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856A -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856A
KR20210067856A KR1020200085268A KR20200085268A KR20210067856A KR 20210067856 A KR20210067856 A KR 20210067856A KR 1020200085268 A KR1020200085268 A KR 1020200085268A KR 20200085268 A KR20200085268 A KR 20200085268A KR 20210067856 A KR20210067856 A KR 2021006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article
goods
delivered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최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filed Critical 최동호
Priority to KR102020008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856A/ko
Publication of KR2021006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6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7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 물품이 수령자가 수령하기 전에 저온 보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와,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 및 상기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활용하는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는 상기 저온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배송자가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 상기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되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중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될 물품 거치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정되어서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보관 위치 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 위치 선정 단계에서는 상기 배송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 거치대가 선정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DELIVERY BASE USING DELIVERY GOODS LOW TEMPERATURE KEEPING DEVICE}
물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소 건물 및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어서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장치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물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드체인(Cold Chain)은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을 산지에서 수확한 다음 최종 소비지까지 저장 및 운송되는 과정에서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배송 물품은 일반적으로 냉장 차량에 의해 배송되어서 저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배송 마지막 단계에서 물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될 경우 물품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된다. 때문에, 물품이 수령인에게 바로 전달되지 못할 경우에도 물품이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특수 용기와 냉매를 이용한 냉장 포장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수 용기와 냉매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 포장은 비용 및 환경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특허로서 공개특허 제10-1995874호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택배 보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의 택배 보관 장치는 다수의 보관함, 택배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포함된 수령인 정보를 읽는 리더기 및 보관함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콜드체인 시스템에서 신선식품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95874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2019.07.04.)
본 발명의 목적은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물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에게 물품을 직접 전달하는데 야기되는 직접 배달의 소요 시간을 줄이고, 나아가 아파트 등의 생활물류의 배송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도한 포장재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여 공급자는 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는 쓰레기 발생을 절감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 물품이 수령자가 수령하기 전에 저온 보관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와,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 및 상기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활용하는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는 상기 저온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배송자가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한 상기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접수되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중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될 물품 거치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정되어서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보관 위치 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 위치 선정 단계에서는 상기 배송 정보 및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 거치대가 선정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 물품이 수령자가 수령하기 전에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와,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 및 상기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는 상기 저온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중 상기 배송 물품이 거치될 물품 거치대를 선정하여 상기 배송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이 제공되므로, 신선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대상 배송 물품이 배송 시작부터 수령자에 의해 수령될 때까지 저온 상태가 효율적으로 유지되므로써, 배송 물품의 냉장 포장을 위한 특수 용기와 냉매의 사용이 감소되므로 환경쓰레기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콜드체인 배송 시장이 가지고 있는 배송인력의 효율성 확대, 인력의 고용 창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블록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에서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에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배송 거점들(A1, A2, A3) 각각에 설치되어서 배송 물품이 저온으로 보관되는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과,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배송 서버(150)와,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각각 및 배송 서버(15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160)와, 배송 서버(150) 및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배송 물품을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수령자가 사용하는 수령자 단말기(170)와, 배송 서버(150) 및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180)와,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배송 물품을 최종 수령자에게 전달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전달자 단말기(190)를 포함한다.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100)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자(D)는 냉동 탑차(T) 등의 운반 수단을 이용하여 신선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배송 물품(G)을 배송 물품(G)의 수령자가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인 배송 거점(A1)으로 운송하고, 배송 거점(A1)에 설치된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하며, 수령자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배송 물품(G)을 직접 수령하거나 전달자(F)를 통해 간접 수령하게 된다.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각각은 배송 거점(A1, A2, A3)에 설치되어서 배송자(D)에 의해 배송된 신선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배송 물품(G)을 보관한다.