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792A -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792A
KR20080010792A KR1020060071306A KR20060071306A KR20080010792A KR 20080010792 A KR20080010792 A KR 20080010792A KR 1020060071306 A KR1020060071306 A KR 1020060071306A KR 20060071306 A KR20060071306 A KR 20060071306A KR 20080010792 A KR20080010792 A KR 2008001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egistration
tension
authentication
electronic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356B1 (ko
Inventor
김인각
Original Assignee
김인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각 filed Critical 김인각
Priority to KR102006007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3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6Pocket stam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5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protecting the interrogation against piracy att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인된 인장이 도용되거나 위조 변조되는 것을 무효화하고 인증 성공된 인장만이 유효화 되도록 하여 각종 계약이나 거래에 대한 안전이 최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은, 등록 승인정보의 수신시 인장에 결합된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고 사용 승인정보의 수신시 상기 고유 인장코드가 미리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하는 것을 표시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상기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자의 정보가 확인될 경우에 상기 등록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승인 요청자의 고유 인장코드가 인장 등록 시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장 인증서버와; 상기 인장 인증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인장의 등록 및 사용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인장, 도장, 전자 칩, 인장 인증 시스템, 인장인증 방법

Description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Seal having electronic chip and 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thereof se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칩이 내장된 인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의 발급 및 인장 인증 시스템을 보여주는 장치 구성도
도 3은 도 2중 등록 및 인증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인장관련 개인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 칩으로서의 RFID 태그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 칩으로서의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칩에 저장되는 고유 인장코드의 데이터 포맷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인장 등록 제어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인장 인증 제어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증 서버의 인장 등록 및 인증 절차를 보여주는 제어흐름도
본 발명은 인감 도장 등과 같은 인장의 사용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은 개인이나 단체의 이름을 인장재료에 새긴 물건을 지칭하며, 이러한 인장을 이용하여 모든 법적 효력이 있는 문서에 날인이 된다.
그러나 현재의 인장 사용에 있어, 분실, 도용이나 위조 등 많은 문제가 발생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인장의 인증은 인감증명이라는 번거로운 절차를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즉, 해당 동사무소 혹은 등기소에 인장을 지참하고 방문하여 인증을 받은 후, 인증 필요 시 마다 재 방문하여 인감증명을 발급 받아야 하며, 이 또한 위조 및 변조, 도용 등 불법 행위가 가능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기로 인장의 분실, 도용, 위조에 대한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인장사용에 따른 분실, 도용, 또는 위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사용에 대한 인증을 신뢰성 있게 하여 거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의 전자 칩에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인장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동산 등과 같은 계약의 성립 시에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고 각종 세금의 탈세나 탈루를 방지할 목적으로 그 계약서에 관여된 관계자들의 인장들에 기인하여 계약 고유번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은행이나, 중개사 사무실, 법무사 사무실, 공증 사무실, 관공서 등에서 인장이 제시되었을 경우에 그 인장의 진위에 대한 인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서도 용이 하게 인장 인증을 행할 수 있는 인장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은, 인장 재료의 바디에서 연장된 날인 표면에 고유하게 각인된 형상을 갖는 인장과; 상기 인장의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외부 전자적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유 인장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칩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외부 전자적 기기를 통해 인식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등록 단말기는: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얻는 아이디 리딩부와;
상기 인장의 등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 요구자 정보와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등록 정보 수신부와;
상기 태그 아이디와 등록 요구자 정보 및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등록 정보 송신부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등록 승인 체크부와;
상기 등록 승인 체크부에서 등록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상기 전자 칩에 등록 승인된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코드 등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라,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가 저장된 전자 칩이 결합 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인 가를 체크하기 위한 인증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상기 고유 인장코드를 얻는 정보 리딩부와;
상기 인장의 인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인증정보 수신부와;
상기 고유 인장코드와 상기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인증 정보 송신부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인증 체크부와;
상기 인증 체크부에서 사용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인증 패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라, 인장 인증 시스템은,
등록 승인정보의 수신시 인장에 결합된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고 사용 승인정보의 수신시 상기 고유 인장코드가 미리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하는 것을 표시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상기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자의 정보가 확인될 경우에 상기 등록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승인 요청자의 고유 인장코드가 인장 등록 시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장 인증서버와;
상기 인장 인증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인장의 등록 및 사용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데이터화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라, 전자 칩이 결합된 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등록 단말기를 통해 기록하고, 인장 승인의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의 일치 시에 인증 단말기 통하여 승인을 표시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방법은:
상기 인장의 등록 요청 시 등록 요청자의 정보가 확인된 경우 등록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등록 단말기로 고유 인장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인장코드와 상기 등록 요청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인장의 승인 요청 시 승인 요청자의 고유 인장코드가 상기 등록 시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하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승인 요청 시의 고유 인장코드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 사용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단말기로 인가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을 통용케 하여 인장의 도용, 위조 및 변조를 차단하며, 인장에 대한 인증을 기존의 인감증명 대신 각각의 필요 회사 또는 단체에서 빠르고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 인장인 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비록 서로 다른 도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나타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칩이 내장된 인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보여지는 인장의 구조(1a)는 신규로 발급하는 전자 칩 구비 타입의 인장의 예를 보여주고, 우측에 보여지는 인장의 구조(1b)는 기존에 이미 소지하고 있는 인장에 전자 칩(2)을 결합하는 인장을 예를 보여준다. 한편, 도 1에서 참조부호 3은 사용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호 커버부(3)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인장 재료의 바디에서 연장된 날인 표면(1-1)에 고유하게 각인된 형상을 갖는 인장(1)이 있을 경우에, 상기 인장(1)의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전자 칩의 리더기 등과 같은 외부 전자적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유 인장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칩(2)이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적으로 구비된다.
