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19A -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 Google Patents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19A
KR20210130019A KR1020200048270A KR20200048270A KR20210130019A KR 20210130019 A KR20210130019 A KR 20210130019A KR 1020200048270 A KR1020200048270 A KR 1020200048270A KR 20200048270 A KR20200048270 A KR 20200048270A KR 20210130019 A KR20210130019 A KR 2021013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ir
leg
spring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640B1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20004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6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질 수 있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양측면에서 연결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쌍의 스프링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한쌍의 스프링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탄성 스프링의 타측과 연결되어 고정하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바닥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부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lift apparatus for leg}
본 발명은 하체 및 복부 훈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근 및 다리 운동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누워서 탄력밴드의 도움으로 체형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뱃살과 다릿살을 빼기 위한 운동을 편하게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재원으로 "2019년 예비창업패키지(일반2차)" 창업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발명된 기술임(과제명 : 레그탄력리프트기구 / 과제번호 : 10239931)
대부분의 비만환자들의 관심은 살을 빼는데 있으면서도, 원하는 곳의 살이 잘 안빠지는 걸까에 대한 의문이 있게 된다.
특히, 원하는 곳의 살이 먼저 빠지지 않는다는 사실은 여성 하체비만형 환자들에겐 최대 고민이며, 여성들에겐 가장 빼고 싶어하는 허벅지나 엉덩이 부위의 다릿살이 잘 빠지지 않아 고민이며, 남성들에겐 뱃살이 잘 빠지지 않아 고민이다.
이러한 다릿살과 뱃살을 빼기 위해 현대인 대부분은 복부 비만 체질개선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단순히 런닝 등과 같이 전신 운동을 하거나 헬스장에서 러닝 머신 등의 운동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별다른 실효성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헬스장에서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고가이면서도 그 부피가 상당하여, 일반인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지출과 설치 공간 확보에 따른 그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조깅, 런닝 운동 등을 위해 운동장 등의 야외 공간을 이용하거나, 헬스장을 가지않아도, 가정에서도 큰 경제적 부담없이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5054호(2016.10.11.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서, 복근 및 다리 운동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누워서 탄력밴드의 도움으로 체형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뱃살과 다릿살을 빼기 위한 운동을 편하게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질 수 있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양측면에서 연결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쌍의 스프링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한쌍의 스프링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탄성 스프링의 타측과 연결되어 고정하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바닥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부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밴드와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밴드와 양측면에서 연결되어 지지하는 밴드 연결 지지대와,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에 놓인 다리 무게로 인해서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상기 힌지부를 따라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던 금속 막대가 센서 감지되는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서 운동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운동 횟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타이머 기능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와, 가이드부와, 한쌍의 고정부는 LM 가이드 액츄에이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근 및 다리 운동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누워서 하는 밴드로 복근 및 다리 운동을 하도록 돕는 기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밴드에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다리 운동 뿐만 아니라 뱃살에도 밴드의 탄성에 따른 진동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밴드로 복근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누워서 탄력밴드의 도움으로 체형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뱃삿과 다릿살을 뺄 수 있고, 누워서 편하게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침대에서 사용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시간을 내지 않아도, 헬쓰장을 가지 않아도, 이러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없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요 기능으로는, 어시스트 기능으로, 운동 횟수체크, 운동 보조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운동 기능으로, 취침 후에도 운동, 밴드를 진동시켜서 마사지 기능, 타이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운동 의지가 부족해도 자동설정으로 취침후에도 운동이 가능하므로 잠들기 전 또는 일어나기전에 반강제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1의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는 도 1의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내에서 누워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이며, 밴드로 복근 및 다리 운동을 하도록 돕는 기구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는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질 수 있는 밴드 또는 벨트(110)(이하, '밴드'라 한다)와, 상기 밴드(110)를 양측면에서 연결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탄성 스프링(120)과, 상기 한쌍의 탄성 스프링(120)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판(150)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판(150)은 지면 또는 침대 등의 바닥면에 상기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을 전체적으로 고정 또는 지지하는 그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으로 플레이트(plate) 형태로서 나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판 재질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도는 높으나 가벼운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15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상기 밴드(110)와 연결되고 한쌍의 탄성 스프링(120)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155)와, 상기 한쌍의 탄성 스프링(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고정하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고정부(135)와, 상기 바닥판(150)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부(135)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부(131)과, 상기 가이드부(131)를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상기 측면 지지부(155)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110)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4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상기 밴드(110)와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터(13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이때, 모터(130)와 가이드부(131)와 한쌍의 고정부(132)는 LM 가이드 액츄에이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U자형 단면 형상의 아웃터(outer) 레일과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하는 한쌍의 고정부가 일체 구조로 LM 가이드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상기 밴드(110)와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 상기 모터(130)가 회전력을 구동하게 하여 양 쪽에 스프링(120)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35)가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형태이다.
또한, 측면 지지부(155)는 상기 밴드(110)와 양측면에서 연결되어 지지하는 밴드 연결 지지대와,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하는 힌지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타이머 기능을 더 추가하여, 운동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타이머 설정 기능을 통해 설정 시간만큼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 운동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130)를 회전시켜 밴드를 진동시켜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100)에서 사용자의 두 다리가 밴드(110)에 올려지지 않은 상태이며, 이때는 밴드(110)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측면 지지부(155)의 밴드 연결 지지대로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한쌍의 스프링(120)과 연결된 고정부(135)도 스프링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밴드(110)에 두 다리를 내려 놓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140)를 통해 상기 밴드(110)와의 접촉을 감지하게 되어, 상기 모터(130)가 회전력을 구동하게 한다. 이어, 모터(130)를 회전시키면 양 쪽에 스프링(120)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35)가 가이드부(131)의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면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빠깥쪽으로(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조정부(135)와 연결된 스프링(120)은 점점 압축되고, 압축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측면 지지부(155)의 밴드 연결지지대는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측면 지지부(155)의 밴드 연결 지지대는 힌지부를 통해 수직 중심축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스프링(120)은 스프링의 고정위치를 변경시키며, 측면 지지부(155)의 밴드 연결 지지대는 상기 스프링(120)의 고정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밴드(110)는 길이가 변화되면서 탄력이 생성된다.
이렇게 탄성 스프링(120)의 양끝에 연결된 밴드(110)는 벌어지는 간격만큼 늘어나게 되고, 밴드의 탄력이 증가되는 방식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를 밴드에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으로 밴드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110)에 놓인 다리 무게로 인해서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상기 힌지부를 따라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어부는 센서부(140)에 감지되던 금속 막대가 센서 감지되는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서 운동횟수를 1회 카우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운동 횟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밴드에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다리 운동 뿐만 아니라 뱃살에도 밴드의 탄성에 따른 진동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밴드로 복근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누워서 탄력밴드의 도움으로 체형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뱃삿과 다릿살을 뺄 수 있고, 누워서 편하게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침대에서 사용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시간을 내지 않아도, 헬쓰장을 가지 않아도, 이러한 시간 및 공간적 제약없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동 의지가 부족해도 자동설정으로 취침후에도 운동이 가능하므로 잠들기 전 또는 일어나기전에 반강제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110 : 밴드 또는 벨트
120: 탄성 스프링
130: 모터
131: 가이드부
135: 고정부
140: 센서부
150: 바닥판
155: 측면 지지부