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 마을 회관과 같은 마을의 공공건물 또는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 공간(140a)을 제공한다. 물품 보관 공간(140a)은 배송 물품(G)을 저온 보관하기 위한 저온 보관 공간(141)과, 배송 용기 회수를 위하여 배송 용기(B)가 보관되는 용기 보관 공간(142)으로 분리된다. 저온 보관 공간(141)은 복수개의 보관 구역들(141a, 141b, 141c, 141d)로 분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보관 구역들(141a, 141b, 141c, 141d)은 폭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보관 공간(141)이 제1 보관 구역(141a), 제2 보관 구역(141b), 제3 보관 구역(141c) 및 제4 보관 구역(141d)의 4개 보관 구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보관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각 보관 구역들(141a, 141b, 141c, 141d)은 배송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관 구역(141a)이 새벽 배송(00시~06시), 제2 보관 구역(141b)이 오전 배송(06시~12시), 제3 보관 구역(141c)이 오후 배송(12시~18시), 제4 보관 구역(141d)이 저녁 배송(18시~24시)으로 구분되어서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구체적인 시간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보관 구역들(141a, 141b, 141c, 141d) 각각에는 물품이 놓이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이 보관 구역(141a, 141b, 141c, 141d) 별로 위아래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 각각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 각각에 대한 사용이 관리 서버(도 1의 160)에 의해 예약될 수 있다.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 각각에 대한 사용 시간은 수령자와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100)의 사업자 사이의 계약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물품이 계약된 사용 시간 내에 반출되지 않을 경우, 수령자에게 연체료가 부과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 각각에 대해 물품이 놓인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보관 대상 물품(G)에 부착된 RFID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에 저장된 물품 정보를 읽어들이는 전자 태그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관리 서버(도 1의 16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배송 물품(G)이 배송자(D)에 의해 물품 보관 장치(140)에 입고되거나, 물품 수령자 또는 물품 전달자(F)에 의해 물품 보관 장치(140)으로부터 출고될 때, 그 내역이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16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는 신선식품과 같은 저온 보관 배송 물품의 냉장/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부를 더 구비한다.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대해 배송자가 지불하는 사용 요금은 관리 서버(160)의 운영자,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설치자 및 전달자(F)에게 계약에 따라 분배되도록 관리 서버(160)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는 저온 보온 공간(141)에 PCM 모듈이 장착되어 있어서, 정전 시에도 일정시간 냉장/냉동 온도가 유지될 수 있고, 축냉기능을 통하여 전력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배송 서버(150)는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업체에 의해 배송 물품의 배송을 위해 운영되는 서버이다. 배송 서버(150)는 배송 물품의 배송을 위한 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160) 및 배송자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배송 정보는 배송 요청자가 제공하는 배송 물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배송 물품 데이터는 배송 물품을 구매하는 수령자로부터 제공받거나 배송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배송 서버(150)가 생성하는 배송 정보는 수령자의 주소, 배송 물품의 배송 예정 일시, 배송 물품의 수량, 배송 물품의 크기,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및 배송 물품의 보관 온도 대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160)는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배송 서버(150), 수령자 단말기(170), 배송자 단말기(180) 및 전달자 단말기(190) 각각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서,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를 이용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한다. 도 4에는 관리 서버(16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60)는 제어부(161)와,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도 3의 140) 각각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6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와,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도 1의 14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6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와,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부(168)를 구비한다.
제어부(161)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62)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64)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68)를 통해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 배송 서버(150), 수령자 단말기(170), 배송자 단말기(180) 및 전달자 단말기(19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61)는 메모리에 저장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1)의 기능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61)는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들 각각에 대한 정보, 배송 서버(150)로부터 전달받은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6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대한 사용을 관리하는데, 이는 도 7에 도시된 물류 관리 방법을 통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6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61)에는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각각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64)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각각에 대한 정보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식별번호, 설치 위치(주소),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도 3의 143)들 각각에 대한 위치, 사용 상태 및 예약 현황 등을 포함한다.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6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6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63)에는 수령자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배송자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 및 전달자의 정보(이름,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부(161)는 수령자 배송자 및 전달자에게 배송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된다.
통신부(168)는 제어부(161)에 의해 제어되어서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배송 서버(150), 수령자 단말기(170), 배송자 단말기(180) 및 전달자 단말기(190)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수령자 단말기(170)는 배송 물품을 구매하여 최종적으로 수령하는 수령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수령자가 물품 배송 요청을 배송 서버(150)로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령자 단말기(170)는 관리 서버(16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수령자 단말기(17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관리 서버(16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령자는 수령자 단말기(170)를 통해 직접 수령 또는 간접 수령 여부를 확인하고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사용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
배송자 단말기(180)는 배송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입고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배송 서버(150) 및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배송자 단말기(18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배송 서버(150)로부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이용 정보를 제공 받는다.
