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078A -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078A
KR20210128078A KR1020200045749A KR20200045749A KR20210128078A KR 20210128078 A KR20210128078 A KR 20210128078A KR 1020200045749 A KR1020200045749 A KR 1020200045749A KR 20200045749 A KR20200045749 A KR 20200045749A KR 20210128078 A KR20210128078 A KR 2021012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ousing
rod
state
proces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571B1 (ko
Inventor
이공
홍진기
전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4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6Pocket st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감 장치는, 일면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유닛;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된 로드; 상기 로드의 종단과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인감부 케이스; 및 상기 인감부 케이스의 일부가 삽입되며 인감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를 포함하되, 정상 상태에서 상기 인감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로드가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상기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 시키고, 상기 인감부 케이스와 상기 인감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된다. 개시된 인감 장치에 의하면, 기업 직원들의 인감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허락되어 노출된 인감을 날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Sealing Device of which the use is controlled b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인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은 계약을 체결할 경우에 계약서 날인을 위해 인감을 사용한다. 특히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모든 계약에 기업의 대표가 참여할 수는 없으며, 실무자에 의해 인감을 이용한 날인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무자가 직접 회사의 인감을 이용하여 계약서를 날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은 인감의 부정 사용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실무자가 기업에게 불리한 계약에 고의적으로 날인할 수도 있으며, 기업에서 승인한적이 없는 계약에 회사 인감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회사의 인감을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인감을 소지한 직원이 고의적으로 불리하거나 미승인된 계약에 대해 날인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인감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직원들의 인감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인감 장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이 허락되어 노출된 인감을 날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감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유닛;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된 로드; 상기 로드의 종단과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인감부 케이스; 및 상기 인감부 케이스의 일부가 삽입되며 인감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를 포함하되, 정상 상태에서 상기 인감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로드가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상기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 시키고, 상기 인감부 케이스와 상기 인감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되는 인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인감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날인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인감부는 날인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인감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인감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링이 수축된다.
상기 인감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스프링으로 삽입되며, 상기 인감부가 상승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다.
상기 인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으로부터 전류를 제공받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제공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로드는 하강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수축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한 후 전류 제공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 가능 상태 및 사용 불가능 상태 중 어느 하나로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유닛;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된 로드; 상기 사용 불가능 상태일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사용 가능 상태일 경우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인감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 및 상기 인감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인감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로드의 종단과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인감부 케이스를 포함하되,정상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사용 불가능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승인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사용 가능 성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하는 인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직원들의 인감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허락되어 노출된 인감을 날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가 사용 불가 상태일 경우의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가 사용 가능 상태일 경우의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를 이용하여 날인을 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부 케이스 및 인감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정상 상태(인감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인감부와 인감부 케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날인으로 인해 인감부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인감부와 인감부 케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유닛의 개념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100)는 스마트폰(120)에 설치된 앱과의 통신을 통해 그 상태가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되는 상태는 사용 가능 상태 및 사용 불가 상태이다.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100)는 정상 상태에서는 인감을 찍을 수 없는 사용 불가 상태를 유지한다.
스마트폰(120)의 앱과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앱으로부터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본 발명의 인감 장치는 사용 가능 상태로 그 상태가 변경된다. 사용 불가 상태 및 사용 가능 상태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인감은 소지만 하고 있으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에 제안된 인감 장치 중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한 후 사용이 허용되는 인감 장치가 있기는 하나 이러한 인감 장치는 개인용 인감으로는 부정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회사용 인감의 부정한 사용을 방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기업의 인감의 경우 실제 실무자들이 계약서나 기타 필요한 서류에 날인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기에 지문 등의 개인 식별 수단을 이용하여 인감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인감 장치의 사용자가 인감 장치의 사용이 적절하다는 승인을 얻었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인감 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과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물론, 사용에 대한 승인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감 장치에 대한 사용 승인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로 스마트폰 앱은 일례에 불과하다.
한편, 인감 장치(100)의 사용자는 스마트폰(120)의 앱을 통해 회사의 중앙 서버(104)와도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감 장치(100)의 사용자는 스마트폰(120)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인감을 날인할 서류 정보 등을 중앙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중앙 서버(140)로 전송된 정보를 확인하고 인감의 날인을 승인하는 승인 정보를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20)의 앱은 해당 승인 정보를 다시 인감 장치(100)에 전송하여 인감 장치(100)를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 인감 장치(100)는 소정의 사용 시간(예를 들어, 10분 ~ 15분)동안 사용 가능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는 인감 장치(100)를 이용하여 날인이 가능하게 된다. 소정 사용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인감 장치(100)는 자동적으로 사용 불가 상태로 천이되어 사용자의 계속적인 사용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는 사용 시간의 경과 전이라도 인감 장치(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스마트폰(120)의 앱을 이용하여 인감 장치(100)의 상태를 사용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인감 장치(100)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승인을 얻은 후 소정의 사용 시간 동안만 인감 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하기에 회사 인감의 부정한 사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인감 장치(100)의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는 하우징(300), 전원부(310), 프로세서 유닛(320), 로드(rod)(330), 솔레노이드(340), 스위치(350), 인감부 케이스(360) 및 인감부(370)를 포함한다.
