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733A -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733A
KR20210134733A KR1020217031673A KR20217031673A KR20210134733A KR 20210134733 A KR20210134733 A KR 20210134733A KR 1020217031673 A KR1020217031673 A KR 1020217031673A KR 20217031673 A KR20217031673 A KR 20217031673A KR 20210134733 A KR20210134733 A KR 2021013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larizing film
lenticular array
polymerizable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 알리오
Original Assignee
알리오스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오스코피 filed Critical 알리오스코피
Publication of KR2021013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29D11/00298Producing lens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행들과 열들로 배열되는 픽셀 블록(a block of pixels)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각 픽셀은 다른 색상들의 복수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픽셀 블록 선택 단계(E10); 제 1 광축을 갖는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E11); 광막(optical film)으로 불리는 복합 막을 형성하기 위해 렌티큘러 어레이를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단계(E12, E13, E14); 상기 픽셀 블록에 상기 광막을 본딩하는 단계(E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표시를 위한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자동입체(autostereoscopy)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입체법은 관찰자가 특별한 안경류를 착용하지 않고도 이미지들을 쉽게 표시할 수 있는 기법이다. 이 기법 자체는 선행 지식, 특히 출원인의 이름으로 등록된 특허 문서들 WO2006/024764, WO2014/041504, WO2013/140363, 및 WO2014/016768을 참조하여 사전 지식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입체 이미지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본 동일한 물체 또는 동일한 장면의 이미지들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혼합 방식에 따라 인터레이스된 다중 기본 이미지 대역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렌티큘러 렌즈의 어레이 또는 시차 장벽(parallax barrier)을 구성하는 선택기 장치는 표시 화면 전면에 배열되어 단일 장면의 두 가지 다른 관점에 해당하는 한 쌍의 기본 이미지들을 관찰자의 두 눈 각각에 대해 투영할 수 있게 하며, 이는 관찰자의 뇌에 편안한 인상을 준다.
출원인은 이미 각각의 픽셀이 다른 색상들의 다중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행과 열로 배열된 픽셀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자동입체 화면을 제안했다. 화면은 화면으로부터 나오는 광선들을 무한대로 반환하도록 구성되는 초점 거리를 각각 갖는 동일한 원통형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로 추가적으로 오버레이된다. 렌즈들의 폭은 N개의 서브-픽셀들의 폭과 거의 같으며, N은 관점들의 수이다(출원인은 하나의 픽셀 대신 렌즈당 및 수평선당 관점당 단일의 서브-픽셀의 사용을 권고하기 때문에). 그러나, 달성된 효과를 실질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원통형 렌티큘러 어레이의 간격은 관찰자가 렌티큘러 어레이의 확대 효과로 인해, 화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예를 들어, 85cm로 고정된 평면 색조 거리(flat tint distance)라고 함)에서 6.5cm(눈들 사이의 평균 거리, 계산 기준으로 선택됨)로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정밀하게 계산된다.
이 확대 효과는 올바른 거리(초점 거리)에 배치된 렌즈가 그 광축 및 관찰자 눈의 동공에 일직선으로 서브-픽셀을 확대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렌즈를 N배로 확대하면, 렌즈를 통해 보이는 서브-픽셀은 실제보다 N배 더 넓게 인식되고 전술한 일직선이 아닌 다른 N-1개의 서브-픽셀들은 이 렌즈를 통해 광을 수신하는 눈에 흐릿하게 보인다.
따라서, 관찰자는 각 눈으로 화면 해상도의 N분의 1만 인식한다. 이 점들은 서로 연관될 때, 이미지 또는 관점을 형성하고 모두 수평으로 N배 확대된다. N-1/N 번째 해상도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N-1개의 다른 관점들을 제시하도록 남아있는다.
자동입체 화면을 제조할 때 직면하는 어려움 중 하나는 화면의 전면(the front surface)에 광학 부품(optical component)을 포지셔닝하고 본딩하는 단계에 있다. 실제로, 이 광학 부품은 위에서 설명한 확대 효과를 허용하기 위해 화면 표면에서 정확한 거리로 본딩되어야 한다. 특히, 픽셀의 유효 표면까지 광학적으로 교차된 두께는 공기를 포함한 그 교차된 각각의 재료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의 마이크로렌즈들의 초점 거리와 일치해야 한다.
