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277A - 재장전 가능한 지혈 클립을 위한 논-쉐딩 결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장전 가능한 지혈 클립을 위한 논-쉐딩 결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277A
KR20210135277A KR1020217031577A KR20217031577A KR20210135277A KR 20210135277 A KR20210135277 A KR 20210135277A KR 1020217031577 A KR1020217031577 A KR 1020217031577A KR 20217031577 A KR20217031577 A KR 20217031577A KR 20210135277 A KR20210135277 A KR 2021013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clip
arm
capsu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라우사
콜린 머레이
조셉 더블유. 킹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는 클립 아암과 커플러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각각의 클립 아암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연장한다.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캡슐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캡슐의 근위 단부는 벽을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커플러는 캡슐의 개구와 맞물리도록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개 아암을 통해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된다. 커플러는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지 아암을 포함한다.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커플러에 가해질 때, 전개 아암은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전개 아암을 캡슐과의 맞물림으로부터 편향시켜 커플러가 캡슐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재장전 가능한 지혈 클립을 위한 논-쉐딩 결합 방법 및 시스템
우선권 주장
본 개시는 2019년 7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77,87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분야
본 개시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장관을 따라 조직(tissue)을 처치(treating)하기 위한 내시경 클리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장 내시경(GI) 수술 동안, 환자는 GI 벽의 천공 위험이 있거나 수술의 일부로 GI 벽의 폐쇄가 필요할 수 있다. 지혈 클립(clip)은 관강 천공의 폐쇄와 함께, 예를 들어 점막/점막하 결함, 출혈성 궤양, 동맥, 폴립, 및 게실의 지혈에 사용될 수 있다. 결함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클립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클리핑 시스템(clipp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에는 한 쌍의 클립 아암(clip arm)을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각각의 클립 아암은 근위 단부(proximal end)에서 원위 단부(distal end)로 연장한다.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캡슐(capsule)의 채널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캡슐의 근위 단부는 벽을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되고 한 쌍의 전개 아암 및 한 쌍의 유지 아암(retention arm)을 포함하고, 전개 아암은 캡슐의 개구 내에 수용되는 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커플러(coupler)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스템은 세장형 가요성 부재(elongated flexible member) 및 이를 통해 연장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포함한다. 제어 부재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도록 클립 아암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연장된 가요성 부재의 원위 단부는 원위 단부의 주변 둘레로 연장되어 유지 아암의 해당 유지 특징부와 맞물리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한다. 전개 아암 및 돌기는 클립의 전개 동안 커플러에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적용될 때, 전개 아암이 돌기를 따라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전개 아암이 부싱(bushing)으로부터 멀어져 편향되어 상기 부싱으로부터 맞물림 특징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커플러가 캡슐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의 유지 특징부는 상기 커플러에 부싱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가 상기 유지 특징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부싱이 상기 유지 아암들 사이에 원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유지 아암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 아암은 상기 맞물림 특징부 근위의 만곡된 부분(curve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부분 사이의 커플러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을 따라 상기 커플러의 직경보다 작도록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커플러에 대한 상기 캡슐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일부분과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부싱이 상기 커플러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 2 돌기와 상기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유지 돌기부의 원위에 위치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돌기의 깊이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applied)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돌기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돌기를 지나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는 한 쌍의 전개 아암 및 한 쌍의 유지 아암이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주위로 연장하는 원위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들은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고 상기 전개 아암들은 서로 정반대로 대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부재는 미리 결정된 임계력을 받을 때,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어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근위 부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요크(yoke)를 통해 상기 클립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클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한 쌍의 클립 아암을 포함하는 클립으로서, 각각의 클립 아암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캡슐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고,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는 벽을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캡슐의 한 쌍의 개구와 결합하도록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전개 아암을 통해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유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 