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096A - 정전 용량 검출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 검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096A
KR20210136096A KR1020217032398A KR20217032398A KR20210136096A KR 20210136096 A KR20210136096 A KR 20210136096A KR 1020217032398 A KR1020217032398 A KR 1020217032398A KR 20217032398 A KR20217032398 A KR 20217032398A KR 20210136096 A KR20210136096 A KR 2021013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nse
drive
drive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896B1 (ko
Inventor
도모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G01D5/240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by varying di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1Capacitive 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princip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35Capacitive 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circuit details
    • H03K2217/960745Capacitive differential; e.g. comparison with reference capaci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일방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상기 센스 전극에 인가하는 센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스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스 전극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 자기 용량 방식에 의한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타방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하고,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와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의 검출값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정전 용량 검출 센서
본 발명은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 운전 (Autonomous) 에 관한 기술로서, HoD (Hands on Detection) 센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HoD 센서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핸들의 유지 상태 검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정전 용량 검출 센서를 사용한 경우를 생각하면, 예를 들어, 어느 값을 기준값으로 하여, 검출된 정전 용량 등의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핸들 등에 접촉하고 있다 (유지하고 있다) 고 판정하고,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유지하고 있지 않다) 고 판정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61770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32542호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검출 대상인 인간의 손이 스티어링 핸들 등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나, 유지하고 있지 않음에도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오검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스티어링 핸들 등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검출 대상이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일방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상기 센스 전극에 인가하는 센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스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스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상기 센스 신호가 상기 센스 전극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센스 전극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 자기 용량 방식에 의한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타방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하고,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된 제 1 검출값과,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된 제 2 검출값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의하면, 검출 대상이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도 1 은, 자기 용량 검출 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검출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관한 실험의 설명도 (1) 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관한 실험의 설명도 (2) 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변형예 1 의 구조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변형예 2 의 구조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구조도 (1) 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구조도 (2) 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검출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핸들의 설명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핸들의 설명도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설명도이다.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1 에 기초하여, 자기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자기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센스 전극 (11) 을 갖는 센서부 (10) 와 회로부 (20) 를 갖고 있다. 회로부 (20) 는, 센스 신호 발생부 (30), 검출부 (40), 접촉 판정부 (50), 제어부 (70) 등을 갖고 있고, 접촉 판정부 (50) 는, 메모리 (51) 와 판정부 (52) 를 갖고 있다.
이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서는, 센스 전극 (11) 과 GND 사이에는 리크 용량 (CL1) 이 발생하고 있고, 검출 대상인 인체 (80) 의 일부 (81) 와 센스 전극 (11) 사이에는 정전 용량 (CF1) 이 발생하고 있다.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 에 근접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CF1) 의 값은 커진다. 또, 인체 (80) 와 GND 사이에는 결합 용량 (CFG) 이 발생하고 있다. 인체 (80) 의 일부 (81) 는, 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이다.
이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서는, 센스 신호 발생부 (30) 로부터 센스 전극 (11) 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 에 근접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CF1) 의 값이 커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전하량, 즉, 전하의 이동량이 증가한다. 이 전하의 이동량의 값은 검출부 (40) 에 있어서 검출되고, 그 값은 메모리 (51) 에 기억된다. 판정부 (52) 는, 메모리 (51) 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부 (40) 에 있어서 검출된 전하의 이동량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서부 (10) 에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 (52) 는, 전하의 이동량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의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 (70) 는, 상기 일련의 정전 용량의 검출 동작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센서부 (10) 의 접촉을 감지하는 부분은, 센스 전극 (11) 을 덮는 절연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서부 (10) 에 접촉한 경우에는, 당해 인체 (80) 의 일부 (81) 는 절연체를 사이에 둔 센스 전극 (11) 에 근접하게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센스 전극이나 드라이브 전극은 절연체를 사이에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체의 일부가 직접적으로 이들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도 1 에 나타내는 자기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경우에는, 환경의 변화,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나 외적 요인 등에 의해 정전 용량이 변동되기 때문에, 오검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검출부 (40) 에 있어서 정전 용량이 크게 검출되어,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부 (52) 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나,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어도, 검출부 (40) 에 있어서 정전 용량이 작게 검출되어, 센서부 (10) 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부 (52) 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오검출을 배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어느 방법도 오검출을 충분히 억제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오검출이 없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가 요구되고 있다.
