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154A -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154A
KR20210129154A KR1020217030150A KR20217030150A KR20210129154A KR 20210129154 A KR20210129154 A KR 20210129154A KR 1020217030150 A KR1020217030150 A KR 1020217030150A KR 20217030150 A KR20217030150 A KR 20217030150A KR 20210129154 A KR20210129154 A KR 2021012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ction
concentration
skin
cosmetic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다케하라
Original Assignee
아쿠아 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 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쿠아 뱅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61M11/04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with electrodes immersed in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 A61M16/12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with dilution
    • A61M16/125Diluting primary gas with ambien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상용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으로 체내 섭취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수소 흡인 미용법, 및 그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기에 적정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수소 흡인 미용법은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상용적으로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함으로써 비치료적으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수소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수소 발생 수단과, 상기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소와 환경 공기가 혼합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인체의 비구까지 안내하는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수소 이송 수단으로부터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하는 어태치먼트, 를 갖는다.

Description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본 발명은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상용(常用)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으로 체내 섭취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수소 흡인 미용법, 및 그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기에 적정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임상실험으로 수소의 유효성이 주목을 받아 의료 응용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체로의 수소 투여법에는 정맥 투여, 수용액의 경구 투여, 기체 흡입(경비구 흡인) 등이 있으며 체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폭넓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소의 투여법 중 기체 흡인에 대한 명확한 의료 임상시험이 제공되지 않았고, 최근 들어 의료 기관에서 수소 흡인이 주목을 받아 수소의 흡인 섭취에 의해 실제로 어떠한 생체 반응을 발생시키는지에 대한 임상시험이나 그 성과로서의 특허문헌이 제공되고 있는 바이다(비특허문헌 1 등).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상적으로 수소를 흡인 가능한 장치의 제공자인 발명자는 수소의 “상용(常用) 흡인”에 의한 생체 반응에 주목하여 다양하게 임상시험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뇌 스트레스 저감, 신체 기능에 대한 현저한 영향이 인정된다는 실증 결과나(특허문헌 1), 경도 인지 장애(MCI)가 의심되는 사람의 생활 기능의 개선 및 인지 기능의 예방·개선이 인정된다는 실증 결과를 제공하였다.
한편, 미용업계에서도 종래부터 수소 섭취가 주목을 받아 왔으며 주로 수소 함유의 음료수(소위 수소수)를 경구 섭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구 섭취에 의해 명확하게 특정 부위의 개선이 인정될 정도의 임상시험은 적어 이것이 수소의 체내 섭취에 대한 오해나 개발 촉진의 저해 요건이 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소위 수소수의 경구 섭취의 경우, 수소 함유 음료수 내의 수소 함유량의 유지나 체내 섭취량의 컨트롤이 어려워 임상시험일 수 있는 실증 시험을 수행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 발명자는 수소의 체내 섭취량을 확보할 수 있고 섭취량 및 시간을 컨트롤하기 쉬운 수소의 흡인 투여에 의한 생체 반응의 대상으로서, 미용 분야에서 주목하는 부위인 피부의 상태에 대해 다양하게 임상시험하여 반복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소 흡인 장치를 실증·개발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WO2018/151107호 공보
Hayashi K. et al.: Inhalation of hydrogen gas reduces infact size in the rat model of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ly. Biochem. Biophsy. Res. Commun, 373:30-35, 2008.
따라서, 본 발명은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1회당 소정 시간 이상, 소정 기간 계속해서 상용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으로 체내 섭취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수소 흡인 미용법, 및 그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기에 적정한 구성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 관한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의 본 발명은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상용적으로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함으로써 비치료적으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을 제공한다.
제1의 본 발명의 수소 흡인 미용법과 같이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상용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으로 체내 섭취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수소를 경구 또는 경비 흡인한 경우의 생활 기능이나 인지 기능의 개선은 검증되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번에, 매일 수분 수회 흡인하는 등 상용적으로 수소 함유 가스를 흡인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이 촉진됨을 알았다. 여기서 수소 흡인의 단회 시간인 1회당의 소정 시간이란 대략 일과성의 축동 반응이 인정되는 정도의 흡인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수소 흡인 미용법에서는 대표적으로 붉은 기의 저감, 붉은 기미 및 검버섯의 개수의 감소에 의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상태 중 특히 붉은 기미나 검버섯에 대해 고농도 수소 함유 가스 흡인에 의한 분명한 개선을 보였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한 본 수소 흡인 미용법에서는 피부의 복귀율 및 점탄성이 증가함에 따른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붉은 기미 및 검버섯 외에, 고농도 수소 함유 가스 흡인(지속사용)에 의한 현저한 개선예로서 피부의 복귀율(Uf=R2) 및 피부 점탄성(R7)의 증가가 실증되었다. 이 R2는, 음압시에 계측기의 프로브 내로 인입된 피부의 최대 높이 Uf에 대한, 음압 해제후에 최고 신장시의 피부 높이로부터 복귀한 높이 Ua의 비 Ua/Uf이고, 피부의 점탄성 R7은, 고농도 수소 함유 가스의 흡인시의 피부의 늘어난 길이에 대한 즉시적(순간적)인 수축율 = 수축시의 탄성률(R7=Ur/Uf)이고, Ur/Uf는, 일정한 흡인압 및 시간에서 변형되는 피부의 변위를 해석하여 구해지는 복귀 탄성 비율이다.