전달자 단말기(190)는 수령자가 배송 물품의 간접 수령을 원하는 경우에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배송 물품을 출고하여 수령자에게 전달하는 전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 서버(16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자(F)에 의한 간접 수령이 기본이며, 선택적으로 수령자에 의한 직접 수령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전달자 단말기(19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전달자는 전달자 단말기(190)를 통해 배송 물품의 간접 수령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자는 공동주택에서 고용한 인력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관리 서버(160)의 운영자가 고용한 인력일 수도 있다.
전달자(F)에 의한 간접 수령의 경우 세대별로 비치되는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에 전달자(F)가 배송 물품(G)을 보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가 세대별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에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200)는 출입문(D)에 고정되는 용기 설치부(210)와, 용기 설치부(2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부(220)를 포함한다.
용기 설치부(210)는 세대별 출입문(D)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용기 설치부(210)에 용기부(2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부(220)는 용기 설치부(210)에 의해 출입문(D)을 사이에 두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용기 설치부(210)에 용기부(220)는 경우에 따라 이동이 불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용기부(220)는 용기 설치부(210)에 출입문(D)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쪽을 오갈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부(220)는 내부에 배송 물품(G)이 수용되는 물품 수용 공간(235)을 제공하는 용기 몸체(230)와, 용기 몸체(230)에서 출입문(D)을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240)와, 용기 몸체(230)에서 출입문(D)을 사이에 두고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
용기 몸체(230)는 내부에 배송 물품(G)이 수용되는 물품 수용 공간(235)을 제공한다. 물품 수용 공간(235)는 세대 외부에서 출입문(D)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도어(240)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세대 내부에서 출입문(D)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용기 몸체(230)는 용기 설치부(210)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세대 외부 쪽 또는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한다.
외측 도어(240)는 용기 몸체(230)에서 세대 외부인 출입문(D) 바깥쪽에 위치한다. 외측 도어(240)를 통해 물품 전달자(도 2의 F)는 물품(G)을 물품 수용 공간(235)에 수납할 수 있다.
내측 도어(미도시)는 용기 몸체(230)에서 세대 내부인 출입문(D) 안쪽에 위치한다. 내측 도어(미도시)를 통해 물품 수령자는 물품(G)을 물품 수용 공간(235)으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의 수납 및 반출을 위하여 외측 도어(240)와 내측 도어(미도시)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용기 몸체(230)의 상부 또는 측면에 하나의 도어 만이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배송자가 물품을 수납할 때는 용기 몸체(230)가 세대 외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D)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세대 내부에서 수령자가 물품을 반출할 때는 용기 몸체(230)가 세대 내부 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출입문(D)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200)는 용기 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90)를 더 포함한다.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200)는 용기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27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캐스터(270)가 세대 외측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세대 내측에 설치되거나, 세대 외측과 내측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물품 수령용 저온 보관 용기(200)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 7에는 도 1에 도시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송 물품에 대한 배송 정보가 접수되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와,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중에서 배송 물품(G)이 보관될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가 선택되는 장치 선정 단계(S110)와, 장치 선장 단계(S110)에서 선택된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와 관련한 보관 정보가 안내되는 보관 정보 안내 단계(S115)와, 배송 물품(G)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 입고 요청이 접수되는 입고 요청 단계(S120)와, 배송 물품(G)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입고가 가능한지가 확인되는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S125)와, 배송 물품의 입고가 확인되는 물품 입고 확인 단계(S130)와, 물품 입고 확인 단계(S30)에서 배송 물품의 입고가 확인된 후 수령자 단말기(도 1의 170), 배송자 단말기(도 1의 도 180) 및 전달자 단말기(도 1의 190)로 배송 물품의 입고가 안내되는 물품 입고 안내 단계(S140)와, 물품 