(정전 용량 검출 센서)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대해,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자기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이며,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을 갖는 센서부 (110) 와, 회로부 (120)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센서부 (110) 의 소정의 부분이, 인간의 손 등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회로부 (120)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검출부 (140), 유지 판정부 (150),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제어부 (170) 등을 갖고 있고, 유지 판정부 (150) 는, 메모리 (151) 와 판정부 (152) 를 갖고 있다.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와,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인가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가 되는 스위치 (162) 를 갖고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을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중 어느 일방이 센스 전극 (111) 이 되고, 타방이 드라이브 전극 (112) 이 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갖는다. 또, 센스 전극 (111) 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 드라이브 전극 (112) 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3 개 이상의 전극 중에서 센스 전극 및 드라이브 전극을 선택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서는, 센스 전극 (111) 과 GND 사이에는 리크 용량 (CL1) 이 발생하고 있고, 검출 대상인 인체 (80) 의 일부 (81) 와 센스 전극 (111) 사이에는 정전 용량 (CF1) 이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1) 에 근접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CF1) 의 값이 커진다. 또, 인체 (80) 의 다른 일부 (82) 와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에는 정전 용량 (CF2) 이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 (80) 의 다른 일부 (82) 가 드라이브 전극 (112) 에 근접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CF2) 의 값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인체 (80) 의 일부 (81) 와 다른 일부 (82) 가 각각 동시에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의 거리는 1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에는 정전 용량 (CSD) 이 발생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드라이브 전극 (112) 의 전하가, 인체의 다른 일부 (82), 인체 (80) 및 인체의 일부 (81) 를 개재하여 센스 전극 (111) 에 영향을 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정전 용량 (CSD) 의 값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설명에서는, 정전 용량 (CSD) 은 작고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있어서,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는, 센스 전극 (111) 에 인가하는 센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센스 전극 (111) 에 당해 센스 신호를 교류 전압으로서 인가한다. 여기서,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1) 에 근접한 경우에는, 정전 용량 (CF1) 의 값이 커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전하의 이동량은 증가한다. 즉,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의해 센스 전극 (111)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 (111)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기억한다. 판정부 (152) 는, 메모리 (151) 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값에 기초하여, 유지, 비유지의 판정을 실시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 (152) 는,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 (140) 에 있어서 검출된 제 1 검출값과,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 (140) 에 있어서 검출된 제 2 검출값의 차분에 기초하여,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지만, 여기서는 제 1 드라이브 신호는 센스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한다. 또,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한다. 제어부 (170) 는, 상기 일련의 정전 용량의 검출 동작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센스 신호 또는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여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에 형성된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는,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킨다.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에 형성된 스위치 (162) 는,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접속됨과 함께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접속되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 대한 접속처를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인가되는 신호를 선택한다. 즉,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에 형성된 스위치 (162)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 또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여,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출력한다. 즉,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에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센스 신호와,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드라이브 신호는,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위상이 180 °어긋나 있다. 센스 신호와 드라이브 신호는, 적어도 위상이 어긋나 있으면 되는데, 위상이 180 °어긋나 있으면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검출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센서부 (110) 가 인간의 손 등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출 방법에 대해,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 102 (S102) 에 있어서, 회로부 (120) 는, 센스 전극 (111)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전극 (112) 에도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는, 센스 신호를 발생시켜 센스 전극 (111) 에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의 스위치 (162)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드라이브 전극 (112) 을 접속함으로써 센스 신호를 선택하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 (170) 는, 이들 동작의 타이밍이나 검출부 (140) 에 의한 검출 타이밍, 유지 판정부 (150) 에 의한 유지 판정 타이밍의 제어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104 (S104) 에 있어서,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 (111)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d1)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이 검출값 (Vd1) 은, 하기 수학식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값이 된다.