도 1의 구조(1a)와 같이 신규로 발급되는 전자 칩 구비 인장은 도장 각인 후 등록절차를 거치면 곧바로 본 발명에의 사용이 가능하며, 구조(1b)와 같이 기존 발급 인장인 경우에는 도장 각인은 생략하고 전자 칩 결합기능을 갖는 인장 발급 및 등록 단말기를 통하여 전자 칩 결합을 행하고, 등록절차를 거치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1)의 바디는 나무·돌·고무·수정·금·뿔·상아 등의 인장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고, 인장 재료의 바디에서 연장된 날인 표면(1-1)에는 글자·무늬·기장·그림 등이 고유하게 조각된다. 상기 인장의 사용 시 날인 표면(1-1)에는 인주 등의 전사제가 도포되고, 사용자가 날인 지점에 대고 상기 인장의 누름 부(1-2)를 누름으로써 날인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개인·관직·단체·장서 등의 문서에 날인된 고유 형상은 징표나 증명으로 표시된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거래의 안전이나 신분확인을 위해 인감증명제도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 제도에 따르면 국민 개개인이 각기 고유한 하나의 인장을 관청에 미리 등록하여 두고, 각종 거래 시에 그 등록된 인장을 사용함과 동시에 인감 증명서를 발급받아 첨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감 도장 등과 같은 인장에 RFID 태그나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전자 칩을 식별 칩으로서 결합하고, 그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저장하여 둔다. 따라서, 외부의 인식기가 고유 인장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식별한다. 여기서, 식별 시에 인장의 사용자가 자신이 신규/갱신 등록 시 기억하고 있던 인장 비밀번호를 입력토록 한다면 인장의 분실, 도용, 위조에 대한 제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칩은 바람직하기로 RFID 태그가 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 시스템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RFID는 전자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 cm에서 수십 m에 떨어져 있는 사물이나 사람에 부착된 태 그를 인식하여 태그로부터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FID 기술은 태그, 안테나, 리더, 그리고 태그와 리더 사이의 교환되는 정보를 받아 서버나 네트워크로 전달해 주는 미들웨어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태그(Tag)가 리더(Reader)의 발사 전파를 일시적으로 흡수해 해당 전파에 태그의 고유 정보를 실어 반사하는 원리로 작동되는 비접촉 방식의 RFID 기술은, 주위환경에 민감하지 않고 인식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출입통제와 같은 근거리, 저속용 시스템을 비롯하여, 고속도로 통행료 자동수납과 같은 장거리 고속 시스템에 활용되지만 점진적으로 도서관 유비쿼터스, 위치기반서비스(LBS), 차세대유통, 물류, 무역시스템, 전자지불, 재고관리, 보안 등에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RFID 기술은 주파수 대역에 따른 인식 성능과 응용 범위가 다르며 태그내 배터리 유무에 따라 액티브 태그 및 패시브 태그로 나눈다. 또한 RFID 기술은 저주파일수록 태그 인식 속도가 늦고 태그, 크기가 큰 반면 환경 영향에는 고주파보다 강한 편이다. 또 고주파일수록 태그 인식 속도나 일괄 인식이 좋고, 태그 크기가 저주파에 비해 적은 반면 환경 영향은 저주파 대역에 비해 민감한 편이다. RFID 기술은 1996년 3월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와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 IEC가 합동 기술 위원회 JTC1 내에 자동 식별 및 데이터 획득 기술인 AIDC 기술 표준화를 위해 SC31을 설립하여 바코드 및 RFID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을 시작으로 착수되었다. 