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09A -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 Google Patents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09A
KR20210135009A KR1020200045900A KR20200045900A KR20210135009A KR 20210135009 A KR20210135009 A KR 20210135009A KR 1020200045900 A KR1020200045900 A KR 1020200045900A KR 20200045900 A KR20200045900 A KR 20200045900A KR 20210135009 A KR20210135009 A KR 2021013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information
child protection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기욱
강필식
최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04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009A/en
Publication of KR2021013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area to reduce a traffic accident rate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comprises: a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installed in a starting boundary area of a the child protection area to measure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vehicles and pedestrians when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enters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whether a pedestrian is present;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an area of a pedestrian crosswalk area within the child protection area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s crossing or waiting at a crosswalk and vehicles stopped and parked around the crosswalk; and a situation management unit determining that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vehicle passing speed measured by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speed to provide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that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detects the pedestrian crossing or about to cross the crosswalk even if the measured vehicle passing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o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Description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외의 다양한 상황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알리거나 단속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zone, and more particularly, information on various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order to prevent a traffic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advance or minimize post-damage. It is about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sanctuary that can recognize and notify or crack down on it.

최근 어린이 보호 구역(이른바,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교통 안전 사고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보행자를 강력하게 보호하는 입법 정책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교통 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고에 비하여 그 결과가 매우 심각하므로, 단순히 입법 정책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Recently, as traffic safety accidents occurring in child protection zones (so-called school zones) have increased, legislative policies that strongly protect pedestrians within child protection zones are emerging. However, when traffic safety accidents occur within child protection zones, the consequences are very serious compared to accidents involving adults, so simply legislative policy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즉,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는 차량의 속도 제한이나 주·정차 금지 등의 단속 중심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는 교통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re are limitations in preventing traffic safety accidents as a way to solve problems centered on enforcement, such as speed limiting or prohibition of parking and stopping,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이러한 단속 중심의 문제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되는 상황 정보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안전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교통 안전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보행자 보호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Deviating from this crackdown-centered problem-solving method, three-dimensionally grasp the situational information that occur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use the identified situational informa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raffic safety accidents in advance and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raffic safety accidents.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a new way to do so.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256041호(2013년 04월 12일)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256041 (April 12, 2013)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027640호(2011년 03월 31일)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027640 (March 31, 2011) 특허문헌 3 : 한국등록특허 제10-0916632호(2009년 09월 02일)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6632 (September 02, 2009)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되는 상황 정보를 입체적으로 수집하여 보행자등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알려줌으로써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교통 안전 사고의 발생율을 낮추고,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위법 행위를 실시간으로 단속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위법 고지를 함으로써,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교통 법규 위반율을 낮출 수 있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by the above necessity reduces the incidence of traffic safety accidents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by collecting situation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in three dimensions and notifying the pedestrian in various ways, and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that can reduce the traffic law violation rate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by cracking down on illegal acts that occur in real time, evaluating them objectively, and notifying the vio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 구역의 시작 경계 영역에 설치되서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 속도 측정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차량의 진입 여부 및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면 관련 정보를 차량 및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있는 보행자 횡단 보도 구역의 일 영역에 설치되서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대기하는 보행자 및 횡단 보도 주변에 주정차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차량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법 상황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에 의해서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건너려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 상황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황 관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installed in the starting boundary area of the child protection zone to measure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to vehicles and pedestrians when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depending on whether a vehicle enters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whether a pedestrian is present;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an area of a pedestrian crosswalk area within a child protection zon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edestrians crossing or waiting at the crosswalk and vehicles parked around the crosswalk; And when the vehicle passing speed measured by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provides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even if the measured vehicle passing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nd a situation management unit controlling to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by determining that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pedestrian crossing or about to cross the crosswalk is detected by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이 경우에,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모듈,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한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모듈,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한 차량에 대한 번호판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진입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부 또는 상기 상황 관리부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the speed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I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that captures an image of a license plate,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that transmits speed information and vehicle number information of a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child protection zon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or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이 경우에, 상기 정보 제공부는, 전면 정보 제공 모듈과 후면 정보 제공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전면 정보 제공 모듈을 통해서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and a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and provides the received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이 경우에, 상기 정보 제공부는, 해당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후면 정보 제공 모듈을 통해서 과속 진입 여부를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cribed spee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displays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overspeed through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이 경우에, 상기 전면 정보 제공 모듈은,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의 통과 속도를 표시하고, 상기 후면 정보 제공 모듈은, 속도 위반 여부 및 위반 여부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다.In this case,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displays the vehicle number and the pass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displays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whether the speed is violated or not.