Figure pct00001
다음으로, 스텝 106 (S106) 에 있어서,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센스 전극 (111) 에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를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센스 전극 (111) 에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의 스위치 (162) 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와 드라이브 전극 (112) 을 접속함으로써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스텝 108 (S108) 에 있어서, 센스 전극 (111) 에 센스 신호를 인가하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 (111)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d2)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이 검출값 (Vd2) 은, 하기 수학식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값이 된다. 센스 신호와 드라이브 신호는, 위상이 180 °어긋나 있는 역상 (逆相) 의 신호이기 때문에, 인체 (80) 는 CF2 를 개재하여 미소하게 역상으로 흔들리고, 검출값 (Vd2) 은, 수학식 1 에 나타내는 검출값 (Vd1) 과는 상이한 값이 된다.
Figure pct00002
다음으로, 스텝 110 (S110)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메모리 (151) 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값 (Vd1) 과 검출값 (Vd2) 으로부터, 차분 (Vd2 - Vd1) 을 산출한다. 산출되는 차분 (Vd2 - Vd1) 은, 하기 수학식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값이 된다. 수학식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출되는 차분 (Vd2 - Vd1) 은, 정전 용량 (CF1) 과 정전 용량 (CF2) 의 곱에 비례한 값이며, 정전 용량 (CF1) 및 정전 용량 (CF2) 의 쌍방이 충분히 클 때에만 값이 커진다. 따라서,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1) 에만 근접하고 있는 경우나, 드라이브 전극 (112) 에만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분 (Vd2 - Vd1) 의 값은 매우 작다. 따라서,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의 쌍방에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만, 즉,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차분 (Vd2 - Vd1) 의 값은 커진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자기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드라이브 전극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자기 용량 방식이면서 본래는 존재하지 않는 드라이브 전극 (112) 을 구비하고, 당해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2 종류의 신호를 순차 인가하여,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센스 전극 (111) 의 정전 용량을 검지함으로써, 정전 용량 (CF1) 과 정전 용량 (CF2) 의 곱에 비례한 값을 추출할 수 있는 것에 큰 이점이 있다.
Figure pct00003
다음으로, 스텝 112 (S112)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차분 (Vd2 - V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정부 (152) 는, 차분 (Vd2 - V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 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전극 (센스 전극 (111)) 및 제 2 전극 (드라이브 전극 (112)) 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판정을 한다. 즉, 스텝 114 (S114) 로 이행하여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판정부 (152) 는, 유지하고 있는 것의 정보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또, 차분 (Vd2 - V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116 (S116) 으로 이행하여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고, 판정부 (152) 는,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의 정보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수학식 3 에 나타내는 차분 (Vd2 - Vd1) 은, 센스 전극 (111) 에만 근접하고 있는 경우나, 드라이브 전극 (112) 에만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값이 매우 작고,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경우, 즉,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값이 커진다. 이 때문에, 판정부 (152) 는,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수학식 3 에 나타내는 차분 (Vd2 - Vd1) 에는,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수치가 변화하는 리크 용량 (CL1) 의 성분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한 의존성이 없다. 이 때문에, 온도 등의 환경에 의해 소정의 제 1 임계값 (Vth) 을 바꿀 필요가 없어, 소정의 제 1 임계값 (Vth) 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 (110) 의 소정의 부분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전원을 투입한 경우여도, 얻어진 차분 (Vd2 - V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 을 초과하고 있으면, 판정부 (152) 는,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상이한 인체의 각각이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정부 (152) 는,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다는 판정은 실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센스 전극 (111) 에 근접하고, 인체 (80) 와는 별개의 인체 (180) 의 일부 (181) 가 드라이브 전극 (112) 에 근접한 경우, 인체 (80) 는 드라이브 신호가 변화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경우의 검출값 (Vd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에 드라이브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경우의 검출값 (Vd2) 은 동일한 값이 되므로, 차분 (Vd2 - Vd1) 의 값은 매우 작다. 따라서, 판정부 (152) 는, 센서부 (110) 의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유지되어 있다는 판정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것은, CF1, CF2, CFG, CL1 의 값이, 검출값 (Vd1) 을 검출하는 경우와, 검출값 (Vd2) 을 검출하는 경우에서 변화하고 있지 않은 것이 전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검출값 (Vd1) 을 검출하고 나서 검출값 (Vd2) 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은 가능한 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출되는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분모에는, 인체와 GND 사이의 결합 용량 (CFG) 이 포함되어 있으며, 결합 용량 (CFG) 의 값이 유지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용량 (CF1, CF2) 에 대해 압도적으로 큰 경우에는, 차분 (Vd2 - Vd1) 의 값은 커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실험 결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대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 (190) 의 표면에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을 형성한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한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 시험 장치에 있어서도,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은 절연체에 의해 덮여 있고, 인체 (80) 의 일부 (81) 가 직접적으로 전극에 접촉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 ∼ T2 의 사이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하고 있지만,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모두 상승하지만, 검출값 (Vd1) 과 검출값 (Vd2) 의 값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차분 (Vd2 - Vd1) 의 값은 0 에 가까운 값이 된다.
