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935A -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935A
KR20210135935A KR1020210057801A KR20210057801A KR20210135935A KR 20210135935 A KR20210135935 A KR 20210135935A KR 1020210057801 A KR1020210057801 A KR 1020210057801A KR 20210057801 A KR20210057801 A KR 20210057801A KR 20210135935 A KR20210135935 A KR 20210135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ckaging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557B1 (ko
Inventor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Original Assignee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최지성, 최주리아 filed Critical 최동호
Publication of KR2021013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과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판매하고 상기 배송품을 준비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포장용품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LOGISTICS BASED ON DELIVERY BASE FOR PROVIDING RESOURCE CIRCULATION AND CUSTOMIZED SERVICE BY RECYCLING AND REUSING COLD CHAIN PACKAGING ARTICLES}
본 발명은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소 건물 및 공공장소 등의 거점에 설치되어서 배송품들 각각이 수령인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기 전에 보관되는 배송거점 보관장치를 이용한 물류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콜드체인(Cold Chain)은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을 산지에서 수확하거나 제조공장에서 가공하여 다음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는 물류 시스템이다.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품은 일반적으로 냉장 차량에 의해 배송되어서 저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배송 마지막 단계에서 배송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될 경우 배송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품이 최종적으로 수령인에게 전달될 때까지 저온 상태가 유지되도록,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9816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송품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단열성이 우수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서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보냉 수단을 구비하는 포장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보냉 수단이 재활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사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배송에 사용된 포장용기를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신선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반도체, 화학물질 등은 배송 조건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분실 등의 위험성이 낮아야 한다. 특히, 이러한 배송품의 포장용기는 고가이고 다른 용도로는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률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81688 "보냉 용기" (2019.05.23.)
본 발명의 목적은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으로 포장재 및 냉매의 환경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키며, 증가하고 있는 생활물류 최종 배송에서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하고, 공급자의 회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과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판매하고 상기 배송품을 준비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포장용품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 등의 배송거점에 배송자가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보관하는 거점 보관장치가 설치되고, 구매자에 의해 상품이 수령된 후 상품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품은 거점 보관장치에 보관되며, 거점 보관장치에 보관된 사용후 포장용품은 회수자에 의해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운송되어서 재활용 및 재사용되므로, 콜드 체인 시스템에서 포장재 및 냉매의 환경쓰레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은 구매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까지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품 수령 장치에 보관되어서 저온으로 유지되므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최소화되어서 과대포장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을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필요하므로,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되고 고용이 확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에 적합한 포장비용이 산출되어서 배송비가 계산되므로, 상품 공급업자는 물류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 정보에 따라 포장용품의 사용이 확정되어서 배송료가 산출되므로 구매자가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을 고려하여 배송료가 산출되므로, 구매자의 포장용품 반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에서 배송물품 거점 보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에서 배송물품 상품 수령장치의 일예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송물품 상품 수령장치에 배송물품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에서 물류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상품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상품의 구매자에게 배송하고 상품 배송 완료 후 포장용품을 회수하여 효율적으로 재사용하고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송거점(A)에 설치되어서 배송 상품들이 보관되는 거점 보관장치(110)와,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배송 상품이 구매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와, 거점 보관장치(110) 및 상품 수령장치(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90)와, 판매 대상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배송품을 준비하는 상품 판매자가 제공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90)와 연결되는 상품 판매 서버(14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품을 구매하고 수령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13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을 관리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 판매자가 준비한 배송품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을 출고하여 상품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기를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160)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와,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포장용품 관리자가 제공하는 포장용품을 상품 판매자에게 운송하는 포장용품 운송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물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품 판매자(E)는 상품(G)을 공급하는 상품 공급자로부터 상품(G)을 공급받고, 상품(G)을 판매하기 위한 상품 판매 서버(140)를 운영한다. 구매자(R)는 상품 판매자(E)가 운영하는 상품 판매 서버(140)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구매한다. 여기서 상품(G)은 신선식품과 같이 저온 보관이 요구되는 상품인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품 판매자(E)는 구매자(R)에게 배송할 판매 상품(G)을 포장용품으로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한다.