또한 본 수소 흡인 미용법에서는 수소 함유 가스의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은 약 15분 이상 간격을 두고 1회당 5분 이상 매일 5회 이상 수행하고, 약 2주간 이상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소의 흡인은, 매일 5회 이상 매회 5분 정도 흡인하고 이것을 계속해서 2주간 정도 이상 수행함으로써 확실히 상기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크로스오버 시험에 의해 이후 2주간 고농도 수소 가스 흡인을 정지한 피험자와 새롭게 2주간 고농도 수소 가스 흡인을 수행한 피험자의 피부 상태가 역전되었음을 통해서도, 적어도 일과성의 축동 반응이 인정되는 5분 정도 이상, 매일 5회 2주간 계속해서 고농도 수소 가스 흡인하는 것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시키고 있음이 분명하다. 또한 고농도 수소 가스 함유 공기의 흡인은, 적어도 15분 정도 간격을 두고 “기상시,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후, 취침전”과 같이 흡인하는 것이 확실한 효과를 얻음도 알았다.
또한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하는 수소 함유 가스는 수소를 1 ~ 2%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2의 본 발명은, 상기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로서,
수소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수소 발생 수단과,
상기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소와 환경 공기가 혼합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인체의 비구(鼻口)까지 안내하는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수소 이송 수단으로부터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하는 어태치먼트, 를 갖는다.
제2의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용품으로서 고농도의 수소 가스 함유 공기를 경구 또는 경비 흡인시키는 것이다. 제1의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수소 함유 공기를 상용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으로 체내 섭취하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고, 이 개선을 적정하게 달성할 수 있는 전용의 장치로서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서는 각 특징적인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먼저,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서는,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와 환경 공기를 혼합하는 수소 발생 수단이 있어 흡인에 적정한 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적정 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는 수소 이송 수단에 의해 비구까지 이송되고, 비구에 접속 가능한 어태치먼트를 통해 비구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증예와 같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예로서는, 상기 수소 발생 수단과 상기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휴대형의 수소 흡인 조립체이고,
상기 수소 발생 수단은 서로 이격되는 양극 및 음극을 전해수 내에서 통전시켜 전해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해조를 가지며,
상기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어태치먼트는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에 의한 부압으로 상기 전해조에서 발생한 수소와 환경 공기를 혼합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비구까지 안내하는 일체 결합된 혼합부로서 구성된다.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휴대 가능하고, 수소 발생 방식으로서 통전에 의해 원하는 양의 수소를 확실히 흡인할 수 있는 전기 분해식을 채용하고 있다. 피부 상태의 개선에는, 예를 들어 약 15분 이상 간격을 두고 매일 5회 이상 소정 시간 수행하고, 약 2주간 이상 계속하는 등 상용적으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공기를 흡인할 필요가 있고, 자택 등 어느 장소에서나 간단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갖는 것이 필수이고, 이러한 요청에도 본 구성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이면 바람직하고, 실제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 후술의 실증예에서도 동일한 구성의 장치로 수행하고 있다. 나아가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 의하면 수소의 농도 조정을 위해 수소와 환경 공기를 혼합하는 수소 이송 수단과 혼합 공기를 비구 내로 도입하는 어태치먼트를 일체식으로 하여 통상 흡인에 의한 부압으로 적정한 농도로 조정할 수 있는 혼합부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유리하다.
나아가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전지와, 이 전지로부터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과, 이 제어 기판에 의해 상기 양극 및 음극에 대한 통전 또는 차전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양음 전극, 을 갖고 한 손으로 파지하면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본체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는 상기 본체 커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양음 전극이 내부로 삽입되어 저수 가능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이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전해조의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비구 내로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안내하는 노즐부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이 노즐부까지 유체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환경 공기를 유입하는 유로를 가져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본체 커버 부재의 측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조작 수단의 조작으로 상기 전지로부터 양음 전극으로의 전력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유저 누구라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수소 발생·정지에 관한 조작은 하나의 조작 수단으로 수소 흡인시에 파지하는 손으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나아가 전기 분해식의 수소 발생의 경우 전해조 내에 수소 및 산소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으나, 전해조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면,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하나의 작업의 계속 능력이 저하된 것 같은 유저일지라도 거품의 발생 상태를 알 수 있어, 양호한 가스를 흡인하고 있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 점(간병인 등도 쉽게 알 수 있음)에서도 유리하다.
제1의 본 발명의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의하면, 수소 흡인 미용법과 같이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매일 수분 수차례 흡인하는 등 상용적으로 자연 호흡하에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제2의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제1의 본 발명의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적정한 장치로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흡인에 적정한 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생성하고 비구까지 이송하여 비구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의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좌우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의 전해조 내에서의 전기 분해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 모식도이다.
도 4는 전극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의 실시형태 예의 외관 사진도이다.