또 RFID 기술 관련해서 ISO 내에서 는 식별 카드 표준화를 위해 농업 및 동물 관리에 대 한 식별 카드 표준화를 TC23에서, 컨테이너 식별 카드 표준화를 TC104에서, 포장 관리에 대한 식별 카드 표준화는 TC122에서, 그리고 교통 정보 관 리 에 대한 식별 카드 표준화는 TC204에서 각각 응용 분야별 IC 카드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 ISO/IEC JTC1 SC31에서 진행되는 RFID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5개의 워킹 그룹(working group)으로 나누어져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WG4 에서 RFID를 이용한 아이템 관리에 대한 내용을 5 개의 서브 그룹으로 나누어 리더에서 태그 정보를 엔코딩 및 디코딩 처리하고 이를 응용 시스템으로 올려주는 부분에 대한 내용은 SG1에서, RFID 태그 내에 UID에 관한 내용은 SG2에서, 리더와 태그의 무선 구간에 대한 내용은 SG3에서, RFID 기반 아이 템 관리에 대한 각종 규정에 대한 내용은 SG4에서, 그리고 RFID 기술 응용에 대한 내용을 SG5에서 각각 정의하고 있다. ISO/IEC JTC1 SC31 에서 RFID 기술 국제 표준화를 수행하는데, 현재 아이템 관리 부분 RFID 기술 표준화에 대한 사항은 SG5에서 담당하는 응용 시스템 적용 지침을 제외하고는 거의 국제 표준 규격으로 완성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ISO에서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 제정 단계는 신규 작업을 정의하는 NP 단계(New Work Proposal), CD 단계, FCD 단계, FDIS 단계, 마지막으로 IS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까지는 보편적으로 1년에서 길면 2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RFID 기술 성능 및 적합성 시험에 대한 국제 표준화 규정은 WG3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는 모두 TR로 정의되어 있고 2006년 6월까지 모두 IS로 변환 추진하기로 했다.
리더기는 태그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여, 태그에서 수집된 정보를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리더 기술에 있어서, 간섭을 줄이기 위한 주파수 확산방식을 많이 쓰며 그 중에서도 주파수 호핑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한 개의 리더로 여러 대역의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 PDA 등에 부착되는 휴대형 리더, 다양한 RFID 제품을 인식할 수 있는 멀티프로토콜 리더 등 복합 기능을 갖는 제품들이 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RFID 리더 기술 제품 개발의 세계적인 추세는 많은 정보를 먼 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는 UHF 및 2.45GHz로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리더 개발의 대표적인 해외 벤더로는 Matrics사, ntermac사, Psion Teklogic사, SAMSys사, AWID사, Symbol 기술사 등을 들 수 있다.
미들웨어는 RFID 기반 미들웨어와 데이터 스트림 처리 소프트웨어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RFID 기반 미들웨어로는 선마이크로시스템의 자바플랫폼 기반의 이벤트 관리기인 SUN Savant를 들수 있으며 CatTech사의 TagWare도 데이터 해석 및 다양한 표준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ConnectTerra사는 이동 환경 서비스를 지원하고 비즈니스 로직 구성 및 관리를 지원하는 iMotion을 개발했고, 에릭슨사는 Savant 규격의 RFID enterprise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미들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해외 벤더로는 IBCO사, SUN Microsystems사, IBM사, OATSystem사 등을 들 수 있으며 RFID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해외 벤더로는 SAP사와 Provia 소프트웨어사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서 시스템 통합 등 RFID SI의 대표적인 해외 벤더로는 IBM사, Accenture사, Xterprise사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의 발급 및 인장 인증 시스템을 보여주는 장치 구성도이다. 우선, 도 2의 시스템 구성은 상기한 RFID 기술에서 설명된 리더 및 미들웨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그러한 구성에 더 하여 인장의 발급, 등록, 사용인증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공신력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공인된 시스템이 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 2의 시스템 구성은 국가기관 ,은행 등과 같은 공인된 기관에서 운영할 수 있다.