가장 흔한 원통형 마이크로렌즈들의 프로파일은 방사될 수 있다. 프리즘형 프로파일을 가진 특정 광학 부품들은 원통형 프로파일을 가진 마이크로렌즈들의 경우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의 원하는 관점들 수와 동일한 수의 코드들과 일치한다.
일부 화면들의 경우, 렌즈들의 초점 거리는 화면의 픽셀들에 도달하기 위해 교차되어야 하는 광학 두께와 일치한다. 따라서, 렌즈들은 화면과 접촉하여 화면을 향하도록 장착해야 한다.
그 다음 어려움은 렌즈들의 상단들이 화면과 접촉하도록 렌티큘러 어레이를 포지셔닝하는 동시에 뉴턴의 링들(접촉 구역들의 기하학적 구조와 관련하여 일련의 동심 링들 또는 밴드들에 의해 형성된 간섭 패턴, 렌즈의 구형 또는 원통형 표면과 화면의 평평한 표면 사이의 접점을 중심으로 밝고 어둡고 유색이 번갈아 나타남)의 외관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화면이 꺼질때, 표면에 어두운 때로는 유색의 영역들이 렌즈들과의 단계에서 회색 선과 번갈아 가며 줄무늬가 나타난다. 이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고 더욱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원통형 렌즈들이 화면에 가능한 한 가깝게 본딩되어야 할 때, 자동입체 화면들을 제조하기 위한 현재의 이용가능한 방법들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인 화면을 얻을 수 있는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된 솔루션들의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자동입체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자동입체 화면을 제조하기 위해 현재 구현되는 방법들에 비해 단순화된 자동입체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하게 유지되는 화면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입체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켜져 있든 꺼져 있든 개선된 외관을 갖는 화면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조 방법의 실질적인 수정 없이 표준형 화면들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행들과 열들로 배열되는 픽셀 블록(a block of pixels)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각 픽셀은 다른 색상들의 복수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픽셀 블록 선택 단계,
- 제 1 광축을 갖는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
- 제 2 광축을 갖는 렌티큘러 어레이를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제조하여 광막(optical film)으로 불리는 복합 막을 형성하는 단계,
- 각각 편광 기능과 자동입체 기능에 관련된 두 개의 광축들을 갖는 편광 및 렌티큘러 표시 화면을 얻기 위해 상기 선택된 픽셀 블록에 상기 광막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편광판 막으로도 불리는 편광 막을 사용하여 화면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화면의 표면상에 미리 설계된 렌티큘러 어레이를 고정하는 단계를 제거하고 이 단계를 편광 막에 어레이를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대체함으로써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D 화면들의 제조업자들이 얻은 모든 경험으로부터 특히 편광 막의 제조 및 응용과 관련하여,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를 유리하게 할 수 있다. 형성된 광막은 시간이 지나도 편광 막의 기계적 특성이나 복합 막의 안정성을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인 자동입체 화면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어레이의 렌즈들이 화면의 표면과 접촉해야 할 때 나타나는 뉴턴의 링을 보는 위험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알려진 화면들에 대해 켜져 있을 때와 꺼져 있을때 모두 그 제조된 화면들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광막에 이중 기능, 즉 편광 기능 및 자동입체 이미지의 형성을 허용하는 광학 부품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이, 픽셀 블록 상에 본 발명에 따른 광막을 두는 것은 화면 상에 편광 특성 및 자동입체 특성 둘 다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광막은 2개의 상이한 기능에 관련된 적어도 2개의 광축들, 즉 편광 축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렌티큘러 어레이의 마이크로렌즈들의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상기 단계는 하위 단계들인:
- 상기 편광 막에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
-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
-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된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른 방법은 특히 편광 막에 중합가능한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이것이 유동적인 동안, 프린팅, 경화 후 음각, 스크린 프린팅 또는 상기 수지의 중합후 대상 렌티큘러 어레이를 직접 얻는 임의의 등가의 수단에 의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수지의 중합은 UV 광에 의한 경화, 화학 경화제 또는 몰딩 작업 동안의 열 처리, 또는 임의의 등가의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편광 막에 고정된 이 수지의 접착력은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접착 프라이머 사용, 용매 사용, 대기압 플라즈마 또는 진공 플라즈마와 같은 임의 유형의 수단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 따른 방법은 복합 막에 임의 유형의 렌티큘러 어레이, 특히 방사 어레이 또는 면체 어레이(faceted array)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 따른 방법은 픽셀 블록의 열 방향에 대한 렌즈들의 원하는 경사 각도가 무엇이든 단순한 방식으로 임의 유형의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 따라, 상기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는 UV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의 혼합에 따른 화학 반응에 의해, 또는 열을 가하는 것에 중합가능한 수지(1-성분 또는 2-성분)이다.
