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292A - 타일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타일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292A
KR20210130292A KR1020200047920A KR20200047920A KR20210130292A KR 20210130292 A KR20210130292 A KR 20210130292A KR 1020200047920 A KR1020200047920 A KR 1020200047920A KR 20200047920 A KR20200047920 A KR 20200047920A KR 20210130292 A KR20210130292 A KR 2021013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s
coupling
disposed
display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현
박행원
양일현
장대환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292A/ko
Priority to US17/161,551 priority patent/US11561424B2/en
Priority to CN202110419075.3A priority patent/CN113539083A/zh
Publication of KR2021013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타일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얼라인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얼라인 홀을 관통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작다.

Description

타일형 표시 장치{TI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타일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들 각각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대형 크기로 제조하는 경우, 화소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발광 소자의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고, 생산성 또는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일형 표시 장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표시 장치를 연결하여 대형 크기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으로 인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심(Seam)이라는 경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경계 부분은 전체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경우 전체 화면에 단절감을 주게 되어 영상의 몰입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비표시 영역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얼라인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얼라인 홀을 관통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얼라인 홀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타일형 표시 장치는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상기 하부 커버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홀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 상기 얼라인 홀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수나사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의 높이는 상기 얼라인 홀의 높이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높이의 합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층,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층,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 및 상기 접속 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연성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소스 구동부, 및 상기 연성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소스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 중앙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스 회로 보드는 상기 표시 패널 외곽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최외곽에 배치된 연성 필름과 중첩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사이에 배치된 연성 필름과 중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연성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되고, 얼라인 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커버,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얼라인 홀을 관통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를 결합시키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상기 하부 커버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 각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평면부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 중 최외곽에 배치된 하부 커버들 각각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부를 더 포함할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에 의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는 제1 결합부의 직경보다 큰 얼라인 홀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얼라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조립 공차 또는 결합 공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일형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와 얼라인 홀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의 측면을 완전 밀착시켜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표시 패널들의 틸트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비표시 영역 또는 경계 부분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복수의 표시 장치와 하부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A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특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장변 또는 단변이 서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일변을 이룰 수 있다.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인접한 두 개의 변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표시 장치들(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전체적으로 평면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입체적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형 표시 장치(TD)가 입체적 형상을 갖는 경우, 복수의 표시 장치(10)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커브드(Curv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평면 형상을 갖고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연결됨으로써,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인접한 표시 장치들(10)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연결 부재 또는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은 인접한 표시 영역들(D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영역(DA) 사이의 거리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울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영역(DA)의 외광 반사율과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의 외광 반사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경계 부분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소스 회로 보드(230), 복수의 게이트 연성 필름(212), 및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백라이트 유닛(BLU), 제1 기판(110), 액정층(120), 제2 기판(130), 실링 부재(SL), 및 더미 패턴(D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BLU),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3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BLU),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30)은 일부 영역에 곡선부를 가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제1 기판(110), 액정층(120) 및 제2 기판(130)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BLU)으로부터 공급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BLU)은 에지형(Edge Type)의 백라이트 유닛 또는 직하형(Direct Type)의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11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제1 기판(110)의 중앙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광을 출력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제1 기판(110)에서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및 제2 기판(110, 130)을 합착시키는 실링 부재(SL),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113), 접속 패드(113)와 실링 부재(SL)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DP), 및 접속 패드(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연성 필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접속 배선(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배선(111)은 제1 기판(110) 상에서 표시 패널(1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 배선(111)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된 접속 패드(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 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접속 배선(111)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통해 복수의 화소에 접속될 수 있다. 접속 배선(111)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배선(111)은 제1 기판(110)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접속 배선(111)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층(120)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층(120)은 제1 기판(110)의 화소 전극과 제2 기판(130)의 공통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120)은 제1 기판(110)의 화소 전극과 제2 기판(130)의 공통 전극의 전압 차에 따라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액정층(120)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제2 기판(130)은 액정층(120)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110)과 합착될 수 있다. 제2 기판(130)의 공통 전극은 제1 기판(110)의 화소 전극과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기판(110, 130)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실링 부재(SL)에 의해 합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액정층(120)을 밀봉함으로써, 액정층(120)이 표시 영역(DA)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부재(SL)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제2 기판(13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실링 부재(SL)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액정층(120)을 밀봉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30)은 실링 부재(SL)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SL)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SL)는 에폭시계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미 패턴(DP)은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제2 기판(13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패턴(DP)은 제2 기판(130) 상의 구조물과 접속 배선(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패턴(DP)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및 제2 기판(110, 130)의 측면에 배치된 접속 패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패드(113)는 제1 기판(110)의 측면으로부터 제2 기판(130)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접속 패드(113)는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접속 배선(111)에 공급할 수 있다.
