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594A -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594A
KR20210129594A KR1020210045064A KR20210045064A KR20210129594A KR 20210129594 A KR20210129594 A KR 20210129594A KR 1020210045064 A KR1020210045064 A KR 1020210045064A KR 20210045064 A KR20210045064 A KR 20210045064A KR 20210129594 A KR20210129594 A KR 2021012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pyruvate
composition
skin
pigmentation
hydroqui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12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피루베이트;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미백 용도에 관한 것으로, 소듐 피루베이트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피부 미백용 화합물인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의 세포사멸을 비롯한 피부 안전성에 대한 단점을 소듐 피루베이트와 함께 적용하면 극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향상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화장품, 의약, 외용제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Brightening containing sodium pyruvate}
본 발명은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색은 멜라닌, 헤모글로빈(hemoglobin), 카로틴(carotene)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중에서도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피부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외선의 과다 노출,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 침착 현상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melanism) 또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피부의 흑화는 내적 및 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 세포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요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되는데, 상기 티로시나아제가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는 산화 과정에 의하여, 피부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이라는 중합체가 합성되며, 이러한 멜라닌이 피부의 각질 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전달되고 각질화 과정에 의해 피부 표면에 도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피부 병변 및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사람의 피부는 멜라노사이트 전구체 세포(melanoblasts)를 모낭 상피, 특히 팽윤부(bulge)에 저장하고 있다가(비특허문헌 0001) 모낭 사이 표피(interfollicular epidermis) 기저층에서 멜라노사이트가 탈락되면 이 부분으로 멜라노사이트 전구체 세포가 이동하고, 이 때 자외선 뿐만 아니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섬유아세포(fibroblasts) 또는 염증 세포와 같이 인접한 피부 세포(cutaneous cells)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멜라닌 합성(melanogenesis) 및 멜라닌 과립을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시킬 때 필요한 수상 돌기의 신장(dendrite outgrowth)이 일어나며 최종 분화(terminal differentiation) 된다. 대표적으로 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MSH)는 UV에 노출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분비되는 멜라노사이트 분화 촉진 소재로서 멜라노사이트 전구체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멜라노사이트 내 M promoter of micropht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타이로시나아제 등 색소 형성 기작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발현을 높이며 멜라노좀(melanosome) 형성 및 수상 돌기 신장을 일으킨다. 이처럼 멜라노사이트의 분화와 관련된 분자 기전은 정교하게 조절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미백 화장료 또는 색소 침착 개선 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배합하거나, 또는 멜라닌 생성 과정 중에서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의 화학 물질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이 있다. 하지만, 아스코르브산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분자 자체의 안전성이 낮아서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으며, 코직산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이 우수하지만, 화장료에 배합할 때 변색되고 경시 변화에 따라서 역가가 저하되는 등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커서 사용상 한계가 있고,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 및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일반 의약품으로는 6% 미만을 함유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안전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며 효과적인 미백 성분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Nishimura et al, Science. 2005, 307(5710):720-4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소듐 피루베이트와 기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화합물인 하이드로퀴논 혹은 알부틴을 저농도로 복합 적용할 시에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의 시너지가 있으며, 세포 사멸 억제 효과까지 보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에 관한 효능 및 피부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서,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미백 방법,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 미백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도; 및 색소 침착증 치료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미백 방법,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 미백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도; 및 색소 침착증 치료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백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색소 침착증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색소 침착증 치료용 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기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화합물의 단점인 안전성 및 세포사멸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소듐 피루베이트;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의 분화 억제 효능을 가지며,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지니고 있고, 하이드로퀴논과 알부틴의 세포사멸 및 피부안전성 문제를 소듐 피루베이트와 함께 사용할 시 극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향상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 외용제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소듐 피루베이트의 B16F10 세포 내 수상 돌기 신장 억제 