아암은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전개 아암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상기 캡슐과 맞물림으로부터 상기 전개 아암이 편향되어 상기 커플러가 상기 캡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은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해 상기 유지 아암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개 아암은 상기 맞물림 특징부의 근위에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부분은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들 사이의 상기 커플러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을 따라 상기 커플러의 직경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커플러에 대한 상기 캡슐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일부분과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이 그 사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유지 특징부의 원위 측에 위치 설정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제 2 돌기의 깊이는, 미리 결정진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을 지나 근위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본 개시는 클립 조직을 클리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부싱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돌기가 상기 커플러의 한 쌍의 유지 아암과 맞물리도록 상기 클립의 캡슐의 근위 단부 위로 장착되는 커플러의 근위 단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의 원위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의 부싱에 클립의 캡슐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캡슐의 벽을 통해 연장하는 대응하는 개구 내에 수용된 한 쌍의 전개 아암의 맞물림 특징부를 통해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되고, 상기 클립은 한 쌍의 클립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캡슐의 채널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단계,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제어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신체 내의 표적 영역에 상기 클립을 삽입하는 단계, 및 표적 조직이 상기 클립 아암들 사이에서 클립될 때까지 클립 아암의 원위 단부가 서로 분리되는 개방 구성과 상기 클립 아암의 원위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당겨지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클립이 이동하는 단계로서,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에 대해 상기 제어 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개방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상기 유지 아암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부싱이 상기 유지 아암들 사이로 원위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부싱의 돌기가 유지 특징부와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개 아암이 상기 커플러가 상기 캡슐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캡슐의 개구로부터 맞물림 특징부와 맞물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부싱으로부터 편향하도록 상기 커플러의 전개 아암이 상기 부싱의 돌기를 따라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미리-결정된 압축력을 상기 커플러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상기 클립을 전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 각각은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미리-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캡슐의 일부분과 맞물려서 상기 커플러에 대해 상기 캡슐의 근위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아암 각각은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부싱의 돌기가 상기 제 2 돌기와 상기 유지 특징부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미리-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돌기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돌기를 지나 근위 방향으로 강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일 부분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일 부분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커플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커플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클립을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할 때의 도 1의 시스템의 부싱 및 커플러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클립의 전개 동안의 도 1의 시스템의 부싱 및 커플러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클립이 전개될 때의 도 1의 부싱 시스템 및 커플러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칭된다. 본 개시는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시경 수술 전에 클립이 어플리케이터의 원위 단부에 장전(load)될 수 있는 재장전 가능한 내시경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클립이 신체의 원하는 표적 영역에 전개되면, 애플리케이터에 새 클립을 재장전할 수 있다. 쉐드 부품(shed part; 예: 클립을 전개할 때 신체에 남겨진 부품)은 일반적으로 신체에서 자연스럽게 통과하지만 쉐드 부품은 폐쇄 후 더 큰 결함에 갇힐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원하는 대로 조직을 클립하기 위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캡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클립 아암을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캡슐의 근위 단부는 어플리케이터와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커플러를 통해 어플리케이터의 원위 단부에 있는 부싱에 장전되는 동시에 클립의 전개시 쉐드 부분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한다. 클립을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하기 전에 커플러가 캡슐에 결합된다. 그러나 클립을 전개하면 커플러가 캡슐에서 분리되어 어플리케이터와 함께 본체에서 제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각각 장치의 사용자를 향한 방향 및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장전 가능한 클리핑 시스템(100)은 내부에 표적 조직을 클립하기 위해 시스템(100)을 신체 내로 삽입하기 전에 커플러(106)를 통해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되도록 구성된 클립(102)을 포함한다. 클립(102)은 클립 아암(108)의 원위 단부(112)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방 구성과 조직을 파지하기 위해서 원위 단부(112)가 서로를 향해 당겨지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 아암(108)이 이동할 수 있도록 근위 단부가 캡슐(11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클립 아암(108)을 포함한다. 