접착 필름(140)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을 접속 패드(113)의 일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접착 필름(140)의 일면은 접속 패드(113)의 일면에 부착되고, 접착 필름(140)의 타면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의 제1 컨택 패드(CP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필름(140)은 접속 패드(113) 전체를 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접착 필름(140)은 접속 패드(113)의 일부를 덮고 나머지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접착 필름(14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필름(140)이 이방성 도전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 필름(140)은 접속 패드(113)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의 제1 컨택 패드(CP1)가 접촉되는 영역에서 도전성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을 접속 패드(113)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제2 기판(13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며, 외부로 영상을 투과시키는 커버 윈도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연성 필름(210)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연성 필름(210)은 사이드 본딩(Side Bonding)을 통해 제1 및 제2 기판(110, 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연성 필름(210)의 제1 컨택 패드(CP1)는 제1 기판(110)의 측면에서 제1 기판(110)의 접속 배선(111)에 접속될 수 있고, 소스 연성 필름(210)의 제2 컨택 패드(CP2)는 제1 기판(110)의 하면에서 소스 회로 보드(230)의 제3 컨택 패드(CP3)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연성 필름(21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일 수 있고, 소스 구동부(220) 또는 소스 회로 보드(230)의 신호를 제1 기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각각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 각각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구동부(2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일 수 있다. 소스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의 소스 제어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고,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소스 연성 필름(210)을 통해 제1 기판(110)의 데이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을 통해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또는 제1 기판(110)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 또는 타이밍 제어부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회로 보드(23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연성 필름(212)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이 배치된 표시 패널(100)의 일측면과 인접한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연성 필름(212)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의 타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222) 각각은 게이트 연성 필름(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22)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22)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22)는 게이트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통해 화소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복수의 표시 장치와 하부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표시 장치(10) 및 타일형 표시 장치(TD) 각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는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측면끼리 서로 접촉됨으로써, 하나의 타일형 표시 장치(TD)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통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 각각의 표시 영역(DA)은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일부분으로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영상 중 해당되는 영역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포함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 각각은 표시 영역(DA)에서 복수의 행과 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발광 영역을 통해 소정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각각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사이에 배치된 소스 연성 필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각각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사이에 배치된 접속 패드(113) 및 접착 필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사이에 배치된 소스 연성 필름(210), 접착 필름(140), 및 접속 패드(113)의 두께는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의 표시 영역들(DA) 사이의 갭(GAP)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의 표시 영역들(DA) 사이의 갭(GAP)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제1 및 제2 표시 장치(10-1, 10-2)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울 수 있다.