도 6은 수소 흡인 시간에 의한 축동률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피부온 계측에 의한 말초 부위의 피부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피부 점탄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피부의 기미, 검버섯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피부의 붉은 기에의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의 본 발명의 비치료적으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이하, 간단히 “본 수소 흡인 미용법”이라고도 칭함)의 일례와 그 실증 결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수소 흡인 미용법을 사용한 검증 시험에서는 대략 건강 개선용 수소 발생 장치(후술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주식회사 아쿠아뱅크 “Kencos3”(도 1 ~ 도 5 참조)))에서 생성된 수소를 경구 흡인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에서 발생시킨 수소를 자연 호흡하에서 흡인시켰다. 또한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전기 분해법에 의해 물을 전기 분해시킴으로써 1분 당 8cc의 수소 8cc의 가스가 발생(동시에 산소 가스도 4cc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1분 동안에 12cc의 산소·물 혼합 가스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연 호흡에서는 성인의 경우 1분 당 5리터 정도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발생한 혼합 가스를 모두 흡인했다고 가정하여 이론상 호기중에 혼합 가스가 최대 0.24%(수소:수소:0.18%, 산소:0.06%) 포함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흡입하는 수소 가스는 피험자마다 매회 조정하고, 한번 사용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재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최적의 수소 흡인량을 산출하기 위해 1분간, 3분간, 5분간, 7분간 및 9분간 흡인했을 때의 동공 대 광 반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수소 흡인에 의한 동공 대 광 반응 축률은 시간 의존적으로 우위적으로 증가했다(도 6). 3분간의 수소 흡인에서 유의하게 축동률은 상승하고, 7분 이후의 흡인에서는 효과가 안정화되는 것이 밝혀졌다. 이로부터 이후의 시험에서는 5분간 수소 흡인했을 때의 생리 반응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로부터 발생하는 수소 및 산소의 혼합 가스의 각 농도 증가분은 상기와 같이 수소 0.18%, 산소 0.06%이고, 한편 대기중의 각 농도가 수소 0.5×10-4%(=0.5ppm), 산소 약 21%이다. 따라서, 혼합 가스에서의 산소 농도의 증가는 매우 작아 검증의 결과는 대체로 수소 농도의 증가를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수소 흡인의 단회 평가 시험에서 피험자는 25 ~ 40세의 건강한 여성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흡연하지 않고 있는 것을 선정 기준으로 했다. 피험자는 실온 24℃상대 습도 50%로 설정한 시험실에 입실 후 30분간 앉은 자세로 안정시켜 실험 환경에 순화시켰다. 순화 후 생리적인 계측을 실시했다. 생리적인 계측으로서는 피부온 측정을 수행했다. 이 계측은 자연 호흡하(컨트롤 제시) 및 수소 흡입을 5분간(표본 제시) 실시하고 측정 결과를 해석했다. 그리고 측정값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수소 가스 흡입에 의한 생리 효과를 검증했다.
≪동공 대 광 반응 측정에 의한 동공 대 광 반응 축률의 평가(단회 평가 시험(도 6))≫
상술한 적정한 수소 가스 흡인 시간을 평가한 동공 대 광 반응 측정에 의한 동공 대 광 반응 축률(도 6)에 대해, 그 계측 방법으로서는 고글과 유사한 전자 동공계(이리스코더듀얼, 하마마츠포토닉스사)를 안면에 장착하고, 차광한 상태에서 5분간 암순응시켰다. 동공의 산동이 안정된 것을 확인 후 0.1초의 광자극을 실시했다. 동공 대 광 반사에 의해 동공의 일과성 축동 반응이 관찰되었다. 컨트롤 (공기) 5분간, 및 샘플(수소 흡인) 5분간 흡인에서의 광자극 전의 초기 상태 동공 직경 D1, 광자극 후의 동공 직경 D2의 변화량을 D1-D2로 하고, 축동하는 비율인 축동률(CR)을 (D1-D2)/D1로 구하였다. 또한 축동 후에 동공은 신속하게 산동하나, 그 때의 산동 속도(vd)는 교감신경 활동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 동공 지름의 변화 해석에 의해, 자율 신경 활동에서의 교감 신경 활동 및 부교감 신경 활동의 우위성을 판단했다. 도 6을 통해서는 수소 흡인후, 특히 5분간 이상 흡인후에서는 축동률 CR이 흡입전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p<.001). 한편, 산동 속도(vd)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도시하지 않음).
≪피부온 계측에 의한 교감신경 활동의 평가((단회 평가 시험(도 7))≫
말초 혈관망의 대부분이 교감신경 활동 지배를 받고 있어 말초 부위의 혈류의 변화 혹은 말초 부위의 피부온의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교감신경 활동의 우열성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본 검증에서는 피부온의 변화를 그 지표로 하였다. 즉, 온도센서(그램사)에 의해 말초 부위의 피부온(이마 중앙과 검지 첫번째 마디 바닥)의 변화를 계측했다. 컨트롤의 이마 중앙부를 H1, 손가락 바닥 중앙부를 F1, 샘플의 이마 중앙부를 H2, 손가락 바닥 중앙부를 F2로 하고, 시험품에서 상승한 피부온 ΔT2 = (F2 - F1) - (H2 - H1)로 구했다. 예를 들어 수소 흡인에 의해 유의하게 피부온의 상승이 관찰되면 교감신경 활동이 수소 흡인에 의해 떨어진 경우로 추측된다. 시험의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 흡인에 의해 이마의 피부온은 거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검지의 피부온은 평균 3.6℃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이 인정되었다(p<.001). 피험자중에는 수소 흡인에 의해 검지의 피부온이 6℃ 이상이나 상승하는 것도 존재했다.
또한 생리학적 평가에서의 측정 데이터 해석은 컨트롤과 블랭크의 차분 및 시험품과 블랭크의 차분을 대응시켜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했다. t검정의 유의 수준은 5% 미만으로 하였다.
수소 흡인의 지속사용 평가 시험에서, 피험자는 도쿄도내 및 근교에 거주하는 25~40세 미만의 건강한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했다. 피험자 선정 조건으로서는,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흡연하고 있지 않을 것, 스트레스나 피로로 피부 상태가 악화되는, 예를 들어 탄력 없음, 처짐을 자각하고, 칙칙함을 느끼는 것, 및 간이 스트레스도 체크리스트 30항목에서 스트레스 레벨이 6에서 10에 상당하는 경도 스트레스 상태에 있을 것으로 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에는 피험자 각자가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피부 케어 방법에 준해 실시하고 화장료나 서플리먼트의 추가나 변경이 없도록 요구했다.
