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553A -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 Google Patents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553A
KR20210131553A KR1020200049749A KR20200049749A KR20210131553A KR 20210131553 A KR20210131553 A KR 20210131553A KR 1020200049749 A KR1020200049749 A KR 1020200049749A KR 20200049749 A KR20200049749 A KR 20200049749A KR 20210131553 A KR20210131553 A KR 2021013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forming
molding
cartridge body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중
유지웅
남원식
김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콜
Priority to KR102020004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553A/en
Publication of KR2021013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5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molding device of a scorched rice manufacturing system, wherein rice cooked by a steam and pressure method is put into a hopper, and the rice put into the hopper is mov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primary molding unit including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molding unit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ary molding unit including a mold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molding unit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form molded rice which is agglomerat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primary molding unit including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molding units with teeth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gather rice and move the same downward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in a form of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secondary molding unit including a mold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molding units with a molding fram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mold the rice gathered in the primary molding uni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ischarge the same downward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in a form of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lower part of the primary molding unit.

Description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으로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밥을 공급하여 일정한 모양의 성형밥으로 성형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rice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be molded into molded rice of a certain shape by supplying rice to manufacture nurungji with rice built in a steam and pressure method. It relates to molding equipment.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할 때 화기가 닿는 밥솥 바닥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거의 대부분 생기게 된다. In general, nurungji refers to the burning of rice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ice cooker that is exposed to the fire when cooking in a rice cooker.

이러한 누룽지는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임으로, 그 맛이 고소하고 독특할 뿐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함으로써 밥과는 별도로 긁어내어 이를 간식대용으로도 많이 먹고 있는 실정이다. This nurungji is a thing that sticks to the rice, and its flavor is unique and nutritious, so it is scraped off separately from rice and eaten as a snack substitute.

또한, 이러한 누룽지는 적당량의 물과 배합하여 이를 재차 끓여서 식사대용으로 먹고 있다.In addition, such nurungji is mix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nd boiled again and eaten as a meal substitute.

그런데, 이와 같은 누룽지는 그 양이 밥솥으로 한번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정도에 불과함으로써 즉, 한번 밥을 할 때마다 소량의 누룽지가 생기므로 간식 대용이나, 또는 식사대용으로 먹기에는 너무나 양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mount of such nurungji is only to the extent that it sticks to the bottom of the rice cooker when cooking with a rice cooker, that is, a small amount of nurungji is generated every time you cook rice. There is a problem with too little quantity.

더욱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식품문화에 있어서, 쌀을 주원료로 하는 많은 종류의 과자나, 또는 간식식품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애용되고 있는 누룽지는 생산량이 적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은은 주지된 사실이다. Moreover, in our food culture that uses rice as a staple food, many kinds of sweets or snack foods that use rice as a main ingredient are being developed.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is not widely disseminated.

따라서, 근래에는 누룽지를 별도로 제조하여 간식대용이나 식사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눌어붙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으로 많은 량의 생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nurungji has been separately manufactured and used as a snack or meal substitut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arge amount of nurungji because it adopts a method of making the rice stick to the rice cooker.

종래기술에 따른 누룽지 제조과정은, 밥솥으로 많은 량의 밥을 한 다음, 이 밥을 적정량씩 가열되는 철판에 올려놓고 일정 시간 동안 눌어붙게 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urungji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known that a large amount of rice is cooked with a rice cooker, and then the rice is placed on an iron plate heated by an appropriate amount and set to stic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182073호의 "누룽지 제조장치"(특허문헌1)에는, 수평으로 된 컨베이어벨트를 개폐식 가열판이 연속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가열판은 특정 위치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면서 누룽지를 성형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을 청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Looking at the related art, in the "Nurungji manufacturing apparatu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2073 (Patent Document 1), the opening and closing heating plate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circulate a horizontal conveyor belt, while the heating plate opens and closes at a specific position It consists of forming nurungji,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clea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aking it possible.

