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102A -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102A
KR20210129102A KR1020217028806A KR20217028806A KR20210129102A KR 20210129102 A KR20210129102 A KR 20210129102A KR 1020217028806 A KR1020217028806 A KR 1020217028806A KR 20217028806 A KR20217028806 A KR 20217028806A KR 20210129102 A KR20210129102 A KR 20210129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king system
heating element
open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디. 안토니
에단 티. 브라운
리차드 리즈 마티아스
니콜라스 바자베디앙
나타니엘 알. 라빈스
잭 데이비드 클라크
제임스 리차드 포터
Original Assignee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filed Critical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2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8Bread-toasters
    • A47J37/08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 시스템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지지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개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별개이다.

Description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본 개시의 구현예는 일반적으로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소의 조리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보관 위치를 갖는 조리대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토스터 오븐과 같은 기존의 조리대 조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벽 장착 대형 오븐 또는 레인지 대신에 음식을 편리하게 데우거나 조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리대 조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조리대 공간을 덮는다. 조리대 공간이 제한된 주방에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조리대 조리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은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그 결과, 사용자는 조리대 조리 시스템을 다른 곳에 저장하여, 조리대 조리 시스템의 접근성 및 사용 용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최소의 조리대 공간을 차지하는 조리대 조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지지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개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별개이다.
일 구현예에 따라, 지지 표면 상에 장착 가능한 조리 시스템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한다. 회전 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열되며, 상기 회전 구조물은 회전축을 정의한다.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2 측면에 위치한다. 클리닝 도어는 상기 제2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의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는 방법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제1 개구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위치한 제2 개구부가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도록 중첩 배열로 배열된 클리닝 도어를 개방한다.
일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한다. 내부 가열 구획부는 그 안에 열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가열 구획부 내에 위치하고 포함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구조물은, 반사기 중 적어도 하나,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열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가열 구획부 내에 위치하고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조물을 통해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 내에서 열 분포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조물은, 반사기 중 적어도 하나,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여러 양태를 구현하며,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중,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라 개방 위치에서 도어를 갖는 조리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회전 지지대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 구현예에 따라 제1 활성 구성에서 조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b는 일 구현예에 따라 제2 보관 구성에서 도 7a의 조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구현예에 따라 조리 시스템의 하우징과 지지대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제2 보관 구성에서 조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구현예에 따라, 개방식 구성에서, 클리닝 도어를 갖는 제2 보관 구성에서의 조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구현예에 따라 내부 가열 구획부의 내부 라이너가 일부 제거되고, 개방식 구성에서, 클리닝 도어를 갖는 제2 보관 구성에서의 조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전방 사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전방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a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가열 요소 가드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4a의 가열 요소 가드의 평면도이다.
도 15a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가열 요소 가드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일 구현예에 따른 도 14a의 가열 요소 가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일 구현예에 따른 가열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내부 가열 구획부 내의 열 분포의 사시도 모델이다.