인접한 표시 장치들(10) 각각의 최외곽 화소들(SP) 간의 거리는 하나의 표시 장치(10) 내에서 인접한 화소들(SP)의 피치(Pitch)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치(Pitch)는 인접한 화소들(SP) 각각의 중앙부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10-1)의 하측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와 제2 표시 장치(10-2)의 상측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 사이의 거리는 제1 표시 장치(10-1) 내에서 인접한 화소들(SP)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비표시 영역(NDA)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SP) 중 표시 장치(10)의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의 중심과 소스 연성 필름(210)의 외측 사이의 거리는 인접한 화소들(SP)의 피치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장치(10-1)의 하측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와 제1 표시 장치(10-1)의 하측에 배치된 소스 연성 필름(210) 사이의 거리는 제1 표시 장치(10-1)의 하측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와 제2 표시 장치(10-2)의 상측 최외곽에 배치된 화소(SP)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비표시 영역(NDA)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하면을 덮을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하는 결합 부재에 의해 복수의 표시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2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후면 전체를 덮는 판상 부재일 수 있다. 하부 커버(20)의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금속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2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e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Mg)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A2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하부 커버(20), 및 복수의 표시 장치(10)와 하부 커버(20)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표시 패널(100), 패널 하부 부재(300), 지지 플레이트(400),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및 소스 회로 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SP)를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액정층(120), 및 제2 기판(130)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어, Micro LED),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어,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패널(100)은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일부분으로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영상 중 해당되는 영역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포함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층,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하부 부재(300)는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함으로써,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패널 하부 부재(300)와 결합된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표시 패널(100) 및 패널 하부 부재(300)보다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표시 패널(100) 중앙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대부분의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결합 부재(500)를 통해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40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e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Mg)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제1 접착 부재(41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10)는 밀착력 및 접착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410)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 및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플레이트(400)는 제1 결합 부재(5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는 지지 플레이트(4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400)의 상면과 평탄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40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는 지지 플레이트(400)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결합부(512)는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연성 필름(210)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연성 필름(210)은 사이드 본딩(Side Bonding)을 통해 제1 및 제2 기판(110, 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스 연성 필름(210)은 하부 커버(23)의 측면부(23)와 마주할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최외곽에 배치되지 않은 소스 연성 필름(210)은 인접한 다른 표시 장치(10)의 소스 연성 필름(210)과 마주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각각은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 각각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구동부(2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일 수 있다. 소스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의 소스 제어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고,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소스 연성 필름(210)을 통해 제1 기판(110)의 데이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표시 패널(100) 외곽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 중 지지 플레이트(4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을 통해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또는 제1 기판(110)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 또는 타이밍 제어부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회로 보드(23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제2 접착 부재(235)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235)는 밀착력 및 접착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235)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 및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커버(2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하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표시 패널(100) 및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하면을 덮을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최외곽을 둘러쌀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외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하는 제1 결합 부재(510)와, 제1 결합 부재(510)에 대응되는 제2 결합 부재(520)에 의해 복수의 표시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2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후면 전체를 덮는 판상 부재일 수 있다. 하부 커버(20)의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평면부(21), 제1 돌출부(22), 측면부(23), 및 제2 돌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는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에 배치되어 결합 부재(50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40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400)와 결합되어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21)의 얼라인 홀(AH)은 지지 플레이트(400)와 제2 결합 부재(5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00)에 삽입된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결합부(512)는 얼라인 홀(AH)을 관통하여 평면부(21)의 하부까지 돌출될 수 있고, 제2 결합 부재(520)의 제2 결합부(522)는 돌출된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512)는 수나사이고 제2 결합부(522)는 제1 결합부(5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얼라인 홀(AH)의 직경은 제1 결합부(5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얼라인 홀(AH)은 평면 상에서 제1 결합부(512)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가 삽입된 지지 플레이트(400)는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결합부(512)는 평면부(21)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된 후,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얼라인될 수 있다. 얼라인 홀(AH)의 직경이 제1 결합부(51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위치가 미세 조정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는 얼라인 홀(AH)의 내부에서 미세 이동될 수 있다. 얼라인 홀(AH)과 제1 결합부(512)의 직경 차이는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얼라인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가 얼라인 홀(AH)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얼라인이 완료되면, 제2 결합 부재(520)의 제2 결합부(522)가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 상에 고정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510, 520)가 결합되면, 얼라인 홀(AH)과 제1 결합부(51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고, 얼라인 홀(AH)은 제1 결합부(512)의 외측면,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 얼라인 홀(AH)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20)의 내측면(20b), 및 제2 결합부(522)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결합부(512)의 직경보다 큰 얼라인 홀(AH)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얼라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용이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조립 공차 또는 결합 공차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510, 520)와 얼라인 홀(AH)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측면을 완전 밀착시켜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표시 패널들(100)의 틸트(Tilt)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표시 패널들(100)의 스크라이브(Scribe)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경계 부분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돌출부(22)는 평면부(21)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는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는 평면부(21)의 일측에서 타일형 표시 장치(10)의 외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중 최외곽에 배치된 연성 필름(210)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22)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소스 회로 보드(230)에 접속되는 장치 또는 기타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다.