이러한 특허문헌1에서 취반된 밥을 가열판으로 공급하고, 누룽지 형태로 성형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취반된 밥은 임시 저장 호퍼에서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가열판 위에서 낙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oked rice is supplied to a heating plate in Patent Document 1 and molded in the form of nurungji, the cooked rice is dropped from a temporary storage hopper through a screw conveyor on the heating plate.

그런데, 취반된 밥은 점성이 아주 작은 물과 같은 액체나, 파우더 등과 달리 그 자체로 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 달라붙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모터의 작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출구 측에서 배출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cooked rice often sticks to the outlet side of the conveyor because it has its own viscosity, unlike liquids or powders with very little viscosity, and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motor, i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emission to be stopped.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서로 연이어 이동하는 가열판의 사이에 밥이 떨어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고, 이 때문에 가열판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Due to such a problem, it is easy to cause a problem that the rice falls between the heating plates that move one after another, an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ing plate is exposed to an unsanitary environment.

특히, 가열판에 안착되는 밥의 형태가 부정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후의 성형기에서 다지는 과정에서 일정한 형상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certain shape in the process of compacting in a subsequent molding machine because the shape of the rice seated on the heating plate is irregular.

더불어, 특허문헌1에서 밥을 가열판 위에 낙하시킨 후 성형하는 성형기를 살펴보면 두 개의 성형기에 구비된 날이 모두 바닥이 평평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점도가 높은 밥을 고르게 펼치기 어려워 균일한 형태의 누룽지를 제조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1, looking at the molding machine that forms after dropping the rice on the heating plate, the blades provided in the two molding machines are all flat-bottomed. There are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또한, 1차 측 성형기에 눌려지는 밥의 저항에 커져 날을 회전시키는 모터 부하가 커지게 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rice pressed to the primary side molding machine increases and the motor load that rotates the blade increases, so that frequent failures occur.

또한, 취반된 밥의 점도, 밥알의 단단한 정도 등에 따라 눌러 다지는데 필요한 힘이 다른데, 날의 높이 변화가 불가능해 밥의 상태에 따라 균일한 두께의 누룽지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force required to press and compact differs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cooked rice and the hardness of the grain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nurungji of a uniform thicknes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ric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height of the blade.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45062호의 "누룽지 연속 제조 설비용 밥 공급 성형 장치"(특허문헌2)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062, "rice feeding and molding equipment for continuous production equipment" (Patent Document 2) is disclosed.

이러한 특허문헌2는 호퍼로부터 가열판으로 밥을 정량 공급할 때 다져주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균질한 품질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is patent document 2 can have a homogeneous quality by giving a function of mincing when a quantity of rice is supplied from a hopper to a heating plate.

특허문헌2에서는 호퍼의 하단에서 바로 밥을 커팅하여 다짐틀로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 경우 왕복이동부재의 상면에는 호퍼에 저장된 밥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고, 왕복이동부재가 호퍼의 배출구 하단을 통과하고 난후에는 왕복이동부재의 다른 표면에 밥이 묻게 되어 왕복이동부재의 표면 위생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Patent Document 2, rice is cut directly from the lower end of the hopper and supplied to the compactor. In this case, the load of the rice stored in the hopper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let of the hopper. After passing through the rice, there is a risk that the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ember may be sanitary due to the fact that rice is deposi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member.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182073호, 누룽지 제조장치.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182073, Nurungji Manufacturing Equipment.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845062호, 누룽지 연속 제조 설비용 밥 공급 성형 장치.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845062, Rice Feed Molding Equipment for Nurungji Continuous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이 호퍼에 투입되고, 호퍼에 투입된 밥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과 하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을 순차 통과하면서 소정 형상의 모양을 갖도록 뭉처지는 성형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rice built in a steam and pressure method into a hopper, and the rice put into the hopper is a form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while moving to the lower part In order to form molded rice that is agglomerat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rimary molding means including a toothed roller as one of the secondary molding means including the molding roller as one of the mold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에 밥을 공급하는 밥 공급수단; 및 상기 밥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이 상기 성형틀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모양의 성형밥으로 성형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밥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ce forming apparatus for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rice supply means for supplying rice to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nd an in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n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rice supplied by the rice supply means can be put in, and a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rotatably installed therein through the inle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ice forming means in which the input rice is formed into shaped rice of a certain shape while passing through the forming mold and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상기 밥 성형수단은: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호퍼(Hopper);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및 성형틀이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ce forming means includes: a hopper into which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a separat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pper and rotates to disperse the rice fed into the hopper; and a molding cartridge body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separator, and provided with the inlet and outlet, and a forming mold.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cartridge body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lurality in a lin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는, 상단에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 성형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밥을 형성하도록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형성된 한 쌍의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 및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lded cartridge body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rice can be put at the upper en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molded rice can be discharged at the lower end; Prim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toothed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in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to collect the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A pair of moldings in which a molding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molding means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molding cartridge body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to form molded rice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roller;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otor.