도 1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내부 가열 구획부 내의 열 분포의 단면도 모델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장점 및 특징과 함께 본 개시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조리대와 같이, 지지 표면(22) 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리 시스템(20)의 예시가 나타나 있다. 조리 시스템(20)은, 내부 가열 구획부 또는 조리 부피(26)를 정의하는 단열 하우징(24)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하우징(24)은 좌측 측벽(28), 우측 측벽(30), 상단(32), 하단(34), 및 후방 또는 후방 벽(36)을 포함하며, 내부 가열 구획부(26)를 그 사이에 정의하도록 함께 연결된다. 일 구현예에서, 하우징(24)은 전방 벽(38)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내부 가열 구획부(26)에 접근한다. 그러나, 하우징(24)이 전방 벽(38)을 포함하지 않는 구현예도 본 개시의 범주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우징(24)의 전방 벽(38)은, 내부 가열 구획부(26)에 대한 접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24)의 나머지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40)는 투명 패널을 포함하고 개방 위치(도 2)와 폐쇄 위치(도 1) 사이에서 힌지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이의 에지를 따라 힌지 결합된다. 힌지 축(X)이 도어(40)의 하단 에지(42)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힌지 축(X)이 도어(40)의 상부 에지 또는 측면 에지에서 정의되는 구현예도 본 개시의 범주 내에 또한 있다. 또한, 도어(40)가 힌지 축(X)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도어(40)가 하우징(24)에 대해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도어(40)가 하우징(24)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현예가 또한 본원에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어(40)는 하우징(24)의 전체 전방 벽(38)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도어(40)는 전방 벽(38)의 일부분만을 정의할 수 있고, 전방 벽(38)은, 도어(40)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패널(4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4)은 하우징(24)의 좌측 벽 및 우측 벽(28, 30) 사이, 및 상단과 하단(32, 34) 사이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하우징(24)의 내부 가열 구획부(26)에 대한 엑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구(46)(도 2에 가장 잘 나타냄)는 패널(44)에 형성되고, 도어(40)는 개구(46)와 중첩 배열로 장착된다. 그러나, 하우징(24)의 전방 벽(38)이 패널(44)만 포함하고 도어(40)를 포함하지 않는 구현예도 본 개시의 범주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4)의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 장착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48)이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한 쌍의 대향하는 고정구(48)는 좌 측벽(28)과 우 측벽(30)의 내부 표면에 각각 장착된다. 하나 이상의 고정구(48)는, 예를 들어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착탈식 조리 랙, 바스켓, 스핏 또는 드립 트레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조리 액세서리(50)를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하우징(24)의 내부 가열 구획부(26)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된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 예를 들어 하우징(24)의 상단(32)에 인접하게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제1 가열 요소(52)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복수의 제1 가열 요소(52), 예를 들어 힌지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하우징(24)의 상단(32)의 깊이에 걸쳐 이격되는, 세 개의 제1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임의의 수의 제1 가열 요소(52) 및 제1 가열 요소(52)의 임의의 구성이 본원에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열 요소(54)는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 예를 들어 하우징(24)의 하단(34)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0-11의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복수의 제2 가열 요소(54), 예컨대 힌지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하우징의 하단(34)의 깊이에 걸쳐 이격되는, 세 개의 제2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가열 요소(52) 및 제2 가열 요소(54)는 일반적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엇갈릴 수 있다.
비록 조리 시스템(20)의 가열 요소(52, 54)가 하우징(24)의 상단(32) 및 하단(34)에 일반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조리 시스템(20)이 내부 가열 구획부(26)의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내부 가열 구획부(26)의 중심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미도시)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구현예가 또한 본원에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조리 시스템(20)의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는 전도, 대류, 복사 및 유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가열을 수행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52, 54)는 임의의 유형의 가열 요소, 예컨대 튜브형, 석영, 텅스텐, 및 할로겐 가열 요소일 수 있다.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다수의 위치에 배열된 복수의 가열 요소(52, 54)를 갖는 조리 시스템(20)의 구현예에서, 복수의 가열 요소(52, 54)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이할 수 있고, 또한 유사하거나 별개 유형의 가열을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가열 요소 둘 모두는 복사식 가열 요소이다. 그러나, 가열의 다른 조합을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한 가열 요소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내부 가열 구획부(26)를 통해 공기 또는 다른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가열 요소(52, 54)와 함께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팬(5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 시스템(20)의 내부 가열 공동(26)의 구성은, 그 안에 위치하고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조물을 통해 그 안에 열 분포를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내부 가열 공동(26) 내에 위치하고 예를 들어 제1 가열 요소(52)와 같은 복수의 가열 요소로부터 방출된 열의 일부를 방향 전환하여 내부 가열 공동(26) 전체에 걸쳐 균일한 열 분포를 달성하도록 구성된, 반사기(110)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반사기(110)는 내부 가열 공동(26)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폭 및 깊이를 갖는다. 그러나, 반사기(110)가 내부 가열 공동보다 작은 구현예도 본원에서 또한 고려된다.