커플러(106)는 클립(102)이 사용 중에 개방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안, 클립(102)과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104)의 부싱(118) 사이의 커플링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아암(114)을 포함한다. 커플러(106)는 또한 어플리케이터(104)로부터 클립(102)의 전개를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전개 아암(116)을 포함한다. 특히,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립(102)을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하기 전에, 커플러(102)는 클립(102)의 캡슐(110)에 결합되어 유지 아암(114)을 통해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 클립(102)의 장전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클립(102)이 신체 조직의 표적 부분 위로 전개되는 동안, 클립(102)은 전개 아암(116)이 시스템(100)의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어플리케이터(104)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커플러(106)가 어플리케이터(104)와 함께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캡슐(110)로부터 커플러(106)를 분리한다. 커플러(106)는 캡슐(110)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부싱(118)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동일한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새로운 클립(102)을 장전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부싱(118)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클립(102)의 전개는 어떠한 쉐드 부분도 신체 내에 남겨두지 않는다. 어플리케이터(104)는 클립(102)의 전개 후에, 새로운 클립(102)이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될 수 있어, 동일한 어플리케이터(104)가 새로운 클립(102)을 신체 내의 표적 조직의 제 2 부분에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클립(102)은 카트리지(120)에 저장되며, 이는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 클립 조립체(102)의 장전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2)은 한 쌍의 클립 아암(108)을 포함하고, 그 근위 단부는 이 실시예에서 캡슐(11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요크(12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립 아암(108)은 편향된다. 캡슐(110)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때 클립 아암(108)이 클립 아암의 자연적인 편향 하에서 클립 아암(106)의 원위 단부(112)가 그들 사이의 조직을 수용하도록 서로로부터 벌려지는 개방 구성으로 이동하여 클립 아암(106)의 원위 단부(112)가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도록 상기 클립 아암(108)이 개방 구성을 향하여 편향된다. 클립 아암(108)이 캡슐(110) 내로 당겨질 때, 캡슐(110)은 클립 아암(108)을 구속하여 조직이 그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도록 원위 단부(112)를 함께 유지한다. 요크(122)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캡슐(110)에 대해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클립 아암(108)을 이동시키기 위해 캡슐(110) 내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각각의 클립 아암(108)은 요크(122)에 연결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112)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치형부, 돌기, 스파이크, 또는 원위 단부(112) 사이의 조직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를 포함하는 팁을 갖는 다른 클립 아암(108)을 향하여 내측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팁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아암(10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클립 아암(108)에 의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이 파지된 후 조직 파지 구성의 클립 아암(108)을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 특징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립 아암(108)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클립 아암(108)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캡슐(110) 내로 당겨질 때 캡슐(110)의 일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이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잠금 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잠금 탭은 조직 파지 구성에서 캡슐(110)에 대해 클립 아암(108)을 잠그기 위해 캡슐(110)의 벽 내로 또는 벽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응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 설정된 잠금 창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요크(122)는 클립 아암(108)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어플리케이터(104)의 제어 부재(124)의 확대된 원위 단부(12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실시예의 요크(122)는 근위 부분(128) 및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을 받을 때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원위 부분(도시안됨)을 포함한다. 근위 부분(128) 및 원위 부분은 예를 들어 용접, 감소된 직경 부분, 또는 미리 결정된 힘이 그 위에 적용될 때 파손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리되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원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클립 아암(108)의 근위 부분을 따라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돌기를 통해 클립 아암(108)의 근위 부분과 맞물릴 수 있으므로 클립 아암(108)이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근위 부분(128)은 제어 부재(124)의 확대된 원위 단부(12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부분(128)은 확대된 원위 단부(126)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으로 결정된 공동(130) 및 공동(130)으로부터 요크(122)의 근위 단부(134)로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슬롯(132)을 포함한다. 종방향 슬롯(132)은 확대된 원위 단부(126)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부재(124)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34)에서 종방향 슬롯(132)의 개구는 클립(102)을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 장전하는 동안 확장된 원위 단부(126)를 원위측으로 종방향 슬롯(132)을 통해 공동(130) 내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위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각진 표면(136)을 포함한다. 공동(130) 및 종방향 슬롯(132)은 일단 확대된 원위 단부(126)가 슬롯(132)을 통해 공동(130) 내로 강제되면, 슬롯(132)이 확대된 원위 단부(126)가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수축된다. 따라서, 캡슐(110)에 대한 제어 부재(124)의 종방향 이동은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클립 아암(108)을 이동시킨다.
