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603A -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 Google Patents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603A
KR20210130603A KR1020200060419A KR20200060419A KR20210130603A KR 20210130603 A KR20210130603 A KR 20210130603A KR 1020200060419 A KR1020200060419 A KR 1020200060419A KR 20200060419 A KR20200060419 A KR 20200060419A KR 20210130603 A KR20210130603 A KR 20210130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dministration
food composition
weight
propo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명행
주현경
Original Assignee
(주)지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지웰바이오
Publication of KR2021013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green tea extract, Platycodon grandiflorus, and propolis.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body fine dust discharge/detoxification effect and a body heavy metal discharge/detoxification effect.

Description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green tea extract, a bellflower extract and a propolis extract.

폐는 공기 중에서 산소를 혈액 중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호흡작용 외에도 폐는 호흡에 의해 열을 발산시킴으로써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고, 몸 속에 있는 산과 염기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폐의 질병에는 천식, 기관지염,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 폐결핵, 폐암 등으로 많이 발병하며, 급성에서부터 만성까지 다양하게 발병된다. 이러한 폐 질환의 원인으로는 흡연과 매연, 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폐 질환으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부정맥, 심부전, 폐동맥 고혈압이 발병할 수 있으며, 우울증과 수면장애, 골다공증, 전신쇠약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lungs take in oxygen from the air into the blood and discharge carbon dioxide, a waste product from the blood, into the air. In addition to respiration, the lungs have the function of regulating body temperature by dissipating heat through respiration, and maintaining the balance of acids and bases in the body. Pulmonary diseases include asthma, bronchitis, pneumoni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ulmonary tuberculosis, lung cancer, and the like. The causes of these lung diseases are known as smoking, soot,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In addition, hypoxia due to lung disease may cause arrhythmia, heart failure, and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which may lead to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osteoporosis, general weakness, and the like.

한편, 최근 미세먼지 및 코로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질병 발병으로 폐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폐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의 판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는 다양한 크기, 구성 그리고 발생원을 가지고 있는 입자상 복합 오염물질로,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으로 보통 직경 10 ㎛ 이하인 먼지를 미세먼지(PM10)라고 하고, 2.5 ㎛ 이하인 먼지는 초미세먼지(PM2.5)라 하며, 이보다 더 작은 0.1 ㎛ 이하를 극초미세먼지(PM0.1)라고 한다. 발생원인은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인위적인 발생원과 황사, 화산재 및 산불 등 자연환경 자체에 의한 발생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성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입자의 크기, 표면적 및 화학적 조성에 따라 건강의 위험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와 황사는 기도를 자극해 기침, 가래, 염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데, 심장질환자, 영유아, 노인 및 임산부 등은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위험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당부된다. 특히, 미세먼지는 각종 발암물질 및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심혈관 및 뇌질환, 치매, 조산 및 태아 기형 등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 질환, 미세먼지 및 중금속의 배출의 예방방법 및 치료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Meanwhile, the public's interest in the lungs is increasing due to the onset of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and corona virus. Particulate matter is a particulate complex contaminant having various sizes, compositions, and sources of generation. Generally, dust suspended in the air with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is called PM10, and dust with a diameter of 2.5 μm or less. is called ultrafine dust (PM2.5), and particles smaller than 0.1 μm are called ultrafine dust (PM0.1). The causes of occurrence can be divided into anthropogenic sources emitted during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or oil, and sources caus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itself, such as yellow sand, volcanic ash, and forest fires. The composition of such fine dust i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it is known that the health risk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surface area, and chemical composition. Fine dust and yellow dust stimulate the airways and cause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ough, sputum, and inflammation. In particular, since fine dust contains various carcinogens and heavy metals, it can seriously affect the human body, such as cardiovascular and brain diseases, dementia, premature birth, and fetal malformations. Accordingly, although a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fine dust and heavy metal emission due to fine dust has been proposed, it is difficult to present a clear solu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58618 호에서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와 폐의 염증을 완화시켜주지만 본질적으로 체내에 유입된 미세먼지나 중금속을 배출하는 효과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보다 다각적이면서 복합적으로 폐 기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8618 describ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induced by fine dust using a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ior art relieves inflammation of the respiratory tract and lungs caused by fine dust, but does not provide an effect of discharging fine dust or heavy metal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body.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therapeutic agent for improving lung function in a more diversified and complex manner.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녹차, 도라지 및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특히, 폐 기능 및 폐 질환 개선 관련 효능을 가지는 녹차, 도라지 및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를 제조하고 유효성분의 최적 추출 조건을 정립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이 미세먼지와 중금속 배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including green tea, bellflower, and propolis, while researching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In particular, by using green tea, bellflower, and propolis, which have effects related to improving lung function and lung disease, a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was prepared a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active ingredient were established, so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tural extract has the effect of emitting fine dust and heavy metals. found to have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green tea extract, a bellflower extract and a propolis ex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including a green tea extract, a bellflower extract, and a propolis ex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green tea extract, a bellflower extract and a propolis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상기 도라지 추출물, 및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2.5 내지 4.5 중량부 및 0.01 내지 0.1 중량부 포함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en tea extract, the bellflower extract, and the propolis extract are 1 to 3 parts by weight, 2.5 to 4.5 parts by weight, and 0.01 to 0.1 parts by weight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mixed extract comprising maekmundong, ginseng, ragweed, and Tobokryeong, and the mixed extract may contain 1 to 3 parts by we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및 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ed extract may include maekmundong, ginseng, ragweed and tobokryeong in a weight ratio of 0.5 to 1.5: 0.5 to 1.5: 0.5 to 1.5: and 0.5 to 1.5.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일실시예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폐 흡수용인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may be for transpulmonary absor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내 미세먼지 배출 효과 및 체내 중금속 배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 형태로 경폐 흡수가 가능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ffect of excreting fine dust in the body and an effect of excreting heavy metals in the body. 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food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particula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to enable transpulmonary absorption in the form of an oral spra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iO투여 농도 설정에 관한 예비 실험의 결과로 NiO나노 입자의 농도에 따른 전체 세포 수 대비 호중구 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 확인 실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iO 나노입자 투여 후, 폐세척액에서 확보한 전체 세포 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iO 나노입자 투여 후, 폐세척액의 CINC-3 검출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배출 확인 실험의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ALT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AST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BUN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5일차의 간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A는 G1, B는 G4, C는 G5 및 D는 G8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5일차의 간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A는 G5, B는 G8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ratio of neutrophil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NiO nanoparticles as a result of a preliminary experiment on setting the concentration of N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dust emission confirm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total number of cells obtained from the lung lavage after administration of NiO 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amount of CINC-3 detected in lung lavage after administration of NiO nan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vy metal emission confirm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ALT analysis in serum after administration of cadm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ST analysis results in serum after administration of cadm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BUN analysis in serum after administration of cadm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liver tissue on day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G1, B is G4, C is G5, and D is G8.
11 is a diagram show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liver tissue on day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results of G5 and B shows the results of G8.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원의 제 1 측면은,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green tea extract, a bellflower extract and a propolis extract.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원의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천연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을 포함한다. 천연물은 별도의 한정이 없는 이상 본원에 기재된 것 또는 이의 가공물을 지칭하며, 기재된 천연물은 주로 학명으로 표현되나 변종 및 아종도 포함한다.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ixture of natural products described below in a certain ratio. Unless otherwise specified, natural products refer to those described herein or processed products thereof, and described natural products are mainly expressed by scientific names, but also include varieties and subspecies.

도라지(길경)Bellflower (Gilkyung)

길경(Platycodonis Radix)은 초롱꽃과 도라지속(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에 속하는 한약재로서, 뿌리로 가늘고 긴 방추형 또는 원뿔모양이며 때로 가지가 갈리기도 한다. 원뿌리는 길이 10 ∼ 15 cm, 지름 1 ∼ 3 c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 연한 갈색 또는 흰색이고, 위쪽 끝에는 줄기를 제거한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부근에는 가는 가로주름과 세로 홈이 있다. 근두부를 제외한 뿌리의 대부분에는 거친 세로주름과 가로 홈이 있고 껍질눈 모양의 가로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꺾기 쉽다. 횡단면은 섬유성이 아니며, 피부는 목부보다 약간 얇고 거의 흰색이며 군데군데 빈틈이 있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을 띤다. 목부는 흰색 ~ 연한 갈색이고 조직은 피부보다 약간 치밀하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코르크층은 황갈색지만 대부분은 이미 제거되어있다. 사부는 넓고 바깥쪽의 사부수선은 구부러졌으며 사관 무리는 대부분 눌려서 퇴폐되어있다. 유관은 무리를 이루어 흩어져 있고 그 안에는 황갈색의 과립상 물질이 들어 있다. 안쪽의 사부중에는 유관무리가 사관과 동반하여 배열하고 있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고 목부는 수선이 넓고 도관은 다각형이며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서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으며 맛은 처음에는 담담하고 후에는 아리고 쓰다. 신경통과 편도선염 등의 약재로 사용되며, 거담, 진해, 진통, 진정, 해열 작용이 있으며, 소염진통, 진해거담제로 사용된다.Gilgyeong (Platycodonis Radix) is an herbal medicine belonging to the genus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of the bellflower family. The root is 10-15 cm long and 1-3 cm in diameter. The outer surface is grayish-brown, light brown or white, and there are concave marks on the upper end of which stems have been removed, and there are thin horizontal wrinkles and vertical grooves near them. Most of the roots, except for the root, have rough vertical wrinkles and horizontal grooves, and there are horizontal lines in the shape of shell eyes. The quality is firm but easy to break. The transverse section is not fibrous, the skin is slightly thinner than the xylem, almost white, with several pits, and the cambium area is brown. The neck is white to light brown, and the tissue is slightly denser than the ski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is drug is viewed under a microscope, the cork layer is yellowish-brown, but most of it has already been removed. The sergeant is wide and the outer sergeant line is curved, and the sergeant group is mostly depressed and decadent. The ducts are scattered in clusters and contain yellowish-brown granular material. Among the officers in the back, related groups are arranged together with the officers. The cambium forms a ring, and the xylem has a wide water line, and the conduit is polygonal, and one or several are arranged radially. This medicine has a slight characteristic odor, and the taste is mild at first and bitter and bitter afterward. It is used as a medicine for neuralgia and tonsillitis, has expectorant, antitussive, analgesic, sedative, and antipyretic action, and is used as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tussive expectorant.