상기 성형틀은: 상기 성형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성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die preferably includes one or more molding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lding roller.

상기 성형홈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groove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rectangular shape, a triangle shape, and a polygonal shap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는,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호퍼;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밥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분산돌출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은 호퍼와 연락되어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산된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 성형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밥을 형성하도록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된 한 쌍의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 및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pper into which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a separator includ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and rotating inside the hopper to disperse the rice input to the hopper, and a plurality of dispersing protruding rod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ng shaft to disperse the ric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separator,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rice dispersed by the separator can be put in contact with the hopper, and the lower end h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molded rice can be discharged Molded cartridge body provided; Prim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toothed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in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to collect the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A forming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o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to form the forming rice.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forming rollers formed abov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otor.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각각 소정 간격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두 개 이상의 회전축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두 개 이상의 회전축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켜 주는 복수의 분산돌출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or may include: two or more rotating shaft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hopper; and a plurality of dispersions that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f the rotation shafts, are installed to be alternately disposed on two or more rotation shafts, so that the two or more rotation shafts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disperse the rice fed into the hopp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otruding rod.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출구에 설치되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lding cartridge body includes: left and right opening/closing guide blocks installed on the outlet so as to slide to both side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밥을 소형 형상으로 성형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로서,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밥을 모아주어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및 상기 1차 성형수단의 하부에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1차 성형수단에서 모아진 밥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that molds rice into a small shape so as to manufacture nurungji, and forms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llects the rice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 prim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with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move it downward; And forming a pair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mold the rice collected in the primary forming means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lding in which a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means.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의하면,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이 호퍼에 투입되고, 호퍼에 투입된 밥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과 하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을 순차 통과하면서 소정 형상의 모양을 갖도록 뭉처지는 성형밥을 일정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ice prepared by steam and pressure method is put into the hopper, and the rice put into the hopper is moved to the lower part and includes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rimary forming means and the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uniformly forming the molded rice that is agglomerat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또한, 본 발명은 성형밥을 형성할 수 있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와 성형롤러가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탈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수단의 하나인 평기어들에 의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탈부착이 쉬워 유지 보수 및 세척 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pur gears, which are on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by means of which a toothed roller and a forming roller, which are one of the forming means capable of forming the forming rice, are installed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and attach and detach the forming cartridge body.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mit power by means of a devic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y maintenance and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 "A"부에 대한 성형수단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밥 성형수단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도 4표시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실시예로서, 성형 카트리지 몸체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개폐가이드 블록이 배출구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와 세퍼레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는 세퍼레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olding cartridge body of the molding means for the portion "A" of Figure 2,
4 is a view showing the molding cartridge body of the rice forming means provided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s an embodiment of the molding cartridge body shown in FIG. 4,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guide block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molding cartridge body;
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olding cartridge body and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rice mold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s viewed from above;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parator provided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are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scope not only in direct contact or connection, but also in contact or connection through other components between components and component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 "A"부에 대한 성형수단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밥 성형수단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도 4표시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실시예로서, 성형 카트리지 몸체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개폐가이드 블록이 배출구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와 세퍼레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구비는 세퍼레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of the forming means for the par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orming cartridge body of the rice forming means provided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is an embodiment of the molding cartridge body shown in FIG. 4,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guide block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outlet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provided in the molding cartridge body,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orming cartridge body and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re installed,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parator provided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는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을 누룽지로 제조할 수 있도록 지어진 밥을 공급하여 일정한 모양의 성형밥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가열몰드에서 누룽지 제조를 위한 소정 형상의 모양으로 밥을 뭉쳐지는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cooked rice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by steam and pressure method into nurungji and forms it into molded rice of a certain shape. .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lding rice into a lump in a shape of a predetermined shape for manufacturing nurungji in a heating mold.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는 밥 공급수단(200) 및 밥 성형수단(1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rice supply means 200 and a rice forming means 100 .