한편, 상기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를 검지하는 차량 검지 모듈, 검지된 차량이 특정 시간 이상 횡단 보도 주변에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촬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상황 관리부로 전송하는 차량 단속 모듈 및 횡단 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 모듈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vehicle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vehicle by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the detected vehicle crosses over a specific time When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sidewalk, it includes a vehicle enforcement module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and a pedestrian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behavior of pedestrians located around the crosswalk.

한편, 상기 상황 관리부는, 횡단 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보행자 신호등 감지 모듈,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보행자 인식 모듈 및 횡단 보도에 대기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 알림 또는 비시각적 알림을 제공하는 보행자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a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 pedestrian recogni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a pedestrian passes the crosswalk, and a visual notification or rain to pedestrians waiting at the crosswalk It further includes a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that provides a visual notification.

이 경우에, 상기 상황 관리부는, 보행자 통행이 불가한 신호등 상태에서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위법 상황 알림을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을 통해서 전달한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transmits, through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to a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in a state of a traffic light in which pedestrian passage is impossible.

한편, 상기 상황 관리부는, 보행자 통행이 가능한 신호등 상태에서 횡단 보도에 진입하는 차량이 있는 경우에 보행자에게 위험 상황 알림을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을 통해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when there is a vehicle entering a crosswalk in a state of a traffic light in which pedestrians can pass, delivers a warning of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pedestrian through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한편,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은, 시각적 알림을 광학적 방식으로 출력하거나 비시각적 알림을 소리 또는 진동에 의해서 출력한다.Meanwhile,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outputs a visual notification in an optical manner or a non-visual notification by sound or vibr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되는 상황 정보를 입체적인 방식으로 수집하여 보행자등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알려줌으로써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교통 안전 사고의 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traffic safety accidents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by collecting situation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a three-dimensional way and informing pedestrians in various ways, and ,

또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위법 행위를 실시간으로 단속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위법 고지를 함으로써,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 교통 법규 위반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rate of violations of traffic law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by cracking down on illegal acts occurring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 real time, evaluating it objectively, and notifying the vio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속도 측정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관리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어린이 보호 구역에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된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어린이 보호 구역에 설치된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1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 situ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exemplarily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ld protection area with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stalled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below, various design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100)은 차량 속도 측정부(110), 정보 제공부(120),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 및 상황 관리부(140)를 포함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emplary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100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includes a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 and a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 do.

차량 속도 측정부(11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이 시작되는 경계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속도 측정부(110)는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 차량 속도 측정부(110) 레이다(Radar) 센서, 루프(loop) 센서, 영상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차량 속도 측정부(11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may be installed in the boundary area where the child protection zone starts.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spee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may measure the spee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using a radar sensor, a loop sensor, an image camera, and the like. 2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