녹차green tea

녹차는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O Kuntze)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음료로서, 아시아 뿐 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음료이다. 차는 아시아 기원으로 주로 전통적인 녹차에 사용되는 잎이 작은 중국계 (Camellia sinensis L. var. sinesis)와 발효차에 주로 사용되는 잎이 크고 넓은 아삼계 (Camellia sinensis L. var. assamica)로 나뉜다. 차나무는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다. 뿌리는 아래로 곧게 뻗고 깊이가 2∼4 m이며, 곁뿌리는 길이가 15∼20 cm이고, 가는 뿌리가 많다. 잎은 품종이나 위치에 따라 변이가 크지만 어긋나고 길이 6∼20 cm, 폭 3∼4 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과 밑부분이 뾰족하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10∼11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1∼3개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모가 졌고, 다음해 봄부터 자라기 시작하여 가을에 익기 때문에 꽃과 열매를 같은 시기에 볼 수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갈색의 단단한 종자가 나온다. 녹차는 잎을 따서 증기로 찌거나 뜨거운 바람으로 산화효소를 비활성화시킨 다음 말린다. 이러한 녹차의 씨에는 카페인, 기름 22%(씨 속에 18%), 테아사포닌(C57H90O26)이 있다. 테아사포닌은 테아사포게놀(C18H34O7), 글루쿠론산(C18H34O7),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안겔리크산으로 물분해된다. 씨에는 또한 33%의 녹말, 8.5%의 단백질이 있다. 줄기, 뿌리, 씨에는 스테로이드사포닌이 있는데 특히 씨에 많다(9~10%).Green tea is produced by the tea tree (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a drink made from young leaves, and is a favorite drink not only in Asi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e car split into two smaller Chinese (Camellia sinensis L. var. Sinesis) and fermented tea Oh Trailokya (Camellia sinensis L. var. Assamica) leaf which is mainly used in the big wide leaves are used mainly in the traditional tea Asian origin. The tea tree is an evergreen bush. The root extends straight down and is 2-4 m deep, and the side root is 15-20 cm long, and there are many thin roots. The leaves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variety or location, but they are alternate phyllotaxis and have a long oval shape with a length of 6-20 cm and a width of 3-4 cm. The quality of the leaves is hard, a little thick, and the surface is glossy. The flowers are white or light pink in October-November, and 1 to 3 flowers hang from the leaf axil or the tip of the branch. The fruits are capsules, round, and have a grain, and they start to grow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and ripen in the fall, so flowers and fruits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As the fruit ripens, it bursts to reveal hard brown seeds. Green tea leaves are picked and steamed or hot air inactivated oxidase and then dried. These green tea seeds contain caffeine, oil 22% (in the seeds 18%), and theasaponin (C57H90O26). Theasaponin is hydrolyzed into theasapogenol (C18H34O7), glucuronic acid (C18H34O7), galactose, arabinose, xylose, and angelic acid. The seeds also have 33% starch, 8.5% protein. Stems, roots and seeds contain steroid saponins, especially in seeds (9-10%).

프로폴리스propolis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수목 및 초본으로부터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을 벌들이 뒷다리에 붙여 모은 후 자신들의 타액과 혼합하여 타액속의 효소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고분자 중합체들의 복합물에 대한 총칭으로서, 그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이다.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본, 플라보논, 플라보놀, 플라바놀, 플라바논 및 아이소플라본 등과 같은 안소잔신류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수백 종의 안소사이아닌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탄닌류로서의 캬테킨 및 류우코잔신을 포함한다.Propolis is a substance such as resin extracted from various kinds of trees and herbs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by bees, attached to their hind legs, collected by bees, and then mixed with their own saliva to interact with enzymes in saliva. A generic term for a complex of various high molecular polymers produced by the reaction, the main component of which is flavonoids. Flavonoids include anthoxanes such as flavones, flavonones, flavonols, flavanols, flavanones and isoflavones, and sugar-bound glycosides, hundreds of anthocyanins and sugar-bound glycosides, catechins as tannins and leucoxancin.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원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xtract" refers to a preparation obtained by squeezing a herbal medicine with an appropriate leachate and evaporating the leachate, and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a crude product thereof, or a purified product. The extra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prepared using general extraction method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The extraction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but preferably,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주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매로서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fractionation by adding a fractionation solvent to the extract prepared by extraction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extraction with an extraction solvent. The extraction solv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a solvent such as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nd the organic solvent is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 polar solvent such as ethyl acetate or acetone, hexane or A non-polar solvent of dichlorometh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may be used. In addition, preferably water,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may be used, and more preferably water or alcohol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ract using alcohol as the solvent was prepar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물을 상기 추출용매와 함께 탕전기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1 내지 1,000 중량부의 용매에 상기 혼합 생약재가 첨가되어 가열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용매에 상기 혼합 생약재가 첨가되어 가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80 내지 11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구체적으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유효성분들이 변성될 수 있으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원하는 정도로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xtract extracted by heating a natural product together with the extraction solvent in a water heater at a high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extract may be one that is heat-extracted by adding the mixed herbal material to 1 to 1,0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More preferably, 200 to 3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may be heated and extracted by adding the mixed herbal material.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for 6 to 10 hours, specifically 8 to 10 hours at a temperature of 80 to 110 ℃. When extract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is, the active ingredients may be denatured, and when extract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is, the active ingredients may not be extracted to the desired degree.

본 발명의 가열 추출된 추출액은 혼합 생약재의 용질부를 제거한 후 추가로 진탕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된 용매의 1/5 내지 1/4가 남을 때까지 진탕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The heat-extract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shaken after removing the solute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Specifically, shaking extraction may be performed until 1/5 to 1/4 of the added solvent remains.

또한, 상기 추출액은 여과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에는 상압여과, 감압여과, 가압여과, 한외여과, 정밀여과 및 역삼투압 여과 등 당업계에 사용되는 여과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의 기공 크기는 20 내지 40㎛일 수 있으며,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큰 경우 이물감이 높아질 수 있고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작은 경우 주요 유효성분이 제외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 may be filtered. For the filtration, atmospheric filtration, reduced pressure filtration, pressure filtration, 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filtration, such as filtration methods used in the art may be used. The pore size of the filter used for filtration may be 20 to 40 μm, and if the pores of the filtration filter are larger than this, the feeling of foreign matter may increase, and if the pores of the filtration filter are smaller than this, the main active ingredient may be excluded.