하우징(300)은 본 발명의 인감 장치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수용되는 몸체부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인감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하우징(300)의 재질은 통신에 장애를 받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00)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인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의 일면에는 개구면이 형성된다.
하우징(300)의 일면에는 발광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200)는 스마트폰과 인감 장치가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때 발광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과 인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사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원부(310)는 프로세서 유닛(320) 및 솔레노이드(3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부(310)는 일반적인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원부(310)에 대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단자(미도시)가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서 유닛(3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프로세서 유닛(320)은 PCB에 다수의 회로 모듈이 장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유닛의 개념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통신부(1000), 상태 제어부(1002), 전류 공급부(1004), 카운팅부(1006)를 포함한다.
통신부(1000)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0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00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패어링을 수행한 후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과의 통신은 블루투스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태 제어부(1002)는 통신부(1000)에서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인감 장치의 상태를 사용 불가 상태에서 사용 가능 성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태 제어부(1002)는 사용 불가 상태에서 사용 가능 상태로 상태가 천이된 후 소정의 사용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소정의 사용 시간이 경과할 경우 다시 상태를 사용 불가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태 제어부(1002)는 통신부에서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는 상태 변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태 변화 요청 정보가 수신될 경우 인감 장치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감 장치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태 변화 요청 정보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인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 변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제어부(1002)는 사용 가능 상태를 사용 불가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전류 공급부(1004)는 상태 제어부(1002)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34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 공급부(1004)는 사용 불가 상태일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4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사용 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솔레노이드(340)에 전류를 공급한다.
카운팅부(806)는 인감 장치의 사용 횟수를 카운팅한다. 카운팅을 수행하는 상세한 방법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드(330)는 솔레노이드(34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로드(330)의 일단에는 인감부 케이스(360)가 결합된다.
솔레노이드(340)에 전류가 공급될 경우 자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자성을 이용하여 로드(330)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게 된다.
일례로, 솔레노이드(340)와 로드(330)의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380)이 구비된다. 로드(330)의 상단부는 로드의 몸체부에 비해 더 큰 반경을 가지며, 로드의 상단은 스프링(380)에 의해 지지된다. 솔레노이드(340)의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경우 솔레노이드(340)로부터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스프링(380)은 수축하며, 이러한 스프링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해 로드의 상승 및 하강이 제어된다.
솔레노이드(340)에 의한 로드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인감 장치가 사용 불가 상태 또는 사용 가능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며, 로드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구조적 변화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330)의 상승 및 하강을 구동하는 엘리먼트로 일례로 솔레노이드(340)를 제시하고 있으나, 솔레노이드(34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로드(330)의 상승 및 하강은 다양한 구동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며, 솔레노이드(340)는 구동부의 일례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예를 들어, 로드의 상승 및 하강은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위치(350)는 하우징(300)에 고정되어 있으며, 로드(33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스위치의 상태가 변화된다. 스위치(350)는 인감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엘리먼트이며, 스위치(350)의 상태 변화를 통해 인감 사용 횟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위치(350)는 프로세서 유닛(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35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는 프로세서 유닛(320)에서 감지된다. 스위치(350)는 자기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감부 케이스(360)는 로드(330)와 연결되며 로드(330)의 상승 및 하강에 상응하여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인감부 케이스(360)는 일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인감부 케이스(360)의 개방부에 하부에 인감의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37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인감부 케이스(360)에 인감부(370)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인감부(370)의 직경은 인감부 케이스(36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인감부(370)는 스프링를 통해 인감부 케이스(36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인감부 케이스(360)와 인감부(370)의 동작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인감부(370)에는 잉크가 저장되어 날인이 이루어질 때 잉크를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인감부(370)를 식별하기 위한 칩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칩은 인감부(370)의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RFID 칩일 수 있으며, 인감부(370)가 주기적으로 교체될 때 교체된 인감부를 식별하기 위해 RFID 칩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드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인감 장치의 상태 변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가 사용 불가 상태일 경우의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가 사용 가능 상태일 경우의 투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드(330)의 상단부와 솔레노이드(340) 사이에는 스프링(380)이 구비되며, 스프링(380)은 원래의 상태인 이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로드(320)는 스프링(380)에 의해 지지된다.