Claims (6)

  1.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질 수 있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양측면에서 연결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쌍의 스프링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한쌍의 스프링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탄성 스프링의 타측과 연결되어 고정하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바닥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부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밴드와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밴드와 양측면에서 연결되어 지지하는 밴드 연결 지지대와,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놓인 다리 무게로 인해서 상기 밴드 연결 지지대가 상기 힌지부를 따라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감지되던 금속 막대가 센서 감지되는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서 운동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운동 횟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타이머 기능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가이드부와, 한쌍의 고정부는 LM 가이드 액츄에이터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KR1020200048270A 2020-04-21 2020-04-21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KR10234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70A KR102349640B1 (ko) 2020-04-21 2020-04-21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70A KR102349640B1 (ko) 2020-04-21 2020-04-21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19A true KR20210130019A (ko) 2021-10-29
KR102349640B1 KR102349640B1 (ko) 2022-01-10

Family

ID=7823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270A KR102349640B1 (ko) 2020-04-21 2020-04-21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9775A (zh) * 2022-06-18 2022-08-30 河南师范大学 一种用于舞蹈训练的压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6310A (zh) * 2015-09-30 2015-12-09 无锡万象工业设计有限公司 腿部肌肉小幅度家用锻炼器
KR101665054B1 (ko) 2016-07-05 2016-10-11 한창권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US20170189748A1 (en) * 2013-02-12 2017-07-06 Ryan J. Montgomery Knee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KR20180045636A (ko) * 2016-10-26 2018-05-04 구성득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하체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 2017-11-08 2019-05-02 정지영 다용도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9748A1 (en) * 2013-02-12 2017-07-06 Ryan J. Montgomery Knee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CN105126310A (zh) * 2015-09-30 2015-12-09 无锡万象工业设计有限公司 腿部肌肉小幅度家用锻炼器
KR101665054B1 (ko) 2016-07-05 2016-10-11 한창권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20180045636A (ko) * 2016-10-26 2018-05-04 구성득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하체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 2017-11-08 2019-05-02 정지영 다용도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9775A (zh) * 2022-06-18 2022-08-30 河南师范大学 一种用于舞蹈训练的压腿装置
CN114949775B (zh) * 2022-06-18 2024-05-07 河南师范大学 一种用于舞蹈训练的压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640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019B2 (en) Mobility aid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related components
KR102139344B1 (ko) 착석형 트레드밀 및 사용 방법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923868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1822786B1 (ko) 운동기능 침대
KR102349640B1 (ko)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20100006625U (ko) 유산소 자동 허리운동 기구
KR101775147B1 (ko) 하체 운동 기구
KR20170002056A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US3797825A (en) Two-level rotating-arm jumping and ducking exercise device
KR101596853B1 (ko) 회전식 허리 운동 기구
KR101371950B1 (ko) 런닝머신장치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RU2531880C2 (ru) Тренажёр "балатрон"
CN206549060U (zh) 一种健身健美专用跑步机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51101Y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155468B1 (ko) 누워서 운동하는 다리 근력 운동기구
JP2964297B2 (ja) 寝室兼用トレーニングルーム
CN112891863A (zh) 新型主被动平衡训练装置
JP3071378B2 (ja) 健康用器具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200334065Y1 (ko) 시소형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067651A (ko) 뜀뛰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