효능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미백 방법,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 미백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도; 및 색소 침착증 치료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미백 방법,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 미백 화장료 제조를 위한 용도; 및 색소 침착증 치료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미백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색소 침착증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색소 침착증 치료용 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듐 피루베이트(sodium pyruvate)"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며 a-keto acid 중 하나인 피루브산(pyruvic acid)의 다른 염 형태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피루베이트는 많은 대사 경로에서 중간체이기 때문에, 소듐 피루베이트는 세포 배양과 관련된 많은 실험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피루브산은 기미(melasma), 검버섯(solar lentigine), 여드름(acne), 사마귀(wart)를 억제하는 것뿐 만 아니라 콜라겐(collagen) 합성을 촉진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 시키나 이는 피루브산 고농도 (50~100%)에서 화학적 박리에 기인한 효능이기 때문에 피루브산 사용 중 따갑거나 열감을 느낄 수 있으며 과도한 각질 박리 혹은 염증성 수포가 동반될 수 있다. 화학적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저농도에서의 인체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0.055%의 피루브산을 세포에 처리 시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이 있음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소듐 피루베이트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은 없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HQ)"은 [화학식 2]로 표현되며, 벤젠-1,4-디올 혹은 퀴놀로도 알려져 있다. 페놀의 일종인 방향족 유기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미백에 국소 적용으로 사용되나 고농도로 사용할 시에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알부틴(Arbutin)"은 [화학식 3]으로 표현된다. 글루코사이드의 일종으로 진달래과 Arctostaphylos 속의 베어베리(bearberry)에서 추출한 글리코실레이티드 하이드로퀴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알부틴은 피부 미백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하이드로퀴논과 마찬가지로 알부틴도 고농도로 사용할 시에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피부에 적용할 시 문제되는 세포독성 또는 피부세포사멸 등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을 소듐 피루베이트와 함께 적용하여 극복하였다. 특히,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또는 알부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충분한 멜라닌 색소 합성 저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효과"는 멜라닌 색소의 합성 저해 및 멜라노사이트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 톤이나 안색의 균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 염증 후 과색소 침착, 피부 노화로 인한 색소 침착 변화, 검버섯 또는 갈색 반점, 주근깨, 및 과색소 침착 등을 개선하는 것을 말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듐 피루베이트,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을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 및 혼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소듐 피루베이트를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w/w)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소듐 피루베이트를 0.001%(w/w)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소듐 피루베이트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4%(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w/w), 제일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w/w)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6%(w/w)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이드로퀴논을 0.001%(w/w)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6%(w/w)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6%(w/w), 0.01 내지 5%(w/w), 0.05 내지 4%(w/w), 또는 0.1 내지 2%(w/w)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알부틴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w/w)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부틴을 0.001%(w/w)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w/w)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알부틴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10%(w/w), 0.01 내지 6%(w/w), 0.05 내지 5%(w/w), 또는 0.1 내지 2%(w/w)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혹은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 혹은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2 내지 10%(w/w), 0.005 내지 6%(w/w), 0.01 내지 5%(w/w), 0.05 내지 4%(w/w), 또는 0.1 내지 3%(w/w)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0.002%(w/w)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w/w)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소듐 피루베이트,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을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듐 피루베이트,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 및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각 국 정부에 의해 규정된 규범에 명시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대한민국, 미국, 유럽, 독일, 일본, 중국 등에서 규정하는 약전(Pharmacopoeia) 또는 의약품집에 명시된 제법, 성상, 사용량 등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각 국 정부에서 규정하는 화장품 안전에 관한 법률 또는 중국 정부에서 규정하는 《화장품 안전 기술 사양》, 에 명시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일 뿐이므로,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소듐 피루베이트에 의한 멜라노사이트 분화 억제 여부 확인
소듐 피루베이트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의 수상 돌기 신장이 억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먼저 6well plate에 B16F10 세포 (ATCC, 카탈로그넘버 CRL-6475)를 1 x 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멜라닌 합성 촉진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배양 후 대조군 세포에 α-MSH (α-Melanocytes Stimulating Hormone) 10nM를 처리했고, 실험군은 세포에 α-MSH 10nM와 소듐 피루베이트 10mM를 함께 처리했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48시간 후에 수상 돌기의 길이를 현미경 (EVOS FL auto 2, Termo Fisher Scientific)으로 측정하였다.