상기 투명한 UV 수지의 경우, 중합은 유리하게 UV 및 가시 영역 모두에서 방출하는 램프에 의해 편광 막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 중 하나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음각된 실린더로 상기 편광 막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패턴을 UV 바니시 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편광 막에 프린팅하는 단계,
-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상기 편광 막에 스크린 프린팅하는 단계,
-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을 갖는 상기 편광 막에 주형(mold)을 사용하는 단계.
물론, 편광 막에 부착된 수지층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선택된 편광 막은 두 개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막들 사이에서 연신되고 라미네이팅된 폴리비닐 옥사이드 막으로부터 형성된다.
이 변형예에 따라, 렌티큘러 어레이에 의해 직접적으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막의 표면을 수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D 화면이라 불리는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3D 화면이라 불리는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2D 화면은 픽셀 블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편광 막에 의해 오버레이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2D 화면에서 상기 편광 막을 벗겨내는 단계,
-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
- 광막이라 불리는 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 상기 2D 화면의 상기 픽셀 블록 상에 직접적으로 상기 광막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용 표준 화면을 사용하고 이를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용 화면으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변환은 편광 막을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렌티큘러 어레이가 이식된 편광 막으로 교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조하는 의 방법의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변환 방법에 준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응용들에서, 특히 자동차, 의료, 항공, 전화 등의 응용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안정적인 자동입체 화면들을, 단순화되고 반복적인 방식으로 제조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상기 단계는 하위 단계들인:
- 상기 편광 막에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
-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
-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된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전술 또는 후술된 모든 또는 일부 특성들을 조합하여 특징지워지는 표시 화면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한정되지 않는 예를 통해서만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며, 이 설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도식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편광 막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픽셀 블록(a block of pixels)을 선택하는 단계 E10,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 E11,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 E12, 상기 편광 막에 증착된 수지층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 E13,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적인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 E14, 및 상기 선택된 픽셀 블록에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복합 막을 본딩하는 단계 E15를 포함한다.
이제, 이러한 각 단계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픽셀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E10은 대상 응용과 호환가능한 치수들을 가진 픽셀 블록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픽셀 블록은 임의의 알려진 유형일 수 있다. 블록은 행과 열로 배열된 픽셀들을 포함하고 각 픽셀은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된다.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 E11은 그 선택된 한 블록의 픽셀들과 호환가능한 치수들을 갖는 편광 막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2D 화면을 3D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의 경우, 단계 E10 및 E11은 고려 중인 2D 화면에서 편광 막을 벗겨내고 픽셀 블록으로서 변환될 2D 화면으로부터 블록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처리되는 새로운 편광 막을 형성하기 위해 이 편광 막에 투명 막을 본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티큘러 어레이를 투명 막 상에 직접적으로 제조한 다음 이를 화면에 본딩되지 않은 편광판 상에 직접적으로 본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변형을 통해 더 이상 편광판이 없는 화면 또는 편광판이 이미 장착된 화면에 본딩되는 새로운 복합 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두께와 추가 투명 렌티큘러 막의 기능을 추가하여 초기 편광판의 두께를 두 배로 늘린다. 이것은 편광 막상에 이식될 렌티큘러 어레이가 원래 편광 막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편광 막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야 한다면, 특히, 광학 초점 거리 요건들이 주어진다면, 특히 필수적일 수 있다.
