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400A -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 Google Patents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400A
KR20210136400A KR1020200054572A KR20200054572A KR20210136400A KR 20210136400 A KR20210136400 A KR 20210136400A KR 1020200054572 A KR1020200054572 A KR 1020200054572A KR 20200054572 A KR20200054572 A KR 20200054572A KR 20210136400 A KR20210136400 A KR 2021013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ppc
gas
plasma
plasma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963B1 (ko
Inventor
김창구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963B1/ko
Priority to US17/923,495 priority patent/US20230197466A1/en
Priority to PCT/KR2021/002532 priority patent/WO2021225264A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09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capaci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44Gas supply means
    • H01J37/32449Gas control, e.g. control of the gas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15Workpiece holder
    • H01J37/32724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4Etching
    • H01J2237/3341Reactive e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3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perfluorocarbons [PFC], hydrofluorocarbons [HFC] or sulfur hexafluoride [SF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플라즈마 식각 방법이 개시된다. 플라즈마 식각 방법은 액상의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PC)을 증기화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를 식각 대상이 배치된 플라즈마 챔버에 공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방전가스를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PLASMA ETCHING METHOD}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지수가 낮은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방전 가스로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집적 회로의 고밀도화, 소자의 미세화로 인해 종횡비(Aspect Ratio)가 높은 구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종횡비 구조는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연층에 제작되는데, 이러한 고종횡비 구조를 제조하기 위해 실리콘 산화물(SiO2)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실리콘 산화물의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는 주로 CF4, C2F6, C3F6, C3F8, C4F8 등과 같은 과불화탄소(Perfluorocarbon, PFC) 가스를 이용한다. PFC 가스는 플라즈마에 의해 다양한 활성종을 생성하는데, 이때, CFx 활성종에 의한 탄소계 폴리머인 불화탄소 박막을 기판 표면에 증착시켜 마스크를 보호하고 식각제의 소스 역할을 하여 마스크와의 선택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 식각 시 증착되는 불화탄소 박막은 두께에 따라 반응성 이온 및 라디칼의 확산을 방해하여 식각속도를 저해할 수도 있고, 또한 식각 구조물의 벽면에 과도하게 증착되어 식각 정지(Etch Stop) 등이 발생되면 원하는 식각 깊이만큼 식각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직경보다 식각 구조물의 바닥의 직경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PFC는 6대 온실가스(CO2, CH4, N2O, HFC, PFC, SF6) 중 하나로,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대기 중 평균 체류시간이 길고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가 CO2 대비 6500배 이상으로 매우 높아 적은 양의 배출로도 지구온난화 효과가 크다는 문제가 있으나, 반도체 소자 제조에서 식각공정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PFC 가스의 연간 배출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PFC 가스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출되는 PFC 가스 분해, 분리, 회수 기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출 비중을 낮추고 있기는 하지만, GWP가 높은 PFC 가스의 사용에 따른 원천적인 한계가 있다.
때문에, 종래의 PFC 가스를 대체할 수 있고 낮은 GWP를 가져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식각 특성을 가져 고종횡비 식각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식각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를 갖는 종래의 PFC 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낮은 지구온난화 지수를 갖는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PC)을 방전가스로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은 액상의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PC)을 증기화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를 식각 대상이 배치된 플라즈마 챔버에 공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방전가스를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PPC를 증기화한 후 상기 식각 챔버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액상의 PPC를 수용하는 제1 용기를 상기 PPC의 끓는점 이상의 제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식각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 내지 1:9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67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3:7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스는 산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소의 유량은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의 합산 유량과 1:9 내지 1:99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와 함께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동안 상기 식각 챔버 내에서 상기 식각 대상을 지지하는 기판에는 -200 내지 -1400V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동안 상기 방전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식각 챔버에 결합된 플라즈마 소스에는 200 내지 1000W의 소스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은 실리콘 산화물 박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 지수가 큰 종래의 PFC 가스를 식각 공정에 이용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응용함으로써 최적의 고종횡비 식각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식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표 2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PPC으로 이루어진 방전가스에서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SiO2 박막의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표 3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PPC 및 Ar으로 이루어진 방전가스에서 Ar 가스 유량 비율에 따른 SiO2 박막의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표 4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다양한 박막(Si3N4, SiO2, poly-Si 및 ACL)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소스 전력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표 5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다양한 박막(Si3N4, SiO2, poly-Si 및 ACL)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플라즈마 식각 전에 실리콘 기판, 이의 표면을 피복하는 이의 표면을 피복하는 SiO2 박막 및 그 위에 형성된 식각 마스크 ACL에 대한 FE-SEM 이미지이다. SiO2 박막의 두께는 2400 nm이고, 식각 마스크(Mask)의 두께는 약 1400 nm이다. 식각 마스크는 ACL과 그 위에 형성된 SiON으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두께는 약 1350 nm 및 50 nm이다. 홀 패턴(Hole Pattern)의 직경은 각각 약 200 nm와 100 nm이다.