시각 T3 ∼ T4 의 사이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지만,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인체 (80) 의 다른 일부 (82) 가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쌍방 모두 변화가 없고, 따라서, 차분 (Vd2 - Vd1) 의 값은 대략 0 이 된다.
시각 T5 ∼ T6 의 사이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하고 있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동일한 인체 (80) 의 다른 일부 (82) 가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모두 상승하지만, 검출값 (Vd1) 의 값보다 검출값 (Vd2) 의 값이 크기 때문에, 차분 (Vd2 - Vd1) 의 값은 크게 증가한다.
시각 T7 ∼ T8 의 사이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지만,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인체 (80) 와는 상이한 것으로서 놋쇠제의 봉 (182) 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쌍방 모두 변화가 없고, 따라서, 차분 (Vd2 - Vd1) 의 값은 대략 0 이 된다.
시각 T8 ∼ T9 의 사이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하고 있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놋쇠제의 봉 (182) 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드라이브 전극 (112) 에 근접하고 있는 것이, 인체 (80) 의 다른 일부 등이 아니기 때문에, 센스 전극 (111) 에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함으로써,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모두 상승하지만, 검출값 (Vd1) 과 검출값 (Vd2) 의 값은 대략 동일하므로, 차분 (Vd2 - Vd1) 의 값은 0 에 가까운 값이 된다.
또한, 시각 T0 ∼ T1 의 사이, 시각 T2 ∼ T3 의 사이, 시각 T4 ∼ T5 의 사이, 시각 T6 ∼ T7 의 사이, 시각 T9 이후는, 센스 전극 (111) 및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센스 전극 (111) 에는 아무것도 근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검출값 (Vd1) 및 검출값 (Vd2) 의 값은 쌍방 모두 변화가 없고, 따라서, 차분 (Vd2 - Vd1) 의 값은 0 이 된다.
이상과 같이, 시각 T5 ∼ T6 의 사이와 같이, 센스 전극 (111) 에는 인체 (80) 의 일부 (81) 가 근접하고 있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는 동일한 인체 (80) 의 다른 일부 (82) 가 근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차분 (Vd2 - Vd1) 의 값은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각 T1, T2, T6, T8, T9 에 있어서는, 순간적으로 차분 (Vd2 - Vd1) 의 값은 커지지만, 검출하기 위한 시간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차분 (Vd2 - Vd1) 의 값이 커진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변형예 1 에 대해,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에 실드 전극 (1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 전극 (113) 에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의해 센스 신호 (즉, 제 1 드라이브 신호) 가 인가되고 있다. 이로써,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의 정전 용량 (CSD) 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는, 센스 전극 (111) 과 드라이브 전극 (112) 사이의 정전 용량 (CSD) 의 값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2)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의 변형예 2 에 대해,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에,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3) 와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4) 가 형성되어 있고, 모두 스위치 (16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3) 는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4) 는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킨다. 스위치 (162) 는, 제 1 드라이브 신호 또는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고, 드라이브 전극 (112) 에 인가할 수 있다.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3) 에 있어서 발생한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4) 에 있어서 발생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위상이 180 °어긋나 있고 역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적어도 위상이 어긋나 있으면 되는데, 위상이 180 °어긋나 있으면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는,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에는 접속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와, 제 1 드라이브 신호 또는 제 2 드라이브 신호의 어느 일방은 동일한 신호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보다,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3) 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4) 가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상당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부 (210) 는, 제 1 전극 (211) 과 제 2 전극 (212)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은, 어느 일방이 센스 전극이 되고, 타방이 드라이브 전극이 된다.