인트라 넷이나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300)에 데이터 베이스(600)와 정보를 수수하는 인장인증 서버(50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300)에 각종 인증 및 거래처 예컨대, 공인기관, 공인 중개사, 법무사, 은행, 공증에 마련된 컴퓨터들(200,210,220,230.240)이 접속된다. 상기 컴퓨터들(200,210,220,230.240)에는 복수의 인증 단말기들(100,110,120,130,140)이 대응적으로 접속되어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인장을 발급, 등록, 또는 인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증 단말기들은, 핸드헬드폰, PDA, PMP,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단말기는 인장에 결합된 RFID 태그나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공인기관, 공인 중개사, 법무사, 은행, 공증에 마련된 컴퓨터들(200,210,220,230.240)로 송신하거나, 상기 공인기관, 공인 중개사, 법무사, 은행, 공증에 마련된 컴퓨터들(200,210,220,230.240)로부터 인가되는 인장 발급, 등록, 사용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장인증 서버(500)는 상기 공인기관, 공인 중개사, 법무사, 은행, 공증에 마련된 컴퓨터들(200,210,220,230.240)을 통해 또는 상기 단말기들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인장 발급, 등록, 사용에 관련된 제반 처리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행한다. 상기 인장인증 서버(500)의 동작 시에 제반 정보에 관 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600)의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600)에는 인장의 발급, 등록, 사용과 관련하여 개인 혹은 단체 별 정보가 저장된다. 결국, 상기 인장인증 서버(500)는 인장 단말기에 등록 요청된 인장의 정보와 입력된 개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장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발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의 경우에 인장 인증이 필요한 기관, 단체에 인장 단말기가 설치되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인장 인증서버(500)가 접속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사안이 다른 경우에 그러한 접속 구성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중 등록 및 인증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등록 및 인증 단말기(100)는 인증 단말기(110)에 비해 등록 기능을 추가로 더 갖는 단말기이다. 즉, 등록 및 인증 단말기(100)는 인장의 등록과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컴퓨터 뿐만 아니라, 휴대폰, 혹은 PDA등 여러가지 네트워크 접속 장비의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결국, 발급 및 등록과 인증이 함께 필요한 기관에서는 3가지를 모두 수행 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증만 필요한 기관은 인증만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등록 및 인증 단말기(100)는 인장의 사용을 위한 등록 또는 인증 요구를 받는 입력부(104), RFID 태그나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전자 칩에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를 리드하거나 전자 칩의 메모리 영역에 고유 인장코드를 라이트하는 판독부 및 기록부(105)와, 인장 발급, 등록, 인증의 수행 시에 화면을 통해 운영자 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문자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06)와, 상기 인장 발급, 등록, 인증의 수행 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3)와, 입출력 인터페이싱을 행하는 출력부(102)와, 상기 인장 발급, 등록, 인증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종 블록들에 연결된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1)에 점선을 통하여 연결된 인장 발급유닛(109)은 도 1과 같은 인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자 칩을 인장 재료의 바디나 두껑에 삽입, 부착, 코팅, 장착, 또는 탑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기존의 인감 도장에 전자 칩을 바디 외부로의 돌출없이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장 발급유닛(109)은 드릴링 머신이나 밀링머신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 부착하기 위한 부착기 또는 본딩 인젝션 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의 구성블록들이,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외부 전자적 기기를 통해 인식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등록 단말기로서 기능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판독부(105)는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얻는 아이디 리딩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4)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인장의 등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 요구자 정보와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등록 정보 수신부로서 작용한다. 상기 출력부(102)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태그 아이디와 등록 요구자 정보 및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등록 정보 송신부로서 기능한 다. 또한, 상기 출력부(102)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등록 승인 체크부로서 작용한다. 상기 기록부(105)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등록 승인 체크부에서 등록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상기 전자 칩에 등록 승인된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코드 등록부로서 기능한다.
유사하게, 도 3의 구성블록들이 상기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가 저장된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인 가를 체크하기 위한 인증 단말기로서 역할하는 경우에, 상기 판독부(105)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상기 고유 인장코드를 얻는 정보 리딩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4)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인장의 인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인증정보 수신부로서 작용한다. 상기 출력부(102)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고유 인장코드와 상기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인증 정보 송신부로서 기능하며,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인증 체크부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상기 인증 체크부에서 사용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인증 패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작용한다.