본 검증 시험에서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를 사용하고, 수소 가스의 흡인을 지속사용함으로써 피부 성상의 개선 작용을 확인했다. 시험 기간은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2주간의 연속 사용 및 2주간의 미사용의 합계 4주간으로 하고, 미사용 기간과 수소 사용 기간과의 비교 평가를 실시했다. 즉, 피험자를 11명씩 각각 A군, B군의 2군으로 나누었다. A군은 처음 2주간을 수소 사용 기간, 다음 2주간을 미사용 기간으로 설정, 반대로 B군은 처음 2주간을 미사용 기간, 다음 2주간을 수소 사용 기간으로 설정했다. 시험 개시시(제로주), 2주째, 나아가 4주째에 피부 생리학적인 계측을 실시했다(여기서는 생략하나, 실제로는 스트레스 체크리스트 30항목의 질문지 및 다면적 감정 척도 질문지에도 회답하도록 하여 피부 대사의 항진 요인이 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도 검증했다). 계측 항목으로서는 각질층 수분량 경피 수분 증산량, 피부 점탄성, 피부색, 디지털 화상 장치(VSIA)에서의 촬영에 의한 안면의 화상 해석 및 비접촉형 혈류계에 의한 피부 혈류량 측정을 실시했다. 시험 2주간째 및 4주간째에도 상기의 심리 질문지에의 회답 및 피부 생리 측정을 실시하고, 각 측정값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수소 흡인에 의한 심리, 생리 효과를 검증했다.
여기서 수소 흡인의 지속사용 시험에서는 상술한 단회 시험과 마찬가지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를 이용했다. 피험자에게는 조석 및 매 식후 1시간 정도 사이를 두고 단회 시험과 마찬가지로 1회 당 5분간의 흡인을 실행시켜 1일 당 5회의 사용을 목표로 흡인시켰다.
피부 생리학적인 계측은, 각 층 수분량, 경피 수분 증산량, 피부 점탄성, 피부색, 디지털 화상 장치(VISIA)에서의 촬영에 의한 안면의 화상 해석, 및 비접촉형 혈류계에 의한 피부 혈류량 측정을 실시했다. 이 피부 생리 측정들은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수행하고 각 측정값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수소 흡인에 의한 피부 생리 효과를 검증했다. 또한 이하에 열거하는 측정은 세안 후, 항온항습실(온도 20±2℃, 습도 50±10%)에서 15분 순화후에 측정 부위인 볼 부위의 측정을 실시했다. 이하에 각 측정 내용에 대해 기술했다.
≪각질 수분량, 경피 수분 증산량(TEWL)의 측정(지속사용 평가 시험)≫
각층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촉촉함의 정도를 판정했다. 측정 부위의 각 층 수분량은, SKICON-200EX(주식회사 야요이)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볼부에서 5회 수행하고,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을 생략한 3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또한 경피 수분 증산량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배리어능의 정도를 판정했다. 측정 부위의 TEWL은 사이클론 수분 증산계 AS-CT1(유한회사 아사히바이오메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볼부에서 5회 수행하고,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을 생략한 3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험의 결과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는 피부 수분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차분 평균값; +34.9μS), 비지속사용 기간에서는 수분량의 증가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으나(차분 평균값; +6.5μS),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 결과는 원래 피험자의 피부 수분량이 높고, 피부에 충분한 촉촉함이 있어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는 경피 수분 증산량의 감소가 인정되었고(차분 평균값; +34.9), 비지속사용 기간에서는 수분량의 증가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으나(차분 평균값; +6.5),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 결과는 원래 피험자의 경피 수분 증산량이 낮았던 것보다 피부의 배리어 기능이 충분히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변화가 인정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피부 점탄성의 측정(지속사용 평가 시험(도 8))≫
피부의 점탄성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탄력, 처짐의 정도를 판정했다. 측정 부위의 피부 점탄성은 큐토미터 MPA580(C+K electronic GmbH.)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각 층의 건조 상태가 측정값에 영향을 주므로 측정 약 15분전에 측정 부위에 시판 크림 제재를 소량 도포하여 각 층의 건습의 영향을 배제했다. 측정은 볼부에서 5회 수행하고,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을 생략한 3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피부 점탄성의 파라미터로서 R2=Ua/Uf, R6=Uv/Ue, R7=Ur/Uf를 해석했다. 또한 Uf는 음압시에 프로브 내에 인입된 피부의 최대 높이, Ua는 음압 해제후에 최고 신장시의 피부 높이로부터 복귀한 높이를 나타낸다. Ua/Uf는 피부의 복귀율을 나타낸다. Ue(immediate distension)는 음압을 가했을 때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피부 높이의 증가, Uv(delayed distension)는 Ue에 이어서 볼 수 있는 비직선적인 피부 높이의 증가이다. Ue는 피부의 탄력성을, Uv는 피부의 점성을 주로 반영하고, Uv/Ue는 피부의 변화에 기여하는 점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Ur(immediate retraction)/Uf는 생물학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피부의 탄력이 증가하면 R2값은 증가, R6값은 감소, R7값은 증가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의 결과,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는 순발적인 피부 복귀율 R7(Ur/Uf) 값의 차분 평균값은 0.01이었음에 반해, 수소 미사용 기간에서는 -0.01이었다. p값은 0.028로 통계적으로 유의, 효과량은 0.74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나아가 수소 사용 기간에서는 피부 복귀율 R2값의 차분 평균값은 0.01이었음에 반해, 수소 미사용 기간에서는 -0.02였다. p값은 0.07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효과량은 0.59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수소 지속사용에 의한 유의한 경향이 있던 것으로 판정했다. 수소 흡인의 지속사용에 의해 피부의 순간적 회복력 및, 피부 복귀율의 증가가 인정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피부의 탄력 회복 및 처짐 개선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피부색의 측정(지속사용 평가 시험)≫