회로부 (220)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검출부 (140), 유지 판정부 (150),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제어부 (170),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등을 갖고 있다. 또 유지 판정부 (150) 는, 메모리 (151) 와 판정부 (152) 를 갖고 있다.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는, 제 1 전극 (211) 또는 제 2 전극 중 일방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한다. 즉,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및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와,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을 패럴렐로 접속하는 경우와 크로스로 접속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다.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에 있어서, 패럴렐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211) 과 센스 신호 발생부 (130) 가 접속되고, 제 2 전극 (212) 과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가 접속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전극 (211) 이 센스 전극이 되고, 제 2 전극 (212) 이 드라이브 전극이 된다.
또,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에 있어서, 크로스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211) 과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가 접속되고, 제 2 전극 (212) 과 센스 신호 발생부 (130) 가 접속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전극 (211) 이 드라이브 전극이 되고, 제 2 전극 (212) 이 센스 전극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에 있어서,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에 의해 센스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을 전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판정부 (152) 에 있어서의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판정부 (152) 는, 드라이브 전극에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 (140) 에 있어서 검출된 제 1 검출값과, 드라이브 전극에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 (140) 에 있어서 검출된 제 2 검출값의 차분에 기초하여,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지만, 여기서는 제 1 드라이브 신호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한다. 또,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한다.
또한, 판정부 (152) 는, 제 1 전극 (211) 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제 2 전극 (212) 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차분의 값과, 제 2 전극 (212) 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제 1 전극 (211) 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차분의 값의 차가 소정의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판정을 한다.
(검출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센서부 (210) 가 인간의 손 등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출 방법에 대해,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센스 신호와 드라이브 신호는, 위상이 180 °어긋나 있는 역상의 신호이다.
먼저, 스텝 202 (S202) 에 있어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에 있어서 패럴렐로 접속, 즉, 제 1 전극 (211) 과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를 접속하고, 제 2 전극 (212) 과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를 접속한다. 이로써, 제 1 전극 (211) 이 센스 전극이 되고, 제 2 전극 (212) 이 드라이브 전극이 된다.
다음으로, 스텝 204 (S204) 에 있어서, 센스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전극이 되는 제 2 전극 (212) 에도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의 스위치 (162)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제 2 전극 (212) 을 접속함으로써,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스텝 206 (S206) 에 있어서,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인 제 1 전극 (211)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s1d1)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다음으로, 스텝 208 (S208) 에 있어서, 센스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전극이 되는 제 2 전극 (212) 에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를 인가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의 스위치 (162) 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와 제 2 전극 (212) 을 접속함으로써, 제 2 전극 (212) 에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스텝 210 (S210) 에 있어서,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되고, 제 2 전극 (212) 에 드라이브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인 제 1 전극 (211)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s1d2)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다음으로, 스텝 212 (S212)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메모리 (151) 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값 (Vs1d1) 과 검출값 (Vs1d2) 으로부터, 차분 (D1 = Vs1d2 - Vs1d1) 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214 (S214) 에 있어서,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 (23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로 접속, 즉, 제 1 전극 (211) 과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를 접속하고, 제 2 전극 (212) 과 센스 신호 발생부 (130) 를 접속한다. 이로써, 제 1 전극 (211) 이 드라이브 전극이 되고, 제 2 전극 (212) 이 센스 전극이 된다.
