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006A -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006A
KR20210133006A KR1020200051632A KR20200051632A KR20210133006A KR 20210133006 A KR20210133006 A KR 20210133006A KR 1020200051632 A KR1020200051632 A KR 1020200051632A KR 20200051632 A KR20200051632 A KR 20200051632A KR 20210133006 A KR20210133006 A KR 2021013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elastic
support
elastic member
tr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4702B1 (ko
Inventor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휘트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휘트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휘트니스
Priority to KR102020005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63B22/022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with variable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트레드밀에 관해 개시된다. 트레드밀은 판상의 데크, 상기 데크의 상면과 저면을 에워싸는 무한루프의 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트랙벨트,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트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데크와 트랙 프레임에 사이에 개재되어 데크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부;를 구비한다. 완충부는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및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가지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양 단부를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단순 지지보(simple beam) 구조로 지지시키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중간 부분을 데크 또는 트랙 프레임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중간 부분에 하중이 부가되게 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드밀{treadmill}
본 개시는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행 안정성 및 무릎 보호 기능이 강화된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트랙벨트와 이를 전후에서 이를 지지하고 무한궤도의 순환 운동을 지지하고 돕는 전후의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트랙벨트의 순환 궤도의 안쪽 트랙벨트의 상부측, 즉 사용자가 딛는 부분을 하부에서 바치는 데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데크는, 트레드밀의 하부 구조를 지탱하는 트랙 프레임에 설치되며, 테크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가 데크와 트랙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완충부는 데크를 통해 사용자의 다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보호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직 방향으로는 적절할 탄력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사용자의 보행 방향 또는 트랙벨트의 진행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없도록 하여 사용자가 데크에 오르내릴 때, 또는 보행 및 주행 시 데크의 밀림에 의한 사용자의 균형 상실 등이 일어 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데크의 탄력 또는 쿠션이 데크의 전체에 걸쳐서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서는 수직 방향의 완충이 충분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하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방지 못하였고, 그리고 테크의 밀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였다.
한편, 데크의 수평방향의 움직임 또는 밀림을 억제하고자 하는 완충구조의 개선에 대한 시도가 있었으나, 구조적 한계에 의해 수직 방향의 완충이 위치 별로 불균일하고 불충분할 뿐 아니라 구조적 결점에 의해 쉽게 완충 구조물의 부품의 분해 또는 손상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개시는 충격으로부터의 사용자 발목 관절 및 무릎 관절 등의 보호 기능이 향상된 트레드밀을 제시한다.
본 개시는 데크의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수직 방향의 쿠션감이 향상되어 트랙 벨트 위를 보행 또는 주행하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안정성 및 안락감을 강화할 수 있는 트래드밀을 제시한다.
본 개시는 안정적인 데크의 안정적 지지 및 완충이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위치에 관계없이 탄력 또는 쿠션이 일정하도록 설계되는 트레드밀을 제시한다.
본 개시의 한 유형에 따른 트레드밀:은
사용자가 올라 타는 상면과 그 반대의 저면을 가지는 판상의 데크;
상기 데크의 상면과 저면을 에워싸는 무한루프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트랙벨트;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트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데크와 트랙 프레임에 사이에 개재되어 데크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트랙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그 몸체가 연장되는 것으로,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및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양 단부를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단순지지보(simple beam) 구조로 지지시키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데크 또는 트랙 프레임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중간 부분에 하중이 부가되게 하는 제2지지부;를 구비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각각을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고정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중간부분과 테크 또는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 및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중간 부분에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랙 프레임을 향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는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량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중간 부분을 상기 데크 또는 트랙 프레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 를 구비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면에서 상기 탄성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는 상기 데크 또는 트랙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부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면에서 상기 탄성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와 중간 지지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는 체결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1은 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2는 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트랙벨트와 데크가 분리된 상태의 트랙 프레임의 부분적 사시도 이다.
도3은 한 실시 예에 따른 데크 지지 구조체를 발췌하여 도시한다.
도4는 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발췌 정면도이다.
도5는 한 실시 예에 따라, 데크에 대한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에서, 데크로부터 가해지는 수직(Z-Z)방향의 제1힘(Fz)에 의한 탄성부재의 변형상태를 예시한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에서, 데크로부터 가해지는 전후 방향(X-X)방향의 제2힘(Fx)에 의한 탄성부재의 변형상태를 예시한다.
도8의 (a)와 (b)는 X방향의 제2힘(Fx)에 의한 탄성부재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9는 본 개시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테크 지지 구조체의 상세 구조를 예시한다.
도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 및 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보여 준다.