로드(320)의 종단에는 인감부 케이스(360)가 결합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로드(330)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인감부(370)는 하우징(300)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인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인감부 케이스(360)는 스위치(350)와 접촉하며, 인감부 케이스(360)가 상승되어 있기에 사용 불가 상태에서 스위치(35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유닛이 외부 장치(스마트폰)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하게 될 경우, 프로세서 유닛은 인감 장치를 사용 가능 상태로 천이시킨다.
프로세서 유닛(320)의 전류 공급부(1004)는 솔레노이드(340)에 전류를 제공하고, 솔레노이드(340)에서 형성되는 자력은 로드(330)를 하강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로드(330)가 하강하면서 스프링(380)을 수축시킨다.
로드(330)의 하강에 의해 로드(330)와 결합되어 있는 인감부 케이스(360) 및 인감부(370)는 함께 하강하며 인감부(370)는 하우징(300)의 개구면을 통해 하우징(30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인감부 케이스(360)의 하강에 따라 스위치(350)와 인감부 케이스(360)의 접촉은 해제되어 스위치(350)는 열린 상태가 된다. 스위치(350)의 열린 상태는 프로세서 유닛(320)에 의해 감지되며 스위치가 열리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인감을 사용하는 횟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와 같은 사용 가능 상태는 소정의 사용 시간 동안 유지되며, 소정의 사용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도 4와 같은 사용 불가 상태로 천이된다. 이때, 솔레노이드(340)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며, 스프링(38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로드(330)는 도 4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 장치를 이용하여 날인을 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날인을 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인감 장치를 서류를 향해 누르게 되므로 인감부(370)는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인감부(370)와 인감부 케이스(36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면 인감부(370)의 상승에 따라 인감부 케이스(360) 및 로드(330)도 함께 상승하게 될 것이다. 이때, 솔레노이드(340)는 로드를 하강시키는 자력을 제공하고 있고, 로드(330)는 외력(사용자가 인감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장치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솔레노이드(340)의 자력을 무시하는 외력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파손되거나 전류를 공급하는 프로세스 유닛(320)에서 급격한 전력 소모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로 솔레노이드가 아닌 모터가 사용될 경우 모터의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날인 동작 시 외력에 의한 인감부(370)의 상승은 피할 수 없는 것이기에, 본 발명은 날인 동작 시 인감부(370)의 상승 시 다른 구성 요소는 상승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인이 이루어질 때 인감부(370)만이 상승하여 인감부 케이스(360) 내부로 삽입되고, 인감부 케이스(360) 및 로드(330)는 상승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인감부 케이스(360)와 인감부(370) 사이의 결합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감부 케이스 및 인감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감부(370)는 중앙부가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인감부(370)와 인감부 케이스(360)는 스프링(700)을 통해 결합된다. 스프링(700)의 제1 종단은 인감부(370)와 결합되고 스프링의 제2 종단은 인감부 케이스(360)와 결합된다. 인감부(370)의 돌출부는 스프링(700) 내부로 삽입된다.
도 8은 정상 상태(인감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인감부와 인감부 케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프링(700)의 양 종단에 인감부(370) 및 인감부 케이스(3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인감부 케이스(360)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 상태에서 스프링(70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이완 상태이다.
도 9는 날인으로 인해 인감부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인감부와 인감부 케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감부(370)에 외력이 가해지면 인감부(370)는 상승하며, 인감부(370)의 상승에 의해 스프링(700)이 수축된다. 또한, 인감부(370)가 상승하면서 인감부(370)의 돌출부는 인감부 케이스(36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감부(370)에 외력이 작용하여 인감부(370)가 상승하더라도 인감부 케이스(360)는 상승하지 않으며, 이에 인감부 케이스(360)와 결합된 로드(330) 역시 움직이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감을 사용하기 위해 인감 장치와 스마트폰 사이의 블루투스 패어링이 이루어진다(단계 1100).
인감 장치와 스마트폰 사이의 패어링에 의한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진 후, 스마트폰은 승인 정보를 인감 장치에 전송하여 인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요청한다(단계 1102).
승인 정보를 수신한 인감 장치는 솔레노이드(340)에 전류를 공급한다(단계 1104).