또한, 상기 추출액은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농축에는 감압가열 농축, 상압가열 농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가열 농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축액은 고형분이 50 내지 70 중량%까지 포함되도록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내 고형분의 농도는 증발시켰을 때 남게되는 고형분의 중량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tract may be concentrated. The concentration may include methods such as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heating, concentration under atmospheric pressure, spray drying, drum drying, freeze drying, and the like, and among them,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may be used. Specifically, the concentrate may be concentrated to contain up to 50 to 70% by weight of solids. The concentration of solids in the extrac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weight of the solids remaining upon evapora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을 분말 또는 액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녹차 추출물을 분말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수추출물인 것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과, 농축, 살균, 또는 건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녹차 추출물은 40 % 이상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een tea extract may be used in powder or liquid form, and preferably, green tea extract may be used in powder form. Specifically, the green tea extract may be a water extract of green tea, and may additionally be filtered, concentrated, sterilized, or dried. In addition, the green tea extract contains catechins, and preferably, the green tea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40% or more of catechins.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며, 도라지 추출물은 100% 도라지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의 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여과, 농축, 살균, 또는 건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 고형분을 6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라지 고형분은 60 내지 66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llflower extract, and the bellflower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as 100% bellflower concentrate. The bellflower extract may be a water extract of bellflower, and may be additionally filtered, concentrated, sterilized, or dried. In addition, the bellflower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bellflower solid content of 60 to 80% by weight. Preferably, the solid content of bellflow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60 to 66% by weigh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가 10 %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식품첨가물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프로폴리스 혼합액 형태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 혼합액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8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40 내지 5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4 내지 8 중량%, 정제수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9 중량%, 글리세린 4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6 중량%, 정제수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폴리스 혼합액의 제조방법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파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배합 비율에 의해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4배의 발효 주정에 완전히 용해하여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 후 여과기로 여과하여 상기 프로폴리스 주정액에 글리세린, 폴리소르베이트-20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완전히 용해하고 유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을 농축하여 주정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중량을 맞추어 프로폴리스 혼합액을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polis extract, and the propolis extract preferably contains 10% or more of total flavonoids. In addition, the propolis extract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ropolis mixture by mixing food additives and purified water. The propolis mixture may include 8 to 10% by weight of propolis extract, 40 to 50% by weight of glycerin, 4 to 8% by weight of polysorbate-20, and 30 to 50% by weight of purified water. Preferably, it may contain 9% by weight of propolis extract, 45% by weight of glycerin, 6% by weight of polysorbate-20, and 40% by weight of purified water.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propolis mixture may be obtained by crushing the propolis extract and pulverizing it, and completely dissolving the propolis extract in 4 times the fermented alcohol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have. Thereafter, it may be filtered through a filter, mixed with glycerin, polysorbate-20, and purified water with the propolis liquor, completely dissolved and emulsified. In addition, a propolis mixture prepared by concentrating the mixture to remove alcohol and weighing the mixture with purified water may be us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의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도라지 추출물 2.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1 to 3 parts by weight of green tea extract, 2.5 to 4.5 parts by weight of bellflower extract, and 0.01 to 0.1 parts by weight of propolis extract.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혼합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이 경우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전체 식품 조성물의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및 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1:1: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 mixed extract comprising maekmundong, sagebrush, gadungworm and tobokryeong, and in this case, the mixed extract may be 1 to 3 parts by weight. In this case, the efficacy can be maximized, and the taste and flavor of the whole food composition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the mixed extract is 0.5 to 1.5: 0.5 to 1.5: 0.5 to 1.5: and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0.5 to 1.5. Preferably, it may be to include maekmundong, sagebrush, ragweed mugwort and tobokryeong in a weight ratio of 1:1:1:1.

본 발명의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으로 이루어진 생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5 내지 20 중량부의 용매에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가 첨가되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9 중량부의 70 % 주정으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10 내지 14시간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의 온도에서 12시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추출 단계 이 후, 추가적으로 여과, 농축 및 살균의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의 기공 크기는 20 내지 3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일 수 있다.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큰 경우 이물감이 높아질 수 있고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작은 경우 주요 유효성분이 제외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여과 후, 농축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압가열 농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축액은 Brix가 45 이상이 되도록 농축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농축 후, 살균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살균으로 88 내지 92℃의 온도에서 60 내지 65분 살균되는 것일 수 있다.The mixed extract containing maekmundong, ginseng, sagebrush, and Tobokryeo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mixing and then extracting the herbal medicines composed of maekmundong, sasansam, gaesam, and Tobokryeong. Specifically,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dding mixed herbal ingredients including maekmundong, ginseng, wormwood and Tobokryeong to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Preferably,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9 parts by weight of 70% alcohol. In addition, the mixed extract may be extracted at a temperature of 60 to 80 ℃ for 10 to 14 hours, preferably it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0 ℃ for 12 hours. The mixed extract may be prepared by further including the steps of additional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sterilization after the extraction step. The pore size of the filter used for filtration may be 20 to 30 μm, preferably 25 μm. If the pores of the filtration filter are larger than this, the feeling of foreign body may increase, and if the pores of the filtration filter are smaller than this, the main active ingredient may be excluded. The mixed extract may be concentrated after filtration, and preferabl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may be used. Specifically, the concentrate may be one that is concentrated so that the Brix is 45 or more, preferably 50 or more. The mixed extract may be sterilized after concentration, preferably sterilized by high-temperature sterilization at a temperature of 88 to 92° C. for 60 to 65 minutes.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폐 기능 개선 용도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폐 기능 개선"은 폐 기능 및/또는 용량의 개선, 감소된 피로, 및 산소 포화의 개선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질병 또는 증상의 경감, 치료 또는 예방을 포함하는 의미로,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체내 미세먼지 배출 효과와 체내 중금속 배출 효과에 의해 폐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od composition has a use for improving lung function. As used herein, the term “improving lung function” includes improvement in lung function and/or capacity, reduced fatigue, and improvement in oxygen saturation. As used herein, the term "improvement" is meant to include alleviation,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r symptoms, and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od composition has a lung function due to the effect of excreting fine dust from the body and the effect of excreting heavy metals from the body. was found to be improved.

본 발명의 체내 미세먼지 배출 효과는 체내로 흡수된 미세먼지를 배출하고 해독시키는 효과를 의미하며, 체내에 흡수되어 축적되는 미세먼지에 의한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NiO 나노입자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마우스에 실시예 1의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투여 시 증가된 세포의 감소 및 사이토카인의 억제가 나타나 염증 완화, 체내 미세먼지 배출 및/또는 해독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The effect of discharging fine dust from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effect of discharging and detoxifying the fine dust absorbed into the body, and it can be used for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absorbed and accumulated in the body.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tural extract of Example 1 was administered to a mouse induced by NiO nanoparticles, an increased decrease in cells and inhibition of cytokines appeared to relieve inflammation, discharge of fine dust in the body and / Or it could be inferred that it had a detoxifying effect.

본 발명의 체내 중금속 배출 효과는 체내로 흡수된 중금속을 배출하고 해독시키는 효과를 의미하며, 체내에 흡수되어 축적되는 중금속에 의한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금속은 비소, 납, 카드뮴 및 수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카드뮴 입자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마우스에 실시예 1의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투여 시 AST, ALT, 및 BUN 수치가 개선되어 체내 중금속 배출 및/또는 해독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The effect of discharging heavy metals from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effect of discharging and detoxifying the heavy metals absorbed into the body, and can be used for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diseases caused by heavy metals absorbed and accumulated in the body. The heavy metal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senic, lead, cadmium and mercury.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tural extract of Example 1 is administered to a mouse induced by inflammation by cadmium particles, the AST, ALT, and BUN levels are improved, and it is inferred that there is a heavy metal discharge and/or detoxification effect in the body. Could.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본원에서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원에서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As used herein,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tha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process, , means to include all foods, food additives,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The food composition herein may preferabl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건강기능식품 조성물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본원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useful for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and is used to regulate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or to regulate physiological processes. It refers to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medicinal effects.

본 발명의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용도, 체내 미세먼지 배출 용도 또는 체내 중금속 배출 용도를 갖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It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having an anti-inflammatory use, fine dust discharge from the body, or heavy metal discharge from the body containing the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항염증 또는 체내 미세먼지, 중금속 배출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for the purpose of anti-inflammatory or body fine dust and heavy metal discharge.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a conventional food composition, in addition to containing the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The above-mentioned flavoring agents can advantageously use natural flavoring agents (Taumatine), stevia extracts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by includ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described above.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Formulations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and the like. For example, for formulation in the form of a tablet or capsule,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combined with an orally,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ethanol, glycerol, water, and the like. In addition, if desired or required, suitabl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and color-developer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ixture. Suitable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gelatin, natural sugars such as glucose or beta-lactose, corn sweeteners, natural and synthetic gums such as acacia, tracacanth or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Disintegr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methyl cellulose, agar, bentonite, xanthan gum, and the like. In the composition formulated as a liquid solution, acceptable pharmaceutical carriers are sterile and biocompatible, and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bacteriostats may be added as needed.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ablet health functional food, a mixture of the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d with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and other additives is granulat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n a lubricant is added. Compression molding, or direct compression molding of the mixture. In addition,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tablets may contain a corrosive agent and the like, if necessary.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해죽순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Among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form of capsules, hard capsules can be prepared by filling a conventional hard capsule with a mixture of the sea bamboo shoot extract,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xed with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and soft capsules contain the active ingredient as an excipient. It can be prepared by filling a mixture mixed with additives such as gelatin in a capsule base such as gelatin. The soft capsules may contain a plasticizer such as glycerin or sorbitol, a colora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if necessary.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ring can be prepared by molding a mixture of the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cipient, a binder, a disintegrant, etc.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and if necessary, sucrose or other skins It can be zero-coated, or the surface can be coated with a substance such as starch or talc.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천연물 복합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granules can be prepared in granular form by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by mixing the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which i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etc. in granular form. agent and the like.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단순 섭취,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투여 또는 스퀴즈 투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투여일 수 있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administe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simple ingestion, drinking, injection administration, spray administration or squeeze administration, and preferably spray administration.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3mL/1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within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determine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its daily dose may be, for example, 1 to 3 mL/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ge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 health conditions, complications, etc. can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상차 또는 분말차의 형태의 음료류로 제조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beverages, meat, chocolate, food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candy, ice cream,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and health supplements, and preferably liquid tea or powdered tea. It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beverages.