측면부(23)는 제1 돌출부(22)로부터 절곡되어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외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측면부(23)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가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측면부(23)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접할 수 있다. 측면부(23)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중 최외곽에 배치된 연성 필름(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23)는 접착 부재를 통해 연성 필름(210)의 측면 또는 커버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측면부(23)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측면부(23)는 하부 커버(20)의 후면을 덮는 외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는 평면부(21)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는 제1 돌출부(22)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는 제1 돌출부(22)가 배치되지 않은 평면부(21)의 타측에서 인접한 다른 표시 장치(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갭(GAP)과 중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에 배치된 연성 필름들(210)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24)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소스 회로 보드(230)에 접속되는 장치 또는 기타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금속 물질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2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e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Mg)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 부재(500)는 복수의 표시 장치(10)와 하부 커버(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500)는 상호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510) 및 제2 결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는 지지 플레이트(400)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400)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커버(20)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는 하부 커버(20)의 하면(20a)에 배치된 제2 결합 부재(52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400)와 하부 커버(20)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는 제1 베이스부(511) 및 제1 결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511)는 지지 플레이트(4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400)의 상면과 평탄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의 일면은 지지 플레이트(40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베이스부(511)는 지지 플레이트(400)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결합 부재(510)의 제1 결합부(512)는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부(512)는 얼라인 홀(AH)을 관통하여 평면부(21)의 하부까지 돌출될 수 있고, 제2 결합 부재(520)의 제2 결합부(52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512) 및 제2 결합부(522) 각각은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512)는 수나사일 수 있고, 제2 결합부(522)는 제1 결합부(511)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결합부(512)의 직경은 얼라인 홀(AH)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결합부(512)는 평면 상에서 얼라인 홀(AH)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510)가 삽입된 지지 플레이트(400)는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1 결합부(512)는 평면부(21)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된 후,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얼라인될 수 있다. 제1 결합부(512)의 직경이 얼라인 홀(AH)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위치가 미세 조정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는 얼라인 홀(AH)의 내부에서 미세 이동될 수 있다. 얼라인 홀(AH)과 제1 결합부(512)의 직경 차이는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얼라인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가 얼라인 홀(AH)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얼라인이 완료되면, 제1 결합부(512)는 제2 결합 부재(520)의 제2 결합부(522)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 상에 고정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 부재(510, 520)가 결합되면, 얼라인 홀(AH)과 제1 결합부(51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고, 얼라인 홀(AH)은 제1 결합부(512)의 외측면,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 얼라인 홀(AH)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20)의 내측면(20b), 및 제2 결합부(522)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520)는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의 하면(20a)에 배치되고, 제1 결합 부재(510)와 결합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520)는 제2 베이스부(521) 및 제2 결합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521)는 하부 커버(20)의 평면부(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결합부(52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522)는 제2 베이스부(521)로부터 돌출되어 평면부(21)의 하면(20a)에 밀착될 때까지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512)의 높이는 얼라인 홀(AH)의 높이와 제2 결합부(522)의 높이의 합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부(522)는 제2 결합부(522)의 상면이 하부 커버(20)의 하면(20a)을 압박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512) 및 제2 결합부(522) 각각은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512)는 수나사일 수 있고, 제2 결합부(522)는 제1 결합부(511)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결합부(522)의 외측 직경은 얼라인 홀(AH)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결합부(522)는 얼라인 홀(AH)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되면서 평면부(21)의 하면(20a)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510)가 삽입된 지지 플레이트(400)와 제2 결합 부재(520)에 의해 압박을 받는 하부 커버(2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하부 커버(20), 및 복수의 표시 장치(10)와 하부 커버(20)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표시 패널(100), 패널 하부 부재(300), 지지 플레이트(400),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210), 복수의 소스 구동부(220), 및 소스 회로 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패널 하부 부재(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단계 S110). 