본 발명의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진입 차량 속도 감지 시스템Vehicle speed detection system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는 차량 속도 측정부(1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 속도 측정부(110)는 속도 측정 모듈(111), 거리 측정 모듈(112), 이미지 획득 모듈(113) 및 정보 전송 모듈(114)을 포함한다. 속도 측정 모듈(111)은 레이더 센서, 루프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며,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 속도를 측정한다. 거리 측정 모듈(112)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속도 측정부(110)는 다가오는 차량에 대한 속도를 측정하는 전방 카메라 및 멀어지는 차량에 대한 속도를 측정하는 후방 카메라로 구성된 양 방향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2 shows more specific details of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 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110 includes a speed measurement module 111 , a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2 ,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13 ,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4 . The speed measuring module 111 includes a radar sensor, a loop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 camera, and measures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The distance measurement module 112 may measure distance information using a radar sensor. For example,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two-way camera including a front camera that measures the speed of an oncoming vehicle and a rear camera that measures the speed of a moving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는 속도 측정 모듈(111)과 거리 측정 모듈(112)을 하나의 통합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정한 거리 안에 차량이 진입할 경우에 이미지 획득 모듈(113)은 해당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한다. 이미지 획득 모듈(113)은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판 부분을 이미지 프로세싱한다. 정보 전송 모듈(114)은 이미지 획득 모듈(113)에서 얻어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에서 숫자, 문자 등을 인식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정보 전송 모듈(114)은 측정된 차량의 속도 정보 및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를 상황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상황 관리부(140)는 수신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 이에 대한 위법 정보 알림을 해당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황 관리부(140)는 수신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 원격의 서버부(2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의 서버부(200)는 복수의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설치된 보행자 교통 보호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서 해당 구역에서의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measuring module 111 and the distance measuring module 112 may be configured as one integrated module. When a vehicl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3 captures an image of the vehicle.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3 image-processes the license plate portion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4 may analyze the license plat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3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Since the technology for recognizing numbers, characters, etc. from an image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4 transmits the measured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o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 When the received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a prescribed spee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provide an illegal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Alternatively,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remote server unit 200 when the received vehicle speed exceeds a prescribed speed. Here, the remote server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edestrian traffic protection system 100 installed in a plurality of child protection areas through a network to monitor and actually control traffic conditions in the corresponding area.

본 발명의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운전자 및 보행자 정보 제공 시스템Driver and pedestri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1를 참고하면 정보 제공부(120)는 차량 속도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된 차량 속도를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각각 다른 종류의 정보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120)의 전면 정보 제공 모듈(121)은 차량 운전자에게 측정된 차량 속도 정보 및 위법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반면에, 정보 제공부(120)의 후면 정보 제공 모듈(122)은 인도 보행자 또는 횡단보도 보행자 등에게 측정된 차량 속도의 위법 여부에 따라 과속 차량 진입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provides the vehicle speed measured by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as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er and the pedestrian. Specifically,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provides the measured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is illegal to the vehicle driver. On the other hand,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provides speeding vehicle entr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 sidewalk pedestrian or a crosswalk pedestrian according to whether the measured vehicle speed is illegal.

즉, 본 발명의 정보 제공부(120)는 양 방향 다른 정보 제공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차량 운전자에게만 차량 속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탈피해서 차량 운전자 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도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차량 진입 속도 상태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과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인지력을 높여줌으로써, 교통 사고의 발생율을 낮춰주는 효과를 발휘한다.That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differ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both directions,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of providing vehicle speed information only to the vehicle driver, so that not only the vehicle driver but also the pedestrian can enter the vehicle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By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본 발명의 정보 제공부(120)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차량의 진입 여부 및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면 관련 정보를 차량 및 보행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정보 알림 조건은 차량의 진입 속도와 진입 거리 등을 고려하되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그 조건이 충족되거나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to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when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whether a vehicle enters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whether or not a pedestrian is present. Here,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considers the vehicle's entrance speed and the entrance distance, but the condition may or may not be satisfi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crossing the crosswalk.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below.

도 3에서는 정보 제공부(12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정보 제공부(120)는 전면 정보 제공 모듈(121)과 후면 정보 제공 모듈(12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제공부(120)의 전면부에는 전면 정보 제공 모듈(121)이 구성될 수 있고, 후면부에는 후면 정보 제공 모듈(122)이 구성될 수 있다. 3 shows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3A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may include a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and a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 Specifically,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may be configured on the front par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and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may be configured on the rear par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정보 제공부(120)는 전면 정보 제공 모듈(121)을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통과 속도 및 위반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20)는 후면 정보 제공 모듈(122)을 통해서 인도 보행자 및 횡단보도 보행자에게 과속 차량 진입 정보 등을 시각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the vehicle driver with the vehicle passing speed and whether there is a violation through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1 .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information on entering a speeding vehicle to a pedestrian on the sidewalk and a pedestrian at a crosswalk through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122 in a visual manner.

도 3(b)와 3(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부(120)는 스탠드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LCD,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전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부(120)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하나의 통합된 교통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20)는 스탠드형의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자신의 차량 속도 및 규정 속도 준수 여부를 알려주고, 후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보행자에게는 어린이 보호 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 여부, 차량의 속도, 현 위치까지의 도달 시간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As exemplarily shown in FIGS. 3 ( b ) and 3 ( c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 a stand shape, and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ic billboard including an LCD and an LED displa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integrated traffic informatio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displays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stand-type housing, respectively,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front display notifies his/her vehicle speed and whether he/she complies with the prescribed speed, and through the rear display, the pedestrian It can also provide visu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a vehicle is entering the child restraint area,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time it takes to reach the current location.