도 4는 도 2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인장관련 개인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입력부(104)를 통해 등록 요구가 있는 경우에 등록 요구자의 성명, 시티즌 넘버, 어드레스가 상기 출력부(102)를 거쳐, 공인기관의 컴퓨 터(200)-통신 네트워크(300)-인장인증 서버(500)를 차례로 지나 도 2의 데이터 베이스(60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인장코드는 등록 요구자의 임의대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맞게 자동으로 할당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주민등록 번호가 고유한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고 기타 주소나 등록지의 정보를 추가하여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유 인장코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600)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인장의 전자 칩내의 메모리에도 저장되는 코드이다. 도 4의 테이블에서 보여지는 인장 비밀번호는 상기 인장의 전자 칩 내의 메모리에는 저장되지 않으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600)에 저장된다. 상기 인장 비밀번호는 등록 시에 인장 소유자로부터 도출된 것이므로 인장 소유자의 머릿속이나 별도의 메모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 칩으로서의 RFID 태그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a에서 RFID 태그 구성은 집적회로 칩(2-1)과, 안테나(2-2)와, 패키지(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집적회로 칩(2-1)에는 상기 인장의 식별 코드 즉, 고유 인장코드가 저장되며, 안테나(2-2)는 리더기의 요청에 의해 또는 상황에 따라 스스로 외부에 자신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 기술로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안테나 어레이 기술, 빔성형 안테나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프랙탈(Fractal )및 민더 라인(Meander Line) 안테나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패키지(2-3)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용가능한 패키지 기술로는 Alien사의 폴리머 후막 필름(thick film)으로 도체 접착 칩 스트랩 기술과 FSA 기술이 있으며, 필립스사의 I-connect 패키지, 바이브레토리 어셈블 리(vibratory assembly) 기술과, 매트릭스(Matrics)사의 PICA 기술이 알려져 있다. 태그 및 칩 개발의 대표적인 해외 벤더로는 Alien사, Intermac사, Matrics사, TI사, Philips사, Savi 기술사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RFID 태그 기술의 초소형화는 나노 기술에 의한 반도체 칩 개발로 가능하며, 하나의 칩에 센서, CPU, 메모리, RF 회로를 넣어 1×1mm 정도 크기까지 실현될 수 있다. 현재 사용가능한 태그 종류로는 초저가 태그를 위한 기술로 인피니온 등에서 개발중인 폴리머 반도체에 의한 플라스틱 트랜지스터, 미국 Inkode사의 금속 파이버를 이용한 뮤칩(chipless) 태그, 그리고 표면 탄성파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와 RFID를 결합한 saw 태그 등이 있다. 또한, 일본의 히타치 사에서 0.3×0.3mm2 크기의 뮤칩을 개발했으며, 엘리언(Alien)사에서는 0.35×.3mm2 크기의 나노볼 칩을 개발하는 등 초소형, 최저가 태그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능동형 태그의 경우 피츠버그 대학에서 센서와 통합 가능하고 안테나를 칩에 내장한 초소형 PENI 태그를 개발하였다.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 칩으로서의 스마트 카드의 외관적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스마트 카드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인장 결합용 전자 칩으로서 적용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 2의 시스템은 RFID 대신에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질 필요성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칩에 저장되는 고유 인장코드의 데이터 포맷 예시도이다. 스타트 영역(b1)과, ID 데이터 영역(b2)과, 테일 영역(b3)으로 크게 구분되며, HEX 값으로 아이디의 시작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스타트 영역(b1)에는 도 4의 고유 인장코드 중 선두 2자리 즉, "0x"가 들어간다. 고유 ID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ID 데이터 영역(b2)에는 도 4의 고유 인장코드 중 가운데 26자리 즉, "6666555544443333222277771" 가 들어가고, 에러정정 체크값을 가리키는 테일 영역(b3)에는 도 4의 고유 인장코드중 마지막 4자리 즉, "132A"가 들어간다. 결국, 도 6의 데이터 포맷의 경우는 32비트 데이터를 포맷화 하는 경우의 예를 든 것이며, 16비트나 64비트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인장 등록 제어흐름을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의 제어 흐름의 수행은 도 3의 제어부(101)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도 1과 같은 인장에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더라도 등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는 인감발급용 도장을 처음에 만든 경우에 이를 관청에 등록해야 하는 것처럼 도 2의 인장 인증 서버(500)가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600)에 인장 정보가 등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장 정보의 등록 시에, 전자 칩이 이미 들어 있는 인장을 가져온 경우에는 곧 바로 등록 모드로 진입되나, 기존에 사용하던 인장을 들고 온 경우로 전자 칩의 이식이 먼저 수행되고 나서 등록 모드로 진입된다.