캡슐(110)은 근위 단부(138)로부터 원위 단부(140)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142)을 포함한다. 채널(142)은 내부에 요크(122) 및 클립 아암(108)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캡슐(110)은 또한 클립 아암(108)의 대응하는 잠금 특징부(예를 들어, 잠금 탭)와 결합하기 위한 잠금 구조(예를 들어, 잠금 리세스 또는 창)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캡슐(110)은 또한 근위 단부(138)를 따라 이의 벽을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개구(144)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플러(106)의 전개 아암(116)의 맞물림 특징부(146)를 수용하도록 크기, 형상 및 구성이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106)는 클립(102)을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하기 전에 클립(102)의 캡슐(110)의 근위 단부(138)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러(106)는 캡슐(110)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 원위 ㅂ되부분(148), 한 쌍의 유지 아암(114)과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전개 아암(11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러(106)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스탬핑 및 롤링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148)은 실질적으로 링 형상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는 유지 아암(114), 및 서로 실질적으로 정반대로 대향하는 전개 아암(116)을 구비하여, 유지 아암 및 전개 아암(116)이 커플러(106)의 주변을 중심으로 교번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아암(114) 및 전개 아암(116)은 서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아암(114)은 원위 부분을 따라 내부 표면(154)(즉, 작동 구성에서 부싱(118)을 향해 대면하는 유지 아암(114)의 표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150) 및 제 1 돌기(150)의 근위에서 내부 표면(154)으로부터 측방향으로(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152)를 포함한다. 제 1 돌기(150)가 캡슐(110)의 일부와 맞물릴 때까지 캡슐(110)의 근위 단부(138) 위에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 1 돌기(150)의 크기, 형상, 및 구성이 결정되어, 커플러(106)가 제 1 돌기에 대해 더 이상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돌기(152)의 근위에서, 유지 아암(114)은 클립(102)의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 장전 동안 내부 표면(154)으로부터 측방향으로(예를 들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싱의 일 부분과 맞물리는 돌기로서 구성된 유지 특징부(156)를 포함한다. 유지 특징부(156)는 클립(102)의 장전 동안, 유지 특징부를 지나 부싱(118)의 일 부분의 원위 삽입(또는 부싱(118)의 일 부분에 대한 커플러(106)의 근위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지 특징부(156)는 근위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각진 표면(1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기(152)는 유지 특징부(156)가 부싱(118)의 대응하는 부분과 맞물릴 때, 부싱(118)의 원위 단부(172)가 제 2 돌기(15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부싱(118)이 클립(102)의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의 장전 동안 및 클립(102)의 개방 및 폐쇄 동안 상기 커플러(106)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제 2 돌기(152)의 깊이(즉, 제 2 돌기가 내부 표면(154)로부터 연장하는 거리)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립(102)의 전개 동안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커플러(106)에 적용될 때 제 2 돌기(152)가 부싱(118)의 원위 단부(172)를 지나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선택된다(즉, 제 2 돌기(152)가 전개력을 지시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됨). 추가적으로, 제 2 돌기(152)는 커플러(106)가 캡슐(110)로부터 분리된 후에 커플러(106)가 부싱(118)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특징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아암(114)은 제 1 돌기(150), 제 2 돌기(152), 제 2 돌기(152), 및 유지 특징부(156) 각각 중 하나 초과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전개 아암(116)은 그 원위 단부를 따라 맞물림 특징부(146)를 포함한다. 맞물림 특징부(146)는 전개 아암(116)의 내부 표면(160)(즉, 작동 구성에서, 부싱(118)을 향하는 전개 아암(116)의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한다. 맞물림 특징부(146)는 클립(102)의 장전 전에 커플러(106)가 클립(102)과 조립될 때, 맞물림 특징부(146)가 캡슐(110)의 개구(144)의 대응하는 개구 내로 스냅 결합되어 제 1 돌기(150)가 캡슐(110)과 맞물려서 캡슐(110)에 대해 커플러(106)의 추가 원위 이동을 방지할 때까지 캡슐(110)의 근위 단부(138) 위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맞물림 특징부(146)는 캡슐(110)과 커플러(106)의 조립 동안 캡슐(110) 위로 커플러(106)의 원위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위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각진 표면(162)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커플러(106)가 클립(102)과 조립되면 맞물림 특징부(146)의 각진 표면(162)이 캡슐(110)에 대한 커플러(106)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는 반면 제 1 돌기(150)는 캡슐(110)에 대한 커플러(106)의 원위 이동을 방지한다.