입고 안내 단계(S140)를 통해 배송 물품의 입고가 수령자 및 전달자에게 안내된 후 수령자 단말기(도 1의 170)를 통해 배송 물품의 직접 수령 여부가 확인되는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와,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에서 수령자에 의한 직접 수령이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 단말기(도 1의 190)로 직접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5)와, 배송 물품이 물품 보관 장치(140)에 입고된 상태에서 물품 보관 장치(140)의 사용 시간에 대한 연체가 확인되는 연체 확인 단계(S160)와, 물품 보관 장치(140)에 입고된 배송 물품의 출고가 확인되는 물품 출고 확인 단계(S170)와, 연체 확인 단계(S160)에서 연체가 확인된 경우에 배송 물품의 출고 후 연체 처리가 수행되는 연체 처리 단계(S185)와, 배송 물품의 출고 후 해당 물품 보관 장치(140)에 대한 상태가 업데이트되는 상태 업데이트 단계(S190)를 포함한다.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에서는 배송 서버(150)에서 생성된 물품 배송에 대한 배송 정보가 관리 서버(160)에 접수된다.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는 배송 서버(150)가 관리 서버(160)에 접속하여 배송정보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160)가 이를 접수함으로써 수행된다.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를 통해 접수되는 물품 배송에 대한 배송 정보는 수령자의 주소, 배송 물품의 배송 예정 일시, 배송 물품의 수량, 배송 물품의 크기, 배송 물품의 식별정보 및 배송 물품의 보관 온도 대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는 수령자 단말기(170) 및 전달자 단말기(190)로도 전송되어서 수령자 및 전달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장치 선정 단계(S110)에서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10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140) 중 배송 물품이 보관될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가 관리 서버(160)에 의해 선택된다. 장치 선정 단계(S110)에서 선정된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의 이용 정보(식별정보 또는 위치(주소))는 배송 서버(150)로 전송되고 배송자 단말기(180)로 전달된다. 장치 선정 단계(S110)에서는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의 선택과 함께, 물품 보관 장치(140)에서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가 선정될 수 있다. 보관 위치의 선정 방식으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에서 보관 위치 선정은 관리 서버(160)의 제어부(161)가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해당 물품 보관 장치(140)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를 통해 확인된 배송 시간 및 배송 물품의 수량을 고려하여 물품 보관 장치(140)에서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143) 중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물품 거치대(143)를 선정하고 이의 사용을 예약함으로써 수행된다. 예를 들어서, 배송 정보 접수 단계(S100)를 통해 접수된 배송 정보가 배송 시간 오전 10시, 배송 물품 수량 3개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리 서버(160)의 제어부(161)는 물품 보관 장치(140)에서 오전 배송에 대응하는 제2 보관 구역(141b)에서 오전 10시에 사용가능한 3개의 물품 거치대(143)를 선정하게 된다. 만일 제2 보관 구역(141b)에 사용가능한 물품 거치대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보관 구역들(141a, 141c, 141d)에서 사용 가능한 물품 거치대가 선정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식에서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구비된 전자 태그 리더기가 보관 대상 배송 물품을 인식하면 이른 관리 서버(160)의 제어부(161)가 확인하여 전자 태그 리더기에 의해 배송 물품이 인식된 시점에서 사용 가능한 물품 거치대를 선정하는 것이다.
보관 정보 안내 단계(S115)에서는 배송 물품의 보관 정보가 배송자에게 배송자 단말기(180)를 통해 안내된다. 보관 정보 안내 단계(S120)는 장치 선정 단계(S110)를 통해 선정된 물품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60)가 배송자 단말기(180)를 통해 배송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보관 정보 안내 단계(S120)를 통해 배송자는 물품 보관 장치(140)에서 배송 물품의 보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보관 정보 안내 단계(S120)를 통해 안내되는 배송 물품의 보관 정보는 수령자 단말기(170) 및 전달자 단말기(190)를 통해 수령자 및 전달자에게도 전송된다.
입고 요청 단계(S120)에서는 배송 물품(G)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로의 입고 요청이 접수된다. 입고 요청 단계(S120)는 배송자가 배송 물품 보관 저온 보관 장치(140)의 사용을 요청하고 제어부(161)가 이를 접수함으로써 수행된다.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S125)에서는 배송 물품(G)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입고가 가능한지가 확인된다.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S125)는 제어부(161)가 사용가능한 물품 거치대(143)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S120)에서 사용 예약된 물품 거치대(143)에 다른 물품이 보관된 상태이거나 사용 가능한 물품 거치대(143)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입고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관 위치 선정 단계(S110)가 재수행되어서, 인근에서 대체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찾고 대체 물품 전온 보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예약하게 된다. 입고 요청 단계(S120)에서 입고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입고 확인 단계(S130)가 수행된다.