솔레노이드(340)에 전류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340)로부터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380)이 수축하고 로드(330)가 하강함으로써 인감부(370)가 노출되어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1106).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인감 장치를 이용한 날인을 하고,인감 장치의 사용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34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단계 1108).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로드(330)가 상승하고 인감부(370)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사용 불가 상태로 전환된다(단계 111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일면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유닛;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된 로드;
    상기 로드의 종단과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인감부 케이스; 및
    상기 인감부 케이스의 일부가 삽입되며 인감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를 포함하되,
    정상 상태에서 상기 인감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로드가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감부를 상기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 시키고,
    상기 인감부 케이스와 상기 인감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날인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인감부는 날인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인감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인감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링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스프링으로 삽입되며, 상기 인감부가 상승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으로부터 전류를 제공받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제공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로드는 하강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한 후 전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에는 상기 인감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가 저장된 RFID 칩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8. 일면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 가능 상태 및 사용 불가능 상태 중 어느 하나로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유닛;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프로세서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정된 로드;
    상기 사용 불가능 상태일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사용 가능 상태일 경우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며 인감 형상이 새겨진 인감부; 및
    상기 인감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인감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로드의 종단과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인감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정상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사용 불가능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승인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사용 가능 성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 케이스와 상기 인감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날인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인감부는 날인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인감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인감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링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감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스프링으로 삽입되며, 상기 인감부가 상승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감부 케이스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승인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 유닛으로부터 전류를 제공받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제공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로드는 하강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감 장치.

KR1020200045749A 2020-04-16 2020-04-16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KR10240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749A KR102401571B1 (ko) 2020-04-16 2020-04-16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749A KR102401571B1 (ko) 2020-04-16 2020-04-16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78A true KR20210128078A (ko) 2021-10-26
KR102401571B1 KR102401571B1 (ko) 2022-05-26

Family

ID=7826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749A KR102401571B1 (ko) 2020-04-16 2020-04-16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83U (ko) * 1992-11-13 1994-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스탬핑구조
KR20080010792A (ko) * 2006-07-28 2008-01-31 김인각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KR200461833Y1 (ko) * 2011-12-15 2012-08-20 주식회사모나미 기표용 스탬프
CN207433061U (zh) * 2017-07-27 2018-06-01 广东唯顶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印章
KR20180122933A (ko) * 2017-05-04 2018-11-14 실리콘 밸리 마이크로 이 코포레이션 사용 카운트 및 스마트 폰 인증을 갖는 핸드 스탬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83U (ko) * 1992-11-13 1994-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스탬핑구조
KR0121515Y1 (ko) * 1992-11-13 1998-08-17 황선두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스탬핑구조
KR20080010792A (ko) * 2006-07-28 2008-01-31 김인각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KR200461833Y1 (ko) * 2011-12-15 2012-08-20 주식회사모나미 기표용 스탬프
KR20180122933A (ko) * 2017-05-04 2018-11-14 실리콘 밸리 마이크로 이 코포레이션 사용 카운트 및 스마트 폰 인증을 갖는 핸드 스탬프
CN207433061U (zh) * 2017-07-27 2018-06-01 广东唯顶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印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71B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519B1 (en) Wireless-enabled interchangeable locking core
JP5114109B2 (ja) Rfidタグのプログラム制御
EP2001255A9 (en) Portable base station device
US20170040827A1 (en) Closure member wireless power system for a closable opening
CN101142597A (zh) 电子电路的接近唤醒激活
JP5575664B2 (ja) 自動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ポータブル製品
CN101884210A (zh) 至少部分基于物理可访问系统的部件管理系统操作的系统和方法
CN108475450A (zh) 近场通信标签
CN101636749A (zh) 用于移动终端中的射频识别读取器的能量供应控制方法
KR102241133B1 (ko) 사용 제어가 가능한 인감 장치
US7167092B2 (en) Abnormality detector and inform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401571B1 (ko)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CN108919936A (zh) 电子设备的断电保护装置及电子设备
CN210851725U (zh) 一种电子印章
US10965163B2 (en) Compact power transfer mechanism using induced EMF
CN111483893A (zh) 电梯呼叫设备、系统、方法及装置
CN111502436A (zh) 一种挂锁、款箱以及开锁方法
KR101687232B1 (ko) 중앙컨트롤러를 갖는 무선 온라인 잠금 시스템
KR102240752B1 (ko)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CN114872461A (zh) 一种智能印章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EP2339430A2 (en) Power adapt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management method
US2009020112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 information signal in the event of an access reques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630652B1 (ko) 서지 체크 장치
KR101664209B1 (ko)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511223B1 (ko)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