첨가 화합물 수상돌기의 길이 (μm)
소듐 피루베이트 25.7 ± 16.5
대조군(α-MSH 처리군) 69.8 ± 29.5
그 결과, 표 1 및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분화 인자에 의해 수상 돌기가 평균 69.8 μm로 신장되어 있지만, 소듐 피루베이트를 처리한 군에서의 수상 돌기는 평균 25.6 μm로 신장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멜라노사이트 수상 돌기 신장 억제를 통해서 본 발명 소듐 피루베이트가 멜라닌 합성 및 분비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의 시너지 효능
B16F10 세포를 96-well plate에 2 x 103 cells/well 농도로 분주 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한 DMEM 배지에서 배양했다.이어 표 2에서처럼 소듐 피루베이트 또는 하이드로퀴논(HQ)을 농도 별로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 CCK-8 assay 로 세포독성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은 소듐 피루베이트와 HQ를 모두 처리하지 않은 조건이며, 소듐 피루베이트나 하이드로퀴논(HQ)을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은 음성대조군 대비 %로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함량 측정을 위해, 먼저 6well plate에 B16F10 세포를 1 x 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α-MSH 10nM 과 함께 표 3에서와 같이 소듐 피루베이트 또는 하이드로퀴논(HQ)을 농도별로 48시간 동안 처리했다. 이 세포를 수확하여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1N NaOH, 10% DMSO) 100μl를 넣고 9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405 nm(EPOCH, Biotek)에서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소듐 피루베이트와 HQ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여 음성대조군 대비 상대적인 멜라닌 양(%)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음성대조군(100)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생성량(%)를 뺀 값으로, 다음 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1: [(음성대조군의 멜라닌 합성량 - 실험군의 멜라닌 합성량) / 음성대조군의 멜라닌 합성량] x 100
샘플명 소듐 피루베이트 농도 (ppm) 하이드로퀴논(HQ) 농도 (ppm) 음성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율 (%)
음성대조군 - - 100
실시예 1 50 - 104.9
비교예 1 - 2.5 87.3
실시예 2 100 - 110.5
비교예 2 - 5 59.8
실시예 3 50 2.5 92
실시예 4 100 2.5 97.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생존율은 B16F10 세포에 HQ 2.5ppm 단독 처리시(비교예 1) 12.7%, 5ppm 처리시(비교예 2) 40.2%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나 HQ 2.5ppm과 소듐 피루베이트 50ppm, 100ppm(실시예 3 및 4) 과 함께 처리시 세포 독성이 8%, 2.9%로 감소하였다.
샘플명 소듐 피루베이트 농도 (ppm) 하이드로퀴논(HQ) 농도 (ppm)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생성량 (%) 멜라닌 생성 억제율 (%)
음성대조군 - - 100 0
실시예 1 50 - 74.4 25.6
비교예 1 - 2.5 42.7 53.7
실시예 2 100 - 65 35
비교예 2 - 5 32.9 67.1
실시예 3 50 2.5 16.4 83.6
실시예 4 100 2.5 4.3 95.7
표 3에서 HQ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도 HQ 2.5 ppm 단독 처리(비교예 1) 했을 때 53.7%에서 소듐 피루베이트 50ppm, 100ppm과 같이 처리한 경우(실시예 3 및 4) 83.6%, 95.7%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는 HQ 5ppm(비교예 2) 단독 처리했을 때의 67.1% 보다 높은 효능이며 세포 독성 또한 현저히 낮기 때문에 매우 높은 시너지 효과로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현저한 피부 미백, 멜라닌 생성 억제 또는 색소 침착 억제의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실험예 3: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의 시너지 효능
실험예 2와 같은 실험법으로 소듐 피루베이트와 하이드로퀴논의 당유도체인 알부틴의 세포 생존율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농도 별로 조합하여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 5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음성대조군(100)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생성량(%)를 뺀 값으로, 다음 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1: [(음성대조군의 멜라닌 합성량 - 실험군의 멜라닌 합성량) / 음성대조군의 멜라닌 합성량] x 100
샘플명 소듐 피루베이트 농도 (ppm) 알부틴 농도 (ppm) 음성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율 (%)
음성대조군 - - 100
실시예 1 50 - 104.9
비교예 3 - 50 98.2
실시예 2 100 - 110.5
비교예 4 - 100 87.9
실시예 5 20 80 95
실시예 6 50 50 98.7
실시예 7 80 20 99.4
샘플명 소듐 피루베이트 농도 (ppm) 알부틴 농도 (ppm)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생성량 (%) 멜라닌 생성 억제율 (%)
음성대조군 - - 100 0
실시예 1 50 - 74.4 25.6
비교예 3 - 50 80.6 19.4
실시예 2 100 - 65 35
비교예 4 - 100 72.4 27.6
실시예 5 20 80 68.3 31.7
실시예 6 50 50 42.6 57.4
실시예 7 80 20 55.1 44.9