본 발명의 횡당 보도 상황 정보 획득 시스템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1를 참고하면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있는 보행자 횡단 보도 구역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는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대기하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는 횡단 보도 주변에 주정차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pedestrian crosswalk area within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a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or waiting. Alternatively,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vehicles parked and stopped around the crosswalk.

도 4에는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는 차량 검지 모듈(131), 차량 단속 모듈(132) 및 보행자 감지 모듈(133)을 포함한다. 4 exemplarily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 Referring to FIG. 4 ,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includes a vehicle detection module 131 , a vehicle enforcement module 132 , and a pedestrian detection module 133 .

차량 검지 모듈(131)은 차량 속도 측정부(110)로부터 수신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를 검지한다. The vehicle detection module 131 detects the corresponding vehicle by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

차량 단속 모듈(132)은 횡단 보도 부근에 진입한 검지된 차량이 특정 시간 이상 동안 횡단 보도 주변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차량 단속 모듈(132)은 일정 시간 이상 횡단 보도에 정차한 차량을 촬상하여 촬상된 이미지 정보를 상황 관리부(140)로 전송한다.The vehicle enforcement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vehicle entering the vicinity of the crosswalk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crosswalk for a specific time or more. The vehicle enforcement module 132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by photographing a vehicle stopped at a crosswalk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보행자 감지 모듈(133)은 횡단 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거동을 감지한다. 보행자 감지 모듈(133)은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또는 보행자의 안면 또는 동작 인식을 통해서 해당 보행자의 횡단 보도에서의 거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보행자 감지 모듈(133)은 보행자의 거동을 촬상한 이미지 정보를 상황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133 detects a movement of a pedestrian located around the crosswalk.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133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may detect the pedestrian's behavior in the crosswalk through recognition of the pedestrian's face or motion.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133 transmits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capturing the behavior of the pedestrian to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황 관리부(140)는 차량 속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차량의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서 위법 상황 알림을 제공한다. 또한, 상황 관리부(140)는 측정된 차량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 미만이더라도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에 의해서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건너려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서 위험 상황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 when the pass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110 exceeds a predetermined speed,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measured vehicle passing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detects a pedestrian crossing or about to cross the crosswalk by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Control to provide situational notifications.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관리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황 관리부(140)는 신호등 감지 모듈(141), 보행자 인식 모듈(142) 및 보행자 알림 모듈(143)을 포함한다. 신호등 감지 모듈(141)은 횡단 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 신호등 감지 모듈(141)은 신호등의 보행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보행 불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행자 인식 모듈(142)은 보행자가 횡단 보도에 진입하기 전 상태이지, 진입한 상태인지, 진입하고 통과 중인 상태인지, 횡단 보도를 건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행자 알림 모듈(143)은 횡단 보도에 위치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 알림 또는 비시각적 알림을 제공한다. 보행자 알림 모듈(143)은 스피커, 볼라드, 바닥 신호등, 로고 프로젝트 등 다양한 시각적, 비시각적 알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적색 신호등 상태)에 보행자가 건너려고 하면 스피커를 통해서 "무단 횡단시 위험합니다"라는 음성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볼라드에서 적색을 점멸하면서 위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바닥 신호등을 통해서 적색을 점멸하면서 위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로고 프로젝트를 통해서 바닥에 "무단 횡단 위험"을 표시하여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시각적 또는 비시각적(청각, 후각, 촉각 등) 방식으로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5 exemplarily illustrates a situ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includes a traffic light detection module 141 , a pedestrian recognition module 142 , and a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143 . The traffic light detection module 141 detects an operation state of a pedestrian traffic light installed on a crosswalk. The traffic light detection module 141 may detect whether the traffic light is in a walkable state or in a non-walkable state. The pedestrian recognition module 142 may detect whether the pedestrian is in a state before entering the crosswalk, in a state in which it enters, in a state in which the pedestrian enters and passes through, or in a state in which the pedestrian crosses the crosswalk.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143 provides a visual or non-visual notification to a pedestrian located in a crosswalk.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143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visual and non-visual notification devices, such as a speaker, a bollard, a floor traffic light, and a logo project. For example, if a pedestrian tries to cross in a state where walking is impossible (red traffic light state), a voice notification saying “It is dangerous to cross without permiss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it can generate a danger signal while flashing red on the bollard. Alternatively, a danger signal may be generated while flashing red through the floor traffic light. Alternatively, a logo project can convey a danger signal by marking the floor as “unauthorized crossing hazard”. In addition to these methods, a danger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pedestrian in a visual or non-visual (auditory, olfactory, tactile, etc.) manner.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보행자 교통 안전을 위해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보행자의 거동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보행자를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교통 안전 사고 또는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교통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afety accident that occurs when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a pedestrian by using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the behavior information of a pedestrian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for pedestrian traffic safety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Traffic safety accidents caused by ignorance can be avoided in advance.