각각의 전개 아암(116)은 또한 맞물림 특징부(146)의 근위에 만곡된 부분(164)을 포함한다. 만곡된 부분(164)은 한 쌍의 전개 아암(116)의 만곡된 부분(164) 사이의 거리가 전개 아암(116)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직경보다 더 작도록 커플러(106)의 종방향 축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된다. 예를 들어, 만곡부(164) 사이의 직경은 커플러(106)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만곡된 부분(164)이 부싱(118)의 부분 위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개 아암(116)은 맞물림 특징부(146)가 캡슐(110)의 개구(144)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편향된다.
전개 아암(116)이 만곡된 부분(16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전개 아암(116)이 전개 아암(116)의 외측 편향 또는 변형을 유발하도록 부싱(118)과 맞물리기 위한 다른 구조 또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전개 아암(116)을 편향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전개 아암(116)의 길이 및/또는 폭 또는 만곡된 부분(164)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맞물림 특징부(146)의 깊이(즉, 맞물림 특징부(146)가 내부 표면(160)로부터 연장하는 거리)가 또한 커플러(106)의 캡슐(110) 상으로의 유지의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4)는 예를 들어 표적 조직의 클리핑 동안 신체 외부에 남아 있는 핸들 부분(168)에 연결된 근위 단부로부터,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터(104)를 클립(102)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싱(118)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까지 연장하는 카테터와 같은 가요성 부재(166)를 포함한다. 제어 부재(124)는 클립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핸들 부분(168)에 연결된 근위 단부로부터 가요성 부재(166)를 통해 연장하며, 상기 제어 부재는 클립(102)이 어플리케이터(104) 상으로 장전될 때 클립(102)의 확대된 원위 단부(126)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싱(118)은 가요성 부재(166)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고 클립(102)과 사전 조립된 커플러(106)를 통해 클립(10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부싱(118)은 근위 단부(170)로부터 원위 단부(172)로 연장하고 부싱(118)이 커플러(106)를 통해 클립(102)에 결합될 때 부싱(118)의 채널(174)이 캡슐(110)의 채널(142)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17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싱(118)의 원위 단부(172)는 부싱(118)의 주변 주위로 연장하는 돌기(176)를 포함하고, 돌기(176)는 원위 단부(172)를 따라 외부 표면(178)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돌기(176)의 원위 단부(180)는 유지 특징부(156)를 지나 원위측으로 돌기(17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링된다. 돌기(176)의 근위 단부(182)는 유지 특징부(15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클립(102)이 돌기(176)를 유지 특징부(156)를 지나 원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되고, 돌기(176)는 제 2 돌기(152)와 유지 특징부(156) 사이에 수용되고, 클립(102)을 사용하는 동안, 예를 들어, 클립 아암(108)의 개폐 동안, 그 사이에 돌기(176)를 유지한다.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되기 전에, 본 실시예의 클립(102)은 어플리케이터(104) 상의 클립 조립체(102)의 장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120)에 저장된다. 카트리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84) 및 덮개(도시안됨)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로 구성되며, 그 안에 클립(10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공간(186)이 정의된다. 도 8에는 카트리지(120)의 베이스(184)만 도시되어 있지만, 대응하는 뚜껑이 베이스(184)에 결합되어 클립(102)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립(102)은 개방 구성의 카트리지(120) 내에 저장되고, 커플러(106)가 캡슐(110)과 미리 조립되어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간(186)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슬롯(188)이 있으며,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터(104)의 원위 부분이 삽입되어 클립 조립체(102)에 결합된다.