측정 부위의 피부색은 핸디형 색차계 NR555(일본덴쇼쿠공업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볼부에서 7회 수행하고,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을 생략한 5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험의 결과 측정 부위의 피부색을 3개의 인자(L*, a*, b*)로 나누어 해석했다. 즉, 피부의 흑백 정도;L*, 붉은 기의 정도;a*, 누런 기의 정도;b* 로 분할하여 해석했다. 그 결과,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는 각각의 인자의 차분 평균값은 (Δ; +0.30, Δa*; -0.23, Δ; -0.20)이었으나, 비지속사용 기간에서는 (Δ;-0.22, Δa*; -0.45, Δb*; -0.01)이었으므로, 수소 지속사용에 의해 피부색이 희어지고, 붉은 기가 감소하고, 누런 기가 감소하는 피부색의 개선 경향이 있음이 시사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VISIA(등록상표)-Evolution에 의한 피부 상태의 해석(지속사용 평가 시험(도 9 및 도 10))≫
측정 부위의 피부 화상을 VISIA(등록상표) Evolution(Canfield Imaging Systems)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각 피부 성상을 해석했다. 기기 부속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모공, 기미, 주름, 피부결, 붉은 기, 포르피린, 검버섯의 스코아를 각각 계측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시험 결과, VISIA(등록상표)에 의해 피부 상태로서 모공, 기미, 주름, 피부결, 붉은 기, 포르피린, 검버섯을 해석했다. 이러한 요소 중, 모공, 주름, 피부결의 측정값은 수소 지속사용 기간 및 비지속사용 기간에 있어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결과는 나타내지 않음). 또한 포르피린 수는 수소 지속사용 기간(차분 평균값; -103.05)에서 비지속사용 기간(차분 평균값; +190.68)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은 인정되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피부의 기미의 해석에서는 과잉의 멜라닌 유래 피부 표층에 존재하는 얼룩을 VISIA(등록상표)가 검출한 것이다(VISIA Evolution 조작 매뉴얼을 통해). 따라서, 해석된 기미 및 검버섯의 측정값이 각각 적을수록 피부색이 균일하다는 지표로 생각된다. 이에, 기미의 해석을 수행한 바,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 기미 개수의 차분 평균값은 -1.8이었음에 반해, 수소 미사용 기간에서는 4.7이었다. p값은 0.0012로서 통계적으로 유의, 효과량은 0.86으로 큰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검버섯의 해석에서는,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 검버섯 개수의 차분 평균값은 -13.7이었음에 반해, 수소 미사용 기간에서는 3.8이었다. p값은 0.046로서 통계적으로 유의, 효과량은 0.68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들을 도 9에 나타냈다.
한편, 피부색의 붉은 기의 해석에서는,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 붉은 기의 차분 평균값은 -5.1이었음에 반해, 비지속사용 기간에서는 3.2였다. p값은 0.042로 통계적으로 유의, 효과량은 0.65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그 결과를 도 10(a)에 나타냈다. 또한 2주간의 수소 지속사용에 의한 붉은 기의 감소의 유효한 일례로서 VISIA 화상을 도 10(b)에 나타냈다. 피부색의 측정 결과 및 VISIA의 화상 해석의 결과를 보면 수소의 지속사용에 의해 안면 피부의 붉은 기의 저감 및 기미 개수 및 검버섯 개수의 유의한 감소를 시사하고 있으므로 피부색의 균일화가 일어나 피부의 칙칙함 저하에 기여한 것으로 보였다.
≪피부 혈류량의 측정(지속사용 평가 시험)≫
측정 부위의 피부 혈류량을 2차원 레이저 혈류 화상 장치(OMEGAZONE OZ-2, 오메가웨이브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부위는 얼굴 전체를 대상으로 했다. 1분 안정후, 측정은 30초간 수행하고, 그 동안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서 사용했다. 제로주, 2주째 및 4주째에 측정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험의 결과, 얼굴 전체의 피부 혈류량의 변화를 2 차원 레이저 혈류 화상 장치를 이용하여 해석한 바, 수소 지속사용 기간에서는 피부 혈류 변화는 차분 평균값에 있어서 -0.20이었으나, 미사용 기간의 혈류 변화의 차분 평균값은 -0.53으로서, 수소의 지속사용에 의해 피부 혈류의 저하가 억제된 것으로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또한 데이터 해석은 각각의 군에서의 피험자의 수소 사용 기간 및 미사용 기간의 전후 측정값으로부터 차분값(Δ값)을 산출하고, 각각의 수소 사용 기간군 또는 미사용 기간군에서의 피험자의 차분값의 가산 평균에 의해 산출된 값을 수소 사용 기간군의 차분 평균값 및 미사용 기간군의 차분 평균값으로 했다.
차분 평균값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수소 사용 기간군의 차분 평균값: AΔ(2W - 0W) + BΔ (4W- 2W)
미사용 기간군의 차분 평균값: AΔ(4W - 2W) + BΔ(2W - 0W)
각 군의 차분 평균값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의 확률로서 p값을, 차분 평균값의 차이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효과량을 산출하고, 두 군간의 비교를 수행했다.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예≫
이어서, 제1의 본 발명의 생활 기능 및/또는 검지 기능을 개선하는 생체 개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추천되는 수소 발생 장치로서의 제2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도 1 ~ 도 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00)는 도 1~도 5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에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실시형태를 예시 설명한다. 도 1에는 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에는 도 1의 실시형태의 대표예의 육면도, 도 4에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의 전해조 내에서의 전기 분해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전극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는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도시 및 설명의 내용을 일반 상식의 범위 내에서 개변한 것도 포함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는 전지(4), LED(16), 제어 수단(17), 전해조(3), 방향 또는 서플리먼트 카트리지(이하, “단순히 “카트리지”라고도 칭함)(5), 혼합부(2), 노즐부(8)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전지(4)는 충전식이고, 전해조(3)에는 한 쌍의 양음 전극(6, 7)이 배치되어 있다. 양음 전극(6, 7)은 제어 수단(33)을 통해 전지(4)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LED(16)는 전지(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수단(17)에는 전극 제어 회로(17a)와, 히터 제어 회로(17b)와, LED 제어 회로(17c), 전력 공급 수단(전력 공급 회로)(17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5)의 수용부의 저부에는 압력 센서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카트리지의 하단이 압력 센서 스위치(19)를 누르면 제어 기판(17)의 전력 공급 수단(17d)에 의해 전지(4)의 전력이 카트리지(5)로 공급된다.