반사기(110)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모든 것은 아니지만, 반사기(110)의 표면과 접촉하고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서 재지향되는 적어도 일부의 열 또는 광이 되도록 표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의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반사기(110)는 각진 표면(116)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상단 플랜지(112) 및 복수의 하단 플랜지(114)를 포함하는 물결형 구성을 갖는다. 인접한 상부 및 하부 표면(112, 114)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도 표면(116)은 유사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표면(112)은 제1 평면(U)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하단 플랜지(114)는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평면(B)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평면(U) 및 제2 평면(B)은 서로 평행할 수 있지만,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다. 일 구현예에서,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은 제1 가열 요소(52)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복수의 제1 가열 요소(52)는 상부 플랜지(114)에 인접하여, 상부 표면(112)의 평면(U)과 하부 표면(114)의 평면(B) 사이에 정의된 개구(118) 내에 일반적으로 배열된다.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가열 요소(52)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가열 요소(52)와 연관된 상부 플랜지(112)의 깊이 및 상부 플랜지(114)에 대한 가열 요소(52)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벽(36)에 인접한 상부 플랜지(114)의 깊이는, 전방 벽에 인접한 상부 플랜지(114)의 깊이보다 큰, 내부 가열 구획부(26)의 중심에서 상부 플랜지(114)의 깊이보다 크다. 유사하게, 전방 벽(38)에 인접하게 위치한 가열 요소(52)는 전방 벽(38)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상부 플랜지(114)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중심 가열 요소(52)는, 대응하는 상부 플랜지(114)에 대해 일반적으로 중심을 두고, 후방 벽(36)에 인접한 가열 요소(52)는, 예를 들어 전방 벽(38)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상부 플랜지(114)의 중심으로부터 유사하게 오프셋된다. 일 구현예에서, 전방 벽(38)으로 연장되는 반사기(120)의 제1 말단은 부분 하단 플랜지(114)를 포함하고, 반사기(110)의 제2 대향 말단(122)은 상부 플랜지(112)로부터 연장된 하향 각도 표면을 통해 후방 벽(36)과 접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곽형 반사기를 사용하여 달성된 열 분포 모델의 예시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열 분포는, 예를 들어 제2 가열 요소(54)와 같은 가열 요소와 중첩 배열로 하나 이상의 가드 요소(124)를 포함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가드(124)는, 가열 요소(54)의 적어도 세 개의 측면 주위로 연장된 몸체(12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개구(128)가 몸체(126) 내에 형성되어, 가열 요소(54)에 의해 방출된 열을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로 전달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각각의 가드 몸체(126)에 형성된 개구(128)의 구성은,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대응하는 가열 요소(54)의 위치에 기초하여 변한다. 개구(128)의 구성은 각 가열 요소(54)의 길이에 걸쳐 유사하게 변할 수 있다. 전방 벽(38)에 인접하게 위치한 가열 요소(54)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드(124)의 예가 도 14a-14b에 나타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대형 개구(128)는 일반적으로 몸체(126)의 다수의 측면에 걸쳐 균일하게 연장된다.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열이 전방 벽(38)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손실되기 때문에, 전방 벽(38)에 인접하게 배열된 가열 요소(54)를 위한 가드(124)는, 내부 가열 구획부(26)의 중심에 배열되고 후방 벽(36)에 인접하게 배열된 가열 요소(54)에 결합된 가드(124)보다 더 많은 열이 그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내부 가열 구획부(26)의 중심에 배열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후방 벽(36)에 인접한 가열 요소(54)를 사용하기 위한 가드(124)의 예시가 도 15a-15b에 나타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24)는 몸체(124)의 상부 표면 위에 형성된 복수의 소형 개구(128)를 포함한다. 또한, 개구(128)의 밀도는 몸체(124)의 길이에 걸쳐 변한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더 많은 수의 개구(128)가 가열 요소(54)의 중심에 있는 것보다 몸체(124)의 말단(130, 132) 및 따라서 가열 요소(54)의 말단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가드(124)의 중심에 인접하고 이렇게 감소된 수의 개구(128)는, 중심 및 후방 가열 요소(54)의 중심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가드(124) 내에 형성된 개구(128)는, 내부 가열 구획부(26)를 정의하는 전방 벽과 실제 벽(38, 36) 사이, 및 좌측과 우측 벽(28, 30) 사이에서 가열 요소(54)에 의해 방출되는 열의 분포를 제어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에 걸친 열 출력은 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는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가열되고 복사선을 방출하는 튜브 내에 배열된 코일형 와이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가열 요소(52, 54)의 길이에 걸쳐 인접한 코일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가열 요소(52, 54)의 다양한 부분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은 다른 것보다 클 수 있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가열 요소(52, 54)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52, 54)의 중심과 같은 가열 요소(52, 54)의 제1 영역 내의 와이어 코일의 간격이 가열 요소(52, 53)의 제2 영역 내의, 예컨대 가열 요소(54)의 인접 말단에서의 코일 간격보다 더 넓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52, 54)의 길이의 처음 12.5% 내의 코일은 제1 코일 간격을 가질 수 있고, 가열 요소(52, 54)의 다음 75%는 제2 코일 간격을 가질 수 있고, 가열 요소(52, 54)의 최종 12.5%는 또한 제1 코일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가열 요소(52, 54)의 구성은 별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제1 가열 요소(52) 중 하나 이상은 제2 코일 간격의 1.25배와 동일한 제1 코일 간격을 갖고, 복수의 제2 가열 요소(54) 중 하나 이상은 제2 코일 간격의 1.5배와 동일한 제1 코일 간격을 갖는다. 별개 코일 간격의 두 개 초과의 영역 및 상이한 비율의 코일 간격을 갖는 가열 요소(52, 54)가 본원에서 또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시스템(2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패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2)가 하우징(24)의 외부 부분, 예를 들어 패널(44) 또는 상단에 장착된다. 제어 패널(62)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시스템(60)의 일부이다. 제어 패널(62)은, 조리 시스템(20)의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에 전력을 공급하고 조리 시스템(20)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입력부(6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부(64)는, 각각의 입력부(64)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광 또는 다른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패널(62)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와 별도이고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6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66)가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에 통합되는 구현예도 본원에서 고려된다.