다음으로, 스텝 216 (S216) 에 있어서, 센스 전극이 되는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 (211) 에도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가 제 2 전극 (212) 에 인가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에 있어서의 스위치 (162) 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와 제 1 전극 (211) 을 접속함으로써, 제 1 전극 (211) 에 센스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스텝 218 (S218) 에 있어서,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인 제 2 전극 (212)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s2d1)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다음으로, 스텝 220 (S220) 에 있어서, 센스 전극이 되는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는, 드라이브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 (211) 에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에 있어서 발생한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스 신호 발생부 (130) 에 있어서 발생한 센스 신호가 제 2 전극 (212) 에 인가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0) 내에 있어서의 스위치 (162) 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1) 와 제 1 전극 (211) 을 접속하고, 제 1 전극 (211) 에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스텝 222 (S222) 에 있어서, 제 2 전극 (212) 에 센스 신호가 인가되고, 제 1 전극 (211) 에 드라이브 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출부 (140) 는, 센스 전극인 제 2 전극 (212) 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 (Vs2d2) 으로서 검출하고, 메모리 (151) 에 보존한다.
다음으로, 스텝 224 (S224)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메모리 (151) 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값 (Vs2d1) 과 검출값 (Vs2d2) 으로부터, 차분 (D2 = Vs2d2 - Vs2d1) 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226 (S226)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차분 (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차분 (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228 로 이행하고, 차분 (D1)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232 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228 (S228)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차분 (D2)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차분 (D2)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230 으로 이행하고, 차분 (D2) 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 (Th1)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232 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230 (S230) 에 있어서, 판정부 (152) 는, D2 - D1 의 값이 소정의 제 2 임계값 (Th2)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D2 - D1 의 값이 소정의 제 2 임계값 (Th2)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234 로 이행하고, D2 - D1 의 값이 소정의 제 2 임계값 (Th2) 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232 로 이행한다.
스텝 232 (S232) 에서는, 판정부 (152) 는, 센서부 (210) 의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의 정보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스텝 234 (S234) 에서는, 판정부 (152) 는,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판정을 한다. 즉, 판정부 (152) 는, 센서부 (210) 의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유지하고 있는 것의 정보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는,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에 있어서, 센스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을 바꿔 넣음으로써,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한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차분 (D1) 의 값 및 차분 (D2) 의 값은, 수학식 3 의 우변의 값에 비례한 값이며, 원칙적으로는 센스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을 바꿔 넣어도 동일한 값이 된다.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차분 (D1) 의 값 또는 차분 (D2) 의 값이 순간적으로 큰 값이 될 가능성은 있지만, 차분 (D1) 의 값 및 차분 (D2) 의 값의 쌍방이 큰 값이 되고, 또한, 그 값이 대략 동일해질 확률은 매우 낮다. 따라서, 노이즈 등의 영향으로 차분 (D1) 의 값 또는 차분 (D2) 의 값이 순간적으로 큰 값이 된 경우에는, D2 - D1 의 값이 소정의 제 2 임계값 (Th2) 보다 커지기 때문에, 판정부 (152) 는, 노이즈 등의 영향에 헷갈리지 않고, 센서부 (210) 의 제 1 전극 (211) 및 제 2 전극 (212)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므로,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를 사용한 스티어링 핸들, 도어 핸들, 스마트폰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핸들 (301)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에 제 1 전극 (311) 이 장착되어 있고, 뒤쪽에 제 2 전극 (312) 이 장착되어 있어, 예를 들어, 스티어링 핸들 (301) 을 쥐었을 때에, 인체의 엄지손가락 (381) 이 제 1 전극 (311) 에 근접하고, 집게손가락 (382) 이 제 2 전극 (312) 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로써, 스티어링 핸들 (301) 을 유지하고 있는 것의 판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서는, 제 1 전극 (311) 및 제 2 전극 (312) 중 어느 일방이 센스 전극 (111) 에 대응하고, 타방이 드라이브 전극 (112) 에 