또한 유저가 조작 버튼(18)을 조작하면, 이에 따라 전극 제어 회로(17d)가 전해조(3) 내의 한 쌍의 전극(6, 7)으로의 통전·차단을 제어하여, 전력 공급 수단(17d)에 의해 전지(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가변시켜 전극(6, 7)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한 쌍의 전극(6, 7)으로 전력이 공급되면 전해조(10) 내에 저장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양전극(6) 측에 산소가 발생하고 음전극(7) 측에 수소가 발생한다.
음전극(7)으로부터 발생한 수소는 전해조(3) 상부의 어태치먼트(14)를 통해 뚜껑 부재(2)로 유입된다. 또한 양전극(6)으로부터 발생한 산소는 벤트된다.
또한 카트리지(5)는 압력 센서 스위치(19)가 ON되면 전력 공급 수단(17d)에 의해 카트리지(5) 내의 가열기로의 전력이 전지(4)로부터 공급되어, 내부의 증기 챔버(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건강·미용 촉진 효과를 갖는 방향 성분 또는 서플리먼트를 흡착시킨 카트리지를 가열한다. 가열기에 의해 서플리먼트(약제를 포함)나 방향 성분(이하, 간단히 “서플리먼트”라고도 칭함)을 흡착시킨 카트리지가 가열되면 서플리먼트 함유 증기가 발생한다.
카트리지(5)에서 발생한 서플리먼트 함유 증기는 노즐부(8)를 흡인함으로써 입안으로 방출된다. 이 때 흡인으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어태치먼트(4)로부터 방출된 수소가 뚜껑 부재(2) 내를 흘러, 뚜껑 부재(2)내에 노출된 카트리지(5)의 상부 주위와 노즐부(8)의 내벽과의 틈새를 통과하여 서플리먼트 함유 공기와 혼합되어 입안으로 안내된다. 이것을 가열함으로써 서플리먼트 함유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a)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뚜껑 부재(2)가 벗겨진 상태이고, 뚜껑 부재(2)를 벗긴(연) 상태에서 상부 우측의 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카트리지용 수용부(이하, “수용부”라고도 칭함)(20)을 갖는다. 이 수용부(20)에 카트리지(5)를 삽입한다. 카트리지(5)는 범용의 통형의 가열식 전자 담배의 본체부의 대체 부품이다.
카트리지(5)는 상부를 흡인하여 부압이 발생하면 ON상태가 되고 후술하는 주전원이 ON되어 있는 경우 배터리(30)내의 충전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가열기에 의해 증기 챔버가 가열되어 서플리먼트 또는 방향 성분이 방출된다. 또한 카트리지(5)는 상단을 흡인하여 부압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배터리(30)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 때에는 배터리(30) 하단의 LED(30b)가 점등한다.
여기서 다시 도 2로 되돌아와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수용부(20)에는 카트리지(5)가 삽입된다. 수용부(20)의 저부에는 압력 센서 스위치(19)가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전기 단자로서 어태치먼트(30a)와 동일 형상의 볼록 나사(19a)가 마련되어 있다. 압력 센서 스위치(19)는 눌리면 충전지(리튬 배터리)(4)로부터의 전력이 볼록 나사(19a)로 공급되어 서플리먼트 함유 증기를 흡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우측부(도 2(c) 참조)에는, 카트리지 ON/OFF 스위치(16c)와 LED 인디케이터(16b)와 주전원/수소 버튼(16a)이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 ON/OFF 스위치(16c)는 압력 센서 스위치(19)의 ON/OFF 스위치로서, ON시에는 카트리지(5)의 하단의 어태치먼트(5a)가 볼록 나사(19)에 연결되어 눌리면 카트리지(5)로의 충전지(4)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되어 있고, OFF시에는 압력 센서 스위치(19)를 눌러도 충전지(4)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주전원/수소 버튼(16a)은 후술하는 전해조(3) 내의 양음극(6, 7)과 주전원과의 버튼식 전력 공급 스위치로서, 누르는 방법/시간에 의해 주전원의 ON/OFF와 양음극(6, 7)으로의 전력 공급 ON/OFF를 겸용한다.
이 예에서는 주전원/수소 버튼(16a)을 3초 길게 누르면 5분간 양음극(6, 7)이 통전되어 수소를 발생시키고, 3회 누름을 2초간 수행하면 주전원을 OFF시킨다. 또한 주전원은 OFF시키는 동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20분 경과하면 OFF된다. 또한 주전원/수소 버튼(16a)은 수소 발생중에는 점등하고, 그 점등색에 따라 충전지(4)의 잔량 표시 기능도 갖는다. 이 예에서는 전지 잔량 20~80%인 경우에는 청색으로 점등하고, 전지 잔량 80~100%인 경우에는 백색으로 점등한다. 또한 LED 인디케이터(16b)는 상하 2개의 LED가 마련되어 있고, 상측 LED는 전해조(3) 내의 양음극(6, 7)으로의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면 점등하고, 하측 LED는 압력 센서 스위치(19)가 ON되어 카트리지(5)로의 통전이 이루어지면 점등한다. 또한 전자 담배 ON/OFF 스위치(16c), LED 인디케이터(16b), 주전원/수소 버튼(16) 각각의 점등은 내부의 인디케이터 기판(26)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 스위치(19)가 ON되면 충전지(4)로부터의 전력은 제어 기판(17)에 의해 한 쌍의 양음 전극(6, 7)으로도 공급된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양음 전극(6, 7)은 전해조(5)의 내저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지(4)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 측부의 USB 단자(16d)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도 2(d) 참조).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전해조(3) 내의 구성이나 양음 전극(6, 7)이 통전된 경우의 전해조(3)내에서의 전기 분해의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된 전해조(3)는 대략적으로, 중공이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재(3b)와, 통부재(3b)의 저부를 폐쇄하는 바닥 부재(3a)와, 통부재(3a)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 부재(3c, 3d)(3c와 3d는 일체 성형일 수도 있음), 로 구성되어 있다. 양음 전극(6, 7)을 통전시키면 양전극(6)의 근방에는 산소(O2)가 발생하고, 음전극(7)의 근방에는 수소(H2)가 발생한다. 발생한 산소 및 수소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이동하여 각각 틈새(3g)로 이동한다. 여기서, 전해조(3)는 그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전해조(3)를 음전극(7)측의 수소 가스 발생층(12)과 양전극(6)측의 산소 가스 발생층(13)으로 구분하는 칸막이 부재(8)가 마련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8)의 하단은 수소 가스 발생층(12)과 산소 가스 발생층(13)을 유체적으로 접속시키도록 바닥 부재(3a)의 상면으로부터 틈새(3g)가 마련되어 있다.