도 7은 도 6의 구조물에 대해 표 6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다양한 바이어스 전압 인가하여 12분 동안 SiO2 박막의 플라즈마 식각을 진행 후의 식각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FE-SEM 이미지들이다.
도 8은 표 7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다양한 산소 유량비를 갖는 방전가스를 이용하여 12분 동안 SiO2 박막의 플라즈마 식각을 진행 후의 식각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FE-SEM 이미지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식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은 식각 대상이 배치된 플라즈마 챔버에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ntafluoropropanol, PPC) 가스 및 아르곤(Ar) 가스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식각 대상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대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제조 과정에서 절연층으로 기능하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각 대상은 실리콘 다이옥사이드(silicon dioxide, SiO2)와 같은 실리콘 산화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스는 상기 PPC와 아르곤 외에 산소(O2) 가스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PC는 탄소 4개, 수소 3개, 산소 1개 및 불소 7개로 구성된 물질로, 약 95℃의 끓는점을 가져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PC의 구체적인 물성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화학 구조
(chemical Structure)
Figure pat00001
분자식(Molecular formula) C4H3F7O
분자량(M.W.) (g/mol) 200
끓는점(Boiling Point) (℃) 95
밀도(Density) (g/mL)(25℃) 1.596@20℃
지구온난화지수(GWP) 16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식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식각 장치(100)는 식각 챔버(110); 제1 용기(120), 제2 용기(130) 및 제3 용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챔버(110)는 플라즈마 소스(115)에 결합될 수 있고, 식각 대상('Wafer')을 내부에 수용하는 방전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 공간은 상기 제1 내지 제3 용기(120, 130, 140)로부터 방전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플라즈마 소스(115)는 상기 방전 가스에 방전 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용기(120, 130, 140)는 제1 내지 제3 연결 배관(125, 135, 145)을 통해 상기 식각 챔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20)에는 액체 상태의 PPC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용기(130, 140)에는 아르곤 가스 및 산소 가스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20)에 수용된 PPC는 끓는점이 80℃로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액상의 PPC를 상기 식각 챔버(110)에 균일하게 유입하기 위해 PPC를 증기화(Vaporization)한 후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PPC의 증기화는 액상의 PPC를 수용하는 상기 제1 용기(120) 및 상기 제1 용기(120)와 상기 식각 챔버(11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 연결 배관(125)을 상기 PPC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적 튐 현장으로 상기 식각 챔버(110)에 제공되는 상기 PPC의 유량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제1 용기(120)는 상기 PPC의 끓는점 이상의 온도인 제1 온도로 가열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배관(125)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용기(120)는 가열 재킷(Heating Jacket)을 이용하여 약 9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배관(125)은 약 145 내지 165℃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 배관(125)의 출구에는 질량유량계(Mass Flow Controller)가 설치되어 일정한 유량의 상기 증기화된 PPC를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130)에 수용된 아르곤 가스 및 상기 제3 용기(140)에 수용된 산소 가스는 상기 제1 연결 배관(125)과는 다른 상기 제2 연결 배관(135) 및 상기 제3 연결 배관(145)을 통해 각각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PPC 가스와 함께 Ar 가스를 공급한 후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경우, 플라즈마 밀도를 높일 수 있고 이온 포격을 통해 상기 식각 대상에 대해 비등방적 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전성(electronegative)의 불화탄소 플라즈마(fluorocarbon plasma)에 양전성(electropositive)의 Ar이 첨가되면 플라즈마 밀도가 향상되어 PPC와 같은 전구체(precursor)의 분해가 증가되고 그로 인해 가스 상(gas phase)과 표면화학(surface chemistry)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Ar 첨가에 따른 표면화학의 대표적인 변화로는 표면에 형성되는 정상상태(steady state) 불화탄소의 플루오린(fluorine) 함량의 감소가 있다. 