대응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서는, 제 1 전극 (311) 은 제 1 전극 (211) 에 대응하고, 제 2 전극 (312) 은 제 2 전극 (212) 에 대응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핸들 (302) 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에 제 1 전극 (311) 이 장착되어 있고, 뒤쪽에 제 2 전극 (312) 이 장착되어 있어, 예를 들어, 도어 핸들 (302) 을 쥐었을 때에, 인체의 엄지손가락 (381) 이 제 1 전극 (311) 에 근접하고, 집게손가락 (382) 이나 가운뎃손가락 (383) 등의 엄지손가락 (381) 이외의 손가락이 제 2 전극 (312) 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로써, 도어 핸들 (302) 을 유지하고 있는 것의 판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 (303) 은, 좌측의 측면 근방에 전극 (321, 322, 323, 324) 이 장착되어 있고, 우측의 측면 근방에 전극 (325, 326, 327, 328) 이 장착되어 있으며, 전극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중에서, 센스 전극과 드라이브 전극을 선택하고, 선택된 2 개의 전극의 쌍방에, 인체의 엄지손가락 (381), 집게손가락 (382), 가운뎃손가락 (383), 약손가락 (384), 새끼손가락 (385) 의 어느 것이 근접한 것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로써, 스마트폰 (303) 을 유지하고 있는 것의 판정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19년 5월 22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9-095930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80 : 인체
81 : 일부
82 : 다른 일부
110 : 센서부
111 : 센스 전극
112 : 드라이브 전극
120 : 회로부
130 : 센스 신호 발생부
140 : 검출부
150 : 유지 판정부
151 : 메모리
152 : 판정부
160 :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
161 :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
162 : 스위치
170 : 제어부

Claims (11)

  1.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일방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상기 센스 전극에 인가하는 센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스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스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상기 센스 신호가 상기 센스 전극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센스 전극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한 전하의 이동량을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는 자기 용량 방식에 의한 정전 용량 검출 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타방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하고,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된 제 1 검출값과,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상이한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검출된 제 2 검출값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는 상기 센스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고,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드라이브 신호이고,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상기 센스 신호 또는 상기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여 인가하는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는,
    상기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스 신호 발생부와 상기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에 접속되고, 상기 센스 신호 또는 상기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전극에,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 또는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여 인가하는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드라이브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 또는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차분의 값이, 소정의 제 1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전극과 상기 드라이브 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센스 신호가 인가된 실드 전극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브 신호와 상기 제 2 드라이브 신호는, 위상이 180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전극과 상기 드라이브 전극의 거리는, 1 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브 전극은, 스티어링 핸들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센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브 전극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앞쪽, 타방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뒤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중 일방을 상기 센스 전극으로 하고, 타방을 상기 드라이브 전극으로 하는 드라이브 센스 선택부를 갖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전극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제 2 전극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상기 차분의 값과, 상기 제 2 전극을 센스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제 1 전극을 드라이브 전극으로 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상기 차분의 값의 차가, 소정의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쌍방에 검출 대상이 근접하고 있는 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전극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3 개 이상의 전극 중에서, 상기 센스 전극 및 상기 드라이브 전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 검출 센서.