기존에 사용하던 인장을 들고 관공서나 은행에 사용자가 온 경우에 RFID 태그나 스마트 카드를 인장 바디에 먼저 결합을 하여야 하므로, 인장 발급유닛(109)을 먼저 통하게 된다. 전자 칩이 결합된 인장을 등록 하는 경우에, 판독부(105)의 근방에 대고, 입력부(104)를 통해 등록 요구자의 정보와 등록 요구자가 제시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등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70단계에서 초기화동작이 수행되고, 리더기로서의 판독부(105)는 전자 칩의 고유 태그 ID를 리드하는데 이는 제71단계가 된다. 제72단계에서 리드 완료가 되면 제73 단계의 등록 요구자의 정보 수신 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등록 요구자의 정보 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제74단계에서 등록 요구자의 비밀 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 3의 제어부(101)는,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리드된 태그 ID와 상기 입력부(104)를 통해 제공된 등록 요구자의 정보와 비밀번호를 설정된 조합비트수로 포맷화하여 출력부(102)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것이 바로 제75단계로서, 설정된 포맷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01)는 도 2의 통신 네트워크(300)와 연결되어 있는 인장 인증서버(500)로부터 등록 승인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인장 인증서버(500)는 상기 인증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등록 요구자의 정보와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테이블을 데이터 베이스(600)에 구성하게 된다. 제76단계에서 등록 승인이 이루어지면, 도 3의 기록부(105)를 통해 인장의 전자 칩에는 고유 인장코드가 라이팅된다. 이 경우에 비밀 번호도 기록될 수 있으나, 통상적인 경우에는 인장 소지자가 메모리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인장 인증 제어흐름을 보여준다. 도 8의 제어흐름은 도 3과 같은 인증 단말기의 제어부(101)에 의해 수행되며 공적인 인증을 위하여 등록된 인장을 판독부(105)에 근접시킨 경우에 시작된다. 이 경우에 인증 요구자는 판독부(105)에 인장을 근접 시킨 다음, 입력부(104)를 통하여 인장의 비밀번호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제80단계의 초기화 단계는 상기 제어 부(101)가 각종 레지스터 및 플래그를 초기화하고 각 기능 블록을 스탠바이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초기화 단계 이후에 제81단계에서 판독부(105)에 인장이 근접되면, 전자 칩에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가 리드된다. 제82단계에서 리드가 성공되고, 제83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84단계의 동작을 상기 제어부(101)는 수행한다. 상기 제84단계는 태그의 정보 즉, 고유 인장코드와 비밀번호를 도 2의 인장 인증서버(500)로 송신하는 처리단계이다. 상기 송신 단계를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인장 인증서버의 사용인증 유무를 기다리게 된다. 제85단계에서 사용 인증이 패스되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인장 사용의 승인을 알리는 사용 인증 성공사인을 도 3의 표시부(106)를 통해 행한다. 이 것이 바로 제86단계이다. 상기 제86단계에서 오케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면, 관공서, 공인중개사 사무실, 법무사 사무실, 또는 기타 사무실에 근무하는 전담직원은 모니터 화면을 통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증 서버의 인장 등록 및 인증 절차를 보여주는 제어흐름이다. 도 9의 실행 주체는 도 2의 인장 인증서버(500)이다. 제90단계의 초기화 동작이 수행되고 나서, 제91단계에서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정보가 인장의 등록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인장의 인증을 위한 것인지에 따라 분기된다. 먼저, 제92단계 내지 제95단계는 인장의 등록에 관한 처리흐름을 수행하는 단계별 동작이고, 제96단계 내지 제98단계는 인장의 인증에 관한 처리흐름을 수행하는 단계별 동작을 나타낸다.