표 4에 따르면, B16F10 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100ppm의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은 각각 110.5%(실시예 2), 87.9%(비교예 4)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 때,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의 병용 처리시에는 그 중량비가 2:8인 경우 95%(실시예 5), 5:5인 경우 98.7%(실시예 6), 8:2인 경우 99.4%(실시예 7)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 대비 100ppm의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은 각각 35%(실시예 2), 27.6%(비교예 4)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율을 나타내며, 소듐 피루베이트와 알부틴의 병용 처리시에는 그 중량비가 2:8인 경우 31.7%(실시예 5), 5:5인 경우 57.4%(실시예 6), 8:2인 경우 44.9%(실시예 7)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는 더욱 현저하게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병용 처리에서도 중량비가 5:5인 경우에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Claims (10)

  1.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의 제형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색소 침착증은 기미, 염증 후 과색소 침착, 피부 노화로 인한 색소 침착, 검버섯, 갈색 반점, 주근깨, 및 과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색소 침착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로퀴논 및 알부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인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색소 침착증은 기미, 염증 후 과색소 침착, 피부 노화로 인한 색소 침착, 검버섯, 갈색 반점, 주근깨, 및 과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색소 침착증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10045064A 2020-04-20 2021-04-07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13 2020-04-20
KR20200047213 2020-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94A true KR20210129594A (ko) 2021-10-28

Family

ID=7823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64A KR20210129594A (ko) 2020-04-20 2021-04-07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129594A (ko)
TW (1) TW202139966A (ko)
WO (1) WO20212157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01A (ko) * 1988-06-02 1991-01-29 유다까 미시마 효소형성 억제제
US6086789A (en) * 1996-03-18 2000-07-1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edical uses of pyruvates
JP4919547B2 (ja) * 2001-07-10 2012-04-18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美白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shimura et al, Science. 2005, 307(5710):72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709A1 (ko) 2021-10-28
TW202139966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96B1 (ko) 과색소침착 피부용 피부 미백 조성물
WO2004071472A1 (ja) α,α−トレハロースの糖質誘導体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
JP2008526963A (ja) 過度に色素沈着した皮膚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0484509C (zh) C-糖苷化合物用于脱色皮肤的用途
US6878381B2 (en) Resorcinol composition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0894241B1 (ko) 피부 탈색을 위한 c-글리코시드 화합물의 용도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594A (ko)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83865B1 (ko) 소듐 피루베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3120087B2 (ja) 白髪の防止及び白髪黒色化用毛髪化粧料
KR101151007B1 (ko)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2135599A (zh) 美白剂
US20190350828A1 (en) All-in-one skin brightening formulations specifically for pregnant subjects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8121499A (zh) 包含丙酮酸钠作为有效成分的美白化妆料组合物
KR102623565B1 (ko) 베타피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7537A (ko)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및 만노실에리트리톨 지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110895A (ko) 라폰티신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조성물
JP2015518877A (ja) メラニン生合成を阻害するための混合物
KR20200136737A (ko)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10105592A (ko) 게스트로디제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70067269A (ko) 이소바바찰콘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