KR1020217032398A 2019-05-22 2020-03-13 정전 용량 검출 센서 KR102504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5930 2019-05-22
JPJP-P-2019-095930 2019-05-22
PCT/JP2020/011213 WO2020235192A1 (ja) 2019-05-22 2020-03-13 静電容量検出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096A true KR20210136096A (ko) 2021-11-16
KR102504896B1 KR102504896B1 (ko) 2023-02-28

Family

ID=7345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98A KR102504896B1 (ko) 2019-05-22 2020-03-13 정전 용량 검출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47281B2 (ko)
JP (1) JP7149413B2 (ko)
KR (1) KR102504896B1 (ko)
CN (1) CN113677950B (ko)
DE (1) DE112020002442T5 (ko)
WO (1) WO202023519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3191A (ja) * 2009-04-07 2012-09-27 アイデント・テクノロジー・アーゲー 把持および近接検出のためのセンサー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13174585A (ja) * 2012-01-23 2013-09-05 Tokyo Parts Ind Co Ltd 人体検知装置およびこの人体検知装置を備えたキー閉じ込め解除装置
KR20140040691A (ko) * 2011-01-04 2014-04-03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Ⅱ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및 정전용량형 근접 검출 방법
JP2015232542A (ja) 2014-05-14 2015-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グリップセンサ
JP6177026B2 (ja) 2013-06-28 2017-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90997A (ja) * 2016-04-13 2017-10-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4884B2 (ja) * 1998-05-11 200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容量検出回路
CN101060321B (zh) * 2006-04-19 2011-04-06 北京希格玛和芯微电子技术有限公司 电荷转移装置、触摸感应装置及方法
JP2010286384A (ja) * 2009-06-12 2010-12-24 Act Lsi:Kk 静電式近接センサ
US8493356B2 (en) * 2010-04-22 2013-07-2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Noise cancellation technique for capacitive touchscreen controller using differential sensing
JP6031699B2 (ja) * 2012-12-21 2016-11-24 ホシデン株式会社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およびドアハンドル
JP6115888B2 (ja) * 2013-03-29 2017-04-19 Toto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
CN103475352B (zh) * 2013-09-06 2017-07-25 深圳市芯海科技有限公司 电容触摸按键的检测电路
JP7020876B2 (ja) 2017-11-20 2022-02-16 株式会社東芝 決定装置、補正装置、決定システム、決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779476B1 (en) * 2018-05-08 2022-06-15 Nf Holdings Corporation Capacitance measuring circuit, and capacitance displacement me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3191A (ja) * 2009-04-07 2012-09-27 アイデント・テクノロジー・アーゲー 把持および近接検出のためのセンサー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40040691A (ko) * 2011-01-04 2014-04-03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Ⅱ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및 정전용량형 근접 검출 방법
JP2013174585A (ja) * 2012-01-23 2013-09-05 Tokyo Parts Ind Co Ltd 人体検知装置およびこの人体検知装置を備えたキー閉じ込め解除装置
JP6177026B2 (ja) 2013-06-28 2017-08-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32542A (ja) 2014-05-14 2015-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グリップセンサ
JP2017190997A (ja) * 2016-04-13 2017-10-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7950B (zh) 2024-04-30
DE112020002442T5 (de) 2022-03-03
JP7149413B2 (ja) 2022-10-06
CN113677950A (zh) 2021-11-19
WO2020235192A1 (ja) 2020-11-26
US20220057874A1 (en) 2022-02-24
US11847281B2 (en) 2023-12-19
JPWO2020235192A1 (ko) 2020-11-26
KR102504896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826B2 (en) Capacitive touch panel device
EP3032746A2 (en) Operat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JP643552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把持検出装置
US20160085338A1 (en) Touch sensor device and controller
JP6764540B2 (ja) 操作入力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
US11150769B2 (en) Method for capacitively detecting contact and actuation
US11365571B2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door handle
JP2018101281A (ja) タッチ検出装置
KR20210136096A (ko) 정전 용량 검출 센서
US20140340356A1 (en) Input device
TWI446252B (zh) 用以決定一電容式位置感測面板上壓觸點位置的電路、觸控面板模組以及偵測電容式位置感測面板上之壓觸點的方法
US9519388B2 (en) Touch sensor having multiple code matric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9211839A (ja) タッチセンサ装置
CN210958322U (zh) 一种电容式压控开关
JP2018116630A (ja) タッチ検出装置
JP2018147266A (ja)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タッチ位置検出方法
JP2021146842A (ja) 検出装置
JP2018006945A (ja) 静電容量センサ
CN112639388A (zh) 接近传感器单元及距离观测装置
JP5914419B2 (ja) 入力装置、電子機器
KR101625103B1 (ko)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2043513A (zh) 分辨单触或多触的方法与装置
KR20150087757A (ko)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전극구조를 갖는 터치센서
JP2024013846A (ja) 近接検知装置
JP2022011495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