예를 들어, 패널 하부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층,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단계 S120). 소스 회로 보드(230)는 제2 접착 부재(235)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235)는 밀착력 및 접착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표시 패널(100)의 측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하부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성 필름(21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230)는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 중 지지 플레이트(4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00)는 제1 결합 부재(510)가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4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단계 S130). 패널 하부 부재(300)는 제1 접착 부재(410)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4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410)는 밀착력 및 접착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제1 결합 부재(510)가 하부 커버(20)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하도록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단계 S140).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하부 커버(20) 상에 안착된 후,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서로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얼라인될 수 있다(단계 S150). 얼라인 홀(AH)의 직경이 제1 결합부(51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위치가 미세 조정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는 얼라인 홀(AH)의 내부에서 미세 이동될 수 있다. 얼라인 홀(AH)과 제1 결합부(512)의 직경 차이는 복수의 표시 장치(10)가 얼라인되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512)가 얼라인 홀(AH)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얼라인이 완료되면, 제2 결합 부재(520)의 제2 결합부(522)가 제1 결합부(512)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 상에 고정 및 결합시킬 수 있다(단계 S160).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결합부(512)의 직경보다 큰 얼라인 홀(AH)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얼라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용이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조립 공차 또는 결합 공차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510, 520)와 얼라인 홀(AH)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측면을 완전 밀착시켜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표시 패널들(100)의 틸트(Tilt)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표시 패널들(100)의 스크라이브(Scribe)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하부 커버(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경계 부분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4 및 도 6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보조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복수의 하부 커버(20), 및 보조 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표시 장치(10) 및 타일형 표시 장치(TD) 각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는 격자형으로 배열되고 측면끼리 서로 접촉됨으로써, 하나의 타일형 표시 장치(TD)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통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 각각의 표시 영역(DA)은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일부분으로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영상 중 해당되는 영역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포함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복수의 하부 커버(20) 각각은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부 커버(20)는 제1 내지 제4 하부 커버(20a, 20b, 20c, 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하부 커버(20a, 20b, 20c, 20d) 각각은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 10-2, 10-3, 10-4) 각각의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대응되는 표시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하부 커버(20)는 복수의 얼라인 홀(AH)을 관통하는 제1 결합 부재(510), 및 제1 결합 부재(510)와 상호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520)에 의해 대응되는 표시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고, 표시 장치(1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30)는 복수의 하부 커버(20) 사이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한 하부 커버들(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플레이트(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하부 커버(20a, 20b, 20c, 20d)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30)는 복수의 하부 커버(20) 사이를 지나는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보조 플레이트(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의 하부 커버(20) 중 서로 인접한 하부 커버들(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플레이트(3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e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Mg)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복수의 하부 커버(20), 및 보조 플레이트(30)를 포함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초대형의 타일형 표시 장치(TD)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D: 타일형 표시 장치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300: 패널 하부 부재 400: 지지 플레이트
210: 복수의 소스 연성 필름 220: 복수의 소스 구동부
230: 소스 회로 보드 212: 복수의 게이트 연성 필름
222: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510: 제1 결합 부재 520: 제2 결합 부재
20: 하부 커버 30: 보조 플레이트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얼라인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얼라인 홀을 관통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작은 타일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홀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결합부를 이격되게 둘러싸는 타일형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상기 하부 커버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홀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측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 상기 얼라인 홀을 둘러싸는 하부 커버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타일형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수나사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인 타일형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높이는 상기 얼라인 홀의 높이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높이의 합보다 같거나 작은 타일형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층,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층,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접속 패드; 및