입고 확인 단계(S130)에서는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S125)에서 배송 물품의 입고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배송 물품의 입고 여부가 확인된다. 입고 확인 단계(S130)는 제어부(161)가 선정된 물품 거치대에 배송 물품이 거치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입고 안내 단계(S140)에서는 배송 물품이 선정된 물품 거치대에 거치되어서 입고되었음이 수령자 단말기, 배송자 단말기 및 전달자 단말기를 통해 안내된다. 전달자에 의한 간접 배송이 기본 배송 방식일 경우 전달자 단말기(190)로의 물품 입고 안내는 필수적이다. 물품 입고 안내 단계(S40)에서 안내되는 물품 입고 정보는 배송 물품이 거치된 물품 거치대의 식별코드, 수령자 정보, 사용 시간 및 사용 시간 만료에 따른 연체료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입고 안내 단계(S140)는 관리 서버(160)에 의해 수행되거나 배송자가 배송자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수령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에서는 입고 안내 단계(S140)를 통해 배송 물품의 입고가 수령자 및 전달자에게 안내된 후 수령자 단말기(도 1의 170)를 통해 배송 물품의 직접 수령 여부가 확인된다.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는 수령자가 수령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배송 물품의 직접 수령 및 간접 수령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부(161)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직접 수령은 수령자가 직접 보관함으로부터 배송 물품을 출고하여 수령하는 방식이며, 간접 수령은 수령자가 아닌 전달자가 보관함으로부터 배송 물품을 출고한 후 수령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 수령을 기본으로 하며, 직접 수령을 수령자의 선택 사항인 것으로 한다.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에서 직접 수령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5)가 수행된다.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5)에서는 수령 방법 확인 단계(S150)에서 배송 물품의 수령 방법이 직접 수령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전달자 단말기(190)로 직접 수령 안내 메시지가 전송된다. 직접 수령 안내 단계(S155)는 제어부(161)가 전달자 단말기(190)로 직접 수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연체 확인 단계(S160)에서는 배송 물품이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입고된 상태에서 계약에 의해 사전 설정된 사용 시간 만료가 확인된다. 연체 확인 단계(S160)에서 사용 시간 만료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수령자 단말기(170)로 예약 시간 만료가 안내되며, 이와 함께 시간 만료에 따른 연체료 발생이 안내될 수 있다.
출고 확인 단계(S170)에서는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대한 배송 물품의 출고가 확인된다. 출고 확인 단계(S170)는 제어부(161)가 배송 물품이 보관된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로부터 배송 물품이 출고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배송 물품의 출고는 물품 거치대에 설치되는 센서 또는 출고자가 출고 후 수령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제어부(161)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연체 처리 단계(S185)에서는 연체 확인 단계(S160)에서 연체가 확인된 경우에 배송 물품의 출고 후 연체 처리가 제어부(161)에 의해 수행된다. 연체 처리는 연체된 시간에 따른 연체료가 계산되고 계산된 연체료가 수령자 또는 전달자에게 통지됨으로써 수행된다.