또한, Ar은 양전성이기 때문에 음전하를 띄는 웨이퍼(wafer)로 가속되어 이온 포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웨이퍼에 홀(hole)의 형성 시 비등방적 식각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이 실리콘 산화물인 경우,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Ar 가스는 약 2:3(=40:60) 내지 1:9(=10:90)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Ar 가스의 유량비가 2:3(=40:6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식각 대상에 대한 식각 속도가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Ar 가스의 유량비가 1:9(=10: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각 대상을 식각할 수 있는 에천트(Etchant) 양의 감소로 식각 속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각 대상이 실리콘 산화물인 경우,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Ar 가스는 약 2:3(=40:60) 내지 1:4(=20:80), 약 23:67 내지 1:4(=20:80) 또는 약 3:7(=30:70) 내지 1:4(=20:80)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110)의 방전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스가 상기 PPC와 아르곤 외에 산소(O2) 가스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산소 가스는 플라즈마 식각에 의해 발생하는 불화탄소 박막의 두께를 적절히 제어하여 식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소(O2) 가스의 첨가에 의해 과도한 불화탄소의 박막의 두께를 감소시켜 반응성 이온 및 라디칼의 확산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식각 속도로 식각 대상을 식각할 수 있다. 또한, 식각 대상 구조물의 벽면에 불화탄소 박막이 과도하게 증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치 않는 식각 정지를 방지할 수 있고 목적하는 깊이만큼 식각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플라즈마 식각 방법에 따라 식각 대상에 홀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홀 패턴 마스크의 직경과 식각 구조물의 직경 차이가 없는 고종횡비 식각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전가스 중 상기 산소(O2) 가스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식각 대상의 소스 역할을 하는 불화탄소 박막의 형성을 지나치게 방해하여 식각 대상에 대한 이방성 식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산소(O2) 가스의 유량과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의 합산 유량은 약 1:9(=10:90) 내지 1:99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산소(O2) 가스,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가 상기 식각 챔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소(O2) 가스의 유량과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의 합산 유량은 약 7:93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산소(O2) 가스,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가 상기 식각 챔버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을 지지하는 기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은 약 -200V 내지 -1400V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200V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식각 대상에 대한 식각 속도가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1400V보다 큰 경우에는 식각 속도의 추가적인 향상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전력 소모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식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플라즈마 소스(115)에 인가되는 소스 전력(source power)은 약 200W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전력이 200W 미만인 경우, 상기 식각 대상에 대한 식각 속도가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소모를 낮추기 위해 상기 플라즈마 소스(115)에 인가되는 소스 전력(source power)은 약 200 이상 1000W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가 3으로서 종래의 PFC 가스보다 현저하게 낮은 PPC와 아르곤(Ar)의 혼합가스 또는 PPC와 아르곤 그리고 산소(O2)의 혼합가스를 방전가스로 적용하여 플라즈마 식각 공정을 수행하므로, 기존 PFC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 비해 온실 가스의 배출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식각 특성으로 플라즈마 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 따르면, 식각 대상에서 불화탄소 박막의 증착 속도는 감소시키고 식각 속도를 증가시켜, 불화탄소 박막의 두께를 적절히 제어하면서 식각 대상을 식각할 수 있고, 식각 대상에 홀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식각하는 경우, 홀 패턴 마스크의 직경과 식각 구조물의 직경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근소한 고종횡비 식각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방전가스로 PPC 및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실리콘 기판 표면에 형성된 SiO2 박막에 대해 플라즈마 식각을 수행하였다. 이때, PPC를 증기화하여 식각 챔버에 공급함에 있어서, 액상의 PPC를 수용하는 캐니스터(Canister)는 100℃로 가열하였고, 상기 캐니스터와 상기 식각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은 155℃로 가열하였다.