또한, 운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는 교통 안전 사고 예방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situation that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raffic safety accident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eparate draw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어린이 보호 구역에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된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기 전 굴곡 교차로에 차량(300)이 위치할 경우에 우회전을 하기 전에 보행자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코너에 본 발명의 시스템 중 정보 제공부(120),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130) 및 상황 관리부(140)를 설치하면,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는 상황 정보를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어린이 보호 구역 진입 직전에 해당 차량이 진입하고 있음을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서 보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는 갑작스럽게 우회전하는 차량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무단으로 건널 경우에 우회전 차량이 정보 제공부(120) 또는 상황 관리부(140)의 보행자 알림 모듈(143)을 통해서 보행자의 무단 횡단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사각 지대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6 is a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ld protection area having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vehicle 300 is positioned at a curved intersection befor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pedestrians before making a right turn. As shown in FIG. 6 , whe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and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are install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ght corner,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a pedestrian crosses the crosswalk is provided.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edestrian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that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entering just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child protection zone, the pedestrian can predict the vehicle suddenly turning right. In addition, when the pedestrian crosses the crosswalk without permission, the right-turning vehicle may recognize the pedestrian's unauthorized cro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143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or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140, so the driver's driving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blind spots.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어린이 보호 구역에 설치된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3단계의 프로시저를 거치게 된다. 첫번째는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지 아니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상황에 대한 예비적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해당 차량에 대해서 위험 알림을 발생시켜서 속도를 감속시키게 하거나 위법 행동을 단속 후 사후적으로 반복적인 위법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계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이 규정 속도를 준수한 경우라도 교통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예방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예방하거나 큰 사고로 이어지는 거슬 방지할 수 있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stalled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goes through a three-step procedure. The first step is to detect vehicles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In the first stage, it is possible to make a preliminary judgment on a dangerous situation by detecting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measuring the detected vehicle spe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speed exceeds the prescribed spee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exceeds the prescribed speed,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anger notification to the vehicle to slow down the speed or to prevent repeated illegal actions after cracking down on illegal actions can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ccidents by tak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a situation in which a traffic safety accident may occur even when the vehicle complies with the prescribed spe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r leading to a major accident.