도11은 본 개시에 따른 탄성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에 기초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 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를 그 밑에 개재하고 그 위에 배치되는 것을 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밀(1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트레드밀(100)은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올라서서 운동하는 평상 형태의 트랙부(track part, 110)와 트랙부(110)의 트랙벨트(track belt, 111)의 속도를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controlling part, 120) 그리고 콘솔부(120)를 사용자의 상체 가깝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컬럼(supporting column, 117)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 컬럼(117)은 상기 트랙부(110)의 트랙 프레임(115)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트랙부(110)는 트랙벨트(111)와 트랙벨트(111)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driving motor, 130), 그리고 이들 요소들을 지지하는 구조의 뼈대를 제공하는 트랙 프레임(track frame, 112)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130)는, 일반적인 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트랙부(1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이 구동 모터(130)는 커버(114)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도2는 트랙벨트(111)와 트랙벨트(111)가 설치된 데크(113)가 분리된 상태의 트랙 프레임(115)의 부분적 사시도 이다.
상기 트랙 프레임(115)은 데크(113)가 위치하는 공간 양측에 배치되는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데크(113)를 지지하는 한 조의 빔(115a, 115a)을 포함하며, 그 전후단에 상기 트랙벨트(111)의 순환 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1롤러(113a)와 제2롤러(113b)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113)의 지지는 상기 트랙 프레임(115)의 양측 빔(115a, 115a)의 내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테크 지지 구조체(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 지지 구조체(200) 각각은 상기 트랙 프레임(115)의 양측 빔(115a, 115a)의 서로 마주 보는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 베이스(115b)와 지지 베이스(115b)에 설치되어 데크(113)를 하부에서 떠 받치는 완충부(200)를 포함한다.
도3은 상기 데크 지지 구조체(200)를 발췌하여 도시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프레임(115)의 빔(115a)의 내측면(115a')에 지지 베이스(115b)가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 완충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부(200)는 상기 빔(115a)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형 탄성부재(bar-type elastic member, 210) 및 탄성부재(210)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221)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 고무등으로 제조되며, 그 몸체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요소와 또는 다른 요소에 대한 결합을 위한 체결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1)는 상기 지지 베이스(115b)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제1브라켓(221a)과 제2브라켓(2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221a)과 제2브라켓(221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1)의 제1브라켓(221a)과 제2브라켓(221b)은 나사 등의 체결부품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10)의 제1탄성부(elastic part, 210a)과 제2탄성부(210b)의 외단부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21)는 탄성 부재(210)를 단순보 또는 단순지지보(simple beam) 형태로 지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210)는 상기 빔(115a)과 나란히 배치되어 빔(115a)과 같은 방향인 제1방향(X-X)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방향은 사용자의 주행 또는 보행 방향을 나타내며, 또한 데크(113) 위에서의 트랙벨트(111)의 이송 방향과 같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 부분에는 테크(116)로부터의 하중을 탄성부재(210)로 부가하는 제2지지부(212)가 마련된다. 상기 제2지지부(212)의 상단은 상기 테크(116)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212)는 상기 테크(116)로부터 가해지는 집중하중을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 부분 또는 허리 부분에 인가한다. 상기 제2지지부(212)는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의 도움으로 상기 데크(113)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부분을 연결한다.
도4는 상기 완충부(2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발췌 정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13)의 하부에 지지 베이스(115b)가 위치하고 이들의 사이에 완충부(200)가 위치한다. 완충부(200)의 제1지지부(221)은 지지 베이스(115b)에 고정되고, 제2지지부(212)는 데크(113)의 하부에 고정된다. 제1지지부(221)의 제1브라켓(221a)과 제2브라켓(221b)는 탄성부재(210)의 양단부(210a, 210b)와 연결되며, 제2지지부(212)는 볼트(223a)와 너트(223b) 등의 체결부품(223)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부분과 데크(113)를 연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223b)는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 부분에 매립 설치되며, 볼트(223a)는 상기 데크(113)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2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볼트(223a)에 체결될 수 있다.