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와,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보냉수단(C)과,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품(G)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용 포장용기(B)는 상품(G)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도록 단열재가 내부 공간을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보냉수단(C)은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이용한 것 또는 아이스팩 등으로서, 저온용 포장용기(B)의 내부 공간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보냉수단(C)은 저온용 포장용기(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용 포장용기(B)의 덮개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품(G)이 상온 보관 가능한 것일 경우에는, 단열이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온용 포장용기가 사용되고 보냉수단(C)은 필요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가 등록번호 10-1646059에 개시된 구성과 같은 용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 배송자(D)는 상품 판매자(E)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하거나,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보관장치(120)에 입고한다.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을 출고하여 포장용기(B), 보냉수단(C) 및 상품(G) 중 상품(G)만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여 보관한다. 포장용품 회수자(S)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회수하여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전달한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회수한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용품은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구비한다. 포장용품 운송자(F)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제공하는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상품 판매자(E)에게 운송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포장용기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용기로서, 포장용기의 위치가 관리서버(도 1의 290)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된다. 포장용기는 복수개가 쌓여서 적재(네스팅, nesting)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각 구성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거점 보관장치(110)는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거점 보관장치(110)에는 상품 배송자(D)에 의해 배송된 배송품(P)이 보관된다. 배송거점(A)은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 마을 회관과 같은 마을의 공공건물, 주유소와 같은 다중 이용 시설 또는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 등의 공공지역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거점 보관장치(11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거점들 각각에 설치되어서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들이 구비된다. 도 3에는 거점 보관장치(11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점 보관 장치(110)는 내부에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한 상품 보관 공간(111)과,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회수품 보관 공간(115)을 제공한다.
상품 보관 공간(111)은 저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저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하여 저온으로 유지되는 저온 보관 공간(112)과, 상온 보관 상품(G')을 포함하는 상온 배송품(P')을 보관하기 위해 상온으로 유지되는 상온 보관 공간(113)으로 분리된다. 저온 배송품(P)은 저온용 포장용기(B)과, 저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저온 보관 상품(G)과, 보냉수단(C)을 구비한다. 저온용 포장용기(B)는 저온용 용기 몸체(B1)와, 보냉수단(C)이 결합된 저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냉수단(C)이 용기 덮개(B2)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하는 접촉 센서와 같은 결합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인 포장용기(B)는 보냉수단(C)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관리서버(19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90)는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결합상태를 전달자 단말기(160) 및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에 전송하여, 사용후 포장용기(B)의 운반시 보냉수단(C)의 분실을 방지하고, 전달자(T)에 의한 입고 작업성 및 회수자(S)에 의한 회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온 배송품(P')은 상온용 포장용기(B'), 상온용 포장용기(B')에 수납된 상온 보관 상품(G')을 구비한다. 상온용 포장용기(B')는 상온용 용기 몸체(B1')와, 상온용 용기 덮개(B2')를 구비한다. 상품 보관 공간(111)은 배송품(P, P')을 개별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로 분할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 장치(110)는 보관 구역 별로 배송품(P, P')의 보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보관 구역 별 사용 상태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배송품(P, P')에 부착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에 저장된 물품 정보를 읽어들이는 전자 태그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배송품(P, P')이 상품 배송자(D)에 의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거나, 전달자(T)에 의해 거점 보관장치(110)으로부터 출고될 때, 그 내역이 관리서버(19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은 냉장 보관 공간과 냉동 보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상품 보관 공간(111)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온 보관 공간(112)에 PCM 모듈과 같은 수동형 저온 유지 수단이 장착되어 있어서, 정전 시에도 일정시간 냉장/냉동 온도가 유지될 수 있고, 축냉기능을 통하여 전력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채소류의 냉해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 5℃로 보관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는 PCM 모듈이 사용될 수도 있다.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회수 대상인 회수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다. 회수품은 포장용기(B, B')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B1, B1') 및 용기 덮개(B2, B2')와, 보냉수단(C)을 포함한다.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회수품을 종류별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품 보관 공간(115)은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1 회수 공간(115a)과,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몸체(B1')들이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2 회수 공간(115b)와, 복수개의 상온용 용기 덮개(B2')들과 보냉수단(C)이 결합된 복수개의 저온용 용기 덮개(B2)들이 함께 적층되어서 보관될 수 있는 제3 회수 공간(115c)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점 보관장치(110)는 회수 공간(115a, 115b, 115c) 별로 회수품의 보관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예를 들어서, 회수품 보관량은 회수품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적층된 회수품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회수품 보관량은 실시간으로 보관서버(19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품 수령장치(120)들 각각은 배송거점(A)에 설치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수령장치(120)에는 상품(G)이 구매자(R)에 의해 수령되기 직전까지 보관된다.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 배송품(P)을 출고하고,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상품 수령장치(12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상품의 최종 수령장소인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품 수령장치(120)에 상품(G)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수령장치(120)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는 장치 설치부(121)와, 장치 설치부(1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품 보관부(122)를 포함한다.