본원의 제 2측면은,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구체적인 조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is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lung diseas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폐 질환”은 염증성 폐 질환, 흡연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폐 손상, 네토시스를 수반하는 폐 질환 등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lung disease” includes inflammatory lung disease, respiratory disease caused by smoking or fine dust, lung injury, lung disease accompanied by neotosis, and the lik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성 폐 질환"은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폐 질환으로서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기관염(tracheitis), 기관지염(bronchitis)을 포함하는 의미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inflammatory lung disease" is a lung disease accompanied by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is meant to include asthm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racheitis, and bronchitis.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흡연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은 천식, COPD를 포함하는 이외에, 미만성 간질성 폐 질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급성 폐 손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검댕, 생물체 유기탄소 등 탄소성분과 염소, 질산, 암모늄, 나트륨, 칼슘 등의 이온성분, 납, 비소, 수은과 같은 금속성분, 벤조피렌 등과 같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미세먼지는 상기도, 기관지, 소기도, 폐포 등에 침착하여 천식, COPD 등 다양한 폐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Korean Med Assoc, 2014;57:763-768).As used herein, the term "respiratory disease caused by smoking or fine dust" means, in addition to including asthma and COPD,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and acute lung injury am. Fine dust containing various components such as carbon components such as soot and organic carbon, ionic components such as chlorine, nitric acid, ammonium, sodium, and calcium, metal components such as lead, arsenic and mercury,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opyrene It is known to cause various lung diseases such as asthma and COPD by depositing in the respiratory tract, bronchi, small airways, and alveoli (J Korean Med Assoc, 2014;57:763-768).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폐 손상"은 미세먼지 등에 의한 폐 세포 또는 폐 조직 손상 또는 폐 세포 또는 폐 조직 손상에 따른 폐 기능 저하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lung damage” refers to damage to lung cells or lung tissue caused by fine dust or the like, or a decrease in lung function due to damage to lung cells or lung tissu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네토시스를 수반하는 폐 질환"은 앞서 예시한 COPD 뿐만 아니라 천식(asthma),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 RSV성 모세기관지염(respiratory syncytial virus bronchioliti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influenza virus infection),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 결핵(tuberculosis), 수혈 관련 급성 폐장애(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을 포함하는 의미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pulmonary disease accompanying netosis" includes not only COPD exemplified above, but also asthma, cystic fibrosi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ronchiolitis, and influenza virus infection (influenza virus). infection, bacterial pneumonia, tuberculosis, and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원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갑상선암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갑상선암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웅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갑상선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자멸사를 촉진하며, 혈관 신생을 저해하므로 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이 높은 갑상선암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cancer. 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thyroid cancer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the symptoms due to thyroid cancer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Specifically, th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specifically promotes apoptosis in thyroid cancer cells, and inhibits angiogenesis, so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cancer with high cell mobility and invasivenes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환자에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방법으로는 주사 투여, 경비 투여, 경폐 투여 또는 경피 투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폐 투여일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to a patient. Specifically, the administration method may include injection administration, nasal administration, transpulmonary administration, 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and preferably transpulmonary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폐 투여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통상 흡입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흡입제의 형태(예, 분말 흡입제, 흡입용 현탁제, 흡입용 용액, 캡슐상 흡입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형태의 흡입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사용시 적당한 흡입기(예, 용량 계량형의 흡입기, 건조 분체 흡입기, 아토마이저, 분무기 등)에 충전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강 스프레이 형태로서 사용되거나, 전자 담배 형태, 구강 붕해 필름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스프레이 형태로서 사용 가능하며, 구강 스프레이 형태로 사용시 일반적인 섭취 뿐만 아니라 구강 흡수, 인후부와 후두부에 직접 작용이 가능하며, 미세 입자 호흡으로 기도를 통한 폐의 넓은 표면적에 빠르고 직접적인 전달 및 작용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ranspulmonary administration, it may be usually used as an inhala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known inhalant (eg, powder inhalant, inhalation suspension, inhalation solution, capsule inhalant, etc.). These types of inhalants can be prepared by filling a suitable inhaler (eg, a metered-dose inhaler, dry powder inhaler, atomizer, nebulizer, etc.) when us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also be used as an oral spray, or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garette or an orally disintegrating film. Preferably,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oral spray, and when used in the form of an oral spray, not only general intake, but also oral absorption, direct action on the throat and larynx, and rapid and direct delivery and action to a large surface area of the lung through the airways through fine particle respiration This may b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재료ingredient

녹차 추출물은 중국에서 수입한 녹차 추출 분말을 (주)미래바이오텍에서 입수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녹차 잎을 물에 침지하여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된 것이다. 도라지는 (주)대호양행에서 구매한 농축액 형태의 국내산 도라지 추출물(고형분 60 %이상) 100 %를 사용하였다. 도라지 추출물 또한 도라지를 물에 침지하여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한 것이다.Green tea extract was obtained by using green tea extract powder imported from China from Mirae Biotech Co., Ltd., which was obtained by immersing green tea leaves in water for extraction, followed by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For bellflower, 100% of domestic bellflower extract (60% or more solid content) in the form of a concentrate purchased from Daeho Yanghaeng Co., Ltd. was used. The bellflower extract is also obtained by immersing bellflower in water to extract, then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프로폴리스는 액상으로서 제조원: (주)대호양행, 상표명: 대호프로폴리스혼합액-WS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폴리스 혼합액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파쇄하여 분말화하고, 하기 표 1의 배합비율에 의해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계량하고, 4배의 발효주정에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후 여과기로 여과하고, 상기 프로폴리스주정액에 글리세린, 폴리소르베이트-20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완전히 용해하고 유화한다. 상기 혼합액을 농축하여 주정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중량을 맞춰 제조하였다. Propolis is liquid, and manufactured by Daeho Corporation, trade name: Daeho Propolis Mixture-WS. Specifical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polis mixture is as follows. The propolis extract was crushed and powdered, and the propolis extrac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in Table 1 below, and completely dissolved in 4 times the fermented alcohol. Thereafter, it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and glycerin, polysorbate-20 and purified water are mixed with the propolis liquor, and then completely dissolved and emulsified. The mixture was concentrated to remove alcohol, and prepared by weight with purified water.

원료명Raw material name 중량(%)weight(%) 비고note 프로폴리스추출물
(총플라보노이드 10%로서)
propolis extract
(as 10% of total flavonoids)
99
글리세린glycerin 4545 식품첨가물 가.26Food Additives A.26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66 식품첨가물 가.289Food additives A.289 정제수Purified water 4040 합계Sum 100100

제조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mixed extract

표 2의 혼합 추출물은 국내산의 맥문동, 사삼, 개똥숙, 토복령을 세척, 건조 후 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70 % 주정을 원료 1 kg당 9L 의 비율로 투입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은 70 ℃ 온도, 진공 상태에서 8시간 20분간 수행하였다. 추출 후 60mesh로 여과 후, 25 μm 사이즈로 여과하고, 진공도 -650 mmHg, 온도 50 ℃, brix 51.6으로 농축하였다. 60mesh로 여과 후, 90 ℃ 온도에서 1시간 살균을 진행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he mixed extract shown in Table 2 is extracted by mixing domestically grown maekmundong, ginseng, gae dungsuk, and tobokryeong in a weight ratio of 1:1:1:1 after washing and drying, and injecting 70% alcohol in a ratio of 9L per 1 kg of raw material. did. Extraction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70 °C and vacuum for 8 hours and 20 minutes. After extraction, it was filtered through 60 mesh, filtered to a size of 25 μm, and concentrated to a vacuum degree of -650 mmHg, a temperature of 50 °C, and brix 51.6. After filtration with 60 mesh, sterilization was performed at 90 ° C. for 1 hour to prepare a mixed extract.

실시예 1.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하기의 표 2의 함량 비율로 원료를 배합하여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was prepared by blending the raw materials in the content ratio of Table 2 below.

재료명material name 성상appearance 중량(%)weight(%) 녹차green tea 분말powder 1.81.8 도라지balloon flower 액상liquid 3.53.5 프로폴리스propolis 액상liquid 0.30.3 혼합 추출물mixed extract 액상liquid 2.12.1 액상과당liquid fructose 액상liquid 5.05.0 정제수Purified water 액상liquid 87.387.3 gun 100100

실험동물 구매 및 관리 방법How to purchase and manage laboratory animals

생후 6주령의 Fischer 344(F344) 암컷 랫드 30마리를 Japan SLC Inc.(Shizuoka, Japan)에서 구매하여 시험 시작 전 1주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거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총 동물 수는 80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환경은 실온 22 ± 1°C, 상대습도 50 ± 10%, 12시간 낮/밤 주기로 설정하였고, 사료와 음용수는 자유롭게 급이 하였다. Thirty six-week-old Fischer 344 (F344) female rats were purchased from Japan SLC Inc. (Shizuoka, Japan) and acclimatized for one week before the start of the test, and then used in the experiment. After roughing, it was used for the experiment. The total number of animals was 80 animals. The breeding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set at room temperature of 22 ± 1 °C, relative humidity of 50 ± 10%, and a 12-hour day/night cycle, and feed and drinking water were freely supplied.