하나 이상의 입력부(64)의 작동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60)은, 하나 이상의 입력부(64)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 입력부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52, 54)의 작동을 제어하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열 작동의 저장된 순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68)를 포함한다. 조리 시스템(20)이 복수의 가열 요소(52)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가열 요소(52, 54)는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52, 54) 중 하나 이상의 가열 출력은, 가열 요소(52, 54)에 공급되는 전력에 반응하여 변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60)은, 프로세서(68)와 통신하여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작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센서(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 패널(62) 상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 패널(6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온/오프 버튼이다. 제어 패널(62)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 가열 요소(52, 54) 중 어느 것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는 가열 요소(52, 54) 중 적어도 하나의 수동 작동 모드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52, 54)의 저장된 작동 순서를 선택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일부 경우에, 저장된 순서는, 주어진 음식 준비 방법 및/또는 특정 성분 또는 성분 유형에 특히 매우 적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와 연관된 복수의 저장된 순서는, 프로세서(68)에 의해 접근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저장된 순서는 조리 시스템(20)으로부터 원격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통해 프로세서(68)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수동 모드에서 조리 시스템(20)의 작동과 연관된 시간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시간은, 동일한 입력부(64) 또는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별도의 입력부(64)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시스템(20)이 입력부 중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저장된 순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드에 있는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66)는 디스플레이(66) 상에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스트 색상과 같은 온도 또는 다른 파라미터도 입력부(64)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64)는 원하는 모드에서 작동을 개시하기 위해 의도된 별개의 시작 버튼, 모든 작동을 중단하기 위한 별개의 정지 버튼, 또는 기능을 개시하고 중단하기 위한 정지/시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리 시스템(20)은, 일단 입력이 선택되고 임의의 필요한 정보가 제어 패널(62)에 제공되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작동을 시작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부(64)는, 조리 시스템(20)이 저장된 순서를 따르고 있는지 또는 수동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조리 시스템(20)의 작동을 시작 및 정지시키기 위해, 제어 패널(62)을 향해 노브를 미는 것과 같이 작동 가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부(64)는 복수의 조리 모드에서 조리 시스템(2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조리 시스템(20)의 작동 모드의 예시는, 토스트, 베이킹, 굽기, 그릴, 데우기, 재가열 및 스팀 조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52, 54)의 독립적인 제어는, 사용자가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 위치한 식품의 유형에 기초하여 조리/가열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은 제1 작동 위치 또는 "활성" 위치 사이(도 7A)와 제2 비작동 위치 또는 "보관" 위치(도 7B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활성 위치에서, 제어 시스템(60)은 조리 시스템(20)의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 및 팬(5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조리 시스템(20)이 제2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52, 54) 및 팬(56)은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시스템(20)은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스위치(70)를 포함할 수 있어서, 조리 시스템(20)이 제2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스위치(70)가 개방되고, 이에 의해 전력이 임의의 가열 요소(52, 54) 및 팬(56)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하우징이 보관 구성에 있는 경우에, 가열 요소(52, 54) 및/또는 팬(56)이 전력 공급 받을 수 있는 구현예가 또한 본원에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축(S)은 하우징(24)에 결합되거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 지지대(72)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회전 지지대(72)는 지지 표면(22)에 대해 하우징(24)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치시킨다. 제1 활성 위치에서, 하우징(24) 및 그 안에 정의된 내부 가열 구획부(26)는 일반적으로 수평 배향을 갖는다.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활성 위치에서, 하우징(24)의 상단(32) 및 하단(3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리 시스템(20)이 위치하는 지지 표면(22)에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 안에 형성된 개구(46)를 포함하는 전방 벽(38)은 지지 표면(22)에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하우징(24)으로부터, 예를 들어 그의 하단(34)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피트(7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피트(74)는 회전 지지대(72)와 연동하여 조리 시스템(20)을 지지 표면(22) 상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은 제1 활성 위치에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캔틸레버 구성으로 회전 지지대(72)에 의해 완전히 지지될 수 있다.
