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04A - 주방용 분리형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분리형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04A
KR20210130004A KR1020200048235A KR20200048235A KR20210130004A KR 20210130004 A KR20210130004 A KR 20210130004A KR 1020200048235 A KR1020200048235 A KR 1020200048235A KR 20200048235 A KR20200048235 A KR 20200048235A KR 20210130004 A KR20210130004 A KR 2021013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housing
kitchen
air
centrifuga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박준철
김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0004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004A/ko
Publication of KR2021013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내부의 주방 환기 덕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방의 화구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흡입 그릴; 일단이 상기 흡입 그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천장 내부에 위치하는 주방 환기 덕트; 및 상기 주방 환기 덕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원심팬; 을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공기가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분리형 후드{Separation type hood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의 화구 상부에 설치되어 주방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과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송풍 장치의 위치가 분리된 주방용 분리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의 가스레인지나 인덕션과 같이 음식 조리를 위한 화구 상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주방용 후드(10)는 화구(15)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천장 내부로 연장되는 주방 환기 덕트(14)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구(15) 상부에 흡입구가 관통형성되는 흡입 그릴(12)이 설치되고, 흡입 그릴(12) 내측에 축류팬(13)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주방 내 공기는 화구로부터 주방 환기 덕트(14)까지 축류팬(1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이후 주방 환기 덕트(14)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방용 후드(10)는, 팬이 화구(15) 바로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흡입은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되, 송풍을 위한 팬을 천장 내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주방 환기 덕트(14)를 따라 송풍시키기 위하여는 축류팬(13)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주방 내부 공간은 높이가 통상 17cm 정도로 좁아 축류팬의 크기가 매우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축류팬의 크기가 제한됨에 따라 축류팬의 환풍 성능이 부족하여 주방용 후드의 환풍기를 천장 내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장 내부의 주방 환기 덕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좁은 천장 공간에 설치되면서, 환풍 성능이 양호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주방의 화구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흡입 그릴; 일단이 상기 흡입 그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천장 내부에 위치하는 주방 환기 덕트; 및 상기 주방 환기 덕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공기가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형성되는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심팬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직경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수납되며,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임펠러하우징; 및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유로가 상기 임펠러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임펠러토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임펠러가 반경방향이 상기 천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임펠러토출부의 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원심팬이 수납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를 화구 상부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천장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소음원을 차단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천장 사이에 원심팬을 적용할 수 있는 하우징 구조를 포함하며, 원심팬의 반경방향이 천장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원심팬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따라 원심팬의 성능이 향상되며, 본 발명 주방용 분리형 후드의 환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원심팬을 사용하는 송풍 장치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 주방용 분리형 후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상부하우징을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Ⅵ-Ⅵ'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Ⅶ-Ⅶ'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Ⅷ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임펠러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축류팬과, 임펠러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임펠러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원심팬을 사용하는 송풍 장치의 구조이며 이를 참조하면, 송풍 장치(20)는 임펠러(24)와 하우징(23) 전면에 흡입구(21)가 형성되며, 흡입된 공기는 임펠러(24)에 의해 유동방향이 임펠러 축방향에서 임펠러 반경방향으로 90° 꺾이면서 임펠러하우징(25)과 토출관(26)을 따라 이동하여 토출구(2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원심팬 구조는 축류팬에 비하여 환풍 효율이 30% 정도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축류팬을 원심팬으로 교체할 때 사이즈를 30% 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원심팬의 경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90° 방향에 위치하는 관계로, 좁은 천장 공간에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원심팬을 천장 공간에 설치하여 주방용 후드로 사용하기 위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 분리형 후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상부하우징을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3에서 Ⅵ-Ⅵ'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Ⅶ-Ⅶ'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Ⅷ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20)와, 하우징(110) 타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30)와,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되는 원심팬(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방을 환기시키기 위한 후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주방 환기 덕트 상에 설치되며(도 1의 X 부분 참조), 흡입부(120)와 토출부(130)는 주방 환기 덕트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주방의 화구 상부에서는 단순히 공기가 흡입되며, 공기 흡입을 위한 송풍장치는 천장 내부에 설치되는 주방 환기 덕트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환기하고자 하는 공기의 흡입 부분과 송풍 장치의 위치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바, 본 명세서에서 분리형 후드(100)라 명명한다.