도5는 데크에 대한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13)의 좌우(Y-Y)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에 탄성부재(210)가 다수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트랙벨트의 이송방향 또는 전후 방향(X-X)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테크(11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X-X 방향으로 3개의 탄성부재(2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탄성부재(210)는 X-X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200)에서, 데크(113)로부터 가해지는 수직(Z-Z)방향의 제1힘(Fz)에 의한 탄성부재(210)의 변형상태를 예시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13)로부터의 제1힘(Fz)이 제2지지부(212)를 통해 탄성부재(210)의 허리 부분, 즉 탄성부재(210)의 제1탄성부(210a)에 해당하는 전방부분(Mf)과 제2탄성부(120b)에 해당하는 후방부분(Mr)의 사이에 집중하중이 전단력으로서 가해지면, 지지부(221)의 양측 제1, 제2브라켓(221a, 221b)에 의해 단순 지지보 형태로 지지된 탄성부재(210)의 궁형 또는 호형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사용자가 밟고 있는 데크(113)로부터 가해지는 Z-Z 방향의 힘에 의한 것이며, 이것은 데크(113)로 부터의 충격을 흡수한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200)에서, 데크(113)로부터 가해지는 전후 방향(X-X)방향의 제2힘(Fx)에 의한 탄성부재(210)의 변형상태를 예시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212)를 통해 X-X 방향의 제2힘(Fx)이 전방방향, 즉 탄성부재(210)의 전방부분(Mf)에 가해지면, 탄성부재(210)의 전방부분(Mf)에 압축력이 가해 지고, 후방부분(Mr)에는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전후의 압축력과 인장력은 전방부분(Mf)의 압축 변형 및 후방부분(Mr)의 인장 변형을 유도한다. 즉, 제2지지부(212)에 가해지는 X축 방향의 힘은 전방부분(Mf)과 후방부분(Mr)에서의 상반된 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제2힘(Fx)이 역방향으로 걸리는 경우는 탄성부재(210)의 전방부분(Mf)에 인장력이 가해 지고, 후방부분(Mr)에는 압축력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X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상기 전방부분(Mf)과 후방부분(Mr)의 상반된 압축/인장 또는 인장/압축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며, 따라서 X 방향으로는 인장에 대한 탄성 반력과 압축에 대한 탄성 반력의 작용에 의해 X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2지지부(212)는 크게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X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8의 (a)와 (b)는 X방향의 제2힘(Fx)에 의한 탄성부재(210)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8의 (a)는 제2힘(Fx)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해질 때의 탄성부재의 변형을 보인다. (a)를 참조하면, 제2지지부(212)에 대한 제2힘(Fx)에 의해 지지부(212)가 음의 방향(도면에서 왼쪽)으로 소정 거리(-Δx) 만큼 전방(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210)의 전방부분(Mf)은 압축되어 허리가 불룩한 베럴형으로 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후방부분(Mr)을 허리가 잘록한 핀쿠션형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제2지지부(212)의 X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탄성반력을 제공한다.
(b) 를 참조하면, 제2지지부(212)에 대한 제2힘(Fx)에 의해 지지부(212)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양의 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소정 거리(+Δx) 만큼 후방(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210)의 전방부분(Mf)은 인장되어 허리가 잘록한 핀쿠션형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후방부분(Mr)을 허리가 볼록한 베럴형형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역시 제2지지부(212)의 X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탄성반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 반력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X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데크가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는 데크로 가해지는 수직(Z) 방향의 충격은 적절히 완충하되, 전후 방향, 즉 사용자가 주행하는 X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이로써 데크에서 보행 또는 주행하는 사용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X 방향의 데크의 움직임 억제는 단순지지보 형태로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되, 탄성부재의 변형이 적은 탄성부재의 길이 방향을 사용자의 주행방향 또는 X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그리고 데크로 부터의 하중을 상기 탄성부재의 중간부분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트레밀의 완충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개조가 가능할 것이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2지지부가 데크에 연결되고 제1지지부는 트랙 프레임의 빔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반전시켜 적용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테크(116)의 저면에 제1지지부(221)의 제1, 제2브라켓(221a, 221b)가 나사/볼트 등에 의한 체결 부품(224)에 의해 고정되고, 탄성 부재(2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212)는 지지 베이스(115b)에 나사 및 볼트 등에 의한 체결부품(223)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구조는 전수한 도4의 실시 예에서 완충부(200)가 상하 반전된 구조를 가진다.
도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210) 및 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210)를 보여 준다. 도10의 막대형 탄성부재(210)는 그 상면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212)가 탄성부재(210) 자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탄성부재(210)는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 다양한 재질의 탄성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210)는 양측 제1브라켓(210a)과 제2브라켓(210b)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11은 상기 탄성부재(210)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다.