조리 시스템(20)은, 화살표(A)로 표시된 제1 방향에서 제2 보관 위치를 향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대략 90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관 위치에서, 하우징(24)과 내부 가열 구획부(26)는 대략적으로 수직 배향된다. 제2 보관 위치에서, 후방 벽(36)과 전방 벽(38)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표면(22)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하단(34)은 지지 표면(2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하우징(24)으로부터, 예를 들어 그의 후방 벽(36)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피트(7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2 피트(76)는 회전 지지대(72)와 연동하여 조리 시스템(20)을 제2 보관 위치에서의 지지 표면(22) 상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은 제2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캔틸레버 구성으로 회전 지지대(72)에 의해 완전히 지지될 수 있다.
보관 위치로부터,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은 화살표(B)로 표시된 제2 방향에서 제1 활성 위치를 향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리 시스템(20)의 하우징(24)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환함에 따라, 이와 연관된 전방 벽(38) 및/또는 개구(46) 또는 도어(40)는 평면 밖으로, 즉 제1 평면으로부터 제1 평면과 구별되는 제2 평면으로 회전한다. 제2 위치에서의 하우징(24)의 투사 표면적이 제1 위치에서의 하우징(24)의 투사 표면적보다 실질적으로 작기 때문에, 조리 시스템(2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조리 시스템(20)에 의해 점유되는 지지 표면(22)의 표면적은 최소화된다.
일 구현예에서, 회전축(S)은 하우징(24)의 에지 근처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회전축(S)은 하우징(24)의 후방 모서리에 인접하여, 하우징(24)의 하단(34)과 후방 벽(36) 사이의 경계면 근처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회전축(S)이 하우징(24)의 다른 에지를 따라 배열되는 구현예, 예컨대 하단과 측벽(28, 30) 사이의 경계면에 인접한 구현예도 본원에서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 6-8을 참조하면,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회전 지지대(70)는, 베이스(80)의 제1 말단(84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지지 아암(82), 및 베이스(80)의 제2 말단(8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 아암(86)을 갖는, 베이스(8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일 지지 아암, 또는 두 개 초과의 지지 아암만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대(70)가 또한 본 개시의 범주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지지 아암(82) 및 제2 지지 아암(86)은 베이스(80)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이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나타내 구현예에서, 베이스(80)는 일반적으로 수평 구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지 아암(82, 86)은 베이스(80)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되지만, 지지 아암(82, 86)이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구현예도 본원에서 또한 고려된다. 베이스(80)는, 제2 위치에서 하우징(24)의 투사된 표면적과 표면적이 작거나 같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 구현예에서, 베이스(80)의 깊이는 베이스(80)의 폭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80)의 중심에서의 깊이는 베이스(80)의 말단(84, 88)에서의 깊이보다 크다. 이렇게 증가된 깊이는, 제2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조리 시스템(2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 아암(82)과 제2 지지 아암(86) 각각은, 예를 들어 하우징(24)의 측벽(28, 30)과 같은 측면에 형성된 해당 개구(92) 내에 수용 가능한 핀 커넥터(90)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구현 예시에서, 제1 지지 아암(82) 및 제2 지지 아암(86)의 핀 커넥터(90)는 각각 동축으로 배향된다. 함께, 핀 커넥터(90)는 연동하여 회전축(S)을 정의한다. 핀 커넥터(90)는 개구(92)의 내부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핀 커넥터(90)과 개구(92)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여 핀 커넥터(90)에 대한 하우징(2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핀 커넥터(90) 및/또는 개구(92)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지나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우징(2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한 하우징(24)의 회전은, 임의의 적절한 장치를 통해 제어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핀 커넥터(90)는 제1 및 제2 아암(82, 86) 각각의 원위 말단(94) 근처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하우징(24)의 하단(34)과 같은 하우징(24)의 인접 표면, 및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하우징(24)의 후방 벽(36)은 베이스(80) 및 지지 표면(22)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베이스(80)와 하우징(24) 사이에 정의된 이러한 간극(96)은, 하우징(24)으로 하여금 회전축(S)을 중심으로 간섭 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다른 구현예에서, 회전 지지대(70)는 하우징의 에지에 배열된 둥근 특징부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지지대(72)의 둥근 특징부는 하우징의 둥근 에지와 구별된다. 일 구현예에서, 회전 지지대(72)는, 예를 들어 하우징(24)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고 하단(34)과 후방 벽(36)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아치형 특징부(98)를 포함한다. 아치형 특징부(98) 각각의 원점은 회전축(S)을 정의하고, 아치형 특징부(98)의 윤곽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2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일 구현예에서, 조리 시스템(20)은, 내부 가열 구획부(26)에 접근하기 위해, 하우징(24)의 전방 벽(38)과 연관된 도어(40) 또는 개구(46)와 구별되는, 이차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고 도 10-11을 추가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서, 클리닝 도어(100)는 하우징(24)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벽(36) 내에 형성된다. 클리닝 도어(100)는 후방 벽(36)의 일부분 위로 연장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벽의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는다.