하우징(110)은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박스 형태의 하부하우징(112)과, 하부하우징(112) 상면을 덮는 상부하우징(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2) 상부에는 복수 개소에 브라켓(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12)에 상부하우징(111)을 얹어 가조립한 후, 브라켓(113)을 상부하우징(111)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12)에는 흡입부(120) 및 토출부(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112a)이 형성되고, 홈(112a)에는 흡입부(120) 및 토출부(130)가 끼워질 수 있다.
나아가 하부하우징(112)의 흡입부(120) 측에 접하는 하면에는, 토출부(130)측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112b)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경사면(112b)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유동되어 임펠러(240)에 흡입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방 환기 덕트에 연결되는 흡입관(121)을 포함하며, 흡입관(121)을 따라 흡입구(123)가 형성된다. 흡입관(121)의 일단부는 흡입관(121)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12)의 홈(112a)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하부하우징(11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제1끼움부(122)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3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방 환기 덕트에 연결되는 토출관(131)을 포함하며, 토출관(131)을 따라 토출구(133)가 형성된다. 토출관(131)의 일단부는 토출관(131)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12)의 홈(112a)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타측면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하부하우징(11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제2끼움부(132)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토출부(130)의 하우징(110) 내측을 향하는 면 상에는 원심팬(200)의 토출관(131)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방향을 따라 원심팬결합부(134)가 레일 형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일측에는 제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원심팬(200)을 제어하는 pcb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전원 및 세기 입력에 따라 원심팬(200)의 모터(250)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원심팬(200)은 분리형 후드(100)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임펠러(240)이 축방향이 천장면과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원심팬(200)은 임펠러(240)가 수납되는 임펠러하우징(210)과, 임펠러(24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임펠러(240) 회전방향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임펠러토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토출부(220)의 단부에는 상술한 원심팬결합부(134)에 삽입될 수 있는 플랜지(230)가 임펠러토출부(22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하우징(210)은, 하부에 모터(250)가 수납되는 하반체와, 하반체와 조립되는 상반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반체와 상반체 사이에 임펠러(240)가 수납되며 임펠러(240)의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반체에는 임펠러(240)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중앙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하우징(210)의 전체 높이는 흡입관(12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드에 축방향 팬이 아닌 원심력방향 팬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며, 흡입구(123)와 토출구(133)의 방향이 수직을 이루지 않고 일(一)자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하우징(110) 및 흡입구(123)의 높이보다 임펠러하우징(210)의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흡입 일자형 주방 환기 덕트 사이에 원심팬(200)을 적용한 분리형 후드(1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하우징(210)의 흡입부(120)측 상면(210a)보다 토출부(130)측 상면(210b)의 높이가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하우징(110)의 흡입부(120)측에 흡입부(120)를 향하여 하방 경사가 형성되며(제1경사부(A)), 임펠러(240) 하우징(110)의 흡입부(120)측에서 토출부(130)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토출부(130) 측으로 상방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제2경사부(B)). 다시말해 제2경사부(B)는 임펠러하우징(210)의 흡입부(120)측에서 배출부(130)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임펠러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상방으로 점차 확장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부(B)에 형성된 경사는, 특히 임펠러(240)로부터 공기가 유동되어 임펠러(240) 하우징(110) 내에 공기가 적층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원활한 송풍을 위해 임펠러토출부(220) 측으로 갈수록 유로를 크게 형성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나아가 제2경사부(B)로 인해 흡입부(12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부(120)토출부(130)의 높이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므로, 토출부(130)측으로 전진하지 않고 임펠러(240)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부(A)는 임펠러하우징(210)의 흡입부(120)측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함몰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해당 부분의 유로를 축소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 부분은 본래 공기 유동에 거의 활용되지 않는 구석 공간으로써, 사공간을 활용함과 동시에 공기가 임펠러(240)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임펠러토출부(220)는 임펠러하우징(210)의 일측에서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임펠러하우징(210)에서 임펠러(2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임펠러(240)의 접선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다.