상기 밥 공급수단(200)은 누룽지 제조를 위해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The rice supply means 200 includ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supplying steam and pressure cooked rice for the production of nurungji.

또한, 상기 밥 성형수단(100)은 밥 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는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구(11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132)이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밥이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틀(132)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모양의 성형밥으로 성형되어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ice forming means 10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2 at the upper end and an outlet 114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rice supplied by the rice supply means 200 can be put in, and rotatably inside. A molding die 132 of a predetermined shape, which is one of the molding means, is installed, and the rice fed through the inlet 112 passes through the molding die 132, which is one of the molding means, and is molded into molded rice of a certain sha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is discharged through 114).

여기서, 상기 투입구(112)는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경사부을 이루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밥이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112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portion so as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inputted rice can easily enter the inside.

이러한 밥 성형수단(100)은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도록 밥 공급수단(200)의 하나인 호퍼(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ice forming means 100 preferably includes a hopper 210 which is one of the rice feeding means 200 so that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therein.

이때, 상기 호퍼(210)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밥 분산수단의 하나인 세퍼레이터(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parator 220 which is one of the rotating rice dispersing means installed rotatably inside the hopper 210 to disperse the rice input to the hopper 210 .

상기 세퍼레이터(220)는 호퍼(210)의 내부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222)과, 상기 회전축(222)에 각각 소정 간격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두 개 이상의 회전축(222)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두 개 이상의 회전축(222)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210)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켜 주는 복수의 분산돌출봉(2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parator 220 includes two or more rotating shafts 222 that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hopper 210, and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otating shafts 222,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dispersing protruding rods 224 that are installed to be alternately disposed on two or more rotational shafts 222 to disperse the rice input to the hopper 210 while the two or more rotational shafts 222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이러한 세퍼레이터(220)의 하부에 상기 밥 성형수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호퍼(2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112)와 배출구(114) 및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틀(132)이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하다. The separator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10 so that the rice forming means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or 220, and the inlet 112 and outlet 114 and a forming mold 132 as one of the form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olding cartridge body 110 that is provided.

이때,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는 호퍼(210)의 하부에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일렬로 설치함에 의해 한번에 성형되는 성형밥은 2개 이상일 수 있고, 적당한 수량은 5개일 수 있다. 즉,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설치 개수에 따라 한번에 성형되어 배출되는 성형밥의 개수가 결정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plurality in a line at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210, an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molding cartridge body 110 in a line, the molded rice formed at a time is two. or more, and a suitable quantity may be 5 pieces. That is, the number of molded rice molded and discharged at one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ed molded cartridge bodies.

또한, 상기 밥 성형수단(100)은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내부에 성형수단의 하나인 한 쌍의 톱니롤러와 한 쌍의 성형롤러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ice forming means 100 is provided such that a pair of toothed rollers and a pair of forming rollers, which are one of the forming means, are vertically disposed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

이때, 한 쌍의 톱니롤러는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로서,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110)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air of toothed rollers are one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 and each other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so as to collect the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112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또한, 한 쌍의 성형롤러는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로서,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110)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air of forming rollers are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and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be

이때, 상기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에는 성형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orming mold 13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formed on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so as to form the shaped rice.

이러한 성형틀(132)은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형홈은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lding frame 132 preferably includes a molding groove, which is one of the molding means, which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ld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molding means 130 . At this time, the form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in one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또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홈은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성형홈의 형상에 따라 성형되는 성형밥의 형상이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forming groove,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ny one shape of a circle, an oval, a square, a triangle, and a polygon, and the shape of the formed rice to be form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rming groove.