실험예 1. 미세먼지 배출 확인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Fine dust emission confirmation experiment

1. 실험 방법1. Experimental method

시험물질의 제조Preparation of test substances

실시예 1의 시료1(실시예 1 100%)과 실시예 1을 음용수와 희석한 시료 2(실시예 1 50%로 희석) 및 시료 3(실시예 1 25%로 희석)으로 준비하고 랫드에 투여하였다. NiO 나노입자의 투여 농도는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예비실험에서15일 차에 호중구 수치가 20~30%인 300 cm2/mL(150 cm2/rat)의 농도로 설정하였다. NiO 나노입자 투여 용액 제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NiO 나노입자를 증류수(distilled water)에 3000 cm2/mL의 농도로 저장용액(stock solution)을 만들어 초음파 발생기(bath sonicator)(Sahan-Soni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5분간 분산(operation frequency of 28KHz, output power of 400 W)시켰다. 분산시킨 저장용액은 PBS 와 불활화시킨 F344 랫드의 혈청(최종 혈청 농도 3%)을 첨가하여 작업용액(working solution)[투여농도(300 cm2/mL)]을 제조하고 5분 동안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켰다.Sample 1 of Example 1 (Example 1 100%) and Example 1 diluted with drinking water (Example 1 diluted to 50%) and Sample 3 (Example 1 diluted to 25%) were prepared in rats. administered. The dose concentration of NiO nanoparticles was set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concentration of 300 cm 2 /mL (150 cm 2 /rat) was set at a neutrophil count of 20-30% on the 15th day. Briefly describing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NiO nanoparticles dosing solution, a stock solution of NiO nanoparticles is prepared in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3000 cm 2 /mL and then used with a bath sonicator (Sahan-Sonic, Seoul, Korea) was used to disperse (operation frequency of 28KHz, output power of 400 W) for 5 minutes. The dispersed stock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PBS and inactivated F344 rat serum (final serum concentration 3%) to prepare a working solution [administration concentration (300 cm 2 /mL)], followed by an ultrasonic generator for 5 minutes. was dispersed using

NiO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iO nanoparticles

NiO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은 본 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NiO나노입자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존에 확보한 물리화학적 특성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측정 항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NiO 나노입자의 크기는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동아대학교 공동기기실의 장비를 이용하였다. NiO 나노입자의 수화크기(hydrodynamic size)는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방법으로 Malvern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표면면적은 BE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iO nanop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NiO nanoparticles possessed by this laboratory, so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data obtained previously were used. The measurement items and methods are as follows. The size of the NiO nanoparticles was measured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the equipment of Dong-A University's common equipment room. The hydrodynamic size of the NiO nanoparticles was measured using a Malvern instrument by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The surface area of nanoparticles was measured using the BET method.

실험 디자인 및 투여군의 설정Experimental design and setting of administration groups

1) NiO 투여 농도 설정에 관한 예비실험1) Preliminary experiment on setting NiO dose concentration

NiO 나노입자의 투여 농도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예비실험은 F344 랫드를 일주일간 순화시킨 다음 NiO 나노입자를 10, 50, 100, 150, 200, 250 cm2/rat로 기관지 내 단회 투여 한 후 15일 차에 부검을 진행 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전제 세포 수 대비 호중구 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중에 호중구 비가 20~30%인 150 cm2/rat(300 cm2/mL)의 농도를 실험 농도로 설정하였다(도 2).The dose concentration of NiO nanoparticles was set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As a preliminary experiment, F344 rats were acclimatized for a week, and then, after a single intrabronchial administration of NiO nanoparticles at 10, 50, 100, 150, 200, 250 cm 2 /rat, an autopsy was performed on the 15th day.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ratio of neutrophil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mong them, the concentration of 150 cm 2 /rat (300 cm 2 /mL) with a neutrophil ratio of 20 to 30% was set as the experimental concentration (FIG. 2).

실시예 1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NiO 나노입자 투여 10일 이전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1.5 mL씩 하루에 2번(오전 10시, 오후 4시) 총 3 mL의 용량으로 실시예 1과 음용수를 랫드의 부검 이전까지 존데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1 투여 후 10일 차에 NiO 나노입자 용액(150 cm2/mL)과 용매 대조군(PBS with 3% rat serum) 0.5 mL을 랫드에 기관지 내 단회 투여 하였다(도 3).To evaluate the efficacy of Example 1, 1.5 mL twice a day (10 a.m., 4 p.m.) at regular time intervals from 10 days before NiO nanoparticle administration Example 1 and drinking water in a total dose of 3 mL in rats It was orally administered using a sonde until the autopsy of Example 1 On the 10th day after administration, 0.5 mL of a NiO nanoparticle solution (150 cm 2 /mL) and a solvent control (PBS with 3% rat serum) was intrabronchially administered to rats once ( FIG. 3 ).

실험동물은 표 3과 같이 모두 8개 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군 당 기관지 내 투여 후 8일과 15일에 5마리씩 부검하였다(표 3). 기관지 내 투여를 위해서 랫드를 흡입 마취 장치(VetEquip, Pleasanton, CA, USA)을 이용하여 이소플루레인(isoflurane)(Primal Critical Care Bethlehem, PA, USA)으로 흡입 마취하였다. 마취된 랫드를 꺼내어 후두 부위를 불빛으로 비춘 다음 기관지를 육안으로 확인한 뒤 16 게이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카테터를 기관지 내에 삽입하고 삽입된 카테터를 통해 호흡이 안정한지 확인한 뒤에 NiO 나노입자 용액 및 용매 대조군을 0.5 mL 주입하였다. 주입 후 등을 가볍게 두드려 정상적으로 호흡이 돌아오도록 유도하였다.Experimental animals were set in 8 groups as shown in Table 3, and 5 animals were autopsied on the 8th and 15th days after intrabronchial administration in each group (Table 3). For intrabronchial administration, rats were anesthetized by inhalation with isoflurane (Primal Critical Care Bethlehem, PA, USA) using an inhalation anesthesia device (VetEquip, Pleasanton, CA, USA). After taking out the anesthetized rat, illuminating the larynx with light, visually inspecting the bronchus, inserting a 16 gauge polycarbonate catheter into the bronchus, and confirming that breathing is stable through the inserted catheter, NiO nanoparticle solution and solvent control 0.5 mL was injected. After injection, the back was lightly tapped to induce normal breathing.

SymbolSymbol 경구 투여oral administration NiO 나노입자
기관지 내 투여
NiO nanoparticles
intrabronchial administration
부검일(동물 수)Autopsy date (number of animals)
8일8 days 15일15th VEHVEH 음용수drinking water PBS with
3% rat serum
PBS with
3% rat serum
5마리5 5마리5
B-1B-1 시료 3sample 3 5마리5 5마리5 B-2B-2 시료 2sample 2 5마리5 5마리5 B-3B-3 시료 1sample 1 5마리5 5마리5 B-4B-4 음용수drinking water NiO 나노입자
300 cm2/mL
(150 cm2/rat)
NiO nanoparticles
300 cm 2 /mL
(150 cm 2 /rat)
5마리5 5마리5
B-5B-5 시료 3sample 3 5마리5 5마리5 B-6B-6 시료 2sample 2 5마리5 5마리5 B-7B-7 시료 1sample 1 5마리5 5마리5