이를 위해서 두번째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제1 정보와 보해자에게 제공하는 제2 정보를 하나의 정보 제공부(120)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제공한다. 제1 단계에서 속도 위반한 차량이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면 어린이 보호 구역에 있는 보행자에게 속도 위반 차량이 진입하고 있음을 시각적 또는 비시각적 방식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속도를 표기해서 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하는 목적으로 표지판이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속도 위반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속도 위반 차량이 진입하고 있음을 보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지 않도록 유도하거나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선제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in the second case, the first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perpetrator are relatively provided by on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In step 1, when a speeding vehicle enters a child restraint area, it communicates in a visual or non-visual manner that a speeding vehicle is entering the pedestrian in the child restraint area. In general, a sign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inducing the driver of a vehicle to reduce the speed by indicating the speed, but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driver of the speed violation and informs the pedestrian that the speeding vehicle is entering, thereby allowing pedestrians to crosswalk. Inducing them not to cross the road or preemptive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세번째 단계는 횡단 보도에서 이루어지는 상황 정보를 토대로 사고가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을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1차 사고 발생 예방 뿐만 아니라 2차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횡단 보도에서 보행자의 거동을 감지하고, 보행자의 거동을 분석하여 현재 진입 중인 차량과 보행자의 거동으로 인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으면, 운전자에게는 이를 미리 알려주고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위험 알림을 하고, 보행자에게도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위험 알림을 제공해준다.In the third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primary accidents but also secondary accidents by notifying pedestrians and drivers of possible accidents based on situational information at the crosswalk. In the third step, pedestrian behavior is detected at the crosswalk, and the behavior of pedestrians is analyze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the behavior of vehicles and pedestrians currently entering, it informs the driver in advance and gives a danger notification so that they can drive safely. , as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even for pedestrians, it provides a hazard notif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는 속도 위반 사실을 통지하여 자발적으로 속도를 감속시키고, 보행자에게는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차량의 진입을 알려줌으로써 횡단 보도를 건너지 않거나 시간차를 두고 건너도록 알림을 함으로써, 교통 사고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driver of the speed violation to voluntarily decelerate the speed, and informs the pedestrian not to cross the crosswalk or to cross the crosswalk with a time difference by notifying the entry of a vehicle that may cause a traffic acciden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ikelihood of a traffic accid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component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110 : 차량 속도 측정부
120 : 정보 제공부
130 :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
140 : 상황 관리부
200 : 원격의 서버부
100: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zone
110: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120: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situation management department
200: remote server unit

Claims (10)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어린이 보호 구역의 시작 경계 영역에 설치되서 어린이 보호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량 속도 측정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차량의 진입 여부 및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면 관련 정보를 차량 및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있는 보행자 횡단 보도 구역의 일 영역에 설치되서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대기하는 보행자 및 횡단 보도 주변에 주정차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차량의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서 위법 상황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 통과 속도가 기 결정된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에 의해서 횡단 보도를 건너거나 건너려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알림 조건이 충족되서 위험 상황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In the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 vehicle speed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starting boundary area of the child protection area to measure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to vehicles and pedestrians when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depending on whether a vehicle enters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whether a pedestrian is present;
a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nstalled in an area of a pedestrian crosswalk area within a child protection zon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edestrians crossing or waiting at the crosswalk and vehicles parked around the crosswalk; and
When the pass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met to provide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and even if the measured vehicle passing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crosswalk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area comprising a; a situation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to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when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en a pedestrian crossing or about to cross the crosswalk is detected by the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모듈,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모듈, 어린이 보호 구역 내로 진입한 차량에 대한 번호판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진입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부 또는 상기 상황 관리부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a speed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speed of a vehicle entering into the child protection area, a distance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distance with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a license plate image for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area Pedestrian traffic safety in a child protection zone,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module for capturing images,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speed information and vehicle number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or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전면 정보 제공 모듈과 후면 정보 제공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상기 전면 정보 제공 모듈을 통해서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composed of a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and a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and the received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vehicle driver through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My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해당 차량의 속도가 규정 속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후면 정보 제공 모듈을 통해서 인도를 걷는 보행자 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차량의 과속 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edestrians in a child protection zon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prescribed speed,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displays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at a speed to a pedestrian walking on a sidewalk or a pedestrian crossing a crosswalk traffic safety system.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정보 제공 모듈은, 차량 번호 및 해당 차량의 통과 속도를 표시하고,
상기 후면 정보 제공 모듈은, 속도 위반 여부 및 위반 여부에 따라 과속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ront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displays the vehicle number and the passing speed of the vehicle,
The rear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s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zon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speed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speed is violated or no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보도 상황 정보 획득부는, 상기 차량 속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를 검지하는 차량 검지 모듈, 검지된 차량이 특정 시간 이상 횡단 보도 주변에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촬상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상황 관리부로 전송하는 차량 단속 모듈 및 횡단 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자의 거동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vehicle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vehicle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numb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child protection zone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measurement unit, the detected vehicle around the crosswalk for more than a specific time Child protection comprising a vehicle enforcement module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and a pedestrian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behavior of pedestrians located around the crosswalk when present in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the z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관리부는, 횡단 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보행자 신호등 감지 모듈,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보행자 인식 모듈 및 횡단 보도에 위치하는 보행자에게 시각적 알림 또는 비시각적 알림을 제공하는 보행자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a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 pedestrian recogni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a pedestrian passes the crosswalk, and a visual or non-visual notification to a pedestrian located in the crosswalk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to provid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관리부는, 보행자 통행이 불가한 신호등 상태에서 보행자가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에게 위법 상황 알림을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을 통해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the child protection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in the state of a traffic light in which pedestrians are not allowed to deliver an illegal situation notification to the pedestrian through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관리부는, 보행자 통행이 가능한 신호등 상태에서 횡단 보도에 진입하는 차량이 있는 경우에 보행자에게 위험 상황 알림을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을 통해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tuation management unit,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area,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re is a vehicle entering the crosswalk in a state of a traffic light that allows pedestrians to pass, a warning of a dangerous situation to a pedestrian through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알림 모듈은, 시각적 알림을 위해서 광학적 방식으로 출력하거나 비시각적 알림을 위해서 소리 또는 진동에 의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pedestrian notification module is a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a child protection zon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in an optical manner for a visual notification or output by sound or vibration for a non-visual notification.
KR1020200045900A 2020-04-16 2020-04-16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KR20210135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00A KR20210135009A (en) 2020-04-16 2020-04-16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00A KR20210135009A (en) 2020-04-16 2020-04-16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09A true KR20210135009A (en) 2021-11-12