장치 설치부(121)는 세대별 출입문(K)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의해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장치 설치부(121)에 상품 보관부(122)는 경우에 따라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상품 보관부(122)는 장치 설치부(121)에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쪽을 오갈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품 보관부(122)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하는 보관 몸체(123)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124)와, 보관 몸체(123)에서 출입문(K)을 사이에 두고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
보관 몸체(123)는 내부에 상품(G)이 수용되는 상품 수용 공간(125)을 제공한다. 상품 수용 공간(125)는 세대 외부에서 출입문(K)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세대 내부에서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보관 몸체(123)는 장치 설치부(121)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세대 외부 쪽 또는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한다.
외측 도어(124)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외부인 출입문(K) 바깥쪽에 위치한다. 외측 도어(124)를 통해 전달자(도 2의 T)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에 입고할 수 있다.
내측 도어(미도시)는 보관 몸체(123)에서 세대 내부인 출입문(K) 안쪽에 위치한다.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구매자(도 2의 R)는 상품(G)을 상품 수용 공간(125)으로부터 출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하여 외측 도어(124)와 내측 도(미도시)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보관 몸체(123)의 상부 또는 측면에 하나의 도어 만이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달자(도 2의 T)가 상품(G)을 입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외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세대 내부에서 구매자가 상품을 출고할 때는 보관 몸체(123)가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K)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 공간(125)의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9)를 더 포함한다.
상품 수령장치(120)는 상품 보관부(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127)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캐스터(127)가 세대 외측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세대 내측에 설치되거나, 세대 외측과 내측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수령장치(120)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세대의 출입문(K)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세대의 출입문(K)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한 복수의 세대들 하나의 상품 수령장치(12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 서버(140)는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E)에 의해 운영되며, 상품 판매를 위한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고,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판매 서버(140)는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매자(R)는 구매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서버(140)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을 구매하고 주문하게 된다. 상품 판매 서버(140)는 판매 상품(G)에 대한 판매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9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상품 판매 서버(140)가 생성하는 판매 정보는 판매 물품 정보(물품명, 중량, 크기, 보관 온도 등), 배송 정보(배송 주소, 수령 방식 등) 및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포함한다. 배송 정보에서 수령 방식은 직접 수령 방식과, 간접 수령 방식을 포함한다. 직접 수령 방식은 구매자(R)가 배송품(P)을 거점 보관장치(110)에 출고하거나, 상품 배송자(D)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한 상품(G)을 구매자(R)가 출고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간접 수령 방식은 전달자(T)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한 상품(G)을 구매자(R)가 출고하는 경우이다. 구매자(R)가 배송품(P)을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 출고하여 수령하는 경우는, 구매자(R)가 상품(G)을 상품 보관장치(120)로부터 출고하여 수령하는 경우에 비해 보냉수단의 사용량이 줄어들며, 이는 배송비 산출에 영향을 준다. 구매자(R)는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 절차를 수행한다. 구매 절차 과정에서 직접 수령 방식과 간접 수령 방식 중 하나의 수령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절차 과정에서 직접 수령 방식에서도 거점 보관장치(110)로부터의 직접 수령과 상품 수령장치(120)로부터의 직접 수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R)는 구매 절차 구매 과정에서 포장용기(B)의 종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품 판매자(E)는 상품 판매 서버(140)를 통해 배송되는 상품(G)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품 판매자(E)가 공급하는 상품(G)은 상품 운송자(H)에 의해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운송된다.