이 칸막이 부재(8)에 의해 산소 및 수소가 위쪽으로 이동할 때 전해조(3) 내에서 산소와 수소가 혼합되는 것이 저해된다. 한편으로, 칸막이 부재(8)로 구획되지 않은 칸막이 판(8)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틈새(3g)의 하부에서는 물(H2O)의 자유로운 이동, 즉 산소 및 수소의 발생에 필요한 이온(“OH-” 및 “H+”)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50)에 의해 전기 분해를 하면서 산소와 수소의 혼합의 저해를 달성하고 있다.
뚜껑 부재(3c)는 산소 가스 발생층(13)의 상부를 폐쇄하나, 뚜껑 부재(3c)의 일부 또는 뚜껑 부재(3c)와 칸막이 부재(8) 또는 통부재(3b)와의 사이에 개구(3e)를 마련하고 있다. 개구(3e)는 산소 투과막(9)으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틈새(3g) 등에 의해 수소 가스 발생층(12)으로부터 산소 가스 발생층(13)으로 수소가 누설되어도 산소 투과막(9)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기체는 산소로만 한정된다. 이 산소 투과막(9)은 도 2에 나타낸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후술)에 배치할 수도 있으나, 전해조(3)에 전용으로 마련한 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 가스 발생층(12)의 경우에도 뚜껑 부재(3d)에 의해 수소 가스 발생층(12)의 상부가 폐쇄되나, 수소 가스 발생층(12)측의 통부재(3b)의 상부에 개구(3f)가 마련된다. 개구(3f)는 바이패스 유로(3h)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음전극(7)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 발생층(12) 내의 수소는 바이패스 유로(3h)로 유입되어 위쪽에 흐르게 된다.
도 3의 개구(3f) ~ 바이패스 유로(3h)의 수소의 유로에 대해 도 2의 예에서는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가 개구(3f), 전해조(3)의 상부와 뚜껑 부재(2)간의 틈새가 바이패스 유로(3h)에 상당한다.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조(5) 내로 전해액 또는 물을 주입하는 유입구로서의 기능과, 전해조(5)내의 수소를 외부로 방출하는 개구(3f)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나사를 풀어 분리한 상태에서 전해액 또는 물을 개구(3f)를 통해 주입한다. 또한 나사를 체결한 상태에서는 전해조(5) 내의 전해액 등의 누출을 억제하나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에 별도 마련한 홀 등을 막는 수소 등의 가스 투과막(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수소를 방출한다.
방출된 수소는 도 2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2) 내를 좌방향(카트리지(5) 방향)으로 흐른다. 뚜껑 부재(2)는 좌단에, 상단에 개구를 마련하고 돌출되는 통 모양의 노즐부(2a)를 가지며, 카트리지(5)의 상단과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를 덮어 전해조(5)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리 가능한 일체 부재이다. 뚜껑 부재(2)가 전해조(3)의 상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노즐부(2a)는 그 개구내로 카트리지(5)의 상단이 주위에 틈새(26)를 마련하며 네스트형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노즐부(2a)를 흡인하면, 전해액 주입구/수소 발생구(14)로부터 흘러 온 수소(고농도 수소 함유 공기)가 틈새(26)를 상승하여 외부로 방출된다(도 2의 점선 참조). 이에 의해 고농도 수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5)로 전력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건강·미용 촉진 효과를 갖는 서플리먼트 및/또는 방향 성분의 함유 공기와 고농도 수소의 혼합 가스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는 개폐 가능한 커버(1a)를 구비하고 있고, 도 2의 예에서는 커버(1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해조(3) 내의 액량을 시인할 수 있도록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측부에 전해조(5) 내의 액량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개구(전해액 확인창)(3i)가 마련되어 있다.