Family

ID=7849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900A KR20210135009A (en) 2020-04-16 2020-04-16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00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70B1 (en) * 2023-07-13 2023-11-20 한국교통연구원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grated safety system for building smart school zone
KR102607314B1 (en) * 2023-09-27 2023-11-30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Integrated video control system based on eliminating crosswalk blind spo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32B1 (en) 2008-10-20 2009-09-08 군산시 Traffic safety system on crosswalk for provide the automatic safety information to pedestrians and vehicles using the camera
KR101027640B1 (en) 2009-02-17 2011-04-12 쌍용자동차인천정비사업소(주) A guidance appratus that reduction of speed for school zone
KR101256041B1 (en) 2011-03-22 2013-04-19 양창열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32B1 (en) 2008-10-20 2009-09-08 군산시 Traffic safety system on crosswalk for provide the automatic safety information to pedestrians and vehicles using the camera
KR101027640B1 (en) 2009-02-17 2011-04-12 쌍용자동차인천정비사업소(주) A guidance appratus that reduction of speed for school zone
KR101256041B1 (en) 2011-03-22 2013-04-19 양창열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70B1 (en) * 2023-07-13 2023-11-20 한국교통연구원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grated safety system for building smart school zone
KR102607314B1 (en) * 2023-09-27 2023-11-30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Integrated video control system based on eliminating crosswalk blind spo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338B1 (en) Crossroad danger alarming system based on surroundings estimation
KR101031995B1 (en) Guiding system for traffic safety in school zone
KR101385525B1 (en) Safe cross-walk system on school zone
KR102101956B1 (en) Enforcement system for school-zone using pedestrian detection
KR100960991B1 (en)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robot in school zone and method thereof
KR1023104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to Crosswalker by Sensing of Vehicle Approach
KR102296105B1 (en)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KR200481229Y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lashing signal of road
KR101153980B1 (en) Vehicle monitoring apparatus
KR102293068B1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managing vehicle around crosswalk
KR20210135009A (en) pedestrian traffic safety system in child protection area
KR102159144B1 (en) Unmanned vehicle crackdown system around a walking signal
KR1024520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ideo for school zone and noticing danger signals
KR101466463B1 (en) One body system for warning illegal walker and vehicle
KR1009235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light discrimination in school zone, metyhod for information display
KR20190114347A (en) Safety speed control system for children's protection zone
TW201303805A (en) Multifunctional traffic safety early warning and law enforcement method and system
KR20090013988A (en) A regulation inform apparatus of crosswalk and crossroads a stop line
KR20100000306A (en) System for managing schoolzone traffic synthetically
JP2005234774A (en) Traffic signal ignoring vehicle warning device and traffic signal ignoring vehicle warning/recording device
KR101986303B1 (en) Movable regulation system for stoping and parking car
KR20180082788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lashing signal of road
KR102426517B1 (en) Walking signal control device through image-based object recogni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KR101819420B1 (en) Highway Shelter Entry and Exit Notification System
KR20230052444A (en) Smart safety mirr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