전술한 탄성부재(210)는 X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막대형이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의 Z방향에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제3, 제4탄성부(210a, 210b, 21c, 210d)를 가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210)는 X-X방향의 제1, 제2탄성부(210a, 210b)과 이에 직교하는 Y-Y방향으로 제3, 제4탄성부(210c, 210d)를 가지는 + 자형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4탄성부(210a, 210b, 210c, 210d)가 공히 이어지는 교차 부분에 이에 수직(Z)방향의 제2지지부(2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221) 역시 상기 + 자형의 탄성 부재(210)의 4개의 막대형 탄성부(210a, 210b, 210c, 210d)의 외단부를 지지하는 4개의 블라켓(221a, 221b, 221c, 221d)을 구비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4개의 탄성부((210a, 210b, 210c, 210d)을 가지는 십(+)자 형뿐 아니라 6개 또는 그 이상의 탄성부를 가지는 별 모양의 형태로도 구조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는 적어도 보행 또는 진행 방향, 즉 X 방향으로의 데크의 움직임을 억제하며, 나아가서는 진행 방향 뿐 아니라 이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 즉 Y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억제함으로써 X 방향 또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한 사용자의 균형 상실 및 이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된다. 그러함에도 수직방향으로는 단순 지지보 형태의 탄성부재를 통해서 부드럽고 유연한 탄력적 완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데크의 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수직 방향의 쿠션감이 향상되어 트랙 벨트 위를 보행 또는 주행하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안정성 및 안락감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원 다양한 모범적 실시 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는 단지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일부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0: 트레드밀
110: 트랙부
111: 트랙벨트
113: 데크
113a: 제1롤러
113b: 제2롤러
114: 커버
115: 트랙 프레임
115a: 빔
115a': (빔의) 내측면
200: 완충부
210: 탄성부재
210a~210d: 제1~4탄성부
212: 제2지지부
221: 제1지지부
221a~221d: 제1~4브라켓

Claims (10)

  1. 판상의 데크;
    상기 데크의 상면과 저면을 에워싸는 무한루프의 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트랙벨트;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트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데크와 트랙 프레임에 사이에 개재되어 데크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트랙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그 몸체가 연장되는 것으로,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및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가지는 탄성부재;
    탄성부재의 양 단부를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단순지지보(simple beam) 구조로 지지시키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데크 또는 트랙 프레임에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중간 부분에 하중이 부가되게 하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트레드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각각을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고정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중간부분과 테크 또는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 및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 부품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중간 부분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트레드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트랙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테크에 연결되는, 트레드밀.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탄성부 및 제4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드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탄성부, 제2탄성부, 제3탄성부 및 제4탄성부 각각을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고정하는 제1브라켓, 제2브라켓, 제3브라켓 및 제4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래드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탄성부, 제2탄성부, 제3탄성부 그리고 제4탄성부 각각을 상기 트랙 프레임 또는 데크에 고정하는 제1브라켓, 제2브라켓, 제3브라켓 및 제4브라켓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조의 빔을 구비하고,
    상기 한 조의 빔의 마주 보는 내측면 각각에 상기 다수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트레드밀.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조의 빔을 구비하고,
    상기 한 조의 빔의 마주 보는 내측면 각각에 상기 다수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트레드밀.
KR1020200051632A 2020-04-28 2020-04-28 트레드밀 KR10237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32A KR102374702B1 (ko) 2020-04-28 2020-04-28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32A KR102374702B1 (ko) 2020-04-28 2020-04-28 트레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006A true KR20210133006A (ko) 2021-11-05
KR102374702B1 KR102374702B1 (ko) 2022-03-16

Family

ID=7850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632A KR102374702B1 (ko) 2020-04-28 2020-04-28 트레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3434A1 (en) * 1998-09-25 2003-08-14 Dalebout William T. Treadmill with adjustable cushioning members
KR101221857B1 (ko) * 2012-04-30 2013-01-15 (주)코베스포츠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KR101723651B1 (ko) * 2016-05-04 2017-04-06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
CN210228991U (zh) * 2019-07-19 2020-04-03 朱玉华 跑步机减震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3434A1 (en) * 1998-09-25 2003-08-14 Dalebout William T. Treadmill with adjustable cushioning members
KR101221857B1 (ko) * 2012-04-30 2013-01-15 (주)코베스포츠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KR101723651B1 (ko) * 2016-05-04 2017-04-06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
CN210228991U (zh) * 2019-07-19 2020-04-03 朱玉华 跑步机减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702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09B1 (ko) 수직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1595507B1 (ko)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2374702B1 (ko) 트레드밀
KR101221857B1 (ko)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KR101371607B1 (ko) 트레드밀의 데크 지지 구조
JP7390066B2 (ja) 対象物支持装置
US20180313097A1 (en) Modular Sprung Floor
US11446542B2 (en) Treadmill
CN104238273B (zh) 一种工件台安全防护装置
AU2002303826B2 (en) Improved balance beam
AU2002303826A1 (en) Improved balance beam
TWM568153U (zh) 水平式履帶跑步機之緩衝機構
JP3511165B2 (ja) ジャンピングボード
CN205608386U (zh) 掩膜板卡夹
US3199664A (en) Vibratory conveyor
CN209852444U (zh) 一种军用车辆柔性防雷地板
KR101576264B1 (ko) 환자 이송용 스키썰매
KR102308218B1 (ko) 지진저항성을 향상시킨 수배전반
JPH04218177A (ja) 体操用踏切板
JP2004176825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付運動案内装置及びテーブル装置
JP3528126B2 (ja) 免震装置
CN107554461B (zh) 车用两侧加强支撑件
CN110745443B (zh) 带缓冲导向装置的高速堆垛机
KR20080049524A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