    상기 접속 패드의 일면에 배치되는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상기 연성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소스 구동부; 및
    상기 연성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소스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 중앙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소스 회로 보드는 상기 표시 패널 외곽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최외곽에 배치된 연성 필름과 중첩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사이에 배치된 연성 필름과 중첩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 패드를 통해 상기 연성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6.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되고, 얼라인 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커버;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얼라인 홀을 관통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를 결합시키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작은 타일형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상기 하부 커버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 직경은 상기 얼라인 홀의 직경보다 큰 타일형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 각각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일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평면부의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 중 최외곽에 배치된 하부 커버들 각각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KR1020200047920A 2020-04-21 2020-04-21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1013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20A KR20210130292A (ko) 2020-04-21 2020-04-21 타일형 표시 장치
US17/161,551 US11561424B2 (en) 2020-04-21 2021-01-28 Tiled display device
CN202110419075.3A CN113539083A (zh) 2020-04-21 2021-04-19 拼接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20A KR20210130292A (ko) 2020-04-21 2020-04-21 타일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292A true KR20210130292A (ko) 2021-11-01

Family

ID=7808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920A KR20210130292A (ko) 2020-04-21 2020-04-21 타일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1424B2 (ko)
KR (1) KR20210130292A (ko)
CN (1) CN1135390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4120B2 (en) * 2020-01-14 2022-09-13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30064001A (ko) * 2021-11-01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827519B (zh) * 2023-06-14 2023-1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拼接顯示裝置、自動拼接設備及可攜式換片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60B2 (ja) 1975-10-29 1984-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ウリユウハツデンキノサイテイレイジセイゲンソウチ
KR100526620B1 (ko) * 1999-05-01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의 베사커버 고정구조
US20020163301A1 (en) * 2001-05-02 2002-11-07 Morley Roland M. Large format emissive display
KR101126430B1 (ko) 2009-08-18 2012-03-28 최상환 발포 알루미늄을 이용한 기능성 판재
JP5910160B2 (ja) 2012-02-28 2016-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組立て式スクリーン
US9690128B2 (en) * 2014-07-25 2017-06-2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941882B1 (ko) * 2017-01-12 2019-01-25 문대식 멀티 디스플레이시스템
JP2019082535A (ja) * 2017-10-30 2019-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606135B2 (en) * 2017-12-29 2020-03-31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JP7058162B2 (ja) * 2018-03-29 2022-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連結表示装置
KR102593327B1 (ko) * 2018-12-19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KR102023871B1 (ko) 2019-05-15 2019-09-20 이준경 조립식 디스플레이 프레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39083A (zh) 2021-10-22
US11561424B2 (en) 2023-01-24
US20210325711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28011B (zh) 柔性显示设备和包括该柔性显示设备的电子装置
US10910410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11326071B (zh) 柔性显示模块以及包括该柔性显示模块的电子装置
JP4321537B2 (ja) 液晶装置及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10224878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0292A (ko)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3262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0705392B2 (en) Display device
US917036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842197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00333655A1 (en) Display device
KR2021010852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20061195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4760571B2 (ja) 液晶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TWI457645B (zh) 觸控式顯示裝置
JP2010066855A (ja) タッチパネル、この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30209890A1 (en) Display device
KR20200113104A (ko) 표시 장치
KR20220075554A (ko) 표시장치
US20220181576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1001679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230032424A (ko)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KR20230001031A (ko)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2004582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