참고로 도 5에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실시형태 예의 외관 사진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를 좌측 경사 전방에서 본 것이고, (b)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를 우측 경사 전방에서 본 것이고, (c)는 (a)의 좌측 경사 전방에서 본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1)의 커버(1a)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디자인에 있어서 도 2의 예와 다른 부분도 있으나, 주된 구조는 대략 동일하고, 도 5에 부여하는 참조 번호는 도 2의 예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 제1의 본 발명의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이 수소 흡인 미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적정한 제2의 본 발명의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 대해 그 실시형태를 예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등의 기재의 정신이나 교시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변형예나 개량예를 얻을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비치료적으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이 수소 흡인 미용법을 실시하기에 적정한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에 의하면,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일상에서 계속적으로 경구 또는 경비 흡인함으로써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고, 미용업계에 새로이 피부 상태 개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이용하는 적정한 장치의 제공에 의한 미용 시장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1: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2: 뚜껑 부재
3: 전해조
4: 충전지
5: 카트리지
6: 양전극
7: 음전극
8: 노즐부
17: 제어 수단
18: 조작 버튼(조작 수단)
19: 압력 센서 스위치
19a: 볼록 나사
20: 카트리지용 수용부
25: 서플리먼트를 흡착시킨 카트리지

Claims (8)

  1.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1회당 소정 시간 이상, 소정 기간 계속해서 상용적으로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함으로써 비치료적으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붉은 기의 저감, 붉은 기미 및 검버섯의 개수의 감소에 의해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피부의 복귀율 및 점탄성이 증가함에 의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촉진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
  4. 제1항 ~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 함유 가스의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은, 약 15분 이상 간격을 두고 1회당 5분 이상, 매일 5회 이상 수행하고, 약 2주간 이상 계속하는, 수소 흡인 미용법.
  5. 제1항 ~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하는 수소 함유 가스는, 수소를 1 ~ 2% 함유 하고 있는 수소 흡인 미용 방법.
  6.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로서,
    수소를 발생시켜 방출하는 수소 발생 수단과,
    상기 수소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소와 환경 공기가 혼합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인체의 비구까지 안내하는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수소 이송 수단으로부터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하는 어태치먼트, 를 갖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발생 수단과 상기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어태치먼트를 구비하는 휴대형의 수소 흡인 조립체로서,
    상기 수소 발생 수단은, 서로 이격되는 양극 및 음극을 전해수 내에서 통전시켜 전해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해조를 가지며,
    상기 수소 이송 수단과 상기 어태치먼트는, 경구 흡인 또는 경비 흡인에 의한 부압으로 상기 전해조에서 발생한 수소와 환경 공기를 혼합한 고농도의 수소 함유 가스를 비구까지 안내하는 일체 결합된 혼합부로서 구성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8. 제8항에 있어서,
    전지와, 이 전지로부터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과, 이 제어 기판에 의해 상기 양극 및 음극으로의 통전 또는 차전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양음 전극, 을 갖고 한 손으로 파지하면서 경구 또는 경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본체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는 상기 본체 커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양음 전극이 내부로 삽입되어 저수 가능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이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전해조의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비구 내에 수소 함유 가스 공기를 안내하는 노즐부와 상기 전해조로부터 상기 노즐부까지 유체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환경 공기를 유입하는 유로를 가져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본체 커버 부재의 측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조작 수단의 조작으로 상기 전지로부터 양음 전극으로의 전력 공급 및 정지를 제어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KR1020217030150A 2019-03-19 2020-03-19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KR20210129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1912 2019-03-19
JPJP-P-2019-051912 2019-03-19
PCT/JP2020/012519 WO2020189788A1 (ja) 2019-03-19 2020-03-19 水素吸引美容法、及び水素吸引美容法に用いる高濃度水素吸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154A true KR20210129154A (ko) 2021-10-27

Family

ID=7252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150A KR20210129154A (ko) 2019-03-19 2020-03-19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51887A1 (ko)
JP (1) JPWO2020189788A1 (ko)
KR (1) KR20210129154A (ko)
WO (1) WO20201897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107A1 (ja) 2017-02-14 2018-08-23 株式会社アクアバンク 生体の神経活動及び/又は血液循環活動を促進する生体活性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13229A (en) * 2010-09-30 2012-04-01 Young Green Energy Co Hydrogen production device, hydrogen addition device and hydrogen-additive article
JP2017046929A (ja) * 2015-09-02 2017-03-09 株式会社エアープレス 水素含有ガス吸入装置及び水素含有ガス吸入装置の動作方法
JP6666701B2 (ja) * 2015-12-01 2020-03-18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水素ガス供給装置
US20200023155A1 (en) * 2017-02-20 2020-01-23 Takashi TAKEHARA Electrolytic hydrogen and oxygen gas inhaler
JP6957791B2 (ja) * 2017-02-24 2021-11-02 豊成 原田 電解水素吸引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107A1 (ja) 2017-02-14 2018-08-23 株式会社アクアバンク 生体の神経活動及び/又は血液循環活動を促進する生体活性化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yashi K. et al.: Inhalation of hydrogen gas reduces infact size in the rat model of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ly. Biochem. Biophsy. Res. Commun, 373:30-35,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1887A1 (en) 2022-05-19
JPWO2020189788A1 (ko) 2020-09-24
WO2020189788A1 (ja)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0886A1 (en) Anti-explosion gas generator for health use
EP2815781B1 (en) Anti-explosion gas generator for health use
JP6696058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健康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JP6519717B2 (ja) 生体の神経活動及び/又は血液循環活動を促進する生体活性化方法を行うための水素発生装置
JP7485878B2 (ja) 生体改善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電気分解式水素発生具
TWI629070B (zh) 氣體產生器
KR20210129154A (ko) 수소 흡인 미용법, 및 수소 흡인 미용법에 이용하는 고농도 수소 흡인 장치
KR101322493B1 (ko) 코 삽입용 산소공급기
KR20070110962A (ko) 구형 고농도 산소캡슐
WO2021177467A1 (ja) 睡眠改善支援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電気分解式水素発生具
CN208770585U (zh) 一种可替换药液瓶防交叉感染的雾化装置
CN216963210U (zh) 一种电解灭菌式富氢水雾化呼吸仪以及补水仪
JP2020203881A (ja) 自覚うつ症状及びストレス改善方法又は血管年齢改善
CN216366221U (zh) 一种急诊护理吸氧装置
KR102648098B1 (ko) 스마트 코마개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시스템
CN109847186B (zh) 一种生物电调节装置
Assessment et al. Appendix D—Gloss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