랫드의 부검 방법 및 조직 샘플링 방법Rat autopsy method and tissue sampling method

NiO 나노입자 투여 후 8일과 15일에 부검을 수행하였으며, 랫드 5마리 중 4 마리는 폐세척액을 이용하여 염증 분석 및 폐장 내에 남아있는 NiO 나노입자의 정량에 이용하였다. 5마리 중 1마리는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폐세척액의 회수는 우폐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NiO 나노입자의 잔존량의 분석은 좌폐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랫드의 부검 및 폐세척액 분석과정과 좌폐엽의 분리 방법을 설명하면, 흡입 마취된 랫드의 복강을 개복하고 복대정맥을 절개하여 안락사시키고 흉곽을 열어 폐장을 노출시켰다. 랫드의 좌폐엽을 NiO 나노입자 정량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서 탄성이 있는 실로 단단히 묶어 폐 세척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그 후에 실험동물의 기관(trachea)을 노출하고 기관의 윗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기관 내로 스테인레스 카테터(16G)를 삽입한 뒤, 삽입된 카테터는 탄성이 있는 실로 풀리지 않도록 묶어준다. 카테터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cold PBS(Ca2+- Mg2+-free PBS, Invitrogen) 3 mL을 폐장에 주입하였다. 주입된 PBS를 손으로 마사지 해주면서 다시 주사기 쪽으로 회수하여 세척액을 튜브에 모으는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총 4회의 회수 과정을 진행하였다. 총 4회의 회수 과정 중에서 최초로 확보한 폐세척액은 사이토카인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따로 보관하였으며 그 이후의 3회 세척액은 폐장 내 세포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튜브에 분리하였다. 모든 폐세척액은 2000 rpm에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와 상층액을 분리하고 최초 세척액의 상층액은 새로운 튜브에 옮겨서 보관하였으며, 2 내지 4회 세척액은 상층액을 버리고 세포 펠렛(pellet)만을 확보하였다. 1 내지 4회 세척액의 세포 펠렛은 풀링(pooling)하였다. 풀링을 위해서 세포 펠렛을 10%의 FBS가 들어있는 1 mL의 PBS로 재 부유하였다. 실시예 1 및 NiO 나노입자에 의한 폐의 무게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좌폐엽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Autopsies were performed on days 8 and 15 after administration of NiO nanoparticles, and 4 out of 5 rats were used for inflammation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NiO nanoparticles remaining in the lungs using lung lavage. One out of five rats was used for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recovery of lung lavage fluid was analyzed using the right lung lobe, and the residual amount of NiO nanoparticles was analyzed using the left lung lobe. To explain the autopsy and lung lavage analysis process of rats and the separation method of the left lung lobe, the abdominal cavity of the rat anesthetized by inhalation was opened, the abdominal vena cava was incised, and euthanized, and the thorax was opened to expose the lungs. In order to use the rat's left lung lob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NiO nanoparticles, it was tightly tied with an elastic thread to prevent the lung lavage from entering. After that, the trachea of the experimental animal is exposed, the upper part of the trachea is partially incised, and a stainless catheter (16G) is inserted into the trachea, and then the inserted catheter is tied with an elastic thread so as not to be loosened. Connecting the syringe to the catheter, and cold PBS - was injected into 3 mL (Ca 2+ Mg 2+ -free PBS, Invitrogen) in closing. While massaging the injected PBS by h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washing solution in the tube was performed by collecting it back toward the syringe, and a total of 4 recovery processes were performed. The lung lavage solution obtained first among the four recovery processes was stored separately for use in cytokine analysis, and the lavage solution 3 times thereafter was separated into another tube to secure cells in the lungs. All waste wash solutions were centrifuged at 2000 rpm for 5 minutes to separate cells and supernatant, and the supernatant of the first wash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stored. Washing solution 2 to 4 times discard the supernatant and secure only the cell pellet. did. Cell pellets from 1 to 4 washes were pooled. For pooling, the cell pellet was resuspended in 1 mL of PBS containing 10% FBS.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in lung weight due to Example 1 and NiO nanoparticles, the left lung lobe was separated and the weight was measured.

폐세척액의 분석Analysis of waste lavage fluid

1) 폐세척액의 세포학적 분석1) Cytological analysis of lung lavage fluid

폐세척액에서 얻은 세포들을 Nucleocounter(Chemometec, Allerod, Denmark)를 이용하여 전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Cells obtained from lung lavage were counted using a Nucleocounter (Chemometec, Allerod, Denmark) to measure the total number of cells.

2) 폐세척액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석2) Analysis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lung lavage fluid

폐세척액을 이용하여 폐장의 염증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염증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농도를 ELISA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대상 사이토카인은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s(CINC)-3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이토카인은 DuoSet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키트가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시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perform an analysis on inflammation of the lungs using lung lavage, the concentr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as measured using an ELISA technique. Cytokine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as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s (CINC)-3. The selected cytokines were tested using the DuoSet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according to the protocol provided by the kit.

2. 실험 결과2. Experimental results

NiO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Result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iO nanoparticles

NiO 나노입자의 일차적 크기는 13.6 ± 0.6 nm로 측정되었으며 표면 면적은 91.8 m2/g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NiO 나노입자의 수화 크기는 증류수, PBS, PBS with 3% rat serum에서 각각 380 ± 34, 1250 ± 173, 353 ±19로 측정되었다(표 4).The primary size of the NiO nanoparticles was measured to be 13.6 ± 0.6 nm and the surface area was measured to be 91.8 m 2 /g. And the hydration size of NiO nanoparticles was measured to be 380 ± 34, 1250 ± 173, and 353 ± 19 in distilled water, PBS, and PBS with 3% rat serum, respectively (Table 4).

NiO
nanoparticle
NiO
nanoparticle
Primary size
(nm)
Primary size
(nm)
BET
(m2/g)
BET
(m 2 /g)
Hydrodynamic size (nm) inHydrodynamic size (nm) in
증류수Distilled water PBSPBS PBS
with 3%
rat serum
PBS
with 3%
rat serum
13.6 ± 0.613.6 ± 0.6 91.891.8 380 ± 34380 ± 34 1250 ± 1731250 ± 173 353 ± 19353 ± 19

폐세척액 분석 결과Lung lavage fluid analysis result

1) 세포학적 분석 결과1) Cytological analysis results

폐세척액에서 분석한 전체 세포 수는 도 4와 같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세포 수는 15일 차에서 용매 대조군(VEH)과 비교하여 NiO 나노입자를 투여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중농도 투여군인 B-2군과 NiO 나노입자를 투여한 B-4 내지 B-7 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NiO 나노입자를 투여하고 음용수를 먹인 B-4 그룹과 비교하여 NiO 나노입자 및 실시예 1을 투여한 군인 B-5~B-7 군의 세포수가 감소하는 패턴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중농도의 실시예 1을 투여한 그룹B-6은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미세먼지 자극에 의해 유도된 세포 수 증가가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The total number of cells analyzed in the lung lavage is shown in FIG. 4 . As shown in FIG. 4 , the total number of cells was compared to the solvent control group (VEH) on the 15th day, the medium concentration administration group of Example 1 in which NiO nanoparticles were not administered, group B-2, and group B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4 to B-7 group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B-4 group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and fed with drinking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cells in the groups B-5 to B-7 groups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and Example 1 decreased as a pattern, among them, medium concentration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group B-6 administered with Example 1.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induced by fine dust stimulation was alleviated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2) Cytokine analysis result

CINC-3는 사이토카인 유도 호중구 케모카인으로 여러 자극체로부터 반응한 백혈구에서 방출되며 호중구 주화성인자로 작용한다. 도 5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험에서CINC-3는 8일 차에서 용매 대조군(VEH)과 비교하여 NiO 나노입자 투여군인 B-4. B-5 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다른 군들은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NiO 나노입자를 투여한 B-4 군과 비교하여 NiO 나노입자 투여 및 실시예 1 저농도를 투여한 B-5 군에서 실시예 1 고농도를 투여한 B-7군으로 갈수록 CINC-3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B-4 군과 비교하여 B-6, B-7군이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도 5B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5일 차에서 NiO 나노입자 투여군인 B-4 내지 B-7 군에서는 용매 대조군(VEH) 대비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다. 또한, NiO 나노입자 투여군인 B-4 군과 비교하여 NiO 나노입자 투여 및 실시예 1 고농도 투여군인 B-7 군에서CINC-3의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된 염증의 완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CINC-3 is a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kine that is released from leukocytes in response to various stimuli and acts as a neutrophil chemotaxis. As shown in Figure 5A, in this experiment, CINC-3 was compared with the solvent control group (VEH) on the 8th day, B-4, a group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group B-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B-4 group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the CINC-3 decreased from the B-5 group administered with the NiO nanoparticles and Example 1 low concentration to the B-7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xample 1 high concentration. , in particular,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B-6 and B-7 groups compared to the B-4 group. As shown in FIG. 5B , on the 15th da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solvent control group (VEH) in the groups B-4 to B-7, which are the NiO nanoparticles administered group. In addition, a significant decrease in CINC-3 was observed in the B-7 group, which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and Example 1 high concentration, compared to group B-4, which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NiO nanoparticle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relief of inflammation induced by fine dust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 2. 중금속 배출 확인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Heavy metal emission confirmation experiment

1. 실험 방법1. Experimental method

시험물질의 제조Preparation of test substances

실시예 1 시료1(실시예 1 100%)과 실시예 1을 음용수와 희석한 시료 2(실시예 1 50%로 희석) 및 시료 3(실시예 1 25%로 희석)으로 준비하고 랫드에 투여하였다. 카드뮴 용액은 순도 99.99%의 Cadmium chloride(CdCl2, Sigma-Aldrich. Inc., USA)를 구입하여 0.9% NaCl을 이용해 1000 μg CdCl2/mL로 희석하여 최종 투여농도가 500 μg Cd/kg bw가 되도록 준비하였다.Example 1 Sample 1 (Example 1 100%) and Example 1 diluted with drinking water (Example 1 diluted to 50%) and Sample 3 (Example 1 diluted to 25%) were prepared and administered to rats did. For the cadmium solution, purchase 99.99% pure Cadmium chloride (CdCl 2 , Sigma-Aldrich. Inc., USA) and dilute it with 0.9% NaCl to 1000 μg CdCl 2 /mL so that the final dose concentration is 500 μg Cd/kg bw. prepared as much as possible.