조리 시스템(20)이 제1 위치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에, 즉 하단이 지지 표면(22)에 평행하게 그리고 지지 표면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지 않는 경우에, 클리닝 도어(100)는 폐쇄 위치(도 9)와 개방 위치(도 10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클리닝 도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환되도록 회전, 병진, 분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실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낸 래치 장치(102)는 클리닝 도어(100)를 하우징(24)의 나머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래치 장치에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클리닝 도어(100)가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클리닝 도어는 하우징(24)으로부터 분리된다. 클리닝 도어가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 래치 장치는 클리닝 도어와 자동적으로 체결하고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클리닝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40)에 대한 클리닝 도어의 증가된 크기로 인해, 사용자는 클리닝 도어(100)를 통해 내부 가열 구획부(26)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하우징(24) 일부의 내부와 중첩 배열로 위치한 라이너(104)와 같은, 내부 가열 구획부(26)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클리닝 도어(100)를 통해 더 양호하게 수행된다.
본원에 예시되고 설명된 조리 시스템(20)은, 조리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조리 시스템에 의해 차지되는 조리대 공간의 총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본원에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하는 모든 참조 문헌은, 각각의 참조 문헌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참조로서 포함되도록 표시되고 그 전체가 본원에 제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특히 다음의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는 맥락에서 용어 "임의의 하나" 및 "특정 하나" 및 유사한 지시어의 사용은,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포함한" 및 "함유하는"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함)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의 인용은, 본원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별도의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간략한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며, 각각의 별도의 값은 마치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개시를 더 잘 나타내도록 의도되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범주에 대한 제한을 제기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내의 어떠한 언어도 본 개시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본 개시를 수행하기 위해 발명자에게 공지된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원에 설명된다. 이들 구현예의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당업자가 이러한 변형을 적절하게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며,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달리 실시되도록 의도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관련 법이 허용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인용된 주제의 모든 변형물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달리 문맥에 의해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요소의 모든 가능한 변형예에서의 임의의 조합은 본 개시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76)

  1. 지지 표면 상에 위치 가능한 조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개구는 제1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개구는 제2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구별되는, 조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제2 평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인, 조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상기 개구가 배열되는 상기 제1 평면은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상기 개구가 배열되는 상기 제2 평면은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조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범위에 배열되고, 상기 축은,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범위에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범위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위치하는, 조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및 후방 벽을 포함한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축은 상기 후방 벽과 상기 하단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조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열된 회전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축은 상기 회전 구조물에 의해 정의되는, 조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둥근 특징부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특징부는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둥근 에지와 구별되는, 조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은 상기 회전축을 정의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시스템은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복사식 가열 요소인, 조리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열 요소는 작동 가능한, 조리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가열 요소는 작동 불가능한, 조리 시스템.