구매자 단말기(130)는 상품(G)을 구매하고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구매자(R)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매자 단말기(130)는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판매 서버(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및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매자(R)는 구매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자(E)가 운영하는 상품 판매 서버(140)에 접속하여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하는 상품(G)을 구매하며, 구매자 단말기(130)를 통해 구매한 상품(G)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는 상품 판매자(E)가 준비한 배송품(P)을 운반하여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거나, 배송품(P)에서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 보관장치(120)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D)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는 상품 판매 서버(14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품 배송자(D)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관리서버(190) 또는 상품 판매 서버(140)로부터 배송 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서버(190)로부터 거점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전달자 단말기(160)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배송품(P)을 출고하여 상품(G)을 구매자(R)가 사용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상품(G)과 분리된 사용후 포장용기(B)를 보냉 수단(C)과 함께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자 단말기(160)는 구매자 단말기(13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달자(T)는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배송품(P)의 거점 보관장치(110) 입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자(T)는 공동주택에서 고용한 인력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서버(190)의 운영자가 고용한 인력일 수도 있다. 전달자 단말기(16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상품(G)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용품인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관리하는 포장용품 관리자(M)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 및 상품 판매 서버(14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를 통해 관리서버(190)로부터 포장용기(B)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상품 판매 서버(140) 또는 관리서버(190)로부터 상품(G)의 판매 정보를 제공받는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에 대한 정보를 종류, 용량 및 사용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포장용기(B)는 소재에 따라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가 아닌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로 구분된다.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는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용품 관리자(M)는 포장용기(B)의 재사용을 위하여 회수된 포장용기(B)를 세척하며, 보냉수단(C)의 재활용을 위하여 보냉수단(C)의 냉매 물질을 냉각시키거나 재포장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된 사용후 포장용품인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출고하여 포장용품 관리자(M)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S)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는 거점 보관장치(110) 및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장용기 회수자(M)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를 통해 관리서버(190)가 제공하는 포장용품 회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는 포장용기 관리자(M)가 제공하는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상품 판매자(E)에게 배송하는 포장용기 운송자(F)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9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포장용기 운송자 단말기(185)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및 상품 판매 서버(140)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포장용품 운송자(F)는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를 통해 포장용기(B)와 보냉 수단(C)의 운송에 필요한 포장용품 배송 정보를 관리서버(190)로부터 제공받는다.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관리서버(190)는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판매 서버(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를 이용한 상품(G)의 배송 및 사용후 포장용품(B, C)의 회수와 공급을 포함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한다. 관리서버(19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된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90)는 제어부(191)와,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와,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와,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와, 상품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와,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통신부(198)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91)는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 상품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98)를 통해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판매 서버(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91)는 메모리에 저장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91)의 기능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물류관리 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는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대한 정보는 거점 보관장치(110)의 식별번호, 설치위치(주소), 복수개의 배송품 보관 구역들 각각에 대한 실시간 사용 상태 및 회수품 보관 공간에 보관된 실시간 회수품 보관량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 저장되는 상품 수령장치(120)에 대한 정보는 상품 수령장치(120)의 식별번호, 설치위치(주소) 및 사용 상태 등을 포함한다.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9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는 구매자(R)가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품(G)을 구매하면서 생성된 판매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91)는 상품 배송에 필요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는 포장용기(B) 및 보냉수단(C)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 저장되는 포장용기(B)의 정보는 포장용기의 용도, 크기, 소재, 실시간 위치 및 사용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9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상품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상품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는 상품 판매자(E)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및 상품 판매자(E)가 필요로 하는 포장용기(B) 및 보냉수단(C)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품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5)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는 포장용품 관리자(M)의 기본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등이 저장된다.