임펠러토출부(220)는, 임펠러(240)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원심팬(200)의 유로 외측 부분에 위치되고 임펠러하우징(210)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면(220a)과 제1면(220a)과 마주보는 측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면(220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면(220b)과 임펠러하우징(210)이 만나는 모서리(221)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원심팬(200)은 상기 모서리(221)를 기준으로, 제2면(220b) 상에 유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볼록면(22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면(222)은 제1면(220a)의 연장방향과 토출구(133)의 연장방향이 상이하여, 공기가 토출구(133)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임펠러(240)측으로 되돌아오거나 제2면(220b) 인근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공기는 볼록면(222)에 모아져 토출구(133)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심팬(200)은 상기 모서리(221)로부터 임펠러토출부(22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소음반사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반사부(223)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토출부(130)에서 흡입부(120) 측으로 방사되는 소음을 반사하기 위한 구조이다. 나아가 소음반사부(223)는 볼록면(222)으로부터 기울기가 연속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공기 유동 및 소음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더불어 소음반사부(223)의 단부는 흡입구(123)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 분리형 후드(100) 구조에 의해, 후드를 화구 상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천장 내측으로 옮김으로써 후드 동작으로 인한 주방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및 임펠러하우징(210) 구조를 통해, 축방향 팬보다 30% 정도 효율이 좋은 원심팬(200)을 좁은 천장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임펠러하우징(210)의 볼록면(222) 및 소음반사부(223)에 의해 환풍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입구(123) 측으로 방사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편의상 명세서 및 도면에 임펠러하우징(210)이 하부하우징(112)의 하면에 설치되고 임펠러하우징(210)과 상부하우징(11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공기가 임펠러하우징(21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으나, 상하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본질과 부합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분리형 후드 110 하우징
111 상부하우징 112 하부하우징
112a 홈 113 브라켓
120 흡입부 121 흡입관
122 제1끼움부 123 흡입구
130 토출부 131 토출관
132 제2끼움부 133 토출구
134 원심팬결합부 140 제어부
200 원심팬 210 임펠러하우징
A 제1경사부 B 제2경사부
220 임펠러토출부 220a 제1면
220b 제2면 221 모서리
222 볼록면 223 소음반사부
230 플랜지 240 임펠러

Claims (3)

  1. 주방의 화구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흡입 그릴;
    일단이 상기 흡입 그릴에 연결되며, 타단이 천장 내부에 위치하는 주방 환기 덕트; 및
    상기 주방 환기 덕트의 타단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공기가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형성되는 원심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직경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수납되며,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임펠러하우징; 및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유로가 상기 임펠러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임펠러토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팬은, 상기 임펠러가 반경방향이 상기 천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임펠러토출부의 단부가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원심팬이 수납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분리형 후드.
KR1020200048235A 2020-04-21 2020-04-21 주방용 분리형 후드 KR20210130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35A KR20210130004A (ko) 2020-04-21 2020-04-21 주방용 분리형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35A KR20210130004A (ko) 2020-04-21 2020-04-21 주방용 분리형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04A true KR20210130004A (ko) 2021-10-29

Family

ID=7823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235A KR20210130004A (ko) 2020-04-21 2020-04-21 주방용 분리형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0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6372A1 (en) * 2022-05-13 2023-11-15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Air exchang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6372A1 (en) * 2022-05-13 2023-11-15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Air exchang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361B1 (ko) 토네이도형 흡기·송풍장치
EP1884718A2 (en) Air Conditioner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JP3720452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US11306922B2 (en) Local exhaust device
JP5174949B2 (ja) 同時給排形換気扇
KR20210130004A (ko) 주방용 분리형 후드
KR102242533B1 (ko) 분리형 후드
KR20140105973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100519857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JP4760410B2 (ja) 送風装置
WO2014174625A1 (ja) 空気調和機
JP2000266385A (ja) 換気装置
KR102238090B1 (ko) 주방용 분리형 후드의 조립 구조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EP3767184B1 (en) Cooktop with downdraft extraction
KR102280634B1 (ko) 원심팬 토출 구조
KR200429243Y1 (ko) 주방용 후드 구조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20210153247A (ko) 배기장치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JP2001027200A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JP2000234776A (ja) 換気装置
JP3428519B2 (ja) トルネード型気流制御装置
JP3508632B2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