편광 막 상에 렌티귤러 어레이를 형성하는 대신에 투명 막 상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형성하고, 이 렌티큘러 어레이를 원래의 편광 막이 제거된 2D 화면 표면에 이와같이 직접적으로 본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2D 화면을 3D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변환 방법은 견고한 기판에 장착되는 2D 화면의 이전에 벗겨낸 편광 막 또는 다른 편광 막을, 2D 화면의 픽셀 블록에 본딩된 렌티큘러 어레이에 본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막 상에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 E12, 상기 편광 막 상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 E13, 및 상기 편광 막에 상기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 E14는 서로 연결되어 조화된 방식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각된 금속 실린더(20)(생성될 렌티큘러 어레이의 렌즈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형상들과 치수들을 가진 홈들 및 연마된 유리 표면 상태를 가진)는 두 개의 롤러들(21, 22),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고,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롤러들로 구성된 플랫폼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두 롤러의 축들은 평행하다. 각 롤러(21, 22)는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물론, 각 롤러들을 회전 구동시키는 임의의 다른 수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설명되는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단지 한 개의 고무 롤러만이 모터로 작동된다.
롤러들(21, 22)은 그 회전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UV 또는 가시광선이 통과할 수 있게 하지만, 두 롤러들 상에 배치되는 음각된 금속 실린더(20)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깝게 배치된다.
선택된 편광 막(25)(또는 2D 화면을 3D 화면으로 변환하는 경우 2D 화면에서 벗겨낸 편광 막)은 두 개의 고무 롤러(21, 22)와 음각된 실린더(20) 사이에서 이송된다. 즉, 편광 막(25)은 아래로는 두 개의 고무 롤러들과 위로는 음각된 금속 실린더 사이에 끼워진다.
편광 막은 두 개의 고무 롤러들 및 음각된 금속 실린더에 접하도록 연신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편광 막의 인장 작용은 임의 유형의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후, UV 수지는 편광 막 표면상의 금속 실린더와 접촉하여 이 실린더의 상류(upstream)로 증착된다. 화살표(26)는 실린더 상류의 수지 주입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린더의 상류 측은 실린더의 회전 방향과 편광 막의 전진(advance)에 의해 정의된다(도 2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즉, 수지는 막(25)이 실린더(20) 아래로 통과하기 직전에 증착된다. 고무 롤러들 및 음각된 실린더의 회전축에 수직인, 전진 방향으로 불리는 방향으로 편광 막의 이 변위는 고무 롤러들과 음각된 실린더 사이의 막 마찰에 의해 얻어진다.
두 개의 고무 롤러들(21, 22)과 음각된 실린더(20)의 동기화된 회전, 및 전진 방향을 따른 편광 막(25)의 이동은 음각된 실린더형 롤러(20) 아래로 수지가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오직 한 개의 고무 롤러만이 모터로 작동되어, 음각된 막, 음각된 실린더, 및 다른 고무 롤러를 마찰에 의해 구동시킨다.
수지가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표면에 연신되어 있는 막 사이에서 금속 실린더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수지는 고무 롤러들 사이에서 수신되는 UV 광 및/또는 가시광선의 흐름으로 인해 중합되고 프리징되며, 이는 함께 다이어프램을 형성한다.
사용된 수지에 따라, 수지가 금속 실린더보다는 편광 막에 더 잘 접착되어, 막이 음각된 실린더와 고무 롤러들 사이를 빠져나갈 때 막이 경화된 수지를 운반하도록 하기 위해, 음각된 실린더의 표면을 반드시 처리해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얻어진 편광 막(25)은 그 표면에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대상 렌티큘러 어레이(the targeted lenticular array)와 피치 및 초점 거리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렌티큘러 어레이를 형성하는 실린더(20)의 네가티브형 판화(the negative of the engravings)를 갖는다.
이와같이 도 2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대로, 장치의 배출구(도면의 왼쪽)에 있는 편광 막(25)은 막의 표면에 렌티큘러 어레이가 있는 반면에 장치의 막 상류의 표면에는 어레이가 없다.