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6)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는 구매자(R)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상품 배송자(D)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전달자(T)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포장용품 회수자(S)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및 포장용품 운송자(F)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부(191)는 구매자(R), 상품 운송자(H), 상품 배송자(D) 및 전달자(T)에게 배송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되고, 포장용품 회수자(S) 및 포장용품 운송자(F)에게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회수 및 공급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통신부(198)는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되어서 거점 보관장치(110), 상품 수령장치(120), 구매자 단말기(130), 상품 판매 서버(140),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 전달자 단말기(160),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170),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 및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185)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도 7과 도 8에는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가 확인되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와,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와, 배송비 산출 단계(S105)를 통해 산출된 배송비를 구매자(R)에게 안내하는 배송비 안내 단계(S110)와, 상품(G)에 대한 판매 확정정보가 확인되는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와, 배송품(P)의 준비 완료가 확인되는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와,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 중에서 배송품(P)이 보관될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되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와,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배송자(D)에게 배송품(P)의 배송이 지시되는 배송 지시 단계(S135)와, 배송품(D)이 보관장치 선정 단계(S20)를 통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와, 배송품(P)의 수령방식이 확인되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와,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직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구매자(R)에게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0)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직접 수령이 확인되는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와,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간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을 지시하는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와,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되는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간접 수령이 확인되는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와,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수령이 확인된 후 구매자(R)에게 사용후 포장용품에 대한 거점 보관장치(110)로의 입고를 안내하는 포장용품 입고 안내 단계(S175)와, 사용후 포장용품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는지가 확인되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와,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구매자(R)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이 업데이트되는 반납 성향 업데이트 단계(S185) 및 재활용 포인트 적립 단계(S188)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품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와,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포장용품 회수자에게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에 대한 회수가 지시되는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를 포함한다.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에서는 구매자(R)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가 확인된다. 판매 사전정보는 판매 상품 정보(상품명, 중량, 크기, 보관 온도 등), 배송 정보(배송 주소, 수령 방식 등),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 및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포함한다.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는 구매자(R)가 상품 판매 서버(140)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판매 정보를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40)로부터 전송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배송품(P)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은 선택된 수령 방식, 거점 보관장치(110)와 상품 수령장치(120)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제어부(19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판매 사전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90)의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다.
배송비 산출 단계(S105)에서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상품(G)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가 산출된다. 배송비는 판매 사전정보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한다. 배송비 산출 단계(S105)는 제어부(191)가 판매 사전정보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 구매자(R)의 포장용품의 반납 성향을 고려하여 배송비를 산출함으로써 수행된다. 포장용품의 반납 실적이 우수한 구매자(R)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송비가 산출되고, 포장용품의 반납 실적이 저조한 구매자(R)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배송비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는 구매자(R)에 의해 선택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 사전정보에 포함되어서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송비는 포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배송비 안내 단계(S110)에서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를 통해 산출된 배송비가 구매자(R)에게 안내된다. 배송비 안내 단계(S110)는 배송비 산출 단계(S105)에서 산출된 배송비 정보를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40)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구매자(R)는 상품 판매 서버(140)가 제공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배송비 안내 단계(S110)를 통해 안내된 배송비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상품의 구매를 확정하게 된다.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에서는 상품(G)에 대한 판매 확정정보가 확인된다. 판매 확정정보는 판매 사전정보 확인 단계(S100)에서 확인된 판매 사전정보와 배송비 안내 단계(S110)를 통해 확정된 포장 정보를 포함하며, 상품 판매 서버(140)에 의해 생성된다.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00)는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40)가 생성한 판매 확정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90)의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193)에 저장된다.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에서는 배송품(P)의 준비 완료가 확인된다. 상품 판매자(E)는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포장 정보에 따라 상품(G)을 포장하여 배송품(P)을 준비한다. 