제92단계에서 인장 인증서버(500)는 수신된 송신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제 93단계에서 정당한 등록 요구자인 가를 확인한다. 상기 정당한 등록 요구자의 확인은 주민등록번호와 성명이 일치하고 주소 등과 같은 기타 정보가 관공서에 기등록된 정보와 같으면 이루어진다. 제93단계에서 패스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인장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제94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94단계의 수행에 의해 도 4의 테이블 구성이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영역에 만들어진다. 제94단계의 수행과 동시에 혹은 직후에 상기 인장 인증서버(500)는 등록승인 정보를 송출하는 제95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95단계의 수행에 의해 도 7의 제76단계가 패스된다. 상기 인장의 등록에 관한 처리는 인장 소유자 1인이 출두하여 등록을 행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인장 소유자 1인 또는 인장 소유자를 포함하는 2인 이상이 거래를 행하는 경우에 수행 가능한 인장 인증의 처리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제96단계에서 수신된 송신정보를 임시로 저장한 후, DB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97단계가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임시로 저장된 송신 정보 즉, 고유 인장코드와 인장 비밀 번호가 도 4에 기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인장 비밀 번호에 각기 비교되어 일치 유무가 판정된다. 이 경우에 인증 요구자는 인장을 리더기에 접근 시키고, 머릿속에 기억하고 있는 비밀 번호 "0987"을 입력하거나 창구에 제시하였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97단계에서 일치이면 제98단계에서 인증성공 정보의 송출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증 단말기에서는 인증 패스 정보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인장의 분실, 도용, 위조에 대한 제반 문제가 해결되고, 인장의 진품 확인과 거래의 안전이 인장 사용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본적인 등록 및 인증에 대하여 설명되었지 만, 2이상의 거래자가 법적 효력을 가지는 모든 거래시 해당 거래에 계약서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거래 인증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거래인증의 요청시 인장단말기 입력부에 거래번호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인증서버로 송신, 인증서버에서 거래인증정보를 인증단말기로 송신하고, 수신된 인증정보를 인증단말기의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법적 효력이 있는, 인장이 날인되는 모든 문서에 적용될 수 있다. 결국, 2인 또는 그 이상의 거래자가 법적 효력을 가지는 모든 거래시 해당 인장들의 고유 번호를 조합하여 거래의 고유번호를 생성하여 인증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인장에 결합되는 전자 칩의 종류나 형태 및 발급, 등록, 인증의 방법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증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의 요청 시에 키보드의 자판을 이용하지 않고, 휴대전화, PDA등 입출력 장치와 무선통신장치, RF인식장치를 갖춘 모든 기기를 통해 인식 단말기 기능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을 통용케 하여 인장의 도용, 위조 및 변조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장에 대한 인증을 기존의 인감증명 대신 각각의 필요 회사 또는 단체에서 빠르고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인 이상이 참여되는 거래 시 인장이 날인되는 모든 법적 효력있는 문서에 거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거래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5)

  1. 인장 재료의 바디에서 연장된 날인 표면에 고유하게 각인된 형상을 갖는 인장과;
    상기 인장의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외부 전자적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유 인장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칩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은 상기 인장의 바디에 삽입되거나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은 상기 인장의 바디 외부에 돌출됨이 없이 바디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은 상기 날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보호 커버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은 RFID 태그 또는 스마트 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
  6.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외부 전자적 기기를 통해 인식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등록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태그 아이디를 얻는 아이디 리딩부와;
    상기 인장의 등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등록 요구자 정보와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등록 정보 수신부와;
    상기 태그 아이디와 등록 요구자 정보 및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등록 정보 송신부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등록 승인 체크부와;
    상기 등록 승인 체크부에서 등록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상기 전자 칩에 등록 승인된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코드 등록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은 RFID 태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등록부는 상기 전자 칩에 상기 비밀 번호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말기는 상기 인장에 전자 칩을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인장 발급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단말기.
  10.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가 저장된 전자 칩이 결합되어 있는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인 가를 체크하기 위한 인증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칩에 전파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칩으로부터 상기 고유 인장코드를 얻는 정보 리딩부와;
    상기 인장의 인증 요구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인증정보 수신부와;
    상기 고유 인장코드와 상기 비밀 번호를 포맷하여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인증 정보 송신부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가를 체크하는 인증 체크부와;
    상기 인증 체크부에서 사용 승인이 체크된 경우에 인증 패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단말기.
  11. 등록 승인정보의 수신시 인장에 결합된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기록하고 사용 승인정보의 수신시 상기 고유 인장코드가 미리 등록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하는 것을 표시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상기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자의 정보가 확인될 경우에 상기 등록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승인 요청자의 고유 인장코드가 인장 등록 시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할 경우에 상기 사용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인장 인증서버와;
    상기 인장 인증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인장의 등록 및 사용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데이터화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인증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은,
    인장 재료의 바디에서 연장된 날인 표면에 고유하게 각인된 형상을 갖는 인장과;
    상기 인장의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인장이 공인된 효력을 갖는 인장임을 상기 인장 등록 및 인증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유 인장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칩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칩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인증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인증서버는 인증안전을 강화화기 위하여 상기 고유 인장코드 이외에 비밀 번호를 더 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인증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인증서버는 거래 인증 모드에서 복수의 인장에 대한 고유 인장코드들의 조합으로부터 거래 고유코드를 더 생성하여 이것이 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인증 시스템.