  18. 지지 표면 상에 장착 가능한 조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열되는 회전 구조물로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회전축을 정의하는 회전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조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범위에 배열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범위에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2 범위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위치하는, 조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및 후방 벽을 포함한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후방 벽과 상기 하단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조리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둥근 특징부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특징부는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둥근 에지와 구별되는, 조리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특징부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은 상기 회전축을 정의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개구는 제1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개구는 제2 평면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구별되는, 조리 시스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배열된 상기 개구를 포함한 평면은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상기 개구를 포함한 평면은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상기 지지 표면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조리 시스템.
  29. 조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개구;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2 개구(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1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제2 측면에 위치함); 및
    상기 제2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리닝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접근 가능한, 조리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클리닝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접근 가능한, 조리 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클리닝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접근 불가능한, 조리 시스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의 면적보다 큰, 조리 시스템.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도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은 좌측 벽, 우측 벽, 상단, 하단, 후방 벽, 및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전방 벽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하단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클리닝 도어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리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가열하도록 작동 가능한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클리닝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조리 시스템.
  39. 조리 시스템의 내부 가열 구획부에 액세스하는 방법으로서,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제1 개구를 가짐); 및
    내부 가열 구획부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에 위치한 제2 개구와 중첩 배열로 배열된 클리닝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수평 구성에서 수직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를 가열하도록 작동 가능한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방법.
  44. 조리 시스템으로서,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는, 내부의 열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가열 구획부 내에 위치하고 포함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반사기 중 적어도 하나,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제1 열 출력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열 출력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가열 요소의 중심에 배열되는, 조리 시스템.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상기 제1 영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길이의 1/8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중심은 상기 제2 영역이고,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길이의 3/4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코일형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코일형 와이어는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코일형 와이어는 제2 간격을 갖는, 조리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5배인, 조리 시스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25배인, 조리 시스템.
  51. 제44항에 있어서,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가변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이고, 가변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제1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제1 부분 및 제2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퍼처 분포는 상기 제2 애퍼처 분포보다 큰, 조리 시스템.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중심에 배열되는, 조리 시스템.
  54. 제44항에 있어서,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복수의 가열 요소 가드이고, 상기 복수의 가열 요소 가드 각각은 복수의 애퍼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깊이에 걸쳐 가열 요소 가드별로 변하는, 조리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열 요소 가드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전방에 인접한 제1 가열 요소 가드,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중심 또는 후방에 인접한 제2 가열 요소 가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열 요소 가드의 상기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제2 가열 요소 가드의 상기 복수의 애퍼처보다 더 큰, 조리 시스템.
  56. 제44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조리 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기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비교적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상기 조리 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기는, 복수의 상대적인 상부 표면 및 복수의 각진 표면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상대적인 하부 표면을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부 표면의 구성은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깊이에 걸쳐 변하는, 조리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표면 각각의 깊이는 변하는, 조리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표면은,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전방 근처에서의 제1 상부 표면,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중심에서의 제2 상부 표면, 및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후방에 인접한 제3 상부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상부 표면의 깊이는 상기 제1 상부 표면보다 크고 상기 제3 상부 표면보다 짧은, 조리 시스템.
  61. 제5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기의 제1 말단에 배열된 하부 표면은,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전방 벽과 인접하는, 조리 시스템.
  62.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 표면과 상기 복수의 하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열되는, 조리 시스템.
  63. 조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내부 가열 구획부를 정의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및
    내부의 열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가열 구획부 내에 위치하고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조물을 통해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 내의 열 분포를 최적화하는 단계(상기 구조물은 반사기 중 적어도 하나,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 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기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 내에서 열을 재지향시키는,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기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상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방법.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는 복수의 상부 표면, 및 복수의 각진 표면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 표면과 상기 복수의 하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열되는, 방법.
  67. 제62항에 있어서,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열 출력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는, 제1 열 출력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열 출력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가열 요소의 중심에 배열되는,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은 상기 제1 영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길이의 1/8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중심은 상기 제2 영역이고,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길이의 3/4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코일형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내의 상기 코일형 와이어는 제1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코일형 와이어는 제2 간격을 갖는,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5배인, 방법.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25배인, 방법.
  73. 제63항에 있어서,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가변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이고, 가변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제1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제1 부분 및 제2 애퍼처 분포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퍼처 분포는 상기 제2 애퍼처 분포보다 큰, 방법.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의 중심에 배열되는, 방법.
  76. 제63항에 있어서, 바람직한 애퍼처 분포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가드는 복수의 가열 요소 가드이고, 상기 복수의 가열 요소 가드 각각은 복수의 애퍼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내부 가열 구획부의 깊이에 걸쳐 가열 요소 가드별로 변하는, 방법.