포장 완료 확인 단계(S125)는 제어부(191)가 상품 판매 서버(140)로부터 전송된 배송품(P)의 준비 완료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는 판매 확정정보 확인 단계(S115)를 통해 확인된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거점 보관장치(110) 중에서 배송품(P)이 보관될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이용 정보(식별정보 또는 위치(주소))는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에 의해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에서는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선택과 함께,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보관 구역)도 함께 선정되며, 선정된 보관 위치도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 전달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에서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가 선정된 후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배송자(D)에게 배송품(P)의 배송이 지시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는 보관장치 선정 단계(S130)를 통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 및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가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상품 배송자(D)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를 통해 상품 배송자(D)는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배송품(P)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배송 지시 단계(S135)를 통해 안내되는 배송품(P)의 보관 정보는 구매자 단말기(130) 및 전달자 단말기(160)로도 전송된다.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에서는 배송품(P)이 선정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의 보관 위치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배송품(P)의 입고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의해 확인되며, 확인된 입고 정보는 관리서버(190)에 저장된다. 배송품 입고 확인 단계(S140)는 배송품(P)이 입고된 특정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상품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에서는 판매 확정정보에 포함된 수령방식 정보 또는 판매 확정정보의 생성 이후 구매자(R)에 의해 변경된 수령방식 정보에 따라 구매자(R)가 선택한 수령 방식(직접 수령 또는 간접 수령)이 제어부(191)에 의해 확인된다.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0)에서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직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구매자 단말기(130)로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제어부(191)에 의해 전송된다.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에서는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직접 수령이 확인된다.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는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구매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수령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에서는 수령방식 확인 단계(S145)를 통해 수령방식이 간접 수령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T)에게 상품(G)을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할 것이 지시된다. 상품 전달 지시 단계(S160)는 관리서버(190)의 제어부(191)가 전달자 단말기(160)로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전달 지시 메시지를 확인한 전달자(T)는 거점 보관장치(110)에서 해당 배송품(P)을 출고하여 구매자(R)에 대응하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운반하고 포장용품(B, C)으로부터 상품(G)을 분리하여 상품(G)은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하고 남은 사용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한다.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상품 입고 확인 단계(S165)는 상품 수령장치(120)가 상품(G)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상품(G)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에서는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간접 수령이 확인된다.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는 상품 수령장치(120) 또는 구매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수령 확인 메시지를 제어부(19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포장용품 입고 안내 단계(S175)에서는 직접 수령 확인 단계(S155) 및 간접 수령 확인 단계(S170)를 통해 구매자(R)에 의한 상품(G)의 수령이 확인된 후 구매자(R)에게 사용후 포장용품에 대한 거점 보관장치(110)로의 입고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제어부(191)에 의해 전송된다.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에서는 상품(G)이 상품 수령장치(120)에 입고된 후 남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이 거점 보관장치(110)에 입고되었음이 확인된다.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는 거점 보관장치(110)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입고를 확인하고 이 신호를 관리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거나, 전달자 단말기(160)를 통해 전달자(T)가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입고 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납 성향 업데이트 단계(S185)에서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해당 구매자(R)의 포장용품 반납 성향이 제어부(191)에 의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업데이트된다.
재활용 포인트 적입 단계(S188)에서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를 통해 확인된 포장용품의 입고 여부에 따라 해당 구매자(R)의 재활용 포인트가 제어부(191)에 의해 적립되어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97)에 저장된다.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는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품(B, C)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는 거점 보관장치(110) 또는 관리서버(190)가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수량이 회수 기준 수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의 수량이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가 수행되고, 회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포장용품 입고 확인 단계(S180)가 계속 수행된다.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에서는 회수 기준 확인 단계(S190)에서 회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에 대한 회수가 포장용품 회수자(S)에게 지시된다. 포장용품 회수 지시 단계(S195)는 관리서버(190)가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로 회수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포장용품 회수자(S)가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181)를 통해 회수 지시 메시지를 확인하면, 거점 보관장치(110)에 보관된 사용 후 포장용기(B)와 보냉수단(C)을 출고하여 포장용기 관리자(M)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상품은 백신, 의약품, 반도체 소자 등 저온 운송이 요구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물품의 운송을 위한 물류관리에 활용되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10 : 거점 보관장치
120 : 상품 수령장치
130 : 구매자 단말기
140 : 상품 판매 서버
150 : 상품 배송자 단말기
160 : 전달자 단말기
170 :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181 :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185 : 포장용품 운송자 단말기
190 : 관리서버
191 : 제어부
192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93 : 판매 정보 데이터베이스
194 : 포장용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195 : 상품 공급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6 : 포장용품 관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7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98 : 통신부

Claims (10)

  1. 포장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품으로 상품을 포장하여 배송하고 상기 포장용품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장용품과 상기 포장용품으로 포장된 상품을 구비하는 배송품이 보관되는 상품 보관 공간과, 상기 배송품에서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이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보관되는 회수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배송거점에 설치되는 거점 보관장치;