UV 및/또는 가시광선(27)의 방출은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금속 실린더 및/또는 편광 막의 기하학적 변화로 이어지는 상기 설명된 방법의 다양한 단계에서 온도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이로써 특히 이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적외선 필터와 환기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삽입 작업 동안 유용하게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 선택된 픽셀 블록에 이와같이 형성된 복합 막을 본딩하는 마지막 단계인 E15는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 본딩 단계는 기존의 편광 막을 표준형 2D 픽셀 블록에 본딩하는 단계와 동일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자동입체 화면들을 설계하기 위해 편광 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간단히 수정하여, 별다른 어려움 없이 2D 화면 제조 방법으로 통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 중 하나이고, 이로써 실질적으로 이러한 화면들의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기술된 방법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다.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UV 바니시 프린터의 구현으로 음각된 금속 실린더의 사용을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을 가진 상기 편광 막을 스크린 프린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동일한 형상들 및 치수들인 주형을 편광 막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하는 것보다 훨씬 짧은 초점 거리에 일치하는 렌즈 프로파일로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가진 UV 수지를 사용하여 렌티큘러 어레이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자발적으로 선택한 곡률 반지름의 수정을 보상하기 위해 굴절률이 훨씬 낮은 수지로 첫 번째 렌티큘러 어레이를 매립함으로써 초점 거리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이점은 후자의 경우 활성 디옵터가 두 개의 다른 지수들을 가진 두 개의 투명한 부품들을 통합하는 장치의 심장부에 매립된다는 사실에 있다. 이 경우, 렌티큘러 어레이는 두 개의 평평한 표면들 사이에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 한쪽은 화면 표면이고, 다른 한쪽은 보호판 및 마무리판 역할을 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약간 젖어 있거나 반사 방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다.

Claims (11)

  1.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행들과 열들로 배열되는 픽셀 블록(a block of pixels)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각 픽셀은 다른 색상들의 복수의 서브-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픽셀 블록 선택 단계(E10),
    - 제 1 광축을 갖는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E11),
    - 광막(optical film)으로 불리는 복합 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제 2 광축을 갖는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 각각 편광 기능과 자동입체 기능에 관련된 두 개의 광축들을 갖는 편광 및 렌티큘러 표시 화면을 얻기 위해 상기 선택된 픽셀 블록에 상기 광막을 본딩하는 단계(E15)를 포함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상기 단계는 하위 단계들인:
    - 상기 편광 막에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E12),
    -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
    -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된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E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는 UV에 의해 또는 이어지는 다른 성분(another component)과의 혼합에 따른 화학 반응에 의해 또는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중합가능한 수지(1-성분 또는 2-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는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음각된 실린더로 상기 편광 막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는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패턴을 UV 바니시 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편광 막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는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상기 편광 막에 스크린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는 상기 원하는 렌티큘러 어레이의 형상들 및 치수들로 상기 편광 막에 주형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광 막은 두 개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막들 사이에서 연신되고 라미네이팅된 폴리비닐 옥사이드 막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이미지 표시 화면 제조 방법.
  9. 2D 화면이라 불리는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3D 화면이라 불리는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2D 화면은 픽셀 블록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정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편광 막에 의해 오버레이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2D 화면에서 상기 편광 막을 벗겨내는 단계,
    - 편광 막을 선택하는 단계,
    - 광막이라 불리는 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 상기 2D 화면의 상기 픽셀 블록 상에 직접적으로 상기 광막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D 화면을 3D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막에 직접적으로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상기 단계는 하위 단계들인:
    - 상기 편광 막에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
    -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
    -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된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화면을 3D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11. 편광 막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편광 막에 투명한 중합가능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E12),
    - 상기 중합가능 수지층에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이식하는 단계(E13),
    - 상기 렌티큘러 어레이를 통합하는 투명하고 안정된 복합 막을 얻기 위해 상기 중합가능 수지를 중합하는 단계(E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막에 렌티큘러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7031673A 2019-03-04 2020-02-27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KR20210134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2205 2019-03-04