클립(102)을 어플리케이터(104)에 장전하는 동안, 부싱(118)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104)의 원위 부분은 조립된 클립(102) 및 커플러(106)를 수용하는 카트리지(120)의 종방향 슬롯(188)을 통해 삽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플러(106)는 전개 아암(116)의 맞물림 특징부(146)가 캡슐(110)의 대응하는 개구(144) 내에 수용되고 제 1 돌기(150)가 캡슐(110)의 일 부분과 맞물리도록 캡슐(110)의 근위 단부(138) 위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싱(118)의 원위 단부(172)는 커플러(106)의 유지 아암(114) 사이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76)가 이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돌기(152)와 유지 특징부(156) 사이에 수용된다. 일단 부싱(118)이 커플러(106)를 통해 클립(102)에 결합되면, 제어 부재(124)는 부싱(118)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요크(122)를 경유하여 클립 아암(108)에 결합된다. 특히, 제어 부재(124)의 확장된 원위 단부(126)는 슬롯(132)을 통해 요크(122)의 공동(1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24)는 부싱(118)을 커플러(106)에 결합하기 전에 요크(122)에 결합되어 제어 부재(124)를 요크(122)에 결합할 때 캡슐(110)이 제어 부재(124)의 근위 운동을 통해 부싱(11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커플러(106)가 부싱(118)의 원위 단부(172) 위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돌기(176)와 맞물린다. 일단 제어 부재(124)와 부싱(118) 모두가 클립(102)에 결합되면,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클립(102)의 장전이 완료되고, 클립(102)은 종방향 슬롯(188)을 통해 카트리지 외부로 근위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사용시, 클립(102)이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장전된 후, 폐쇄된 구성의 클립(102)은 예를 들어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표적 조직에 인접한 위치로 신체 내로 삽입된다. 클립(102)이 표적 조직에 도달하면, 클립(102)은 클립 아암(108)의 원위 단부(112) 사이에서 표적 조직을 수용하도록 개방 구성을 향해 이동된다. 목표 조직이, 원하는 대로, 클립 아암(108) 사이에 클립 결합될 때까지, 클립(102)은 개방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을 클리핑하는 폐쇄 구성에 있으면, 제어 부재(124)는 (예를 들어, 핸들 부분(168)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클립 아암(108)의 잠금 특징부가 캡슐(110)의 대응하는 잠금 구조와 맞물릴 때까지 캡슐(11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립 아암(108)을 캡슐(110)에 대해 폐쇄 방향으로 잠금한다.
어플리케이터(104)로부터 클립(102)을 해방시키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아암(116)의 만곡 부분(164)이 돌기(176) 위로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하는 동안, 커플러(106)가 부싱(11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고 커플러(106) 상의 압축 하중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제 2 돌기(152)가 근위 방향으로 부싱(118)의 돌기(176)를 강제로 지나갈 때까지 제어 부재(124)가 근위 방향으로 더 당겨진다. 만곡된 부분(164)이 돌기(176) 위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개 아암(116)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어 전개 아암(116)의 맞물림 특징부(146)가 캡슐(110)의 개구(144)와 맞물림 해제되어 이동되고 제 2 돌기(152)가 돌기(176)의 근위 단부(182)를 지나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기(152)는 돌기의 근위 단부(182)와 맞물려서 커플러(106)가 캡슐(1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동안 부싱(118)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요크(122)가 파손되거나, 고장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리되어 제어 부재(124)로부터 클립(102)이 해제될 때까지 사용자는 계속해서 제어 부재(124)에 근위력을 가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에 결합된 커플러(106)를 구비한 어플리케이터(104)는 신체(102)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클립(102) 만을 표적 조직을 제 위치에 클리핑한다. 제어 부재(124), 커플러(106), 및 요크(122)의 근위 부분(128)을 포함하는 전체 어플리케이터(104)는 그 다음 표적 조직 위에 클립(102)이 클립된 채로 신체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원한다면, 새로운 클립(102)이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어플리케이터(104) 상에 로딩될 수 있어 시스템(100)이 조직의 제 2 부분을 클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필요하거나 원하는 만큼 동일한 어플리케이터(104)를 사용하여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조직(tissue)을 처치(treating)하기 위한 클리핑 시스템(clipping system)으로서,
    한 쌍의 클립 아암(clip arm)을 포함하는 클립(clip)으로서, 각각의 클립 아암은 근위 단부(proximal end)에서 원위 단부(distal end)로 연장되고,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캡슐(capsule)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고,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는 그 벽을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하는, 클립;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되고 한 쌍의 전개 아암 및 한 쌍의 유지 아암을 포함하는 커플러(coupler)로서, 상기 전개 아암은 상기 캡슐의 개구 내에 수용되는 맞물림 특징부를 갖는, 커플러; 및