본 발명은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되면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홈이 맞물려 성형밥을 형성한다. 즉,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홈의 형상을 따라 성형밥의 모양이 결정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forming rollers,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is rotated in a mutually opposite direction, the forming groove,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engaged to form shaped rice. That is, the shape of the molded r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ing groove, which is one of the molding means.

또한,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와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은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외부에서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와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평기어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평기어들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and the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and the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includes spur gear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by the spur gears.

이때,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와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톱니롤러에 연결되는 평기어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에 외부로 어느 일부위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모터에 연결되도록 구동평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끼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의 하나인 구동평기어에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140)의 하나인 평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되므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결합함과 동시에 동력전달수단(140)의 하나인 평기어들과 구동평기어가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동력을 전달한다. At this time, the spur gear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and the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is installed so that a certain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and , a driving spur gear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and by fitting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 the driving spur gear, which is on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 is installed in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 Since the spur gears, which are one of the means 140, are rotated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power. That is, while coupling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 the spur gears, which are on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 and the driving spur gear are engaged and rotated to transmit power.

이때,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야만 평기들과 구동평기어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수단(116)의 하나인 걸림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턱은 선단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하부로 소정 텐셩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11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삽입하는 경우 걸림턱의 경사면이 안내되면서 걸림턱이 하부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작동하여 끼움 결합된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선단을 고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only when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an accurate position, the spurs and the driving spur gear can be rotated by meshing with each other.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jaw, which is one of the locking means 116 that can fix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is installed, and the locking jaw has an inclined surface at the tip and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on in the lower part, When the molded cartridge body 110 is inserted to fit into the molded cartridge body 11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jaw is guided and the locking jaw operates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on downward to fix the tip of the fitted molding cartridge bod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의 실시예로서,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는 밥 공급수단의 하나인 호퍼(21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210)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22)과, 상기 회전축(22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밥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분산돌출봉(224)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세퍼레이터(2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밥 공급수단의 하나인 호퍼(210)의 하부에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상단에는 밥 공급수단의 하나인 호퍼(210)와 연락되어 세퍼레이터(220)에 의해 분산된 밥이 투입될 있는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성형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as an embodiment of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pper 210, which is one of the rice supply means into which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is provided, and is put into the hopper 210. A rotary shaft 222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nd rotates inside the hopper 210 to disperse the rice, and a plurality of dispersing protruding rods 224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rotary shaft 222 to disperse the rice. The formed cartridge body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10, which is one of the rice supply means,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separator 220, and the formed cartridge body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is in contact with the hopper 210, which is one of the rice supply means, and an inlet 112 into which the rice dispersed by the separator 220 is put is formed, and at the lower end i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molded rice can be discharged. (114) is preferably formed.

이러한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내부에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110)의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한 쌍의 톱니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110)의 내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한 쌍의 성형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성형롤러에 의해 성형밥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성형롤러의 외주면에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132)이 원주방향을 다라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외부에서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Primary molding means ( 120), a pair of toothed rollers is installed, and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is rotatably rotatably engaged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 a pair of forming rollers are installed to form the formed rice by the forming roller. Formed above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a power transmission unit 14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otor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밥을 소형 형상으로 성형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로서,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밥을 모아주어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120)과, 상기 1차 성형수단(120)의 하부에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1차 성형수단(120)에서 모아진 밥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외주면에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132)이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that molds rice into a small shape so as to manufacture nurungji, and forms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and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llect the rice and move it downward.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including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having teeth formed on the first forming means 120, and forming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econdary forming means ( 1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팀 및 압력방식으로 지어진 밥이 밥 공급수단(200)에 의해 호퍼(210)에 투입되고, 호퍼(210)에 투입된 밥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틀(132)을 통과하면서 소정 형상의 모양을 갖도록 뭉처지는 성형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120)과 하부에 설치되는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130)을 순차 통과하면서 성형밥이 성형되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ice built in a steam and pressure method is put into the hopper 210 by the rice supply means 200 , and the rice put into the hopper 210 is moved to the bottom while forming a mold as one of the forming means. As it passes through (132), it forms a molded rice that is agglomerat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t this time, forming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including the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including the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The rice is molded.