실험 디자인, 투여군의 설정Experimental design, administration group setting

실시예 1 의 중금속 배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아래의 도 6과 같다. 실시예 1 투여는 카드뮴 투여 10일 이전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1.5 mL씩 하루에 2번(오전 10시, 오후 4시) 총 3 mL의 용량으로 랫드 부검 당일까지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 1 투여 10일 후에 랫드의 체중을 측정하여 평균 체중(145.17g)을 환산하였고, 측정된 무게에 맞추어 제조한 CdCl2용액[500μg Cd/kg bw(72μg Cd/rat)] 또는 용매 대조군(0.9% NaCl) 1mL을 복강 내 투여 하였다. 랫드는 표 5와 같이 모두 8개 군으로 설정 하였으며, 카드뮴 투여 후 8일, 15일 후에 각 군당 5마리씩 부검하였다.The progress of this study for verifying the heavy metal discharge efficacy of Example 1 is shown in FIG. 6 below. Example 1 Administration was administered orally until the day of autopsy in rats with a total dose of 3 mL twice a day (10 am, 4 pm) by 1.5 mL at regular time intervals from 10 days before cadmium administration. Example 1 The weight of the rat was measured 10 days after administration to convert the average body weight (145.17 g), and a CdCl 2 solu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easured weight [500 μg Cd/kg bw (72 μg Cd/rat)] or a solvent control ( 0.9% NaCl) 1mL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ll rats were set up in 8 groups as shown in Table 5, and after 8 and 15 days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5 rats in each group were autopsied.

SymbolSymbol 경구 투여oral administration 카드뮴
복강 내 투여
cadmium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부검일(동물 수)Autopsy date (number of animals)
8일8 days 15일15th G1G1 음용수drinking water 용매 대조군
(0.9 % NaCl)
solvent control
(0.9% NaCl)
5마리5 5마리5
G2G2 시료 3sample 3 5마리5 5마리5 G3G3 시료 2sample 2 5마리5 5마리5 G4G4 시료 1sample 1 5마리5 5마리5 G5G5 음용수drinking water 500 Cd/kg bw500 Cd/kg bw 5마리5 5마리5 G6G6 시료 3sample 3 5마리5 5마리5 G7G7 시료 2sample 2 5마리5 5마리5 G8G8 시료 1sample 1 5마리5 5마리5

실험동물의 부검, 검사 시료 확보Autopsy of laboratory animals, securing test samples

복강내 투여 후 8일, 15일차에 실험동물을 부검하여 혈액, 간, 신장을 확보하였다. 실험동물은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을 이용해 심마취를 시킨 후, 실험동물의 복강을 개복하여 복대정맥을 통해서 4 내지 5 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2000 rpm에 5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여 혈청을 분리 후 회수하여 -80°C에 냉동 보관하였다.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blood, liver, and kidneys were obtained by autopsy of the experimental animals on the 8th and 15th days. After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under deep anesthesia using isoflurane, the abdominal cavity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opened and 4 to 5 mL of blood was collected through the abdominal vena cava. Blood was centrifuged at 2000 rpm for 5 minutes to separate serum and collected and stored frozen at -80°C.

혈청 생화학적 분석Serum biochemical analysis

혈청 생화학적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80℃에 보관한 실험동물의 혈청을 ㈜SCL헬스케어에 의뢰하여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transaminase(AST) 및 blood urea nitrogen(BUN)을 분석하였다.For serum biochemical analysis, the serum of laboratory animals stored at -80°C was requested to SCL Healthcar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blood urea nitrogen (BUN) were analyzed.

간, 신장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liver and kidney tissues

10% 중성 포르말린에 이틀간 고정된 조직은 1시간 동안 흐르는 물에 수세하고 트리밍 후 파라핀 조직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조직처리가 완료된 조직은 파라핀 포매기를 이용하여 포매과정을 진행하였고, 삭절기를 이용하여 4 μm 두께로 절삭하여 슬라이드에 부착시켰다. 최종적으로,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H&E stain을 수행하였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issues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for two days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for 1 hour, trimmed, and then paraffin tissue treatment was performed. After the tissue treatment was completed, the embedd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a paraffin embedding machine, and it was cut to a thickness of 4 μm using a cutter and attached to a slide. Finally, for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the liver and kidney, H&E stain was performed and analyz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2. 실험 결과2. Experimental results

혈청 생화학적 인자 분석Serum biochemical factor analysis

체내 노출된 카드뮴의 영향은 노출된 양과 노출 기간, 체내 흡수 경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체내 유입된 카드뮴은 간 조직 손상, 신장 기능장애, 중추신경 장애, 고혈압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 유입된 카드뮴은 특히 간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함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와 기능장애를 유래하며 간 독성을 일으키고 이후 간에서 신장으로 이동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하여 세포사멸과 세포 괴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예 1, 카드뮴에 의한 실험동물의 간, 신장 독성 관련 지표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주요 지표인 ALT, AST 및 BUN 을 실험동물의 혈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he effects of cadmium exposed in the bod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exposure period, and absorption route in the body. Cadmium introduced into the body is known to caus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dysfunction along with oxidative stress, especially in the liver, cause liver toxicity, and then move from the liver to the kidneys to generate reactive oxygen species, causing apoptosis and cell necrosis. Therefore, in this study, ALT, AST, and BUN, which are the main indic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serum of the experimental animal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iver and kidney toxicity-related indicators of Example 1, cadmium.

1)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ALT 분석 결과1) ALT analysis result in serum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실시예 1 에 의한 혈청 내 ALT 수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카드뮴 투여군들(G5 내지 G8)에서 투여 대조군(G5)과 실시예 1투여군들(G6 내지 G8)을 비교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투여 후 8일에서 음용수 투여군(G5)와 비교하면 천연 추출물 함유 조성물 투여군들(G6 내지 G8)은 ALT 수치가 감소하는 패턴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시료2를 투여한 G7그룹은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in serum ALT level according to Example 1, the 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5) and the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s (G6 to G8) were compared in the cadmium administration groups (G5 to G8). As shown in Figure 7, compared with the drinking water administration group (G5) on the 8th day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the natural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administration groups (G6 to G8) were confirmed to have a decreasing pattern of ALT levels, among which sample 2 was administered.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G7 group.

2)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AST 분석 결과2) AST analysis result in serum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투여군들(G5 내지 G8)에서 음용수 투여군 (G5)은 비투여 대조군(G1)과 비교시 높은 수치를 가졌으며, 유의적인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투여군들(G6 내지 G8)은 G1과 비교하여 낮은 발현 수치를 보였고, 그중 시료 2 투여군(G7)은 비투여 대조군(G1)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수치를 가져 유의적인 차이점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8 , in the cadmium administration groups (G5 to G8), the drinking water administration group (G5) had a high value compared to the non-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1),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s (G6 to G8) showed a low expression level compared to G1, and among them, the sample 2 administration group (G7) had the lowest value compared to the non-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1),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ALT와 AST는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써 간독성 발생 시 혈중으로 방출되어 간 독성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 투여 8일 ALT수치 확인 실험에서 시료 1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특정 반응으로 랫드 혈중 내 ALT, AST 발현을 낮추는 반응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카드뮴 투여군들(G5 내지 G8)에서는 카드뮴을 투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용수 투여군(G5)과 비교하여 혈중 내 ALT, AST 수치가 낮게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시료 2 투여군은 다른 2가지 농도 보다 ALT, AST 수치를 낮추는데 가장 큰 효과를 보여 시료 2 투여+카드뮴 투여군(G7)은 음용수 투여군(G5)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다만, 실시에 1 원액 자체는 비투여 대조군(G1)보다 더 높은 ALT, AST 수치가 혈중 내 존재하기 때문에 ALT, AST 수치를 낮추는 영향은 원액 농도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이 효과는 실시예 1 50% 농도에서(G3와 G7) 가장 큰 ALT, AST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ALT and AST are enzymes present in hepatocytes, and are released into the blood when hepatotoxicity occurs and are used as major indicators to confirm liver toxicity. In this study, a reaction to lower the ALT and AST expression in the rat blood was confirmed as a specific reaction to Example 1 except for Sample 1 in the ALT level confirmation experiment on the 8th day of administration of cadmium. Thus, in the cadmium administration groups (G5 to G8), despite the administration of cadmium, compared to the drinking water administration group (G5), it was shown that ALT and AST levels in the blood were low. In particular, the sample 2 administration group showed the greatest effect in lowering ALT and AST levels than the other two concentration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between the sample 2 administration + cadmium administration group (G7) compared to the drinking water administration group (G5). However, in Example 1, the stock solution itself has higher ALT and AST levels in the blood than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G1), so the effect of lowering the ALT and AST levels does not appear at the concentration of the stock solution, and this effect is in Example 1 50% concentration (G3 and G7) is considere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f lowering ALT and AST levels.

