 (88) 는 액화 가스 (LG) 를 주기 (40) 에 공급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 도출 유로 (64) 를 개방해도 되고, 항상 도출 유로 (64) 를 개방하고 있어도 된다. 도출 밸브 (88) 는 도출 배관 (63) 으로부터 접속관이 분기하는 위치보다 주기 (40)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밸브 (87) 는 수동 밸브여도 된다.
개폐 밸브 (87) 는 제어 장치 (75) 에 의해 동작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은 개폐 밸브 (87) 는 접속관의 접속 유로 (86) 를 개방하고 있고, 액화 가스 (LG) 를 도출 유로 (64) 를 통해서 용기 본체 (60) 로부터 도출시켜 주기 (40) 에 공급할 때에, 제어 장치 (75) 가 개폐 밸브 (87) 를 동작시켜 개폐 밸브 (87) 에 의해 접속 유로 (86) 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에서는, 도출 배관 (63) 에 문제가 생겨 도출 유로 (64) 가 대기에 개방되어 버린 경우, 접속관에 의해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을 도출 유로 (64) 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출 유로 (64) 내의 압력을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액상 (L) 이 용기 본체 (60) 로부터 계속 누설되어,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전부가 용기 본체 (60) 외로 배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관을 용기 본체 (60) 에 형성한다는 간이한 구성으로, 액화 가스 (LG) 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박 (100) 의 항행 중에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 (63) 에 문제가 발생하여 액화 가스 (LG) 가 도출 유로 (64) 로부터 누설된 경우여도, 항상 개폐 밸브 (87) 에 의해 접속 유로 (86) 를 개방해 두면 액화 가스 (LG) 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액화 가스 (LG) 를, 도출 유로 (64) 를 통해서 용기 본체 (60) 로부터 도출시키고, 주기 (40) 에 공급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제어 장치 (75) 가 개폐 밸브 (87) 를 동작시켜 접속 유로 (86) 를 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LG) 를, 도출 배관 (63) 을 통해서 용기 본체 (60) 의 외부로 도출하는 경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연통부 (85) 로서의 접속관, 및 개폐 밸브 (87) 를 구비하지 않는 연료 탱크에도, 이들 접속관 및 개폐 밸브 (87) 를 추가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화 가스 (LG) 의 누설 억제가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에서는, 연료 탱크 (90) 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연료 탱크 (90) 는, 상기의 접속관 및 개폐 밸브 (67, 87)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부 (95) 는,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이 존재하는 위치와, 도출 유로 (64) 를 연통하도록, 용기 본체 (60) 의 내부에서 도출 배관 (63) 에 형성된 연통 구멍이다.
예를 들어 도출 배관 (63) 의 내경이 40 (mm) 인 경우, 연통 구멍의 직경은 10 (mm) 이상 20 (mm) 이하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선박 (100) 에서는, 연통부 (95) 로서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매우 간이한 구성으로,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을, 도출 유로 (64) 에 유입시킬 수 있어, 도출 유로 (64) 내의 압력을 액화 가스 (LG) 의 기상 (G) 의 압력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만일 용기 본체 (60) 의 외부에서 도출 배관 (63) 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출 유로 (64) 가 대기에 개방되어 버려도, 대기압과 용기 본체 (60) 의 내부의 압력의 압력차에 의해 액화 가스 (LG) 의 액상 (L) 이 용기 본체 (60) 의 외부로 압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이한 구성으로 용기 본체 (60) 로부터의 액화 가스 (LG) 의 누설이 멈추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 들어, 도출 배관 (63) 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 센서에서 누설을 검지하고,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 (75) 가 개폐 밸브 (67, 87) 를 동작시켜, 접속 유로 (66, 86) 를 개방해도 된다. 또 제어 장치 (75) 는 안전밸브 (71) 를 제어해도 된다.
도출 배관 (63) 은, 주기 (40) 에 액화 가스 (LG) 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기 (40) 에 액화 가스 (LG) 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는 별도로 형성된 샘플링관이어도 된다. 샘플링관이란, 용기 본체 (60) 내의 액화 가스 (LG) 를 샘플링용으로 취출하기 위한 배관이다.
또, 안전밸브 (71) 는 용기 본체 (60) 중의 기상 (G) 의 부분에 접속된 배관에 형성된 개폐 밸브여도 된다.
또 액화 가스 저류 탱크는 선박 (100) 에 탑재된 연료 탱크 (50) 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상에 형성된 액화 가스 저류 탱크여도 된다.
10 : 선체
10a : 선수
10b : 선미
11 : 현측
11a : 현측 외판
12 : 선저
12a : 선저 외판
13 : 상갑판
14 : 기관실
15 : 카고 홀드
15a : 격벽
15b : 격벽
20 : 브리지
21 : 조종실
30 : 카고 탱크
40 : 주기
41 : 스크루
50, 80, 90 : 연료 탱크 (액화 가스 저류 탱크)
51 : 탱크 지지부
60 : 용기 본체
60a : 저부
62 : 펌프
63 : 도출 배관
64 : 도출 유로
65, 85, 95 : 연통부
66, 86 : 접속 유로
67, 87 : 개폐 밸브
75 : 제어 장치
71 : 안전밸브
72 : 대기 개방용 배관
88 : 도출 밸브
100 : 선박
LG : 액화 가스
L : 액상
G : 기상
S1 : 제 1 상태
S2 : 제 2 상태