  15. 전자 칩이 결합된 인장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 후 상기 전자 칩에 고유 인장코드를 등록 단말기를 통해 기록하고, 인장 승인의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의 일치 시에 인증 단말기 통하여 승인을 표시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의 등록 요청 시 등록 요청자의 정보가 확인된 경우 등록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등록 단말기로 고유 인장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인장코드와 상기 등록 요청자의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인장의 승인 요청 시 승인 요청자의 고유 인장코드가 상기 등록 시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일치하는 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고유 인장코드와 승인 요청 시의 고유 인장코드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 사용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단말기로 인가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등록 및 인증방법.
KR1020060071306A 2006-07-28 2006-07-28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KR10083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06A KR100839356B1 (ko) 2006-07-28 2006-07-28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06A KR100839356B1 (ko) 2006-07-28 2006-07-28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792A true KR20080010792A (ko) 2008-01-31
KR100839356B1 KR100839356B1 (ko) 2008-06-20

Family

ID=3922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306A KR100839356B1 (ko) 2006-07-28 2006-07-28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3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804A1 (ko) * 2013-03-28 2014-10-02 주식회사 투게더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CN106462865A (zh) * 2014-03-13 2017-02-22 株式会社实虚螺旋 标签管理方法及系统、信息提供方法及系统以及所使用的装置和标签
KR20190099855A (ko) 2018-02-20 2019-08-2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디엔에이를 이용한 인장 감정방법
CN113282938A (zh) * 2021-06-02 2021-08-20 史珺 利用芯片防伪印章生成网络空间中虚拟印章的方法及应用
KR20210128078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117A (ja) * 2004-02-18 2005-09-02 Takehiko Sano 印鑑及び印鑑認証システム
KR200351768Y1 (ko) 2004-03-03 2004-06-02 정영호 음성녹음칩이 내장되어있는 인장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804A1 (ko) * 2013-03-28 2014-10-02 주식회사 투게더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496212B1 (ko) * 2013-03-28 2015-02-27 주식회사 투게더 무선 통신 장치의 방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장치
US9716981B2 (en) 2013-03-28 2017-07-25 2Gather Inc.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cording visit data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6462865A (zh) * 2014-03-13 2017-02-22 株式会社实虚螺旋 标签管理方法及系统、信息提供方法及系统以及所使用的装置和标签
EP3118800A4 (en) * 2014-03-13 2017-08-02 Aquabit Spirals Inc. Tag management system, tag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s well as devices and tag used therefor
KR20190099855A (ko) 2018-02-20 2019-08-28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디엔에이를 이용한 인장 감정방법
KR20210128078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통신에 의해 사용이 제어되는 인감 장치
CN113282938A (zh) * 2021-06-02 2021-08-20 史珺 利用芯片防伪印章生成网络空间中虚拟印章的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356B1 (ko)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9723B2 (en) Light-powered smart card for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US10783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ersonalizing identification token
US20080106372A1 (en) Authentication method during product transactions
US20140114861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ped communicator
US20080017703A1 (en) Smart card capable of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 messages and operating method therein
CN101567109A (zh) 一种集成支付和收款功能的装置、系统和交易方法
CN102648476A (zh) 放大射频信号
Hendry Multi-application smart card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US20090006144A1 (en) Ticket Use System and Ticket Use Method
JP55341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等
KR100839356B1 (ko) 전자 칩을 구비한 인장과 그에 따른 인장 인증 시스템 및인장인증 방법
WO2003038740A1 (fr) Termina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son procede de commande
CN101101633A (zh) 一种电子标签扫描方法及系统
US20020003164A1 (e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for an IC car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2088623B1 (ko) 스마트 결제 키트,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hirico Smart card programming
US20070242039A1 (en) Pointing device with security capabilities
EP1486908A1 (en) Smart card with two I/O ports for linking secure and insecure environments
JP2008009900A (ja) 携帯端末システム、携帯端末、icチップ、プログラム
TW201430752A (zh) 校園裝置互動感應系統及其應用方法
KR100809941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정보 처리장치와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90005569A (ko) 아이씨카드의 선택적 거래제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05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Transaction Fraud by Verifying Proximity
EA001552B1 (ru) Криптографически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KR20050112188A (ko) Ic 카드에 금융 카드 기능을 부가 발급하는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