또한, 2차 성형수단(130)을 통과하면서 성형된 성형밥은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배출구(114)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구(114)에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 블록(118)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 블록(118)에 의해 배출구(114)를 개폐함으로서, 토출되는 성형밥이 일정한 위치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측 가이드 블록(118)는 실린더(미도시) 혹은 모터 등에 의해 왕복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lded rice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110, at this time, the outlet 114 has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guide blocks 118 on both sides. is installed to slide,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114 by the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guide blocks 118, the discharged molded rice can be discharg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guide blocks 118 may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ed by a cylinder (not shown) or a motor.

이와 같이 성형된 성형밥은 이송수단에 의해 가열몰드로 이동되어 상기 가열몰드에서 누룽지로 제조된다. The molded rice molded in this way is moved to a heating mold by means of a transfer means and manufactured as nurungji in the heating mold.

본 발명에 따른 밥 성형수단(100)은, 호퍼(210)로 부터 투입되는 밥이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톱니롤러와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순차 통과하면서 성형밥으로 성형되며, 상기 1차 성형수단(120)의 하나인 톱니롤러와 2차 성형수단(130)의 하나인 성형롤러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동력전달수단(140)의 하나인 평기어들에 의해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결합는 것만으로 롤러들이 회전되도록 치함되므로, 성형 카트리지 몸체(110)의 탈부착이 쉬워 유지 보수 및 세척 등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In the rice form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input from the hopper 2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120 and a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forming means 130 . While being molded into molded rice, the toothed roller as one of the primary molding means 120 and the molding roller as one of the secondary molding means 130 are installed inside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 140), since the rollers are rotated only by coupling the molding cartridge body by one of the spur gears,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molding cartridge body 110, so maintenance and cleaning are convenient.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technical spirit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 밥 성형수단 110 - 성형 카트리지 몸체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16 - 걸림수단 120 - 1차 성형수단
130 - 2차 성형수단 132 - 성형틀
140 - 동력전달수단 200 - 밥 공급수단
210 - 호퍼 220 - 세퍼레이터
100 - rice forming means 110 - forming cartridge body
112 - inlet 114 - outlet
116 - locking means 120 - primary forming means
130 - secondary forming means 132 - forming mold
140 - Power transmission means 200 - Rice supply means
210 - hopper 220 - separator

Claims (10)