실험예 1: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PCC 플라즈마의 식각 속도 분석
도 2는 표 2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PPC으로 이루어진 방전가스에서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SiO2 박막의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250 -400 ~ -1200 PPC 30 10 15
표 2와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PPC 가스를 방전가스로 적용한 식각에 있어서, 특정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식각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약 -400V 내지 -800V의 바이어스 전압 범위에서, 바이어스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식각 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 -1000V 내지 -1200V의 바이어스 전압 범위에서, 바이어스 전압의 감소에 따라 식각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아르곤(Ar)의 유량비에 따른 식각 속도 분석
도 3은 표 3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PPC 및 Ar으로 이루어진 방전가스에서 Ar 가스 유량 비율에 따른 SiO2 박막의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X/Y)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250 -600 PPC/Ar 30 10 15
표 3과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PPC 및 Ar 가스가 특정 유량비로 혼합된 가스를 방전가스로 적용한 경우에 식각 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체 방전가스에서 Ar의 유량비가 약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r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약 60% 내지 70%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r의 유량비가 약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r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시 식각 속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각 속도의 감소는 SiO2를 식각할 수 있는 에천트(Etchant) 양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을 기초로, 방전가스에서 Ar 가스의 비율은 약 60 내지 90%, 약 60 내지 80%, 약 67 내지 80% 또는 약 7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3: 소스 전력(Source power)에 따른 식각 속도 분석
도 4는 표 4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다양한 박막(Si3N4, SiO2, poly-Si 및 ACL)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소스 전력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X/Y)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250 ~ 500 -600 PPC/Ar 30
(X/Y = 10/20)
10 15
표 4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소스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Si3N4, SiO2, poly-Si 및 ACL 박막 모두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i3N4, SiO2, poly-Si 및 ACL의 순서로 식각 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에 따른 식각 속도 및 식각 구조물 분석
도 5는 표 5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다양한 박막(Si3N4, SiO2, poly-Si 및 ACL)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식각 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X/Y)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250 -400 ~ -1200 PPC/Ar 30
(X/Y = 3/27)
10 15
표 5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Si3N4, SiO2, poly-Si 및 ACL 박막 모두 식각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i3N4, SiO2, poly-Si 및 ACL의 순서로 식각 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플라즈마 식각 전에 실리콘 기판, 이의 표면을 피복하는 이의 표면을 피복하는 SiO2 박막 및 그 위에 형성된 식각 마스크 ACL에 대한 FE-SEM 이미지이고, 도 7은 도 6의 구조물에 대해 표 6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다양한 바이어스 전압 인가하여 12분 동안 SiO2 박막의 플라즈마 식각을 진행 후의 식각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FE-SEM 이미지들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식각 시간
(min)
250 -400, -800, -1200 PPC/Ar 30
(X/Y = 10/20)
10 15 12
표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SiO2 박막의 식각 깊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400V, -800 및 -1200 V의 바이어스 전압에서 각각 12분 동안 식각을 수행한 결과, -400V의 바이어스 전압의 경우 SiO2의 바닥인 약 2400 nm까지 식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로잉(narrowing) 현상과 같은 왜곡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800 및 -1200 V의 바이어스 전압의 경우 SiO2의 바닥인 약 2400 nm까지 식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곧은 형상으로 식각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각 프로파일을 곧게 형성시키기 위해 방전가스에 산소(O2)를 첨가하였다.
실험예 5: 산소(O 2 ) 첨가에 따른 식각 속도 및 식각 구조물 분석
도 8은 표 7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의 SiO2 박막에 대한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서, 다양한 산소 유량비를 갖는 방전가스를 이용하여 12분 동안 SiO2 박막의 플라즈마 식각을 진행 후의 식각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FE-SEM 이미지들이다.
소스전력
(Source power)
(W)
바이어스 전압
(Bias voltage)
(V)
방전가스
(Discharge Gas)
총 유량비
(Total Flow Rate)
(sccm)
압력
(Pressure)
(mTorr)
기판온도
(Substrate Temperature)
(℃)
식각 시간
(min)
250 -1200 PPC/O2/Ar 30
(X/Y/Z = 8/2/20 ~ 10/0/20)
10 15 12
표 7과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방전가스에서 PPC의 유량비가 감소하고 산소의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식각 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총 유량 30sccm일 때 PPC/O2/Ar의 유량이 8/2/20인 조건에서 8/2/20으로 산소 가스의 유량비가 증가하는 경우, 모두 SiO2의 바닥(2400 nm)까지 식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전가스에서 PPC의 유량비가 감소하고 산소의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식각된 홀(hole)이 매우 곧은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CL 마스크는 산소의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식각되어 높이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iO2 박막이 바닥까지 식각된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감소된 ACL의 두께는 충분한 두께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방전가스의 총 유량이 약 30sccm 일 때, PPC, 산소 및 아르곤의 유량은 9:1:20(=PPC:산소:아르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식각장치