    세장형 가요성 부재(elongated flexible member) 및 이를 통해 연장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로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개방 구성과 상기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클립 아암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클립 아암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가요성 부재의 원위 단부는 상기 유지 아암의 대응하는 유지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그 원위 단부의 주변에 대해 연장하는 돌기(projection)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클립의 전개 동안 상기 커플러에 적용(applied)될 때, 상기 전개 아암이 돌기를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개 아암이 이로부터 맞물림 특징부를 맞물림 해제하도록 부싱(bushing)으로부터 멀어져 편향되어 상기 커플러가 상기 캡슐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전개 아암 및 상기 돌기가 구성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클리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의 유지 특징부는 상기 커플러에 상기 부싱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가 상기 유지 특징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부싱이 상기 유지 아암들 사이에 원위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유지 아암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클리핑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아암은 상기 맞물림 특징부 근위의 만곡된 부분(curve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부분 사이의 상기 커플러의 직경이 그 나머지 부분을 따라 상기 커플러의 직경보다 작도록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는, 클리핑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 아암(retention arm)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커플러에 대한 상기 캡슐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클리핑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부싱이 상기 커플러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 2 돌기와 상기 맞물림 특징부 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유지 특징부의 원위에 위치 설정되는, 클리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의 깊이는, 상기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돌기의 근위 단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돌기를 지나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선택되는, 클리핑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한 쌍의 전개 아암 및 한 쌍의 유지 아암이 이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주위로 연장하는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클리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들은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고 상기 전개 아암들은 서로 정반대로 대향하는, 클리핑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미리 결정된 임계력을 받을 때,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그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어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그 근위 부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요크(yoke)를 통해 상기 클립 아암에 연결될 수 있는, 클리핑 시스템.
  10.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클립 장치로서,
    한 쌍의 클립 아암을 포함하는 클립으로서, 각각의 클립 아암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클립 아암의 근위 단부는 캡슐의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이동되고,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는 그 벽을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하는, 클립; 및
    상기 캡슐의 한 쌍의 개구와 결합하도록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전개 아암을 통해 상기 캡슐의 근위 단부 위에 장착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유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 아암은, 미리 결정된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전개 아암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근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상기 캡슐과 맞물림으로부터 상기 전개 아암이 편향되어 상기 커플러가 상기 캡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클립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해 상기 유지 아암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유지 특징부를 포함하는, 클립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아암은 상기 맞물림 특징부의 근위에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된 부분은 상기 커플러의 종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들 사이의 상기 커플러의 직경이 그 나머지 부분을 따라 상기 커플러의 직경보다 작은, 클립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1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커플러에 대한 상기 캡슐의 근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일부분과 맞물리는, 클립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지 아암은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이 그 사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유지 특징부의 원위에 위치 설정되는, 클립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의 깊이는, 미리 결정진 압축력이 상기 커플러에 적용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대응하는 부분을 지나 근위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선택되는, 클립 장치.