FR1902205A FR3093569B1 (fr) 2019-03-04 2019-03-04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écran autostéréoscopique et procédé de transformation d’un écran d’affichage d’une image bidimensionnelle en un écran d’affichage d’une image autostéréoscopique
PCT/FR2020/050388 WO2020178506A1 (fr) 2019-03-04 2020-02-27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écran autostéréoscopique et procédé de transformation d'un écran d'affichage d'une image bidimensionnelle en un écran d'affichage d'une image autostéréoscop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733A true KR20210134733A (ko) 2021-11-10

Family

ID=6865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673A KR20210134733A (ko) 2019-03-04 2020-02-27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76661A1 (ko)
EP (1) EP3935422B1 (ko)
JP (1) JP2022522857A (ko)
KR (1) KR20210134733A (ko)
CN (1) CN113518935A (ko)
FR (1) FR3093569B1 (ko)
WO (1) WO20201785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536A (en) * 1998-09-18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efficiency polarization converter including input and output lenslet arrays
FR2873824B1 (fr) 2004-07-30 2006-10-27 Pierre Allio Procede d'affichage d'une image autostereoscopique a n points de vue
JP4977021B2 (ja) * 2005-06-24 2012-07-18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板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FR2887998A1 (fr) * 2005-07-04 2007-01-05 Xavier Jean Francois Levecq Dispositif et procede de visualisation autostereoscopique commutable 2d-3d
TW200720703A (en) * 2005-09-09 2007-06-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enticular device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782831B1 (ko) * 2006-01-0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의 필드 순차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26654A (ja) * 2006-07-21 2008-02-07 Hitachi Displays Ltd 立体表示装置
TWI475257B (zh) * 2010-03-26 2015-03-01 Ubright Optronics Corp 具有光準直及擴散結構的光學基板
CN102809827A (zh) * 2011-06-01 2012-12-05 宁波Gqy视讯股份有限公司 立体裸视偏光显示屏
CN102523470A (zh) * 2012-01-08 2012-06-27 四川大学 采用偏光元件减小柱透镜光栅立体液晶显示器图像串扰的方法
FR2988491B1 (fr) 2012-03-21 2014-04-18 Alioscopy Procede d'affichage d'une image autostereoscopique.
FR2994044B1 (fr) 2012-07-24 2017-05-12 Alioscopy Procede d'affichage auto-stereoscopique sur un ecran ayant sa plus grande dimension dans le sens vertical.
FR2995713B1 (fr) 2012-09-14 2015-07-17 Alioscopy Ecran d'affichage, en particulier pour autostereoscopie.
KR101974961B1 (ko) * 2012-11-12 2019-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장치
TWI574545B (zh) * 2015-07-13 2017-03-11 宇勤科技(深圳)有限公司 立體影像顯示屏
CN106646902B (zh) * 2017-02-23 2023-05-19 集美大学 一种裸眼3d显示的双胶合微柱透镜光栅器件及其制备方法
CN108873147B (zh) * 2018-06-25 2019-09-13 福州大学 一种量子点导光板及其制作方法
CN109164587B (zh) * 2018-10-29 2023-08-08 基腾(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用立体显示光学膜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5422A1 (fr) 2022-01-12
EP3935422B1 (fr) 2023-06-07
US20220176661A1 (en) 2022-06-09
WO2020178506A1 (fr) 2020-09-10
FR3093569B1 (fr) 2021-03-12
CN113518935A (zh) 2021-10-19
FR3093569A1 (fr) 2020-09-11
EP3935422C0 (fr) 2023-06-07
JP2022522857A (ja)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172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736243B (zh) 微结构透镜单元和二维/三维可切换的自动立体显示装置
US7898604B2 (en) Three-dimension display
CN101258427B (zh) 用于自动立体显示装置的透镜设备以及产生该设备的方法
KR2006002339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CN102830537B (zh) 一种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JPH10253824A (ja)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120229718A1 (en) Direct-view adjustable lenticular 3D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JP5793746B2 (ja) マイクロリターダフィルム
US9645406B2 (en) Polarizing control film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53206B1 (ko) 복합 기능성 입체영상표시장치용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341006B1 (ko) 3차원 영상 패널의 제조방법
US10652524B2 (en) Parallax barri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34733A (ko) 자동입체 화면의 제조방법 및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자동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변환하는 방법
CN113093402B (zh) 立体显示器及其制造方法与立体显示系统
JP4012136B2 (ja) 三次元表示装置
KR101467192B1 (ko) 영상분리표시장치
US20230019555A1 (en) Lenticular optical composite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3d display
CN211293321U (zh) 柱镜光学复合膜、裸眼3d显示器
JP356648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5181410A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9407331B (zh) 立体显示装置、立体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1177863B1 (ko) 3d 광학필름을 채용한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336037B1 (ko) 레진막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CN104854499A (zh) 用于自动立体显示器的防带化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