누룽지 제조시스템에 밥을 공급하는 밥 공급수단; 및
상기 밥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이 상기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틀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모양의 성형밥으로 성형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밥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rice supply means for supplying rice to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nd
An inle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n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rice supplied by the rice supply means can be put in, and a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rotatably installed therein, and input through the inlet.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rice forming means in which the rice to be formed is molded into shaped rice of a certain shape and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while passing through a forming die,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 성형수단은: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호퍼(Hopper);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및 성형틀이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ice forming means is:
a hopper into which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a separat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pper and rotates to disperse the rice fed into the hopper; and
and a molding cartridge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separator, and provided with the inlet and outlet, and a forming mo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lded cartridge body comprises: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in a line at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상단에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 성형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밥을 형성하도록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형성된 한 쌍의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 및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a molding cartridge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rice can be put at the upper en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ormed rice can be discharged at the lower end;
Prim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toothed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in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to collect the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A pair of moldings in which a molding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molding means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molding cartridge body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to form molded rice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roller; and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otor; of rice forming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상기 성형롤러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성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ld is: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forming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rming roll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lding groove is: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y one shape of a circle, an oval, a square, a triangle, and a polygon.
공급되는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호퍼;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밥을 분산시키는 복수의 분산돌출봉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은 호퍼와 연락되어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산된 밥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단에 성형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성형 카트리지 몸체;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밥을 모아주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상기 톱니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 카드리지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밥을 형성하도록 성형수단의 하나인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된 한 쌍의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 및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성형롤러와 톱니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a hopper into which the supplied rice can be put;
a separator includ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and rotating inside the hopper to disperse the rice input into the hopper, and a plurality of dispersing protruding rod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ng shaft to disperse the rice;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separator,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rice dispersed by the separator can be put in contact with the hopper, and the lower end h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molded rice can be discharged Molded cartridge body provided;
Prim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toothed roller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in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to collect the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A forming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as one of the forming means is o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mutual engagement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be disposed under the toothed roller to form the forming rice.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forming rollers formed above; and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a power transmission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forming cartridge body so as to rotate the forming roller and the toothed roll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otor; of rice forming equipment.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각각 소정 간격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두 개 이상의 회전축에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두 개 이상의 회전축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에 투입되는 밥을 분산시켜 주는 복수의 분산돌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2 or 7,
The separator is:
two or more rotating shaft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side the hopper; and
A plurality of distributed protrusions that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f the rotation shafts, are installed to be alternately disposed on two or more rotation shafts, so that the two or more rotation shafts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disperse the rice fed into the hopper Bong;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카트리지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출구에 설치되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4 or 7,
The molded cartridge body includes: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left and right opening/closing guide blocks installed at the outlet so as to slide to both side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밥을 소형 형상으로 성형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밥을 모아주어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톱니롤러를 포함하는 1차 성형수단; 및
상기 1차 성형수단의 하부에 상호 인접하게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1차 성형수단에서 모아진 밥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성형틀이 형성된 성형수단의 하나인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2차 성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In the rice forming apparatus of the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the rice is molded into a small shape so as to manufacture nurungji,
Primary forming means comprising a toothed roller, which is one of the forming means having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collect rice and move it downward while forming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Forming means in which a forming mold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form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forming means and mold the rice collected in the primary forming means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ischarge to the lower portion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 rice forming apparatus of a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secondary forming means including a forming roller which is one of the.
KR1020200049749A 2020-04-24 2020-04-24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KR20210131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49A KR20210131553A (en) 2020-04-24 2020-04-24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49A KR20210131553A (en) 2020-04-24 2020-04-24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553A true KR20210131553A (en) 2021-11-03

Family

ID=7850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49A KR20210131553A (en) 2020-04-24 2020-04-24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55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en) 2012-03-05 2012-09-11 조성미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845062B1 (en) 2018-01-18 2018-04-03 양재원 Rice supplying and shaping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ing equipment of scorched r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073B1 (en) 2012-03-05 2012-09-11 조성미 Device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KR101845062B1 (en) 2018-01-18 2018-04-03 양재원 Rice supplying and shaping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ing equipment of scorched r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062B1 (en) Rice supplying and shaping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ing equipment of scorched rice
CN1092024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pizza
KR101848832B1 (en) Continuous manufacturing apparatus of scorched rice
JP2540220B2 (en) Kn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 especially batter products
KR100949167B1 (en) Manufacture equipment of rice noodles
KR101140915B1 (en) sujebi machine
DK152530B (en) APPLICATION FOR SOIL DIVISION OF MATERIALS.
KR102045266B1 (en) Bap Quantitative Suppl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quipment of scorched rice
CN112797781B (en) Preparation method of nutritional organic rice flour for infants
KR20210131553A (en) Rice molding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KR200441547Y1 (en) Noodle-making machine
CN205884557U (en) Dedicated convenient and practical dumpling wrapper of food processing machine
RU2222194C2 (en) Macaroni press
CN108783257A (en) A kind of blood bean curd process equipment
KR20200015130A (en) Rolling unit for tortilla dough
RU2364086C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dosed quantities of flour and bread supplying into dough kneading machine
CN110604143A (en) Inclusion type imitation handmade dumpling machine
KR101671412B1 (en) Manufacturing device of dumpling-shaped fish paste
KR20210131571A (en) Nurungji Discharge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KR101444797B1 (en) product method for rice cake
KR20210131086A (en) Rice input device of Nurungji Manufacturing System
KR950009028B1 (en) Automatic device for making noodle
CN111616298A (en) Multilayer instant noodle cake production equip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5724501A (en) Device for producing flour wrapper
KR200341249Y1 (en) A serial noodle making machine for one per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