Claims (7)

  1. 내부에 액화 가스를 저류하고, 설치된 위치에서의 대기압보다 큰 압력까지 대응 가능한 설계 압력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외에 걸쳐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액화 가스의 액상 중에 개구하고, 타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액화 가스의 도출 유로를 형성하는 도출 배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 가스의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 가능한 연통부
    를 구비하는 액화 가스 저류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배관을 접속하여, 내부에 접속 유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이며,
    상기 접속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 유로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는, 액화 가스 저류 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도출 배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함과 함께 상기 접속 유로를 폐색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도출 배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접속 유로를 상기 도출 유로를 개재하여 연통함으로써 상기 접속 유로를 개방하는 제 2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형성된 3 방 밸브인, 액화 가스 저류 탱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에 의해 상기 접속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액화 가스를 상기 도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도출시킬 때에, 상기 개폐 밸브에 의해 상기 접속 유로를 폐색시키는, 액화 가스 저류 탱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도출 유로를 연통하도록 상기 도출 배관에 형성된 연통 구멍인, 액화 가스 저류 탱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액화 가스의 상기 기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 가능한 대기 개방용 배관과,
    상기 대기 개방용 배관의 내부의 유로를 개폐 가능한 밸브
    를 추가로 구비하는, 액화 가스 저류 탱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화 가스 저류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217033171A 2019-04-23 2020-02-17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KR102573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1680A JP7227837B2 (ja) 2019-04-23 2019-04-23 液化ガス貯留タンク、及び船舶
JPJP-P-2019-081680 2019-04-23
PCT/JP2020/006009 WO2020217660A1 (ja) 2019-04-23 2020-02-17 液化ガス貯留タンク、及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551A true KR20210137551A (ko) 2021-11-17
KR102573458B1 KR102573458B1 (ko) 2023-09-01

Family

ID=7294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171A KR102573458B1 (ko) 2019-04-23 2020-02-17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7837B2 (ko)
KR (1) KR102573458B1 (ko)
CN (1) CN113710951B (ko)
WO (1) WO20202176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400U (ja) * 1983-07-29 1985-02-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低温貯槽
JP2012233534A (ja) * 2011-05-02 2012-11-29 Ihi Marine United Inc ボイルオフガス処理装置及び液化ガスタンク
JP2013241054A (ja) * 2012-05-18 2013-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ガス燃料供給設備、ガス燃料供給設備の運転方法
KR101865210B1 (ko) * 2013-06-21 2018-06-07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액화 가스 운반선
JP2018176900A (ja) 2017-04-07 2018-11-15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798A (ja) * 1998-12-18 2000-06-27 Tokyo Gas Co Ltd 低温液化ガス貯蔵タンク内のロールオーバー発生防止方法
GB0519886D0 (en) * 2005-09-29 2005-11-09 Air Prod & Chem A storage vessel for cryogenic liquid
CN205606174U (zh) * 2016-04-01 2016-09-28 南通中集能源装备有限公司 低温液体储罐
CN107178701A (zh) * 2017-06-21 2017-09-19 查特深冷工程系统(常州)有限公司 一种具有主动上出液能力的lng船用燃料罐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400U (ja) * 1983-07-29 1985-02-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低温貯槽
JP2012233534A (ja) * 2011-05-02 2012-11-29 Ihi Marine United Inc ボイルオフガス処理装置及び液化ガスタンク
JP2013241054A (ja) * 2012-05-18 2013-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ガス燃料供給設備、ガス燃料供給設備の運転方法
KR101865210B1 (ko) * 2013-06-21 2018-06-07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액화 가스 운반선
JP2018176900A (ja) 2017-04-07 2018-11-15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0620A (ja) 2020-11-05
CN113710951A (zh) 2021-11-26
WO2020217660A1 (ja) 2020-10-29
CN113710951B (zh) 2023-10-27
JP7227837B2 (ja) 2023-02-22
KR102573458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9210B2 (ja) 燃料タンクのイナーティング方法及び浮体
KR102203308B1 (ko) 선박
KR101544810B1 (ko) 선박
KR20190074435A (ko) 해상 구조물의 코퍼댐 가열 시스템 및 가열 방법
KR20210137551A (ko) 액화 가스 저류 탱크, 및 선박
KR20150116256A (ko) Lng 저장탱크의 가스 필링시스템 및 방법
KR102538596B1 (ko) 선박의 가스 벤팅 및 퍼징 시스템
KR20190117926A (ko) 선박
KR20190078923A (ko) Lng 연료 선박
KR10229787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U2021377024A1 (en) Floating structure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643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74047B1 (ko) 밸브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화물창
KR20120094682A (ko) 부유식 구조물
KR102305885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59475B1 (ko) 선박
KR101924378B1 (ko) 해양구조물
KR102071028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459476B1 (ko) 선박
KR102469938B1 (ko) 선박
KR102488377B1 (ko) 선박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KR20120000971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