KR1020217031577A 2019-07-24 2020-06-18 재장전 가능한 지혈 클립을 위한 논-쉐딩 결합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5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7879P 2019-07-24 2019-07-24
US62/877,879 2019-07-24
PCT/US2020/038542 WO2021015902A1 (en) 2019-07-24 2020-06-18 Non-shedding coupling method and system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277A true KR20210135277A (ko) 2021-11-12

Family

ID=7157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577A KR20210135277A (ko) 2019-07-24 2020-06-18 재장전 가능한 지혈 클립을 위한 논-쉐딩 결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90634B2 (ko)
EP (1) EP3927250A1 (ko)
JP (2) JP7297938B2 (ko)
KR (1) KR20210135277A (ko)
CN (1) CN114080192A (ko)
AU (1) AU2020316905B2 (ko)
CA (1) CA3139563A1 (ko)
WO (1) WO2021015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7438B (zh) * 2022-06-14 2024-03-22 江苏唯德康医疗科技有限公司 夹合装置及用于内窥镜的吻合夹
WO2024072629A1 (en) * 2022-09-27 2024-04-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ocking feature for hemostasis cli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8381A3 (en) 2003-09-30 2021-11-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ugh the scope tension member release clip
AU2005203521B2 (en) * 2004-09-28 2011-11-17 Ethicon Endo-Surgery Applier having automated release of surgical device
JP4758173B2 (ja) * 2004-12-24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US8162959B2 (en) * 2007-05-03 2012-04-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ingle stage hemostasis clipping device
CN103764058A (zh) * 2011-08-23 2014-04-30 蛇牌股份公司 电外科装置及其制造和使用方法
US20140088616A1 (en) * 2012-09-24 2014-03-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lease mechanism for hemostatic clip
CN104546055A (zh) * 2013-10-25 2015-04-29 常州乐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可重复闭合的消化道止血夹
CN115005921A (zh) * 2016-08-22 2022-09-06 波士顿科学有限公司 带套管接合的止血可再装载夹持装置
WO2018097972A1 (en) * 2016-11-22 2018-05-31 Boston Scientific Limited Hemostasis reloadable clip release mechanism
US11045194B2 (en) 2016-12-06 2021-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mpressive coupler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ping device
WO2019108387A1 (en) * 2017-11-28 2019-06-06 Boston Scientificscimed, Inc. Self-aligning pullwire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9563A1 (en) 2021-01-28
JP2022534250A (ja) 2022-07-28
EP3927250A1 (en) 2021-12-29
JP7297938B2 (ja) 2023-06-26
WO2021015902A1 (en) 2021-01-28
AU2020316905B2 (en) 2022-12-01
JP2023113940A (ja) 2023-08-16
US20210022744A1 (en) 2021-01-28
CN114080192A (zh) 2022-02-22
US11690634B2 (en) 2023-07-04
US20230301662A1 (en) 2023-09-28
AU2020316905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3680B2 (ja) 再装填可能な止血クリップ止め装置用圧縮カプラ
JP7364732B2 (ja) スリーブに係合部を備える再搭載可能な止血クリップ装置
CN111163710B (zh) 可重新加载且可旋转的夹子
US20210307755A1 (en) Hemostasis clip
US20230301662A1 (en) Non-shedding coupling method and system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
JP6810254B2 (ja) ユーザ作動式の再装填可能な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
EP3484379B1 (en) Partially oval capsule for reloadable hemostasis clipping device
EP3481308B1 (en) Multiple opening/closing of reloadable clip
US11896235B2 (en) Hemostasis clip deployment
JP2022509500A (ja) 再装填可能な止血クリップ装置のための伸縮性フープカプラー
EP3808286B1 (en) Reloadable applicator for hemostatic clips
US11395661B2 (en) Spring loaded mechanism for the deployment of a hemostatic clip
JP2023115253A (ja) フレア状カプセル変形を伴う再装填可能なクリップ
EP3905970B1 (en) Hemostasis clip sh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