3) 카드뮴 투여 후 혈청 내 BUN 분석 결과3) BUN analysis result in serum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BUN 은 실시예 1, 카드뮴에 의한 신장의 기능 이상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하였다. BUN은 간에서 단백질 분해 후 생성되는 요소가 특정 화합물과 결합하여 혈중 내 존재하는 요소 화합물로써 신장은 혈중 BUN을 90% 이상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신장의 기능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투여군의 BUN 수치는 카드뮴 비투여군들(G1 내지 G4)간의 비교에서 비투여 대조군(G1)에 비하여 실시예 1투여군(G2 내지 G4)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카드뮴 투여 군간의 비교에서 비투여 대조군(G5)에 비하여 실시예 1 투여군(G6 내지 G8)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카드뮴 비투여 대조군(G1)에 비하여 카드뮴 단독투여 대조군(G5)의 BUN 수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카드뮴에 의한 신장의 손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BUN was measured in Example 1, in order to evaluate the abnormality of kidney function by cadmium. BUN is a urea compound that exists in the blood when urea produced after protein breakdown in the liver is combined with a specific compound. Since the kidney excretes more than 90% of BUN in the blood,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indicators to check the function of the kidney. As shown in Figure 9, the BUN value of the administration group of Example 1 i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xample 1 (G2 to G4) compared to the non-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1) in comparison between the cadmium non-administration groups (G1 to G4) observed. In addi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cadmium administration groups,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 (G6 to G8) compared to the non-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5). In addition, the BUN level of the cadmium-only control group (G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admium non-administration control group (G1), so that damage to the kidneys caused by cadmium could be predicted.

정상군과 비교하여 혈중 BUN의 수치는 신장 기능 이상에 의한 배출 감소로 혈중 내 수치가 증가 또는, 간 이상에 의한 단백질 분해 감소로 혈중 요소 수치가 정상군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예 1 투여군들(G2, 3, 4, 6, 7, 8) 모두 비투여 대조군(G1)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ALT, AST 수치와 더불어 이 연구에 서 측정한 간의 혈청 생화학적 수치와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동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시예 1에 의한 간 독성으로 BUN 수치가 감소 된다고 판단되지 않는다.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level of BUN in the blood may be increased due to decreased excretion due to renal dysfunction, or the blood urea level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due to decreased protein degradation due to liver abnormali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groups administered in Example 1 (G2, 3, 4, 6, 7, 8) had lower values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G1). However, since the serum biochemical level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measured in this study were not accompanied by ALT and AST levels,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BUN level is reduced due to liver toxicity according to Example 1.

카드뮴 투여군들(G5 내지 G8)에서도 실시예 1을 투여하지 않은 음용수 투여군(G5)을 제외한 실시예 투여군(G6 내지 G8)들은 실시예 1 에 의한 BUN 수치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이는 G5군은 카드뮴 투여에 의해 비투여 대조군(G1)보다 높은 혈중내 BUN 수치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이용한 카드뮴 투여 농도는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시예 1 투여는 카드뮴이 투여된 상태에서도 랫드의 혈중 내 BUN 수치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카드뮴의 신장 독성에 관한 방어적인 기작 또한 동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In the cadmium administration groups (G5 to G8), except for the drinking water administration group (G5) to which Example 1 was not administered, the Example administration groups (G6 to G8) showed a decrease in the BUN level according to Example 1. It seems that the G5 group has a higher blood BUN level than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G1) by administration of cadmium, and it is judged that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administered in this study can affect the renal function. However, since the administration of Example 1 show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BUN level in the blood of rats even in the state in which cadmium was administered, it is judged that the protective mechanism regarding the renal toxicity of cadmium is also accompanied.

간, 신장 조직병리학적 분석Hepatic and renal histopathological analysis

카드뮴 투여 후, 15일차의 간조직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비투여 대조군(G1)과 비교하여 실시예 1 만 투여한 군들(G2 내지 G4)에서는 간조직의 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10 및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카드뮴 단독투여 대조군(G5)에서는 미약하지만 간 조직의 공포화(vacuolation)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카드뮴+ 실시예 1 투여군(G6 내지 G8)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즉, 실시예 1을 투여한 군에서는 미약하지만 카드뮴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간조직이 정상적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중금속 해독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observing changes in liver tissue on the 15th day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no pathological changes in liver tissue were observed in the groups (G2 to G4) administered only Example 1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control group (G1). As shown in FIGS. 10 and 11 , in the cadmium alone control group (G5), although weak, vacuolation of liver tissue was observed, and this change was not observed in the cadmium + Example 1 administration group (G6 to G8). That is,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Example 1, although weak, liver tissue was observed normally compared to the group administered with only cadmium.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heavy metal detoxification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s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종합 분석Comprehensive analysis

종합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실시예 1 에 의한 혈청 내 생화학적 인자들의 발현은 카드뮴 투여 후 8일 후(실시예 1 경구투여 18일 후)에서 가장 특이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이 연구에서 사용한 카드뮴 투여 농도에서는 투여 후 8일째에 카드뮴에 의한 간, 신장 독성에 대한 생화학적 인자들의 발현 수치가 비투여군들(G1~4)에 비하여 큰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지만, 카드뮴 투여군들(G5~8)에서는 간은 시료 2, 시료3 농도, 신장에서는 3가지 농도 모두에서 카드뮴 단독투여 대조군(G5)과 비교하여 감소된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실시예 1 이 카드뮴에 대한 간, 신장 독성에 방어적인 약리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Overall,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biochemical factors in the serum according to Example 1 showed the most specific effect 8 days after cadmium administration (18 day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xample 1). Although the expression levels of biochemical factors for liver and kidney toxicity by cadmium on day 8 after administration at the cadmium administration concentration used in this stud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on-administered groups (G1-4), the cadmium-administered groups ( In G5-8), since the liver showed reduced values compared to the cadmium-only control control group (G5) at all three concentrations in the liver and in the sample 3 concentrations, Example 1 was evaluated on the liver and kidney toxicity for cadmium. It is considered to have a protective pharmacological effec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상기 도라지 추출물, 및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1 내지 3 중량부, 2.5 내지 4.5 중량부 및 0.01 내지 0.1 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green tea extract, the bellflower extract, and the propolis extract are included in 1 to 3 parts by weight, 2.5 to 4.5 parts by weight, and 0.01 to 0.1 parts by weight,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composition i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which further comprises a mixed extract comprising maekmundong, sasam, gadungworm and tobokryeo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상기 도라지 추출물,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상기 혼합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 2.5 내지 4.5 중량부, 및 0.01 내지 0.1 중량부, 및 1 내지 3 중량부만큼 포함하는 것인,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green tea extract, the bellflower extract, the propolis extract, and 1 to 3 parts by weight, 2.5 to 4.5 parts by weight, and 0.01 to 0.1 parts by weight,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comprising as much as 1 to 3 parts by weight, lung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맥문동, 사삼, 개똥쑥 및 토복령을 0.5 내지 1.5 : 0.5 내지 1.5 : 0.5 내지 1.5 : 및 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ixed extract is 0.5 to 1.5: 0.5 to 1.5: 0.5 to 1.5: and 0.5 to 1.5 weight ratio of maekmundong, ginseng, wormwood and tobokryeong, and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a weight ratio of 0.5 to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 기능 개선은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의 배출 및 해독에 의한 것인,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lung function improvement is due to the discharge and detoxification of fine dust or heavy metal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폐 흡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ung disease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 transpulmonary absorption.


KR1020200060419A 2020-04-21 2020-05-20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KR202101306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38 2020-04-21
KR20200047938 2020-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03A true KR20210130603A (en) 2021-11-01

Family

ID=785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19A KR20210130603A (en) 2020-04-21 2020-05-20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60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243B1 (en) A drink composition for eliminating hangover
KR20180037693A (en)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ung diseases
WO2015027518A1 (en) Chinese herbal medicine health-care cigarette
KR102169920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chisandra chinensis, pear and Platycodon grandiflorum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inflammatory diseases
KR101930277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Hangover
KR100552398B1 (en) An alcohol detoxification beverage comprising extract of horse bean
JP2007204408A (en) Ciliary movement-activating agent and food or beverage containing the same
KR102252126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combination extract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uelle and Scutellaria baicalensis as an active ingredient
CN100574633C (en) Health-care granada sucking produ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78140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
KR102189109B1 (e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asthmatic containing oriental medicine herbs o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47060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erbextract for removing harmful elements caused by smoking
KR20200027449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using the extract of Rosa davurica
KR20210130603A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ng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Bellflower Extract and Propolis Extract
CN1076616C (en) Pure natural health-care article for eliminating smoke harm
CN115721685A (en) Medicinal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pilea asteroides
CN103272196B (en) Toxin-eliminating drug composition, drug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of drug composition and drug preparation
JP2023504163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KR100494223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herbs for the detoxication of nicotine and tar
CN108125237B (en) Health product for relieving cough, eliminating phlegm and resisting inflamm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EP3838282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y using epilobium pyrricholophum extract and like
CN112007092A (en) Anti-alcoho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642786A (en) Chinese herbal medicine tea cigarette with epidemic prevention and health care effects and application thereof
US2005003702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kava and mate' or theobromine
KR100761552B1 (en) Herbextract for removing harmful elements caused by smo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