    상기 상품의 최종 수령 장소에 설치되어서 상기 상품이 보관되는 상품 수령장치;
    상기 배송품을 운반하여 상기 거점 보관장치 또는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배송자가 사용하는 상품 배송자 단말기;
    상기 배송품을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출고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까지 운반한 후 상기 상품을 상기 포장용품과 분리하여 상기 상품 수령장치에 입고하고 상기 상품과 분리된 상기 포장용품을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으로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 입고하는 상품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판매하고 상기 배송품을 준비하는 상품 판매자에게 공급되는 상기 포장용품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포장용품 관리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자가 운영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 절차를 수행하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을 출고하여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포장용품 회수자가 사용하는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및
    상기 거점 보관장치, 상기 배송자 단말기, 상기 상품 수령장치, 상기 전달자 단말기, 상기 포장용품 회수자 단말기, 상기 상품 판매 서버 및 상기 포장용품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상기 상품과 상기 포장용품의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 사전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며, 상기 배송비를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배송비가 확정된 후 결정된 판매 확정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장용품의 반납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비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구매자의 상기 포장용품 반납 실적에 따라 설정된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포함하며,
    상기 판매 확정정보는 상기 판매 사전정보와 상기 확정된 배송비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상품의 중량, 크기 및 보관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송 정보는 배송 주소 정보와,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기 상품의 수령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수령 방식은 상기 구매자가 상기 거점 보관장치에서 상기 상품을 출고하여 수령하는 방식과, 상기 간접 수령 방식은 상기 구매자가 상품 수령장치에서 상기 상품을 출고하여 수령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인,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매 사전정보는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배송품의 외부 환경 노출 추정 시간을 더 포함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소재가 아닌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로 구분되며,
    상기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은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의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선택이 상기 판매 사전정보에 포함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의 상기 거점 보관장치로의 입고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자의 상기 사용후 포장용품에 대한 반납 실적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와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여 상기 포장용품의 사용 비용을 결정에 반영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이 우수한 경우 상기 일반 소재의 포장용기를 포장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송비를 결정하고, 상기 구매자의 반납 실적이 저조한 경우 상기 생분해성 소재의 포장용기를 포장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송비를 결정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품은 보냉수단을 더 구비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령장치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되는,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KR1020210057801A 2020-05-06 2021-05-04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KR102413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23 2020-05-06
KR20200053823 2020-05-06
KR20200062227 2020-05-25
KR1020200062227 2020-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35A true KR20210135935A (ko) 2021-11-16
KR102413557B1 KR102413557B1 (ko) 2022-06-27

Family

ID=7871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801A KR102413557B1 (ko) 2020-05-06 2021-05-04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40B1 (ko) * 2021-11-25 2022-06-16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랩핑된 용기, 그 랩핑된 용기 제조 장치, 재활용 시스템 및 재활용 방법
KR20240012800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로드맵 인공지능 기반의 콜드체인 배송차량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684A (ja) * 2004-10-25 2006-06-15 Ricoh Co Ltd 循環型包装容器の輸送管理方法
KR101981688B1 (ko)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684A (ja) * 2004-10-25 2006-06-15 Ricoh Co Ltd 循環型包装容器の輸送管理方法
KR101981688B1 (ko)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40B1 (ko) * 2021-11-25 2022-06-16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랩핑된 용기, 그 랩핑된 용기 제조 장치, 재활용 시스템 및 재활용 방법
KR20240012800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로드맵 인공지능 기반의 콜드체인 배송차량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557B1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672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KR102413558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KR101095705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광대역 전자 물류 시스템 및그 방법
US7848964B2 (en) Method for shopping in a store
KR102413557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US9378479B2 (en) Last mile logistics
JP5185533B2 (ja) ネスト化され近接したコンテナのアイテムレベル可視化技術
US20050061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delivery
KR101876721B1 (ko) 온도관리물류(콜드체인) 솔루션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90017764A1 (en) System for shopping in a store
CN101014517A (zh) 物品输入/输出管理系统
ES2689951T3 (es) Estación estacionaria o móvil para proporcionar bienes de consumo, en particular alimentos frescos y congelados
CA2671693A1 (en) A system for shopping in a store
Paul et al. Study of smart invento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JP2020080197A (ja) 情報提示方法及びサーバ
KR20210101889A (ko) 빅데이터를 통한 배송제품 온도조건 고려 최적 서비스 방법 및 패키징 장치
KR102317088B1 (ko) 아이스팩 재활용 시스템
JP5213689B2 (ja) 弁当類の製造販売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220033461A (ko) 로봇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KR20210067856A (ko)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KR102278723B1 (ko) 이동형 상품 보관장치를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JP2003118842A (ja) 物流システム
JP2005212913A (ja) 農産物用通いコンテナ流通管理システムと通いコンテナ流通管理サーバ
GB2565883A (en) Smart container and multi-layer supply chain automation thereof
AU2019200581A1 (en) Last mile log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