상태 업데이트 단계(S190)에서는 배송 물품의 출고 후 해당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에 대한 상태가 업데이트된다. 상태 업데이트 단계(S190)는 제어부(161)가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140)의 변화된 상태 데이터를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물류 시스템 140 :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
150 : 배송 서버 160 : 관리 서버
161 : 제어부 162 : 보관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170 : 수령자 단말기 180 : 배송자 단말기
190 : 전달자 단말기

Claims (3)

  1. 배송자에 의해 배송되는 배송 물품이 수령자에 의해 수령되기 전에 저온 보관되고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이 설치되는 저온 보관 공간을 제공하고 공동주택들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과, 상기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 및 배송업체가 운영하는 배송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 각각에 대한 정보인 보관 장치 정보가 저장된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 장치 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물품 거치대들 각각에 대한 사용 상태 및 예약 현황을 포함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배송 서버로부터 배송 물품의 배송 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전달받는 배송 정보 접수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배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들 중에서 상기 배송 물품이 보관될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선택한 후에,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에서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들 각각에 대한 사용 상태 및 예약 현황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 시간에 상기 배송 물품의 거치가 가능한 특정 물품 거치대를 선정하여 예약하는 장치 선정 단계;
    상기 배송자가 상기 배송 물품을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에 입고하기 위해 상기 배송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배송 물품의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로의 입고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가 접수하는 입고 요청 단계; 및
    상기 입고 요청에 대하여 상기 배송 물품의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로의 입고 가능 여부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확인되는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입고 가능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특정 물품 거치대에 다른 물품이 거치되어서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에 사용 가능한 물품 거치대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장치 선정 단계가 재수행되어서 상기 특정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대체하는 대체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가 선정되고, 상기 대체 배송 물품 저온 보관에서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들 각각에 대한 사용 상태 및 예약 현황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 물품의 거치가 가능한 특정 물품 거치대가 선정되어서 예약되는,
    배송 거점 기반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송 물품이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로부터 상기 수령자가 직접 출고하는 직접 수령 방법과 상기 전달자가 출고하여 상기 수령자에게 전달하는 간접 수령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수령 방법이 상기 수령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되는 수령 방법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송 물품이 상기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에 입고된 상태에서 계약된 사용 시간 만료 여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확인되는 연체 확인 단계와, 상기 연체 확인 단계에서 상기 사용 시간 만료가 확인되는 경우에, 연체 시간에 따른 연체료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계산되는 연체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송 거점 기반 물류 관리 방법.
KR1020200085268A 2019-11-29 2020-07-10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KR20210067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68A KR20210067856A (ko) 2019-11-29 2020-07-10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06 2019-11-29
KR1020200085268A KR20210067856A (ko) 2019-11-29 2020-07-10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06 Division 2019-11-29 2019-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56A true KR20210067856A (ko) 2021-06-08

Family

ID=7639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68A KR20210067856A (ko) 2019-11-29 2020-07-10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95A (ko) * 2021-06-24 2023-01-02 쿠팡 주식회사 대체 가능성 로직을 사용하는 인공 지능(ai)-기반 인바운드 계획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4B1 (ko) 2018-07-19 2019-07-04 정화찬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4B1 (ko) 2018-07-19 2019-07-04 정화찬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95A (ko) * 2021-06-24 2023-01-02 쿠팡 주식회사 대체 가능성 로직을 사용하는 인공 지능(ai)-기반 인바운드 계획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930B2 (ja) 生鮮品のフルフィルメントのための可搬型環境制御式ユニット
KR102368672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KR102413558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US1048808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led portable container
US7757947B2 (en) R.F.I.D. enabled storage bin and method for tracking inventory
US20050061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delivery
US10949801B1 (en) Inventory item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20210241224A1 (en) Unmanned delivery system by unmanned delivery vehicle
CN110189067A (zh) 输送冷却器管理系统
US20080228316A1 (en) Tote-Based Warehousing System and Method
US20050211775A1 (en) Smart tray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inventory management
US20090303018A1 (en) Electronic label provided with means for reading and displaying rfid chip content
US10643173B2 (en) Smart delivery bins
KR102413557B1 (ko) 콜드체인 포장용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통한 자원순환 및 고객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배송거점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
KR101727509B1 (ko) 보관함 사이즈 코드를 이용한 물류/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3248A (ko) 조회 및 물품 주문 기능을 갖는 냉장고 보관 재료 관리용 디바이스 및 물품 주문 방법과 서비스
KR20210067856A (ko) 배송 물품 저온 보관 장치를 이용한 배송 거점 기반 물류 시스템
JP2020080197A (ja) 情報提示方法及びサーバ
KR102317088B1 (ko) 아이스팩 재활용 시스템
JP7345238B2 (ja) ガスボンベ関連商品の販売機および倉庫、販売システムおよび倉庫の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ガスボンベ関連商品の販売機の管理方法および倉庫の管理方法
KR20190059836A (ko)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20220033461A (ko) 로봇을 이용한 배송거점 기반 물류관리 시스템
JP2010146407A (ja) 弁当類の製造販売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H08108911A (ja) 商品の入庫/出庫管理方法
US20230085105A1 (en) Intelligent actively cooled to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