KR1020217028806A 2019-02-26 2020-02-26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KR20210129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0639P 2019-02-26 2019-02-26
US62/810,639 2019-02-26
PCT/US2020/019855 WO2020176596A2 (en) 2019-02-26 2020-02-26 Stowable countertop cook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102A true KR20210129102A (ko) 2021-10-27

Family

ID=6990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806A KR20210129102A (ko) 2019-02-26 2020-02-26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68200A1 (ko)
EP (1) EP3930548A2 (ko)
JP (1) JP2022523210A (ko)
KR (1) KR20210129102A (ko)
CN (2) CN212346260U (ko)
AU (1) AU2020228619A1 (ko)
WO (1) WO20201765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46260U (zh) * 2019-02-26 2021-01-15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能够在支承表面上定位的烹饪系统和能够安装的烹饪系统
USD977297S1 (en) * 2019-06-06 2023-02-07 Sharkninja Operating Llc Oven
EP3998920A4 (en) 2019-07-15 2023-08-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APPLIAN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4595581U (zh) * 2020-04-06 2021-11-05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能定位在支撑表面上的烹饪系统
USD1005769S1 (en) 2021-09-08 2023-11-28 Newage Products Inc. Ov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78036A (en) * 1954-12-02 1957-07-03 Gen Motors Corp Improved electric cooker
DE2409370A1 (de) * 1974-02-27 1975-09-04 Theo Anschuetz Verschliessbarer behaelter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nahrungsmitteln
US20010039884A1 (en) * 1997-07-07 2001-11-15 Alan L. Backus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MXPA05000300A (es) * 2002-07-05 2005-08-19 Global Appliance Technologies Horno de coccion rapida.
CN101502388B (zh) * 2005-04-14 2011-03-16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用电安全防护功能的煎烤器
US7105778B1 (en) * 2005-11-23 2006-09-12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Combination toaster oven and toaster appliance
ITTO20080299A1 (it) * 2008-04-16 2009-10-17 Indesit Co Spa Piano cottura modulare
US20100024662A1 (en) * 2008-07-29 2010-02-04 Whirlpool Corporation Rotatable waffle maker
CN102697404B (zh) * 2012-06-11 2014-12-17 华裕电器集团有限公司 双面煎烤的烤面包机
WO2014132105A1 (en) * 2013-03-01 2014-09-04 Sunbeam Products, Inc. Cooker
CA2905504C (en) * 2013-03-14 2021-05-04 Elliot BENITEZ Improved tortilla toaster
US9883770B2 (en) * 2014-03-11 2018-02-06 Bonnie Lee Buzick Vertical grill with external drip tray module
CN204146894U (zh) * 2014-10-24 2015-02-11 潘允 煎烤机
US9924830B1 (en) * 2016-11-29 2018-03-27 Team International Group of America Inc.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CN212346260U (zh) * 2019-02-26 2021-01-15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能够在支承表面上定位的烹饪系统和能够安装的烹饪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6596A3 (en) 2020-12-30
WO2020176596A2 (en) 2020-09-03
CN212346260U (zh) 2021-01-15
EP3930548A2 (en) 2022-01-05
US20200268200A1 (en) 2020-08-27
CN112689467A (zh) 2021-04-20
AU2020228619A1 (en) 2021-09-09
JP2022523210A (ja)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9102A (ko) 보관 가능한 조리대 조리 시스템
KR100793797B1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40318387A1 (en) Cooking apparatus
US20220395136A1 (en) Temperature Controlled Accessory for Countertop Cooking System
US12029345B2 (en) Countertop cooking system
JPH05285018A (ja) システム家具
KR101145000B1 (ko) 조리용 랙 및 조리기기
US12089778B2 (en) Dual cavity cooking system
CN114073421B (zh) 烹饪器具
KR200380809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CN214072975U (zh) 能定位在支撑表面上的烹饪系统
JP2022101039A (ja) 加熱調理器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KR20060013775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WO2022266600A1 (en) Temperature controlled accessory for countertop cooking system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JP2022100943A (ja) 加熱調理器
JP2607194Y2 (ja) 加熱調理器
KR20230048778A (ko) 이중 열원 및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80592A (ko) 작동시간이 제어되는 이중 열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18216816A (zh) 烹饪制备设备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