110: 식각 챔버
115: 플라즈마 소스
120: 제1 용기
125: 제1 연결배관
130: 제2 용기
135: 제2 연결배관
140: 제3 용기
145: 제3 연결배관

Claims (11)

  1. 액상의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PC)을 증기화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를 식각 대상이 배치된 플라즈마 챔버에 공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방전가스를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식각 대상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PPC를 증기화한 후 상기 식각 챔버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액상의 PPC를 수용하는 제1 용기를 상기 PPC의 끓는점 이상의 제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식각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 내지 1:9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23:67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화된 PPC 및 상기 아르곤 가스는 3:7 내지 1:4의 유량비로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는 산소 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의 유량은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의 합산 유량과 1:3 내지 1:99의 비율이 되도록 상기 PPC 가스 및 상기 아르곤 가스와 함께 상기 식각 챔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동안 상기 식각 챔버 내에서 상기 식각 대상을 지지하는 기판에는 -200 내지 -1400V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동안 상기 방전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식각 챔버에 결합된 플라즈마 소스에는 200 내지 1000W의 소스 전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은 실리콘 산화물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20200054572A 2020-05-07 2020-05-07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238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72A KR102388963B1 (ko) 2020-05-07 2020-05-07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US17/923,495 US20230197466A1 (en) 2020-05-07 2021-03-02 Plasma etching method using perfluoropropyl carbinol
PCT/KR2021/002532 WO2021225264A1 (ko) 2020-05-07 2021-03-02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72A KR102388963B1 (ko) 2020-05-07 2020-05-07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00A true KR20210136400A (ko) 2021-11-17
KR102388963B1 KR102388963B1 (ko) 2022-04-20

Family

ID=7846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72A KR102388963B1 (ko) 2020-05-07 2020-05-07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97466A1 (ko)
KR (1) KR102388963B1 (ko)
WO (1) WO202122526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256A (ko) * 1999-06-22 2001-01-15 김영환 케톤계 불화탄소를 포함하는 식각가스 및 이를 이용한 절연막의 식각방법
US20030000913A1 (en) * 1999-03-25 2003-01-02 Hoiman Hung Highly selective process for etching oxide over nitride using hexafluorobutadiene
US20050014383A1 (en) * 2003-07-15 2005-01-20 Bing Ji Use of hypofluorites, fluoroperoxides, and/or fluorotrioxides as oxidizing agent in fluorocarbon etch plasmas
US20170103901A1 (en) * 2014-06-18 2017-04-13 American Air Liquide, Inc. Chemistries for tsv/mems/power device etching
KR20200018897A (ko) * 2018-08-13 2020-02-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식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0913A1 (en) * 1999-03-25 2003-01-02 Hoiman Hung Highly selective process for etching oxide over nitride using hexafluorobutadiene
KR20010003256A (ko) * 1999-06-22 2001-01-15 김영환 케톤계 불화탄소를 포함하는 식각가스 및 이를 이용한 절연막의 식각방법
US20050014383A1 (en) * 2003-07-15 2005-01-20 Bing Ji Use of hypofluorites, fluoroperoxides, and/or fluorotrioxides as oxidizing agent in fluorocarbon etch plasmas
US20170103901A1 (en) * 2014-06-18 2017-04-13 American Air Liquide, Inc. Chemistries for tsv/mems/power device etching
KR20200018897A (ko) * 2018-08-13 2020-02-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식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963B1 (ko) 2022-04-20
US20230197466A1 (en) 2023-06-22
WO2021225264A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7214B2 (ja) エッチング耐性ポリマー層を堆積させる方法及びパターンエッチング構造の製造方法
KR102104240B1 (ko)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1223819B1 (ko) 플라즈마 에칭 방법 및 플라즈마 에칭 장치
US8614151B2 (en) Method of etching a high aspect ratio contact
JP2008028022A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11086966A (ja) ドライエッチングガスおよび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2008021791A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4839506B2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WO1999021218A1 (en) Self-aligned contact etch using difluoromethane and trifluoromethane
CN109564868B (zh) 等离子体蚀刻方法
KR102389081B1 (ko) PIPVE(perfluoroisopropyl vinyl ether)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2441772B1 (ko)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2388963B1 (ko) 퍼플루오로프로필카비놀(Perfluoropropyl carbi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US20220246439A1 (en) Plasma etching method
KR102461689B1 (ko) 펜타플루오로프로판올(pentafluoropropanol)을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US11081361B2 (en) Plasma etching method
KR102328590B1 (ko)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20240020153A (ko) 헵타플루오로프로필 메틸 에테르와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틸 에테르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WO2006008841A1 (ja) フルオロカーボン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4336038A (ja) 多孔質誘電体薄膜のエッチング方法及び該薄膜を備えた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