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752B1 -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 Google Patents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752B1
KR102240752B1 KR1020200134159A KR20200134159A KR102240752B1 KR 102240752 B1 KR102240752 B1 KR 102240752B1 KR 1020200134159 A KR1020200134159 A KR 1020200134159A KR 20200134159 A KR20200134159 A KR 20200134159A KR 102240752 B1 KR102240752 B1 KR 10224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ader
nfc
bluetooth mobile
mobile card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채관석
Original Assignee
(주)엘트정보기술
주식회사 신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트정보기술, 주식회사 신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엘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13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는 블루투스 또는 NFC 통신을 통해 모바일 카드 또는 NFC 카드의 출입식별정보를 수신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가 수용되고, 일측면에 RF 카드 리더가 탈착 또는 삽입되는 베이스 케이스; 상기 베이스 케이스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리딩신호를 주제어장치의 입력단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NFC or Bluetooth Mobile Card Reader compatible with RF Card Reader}
본 발명은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출입통제시스템은 중앙시스템과 자동 개폐기 간의 네트워크 구축(TPC/IP)이 필요하고 인증방식은 RFID, 지문, 번호키, 생체인식(얼굴, 홍채 등) 시스템 보안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인 출입통제시스템은 인증인식을 위한 리더기가 야외 노출 환경에 부적합하며 정해진 권한의 변경이 비가변적이라 상시적 권한 부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F 카드 기반으로 동작되는 출입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RF 칩을 상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RF 칩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또는 NFC 기반의 모바일 카드에서도 동작되는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105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카드의 출입식별정보를 수신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상단부가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의 후면과 일체형으로 결속되고, 하단부에 RF 카드 리더가 탈착되기 위한 탈착공간 또는 자성체가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리딩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데이터 라인을 주제어장치의 입력단과 연결시키는 데이터 라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탈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RF 카드 리더의 후면에 부착된 결속부재 내에 삽입 또는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클램프; 및 상기 탈착공간 내에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RF 카드 리더는 상기 결속부재에 부착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걸림형태로 결속시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고,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분리시에는 결속시에 돌출된 판스프링을 RF 카드 리더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걸림형태로 결속시에 생성된 미세 이격공간만큼 밀리는 구조이고, 상기 판스프링은 사용자에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RF 카드 리더와의 결속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소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를 통해 모바일 출입카드 및/또는 RF 출입카드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RF 카드 리더기와 결속이 용이도록 제작되고, 기존의 출입통제제어장치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의 각 구성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와 출입통제 주 제어장치와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프 프레임의 제1 구조 및 제2 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의 각 구성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1000)는 베이스 케이스(1100) 및 스위치 박스(12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케이스(1100)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을 통해 모바일 카드의 출입식별정보를 수신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1110)가 수용되고, 일측면에 RF 카드 리더가 탈착 또는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1110)는 도 1a 도 1c와 같이 베이스 케이스(1100) 내에 매립되거나 또는 도 1b와 같이 외부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케이스(1100)의 표면 중 RF 카드 리더(1110)와 탈착되는 탈착영역은 자성체가 코팅처리된 영역으로, 자력으로 RF 카드 리더를 부착시키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네오디뮴(NdFeb), 사마륨 코발트(Smco), 알리코(Alnico), 패라이트 (Ferri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수단(예컨대, 볼트 등)을 통해 RF 카드 리더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케이스(1100)의 탈착영역은 RF 카드 리더의 출력핀을 후술하는 스위치 박스(1200) 내의 커텍터의 위치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베이스 케이스(1100)는 발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는 RF 카드 리더 및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1110)의 리딩동작 시에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 박스(1200)는 베이스 케이스(1100)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리딩신호를 주제어장치의 입력단으로 전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박스(1200)는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1100) 출력핀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출력핀과 접속하는 2개의 입력 핀 포트 및 주제어장치의 입력라인의 핀 포트와 연결되는 1개의 출력 핀 포트로 구성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 박스(1200)는 커넥터에 입력된 2개의 입력 핀 포트로 입력되는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리딩신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발광부의 점멸 및/또는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와 호환되는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와 출입통제 주 제어장치와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가이프 프레임의 제1 구조 및 제2 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RF 카드 리더와 호환 가능한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100)는 기존에 설치된 RF 카드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출입단말(도어락)의 RF 리더기와 연결(호환)가능한 장치로서, 기존의 RF 카드 리더의 이용뿐만 아니라, 모바일 카드의 사용도 겸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F 출입카드 리더기와 호환이 가능한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100)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리더(110), 가이드 프레임(120) 및 데이터 라인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는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모바일 카드 또는 NFC 카드에 저장된 출입식별정보를 식별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는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출입자식별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장치주소(Bluetooth Device Address)와 핀 코드(Pin Cod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Code)를 식별한다.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는 2.45GHZ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는 초기 동작을 위한 설정값으로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장치주소 및 핀 코드를 등록 및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110)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NFC 카드의 고유 ID를 저장한 후, NFC 태깅정보와 저장된 고유 ID의 동일성을 비교하여, 출입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 프레임(120)은 종래에 도어(Door)에 설치된 RF 카드 리더(10)와 탈착가능하도록 제작된 구조체로서, 상단부가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의 후면과 일체형으로 결속되고, 하단부에 RF 카드 리더가 탈착되기 위한 탈착공간 또는 자성체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0)은 제1 실시예에 및 제2 실시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후술할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4의 (a) 참조, 제1 실시예에의 가이드 프레임(120)은 탈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탈착공간은 RF 카드 리더기(10)의 후면과 부착된 결속부재(50) 내에 삽입 또는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클램프(60)가 구비된 구조체일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클램프(60)를 삽입하기 위한 구조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 참조, 제2 실시예의 가이드 프레임(120)은 제1 실시예의 결속부재(50)와 가이드 프레임(120)의 탈착공간 내에 형성된 판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돌기(51)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50)와 결속 클램프(60)는 결속 시에 밀착되는 구조가 아닌, 걸림형태로 결속되며, 결속된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 간에는 미세 이격공간이 생성된다.
상기 미세 이격공간은 가이드 프레임(120)과 RF 카드 리더기를 분리시에 활용되는 공간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속시에 돌출된 판스프링을 도어 반대방향(RF 카드 리더기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돌기(51)는 미세 이격공간만큼 밀리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RF 카드 리더기를 상부로 들어올려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판스프링은 사용자에게 가이드 프레임과 RF 모바일 카드 리더기와의 결속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소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 프레임(120)에서 RF 모바일 카드 리더기(10)를 분리시에 가압을 통해 분리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라인 연결부(130)는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 및 상기 RF 카드 리더기(10)의 리딩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 및 상기 RF 카드 리더기의 데이터 라인을 주제어장치의 입력단과 연결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출입통제 주 제어장치(A.C.U)는 도어락의 잠금 및 해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RF 카드 리더기(10)와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하는 출입식별정보를 판단한 후, 승인 또는 허가된 정보일 경우, 출입신호를 도어락으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출입통제 주 제어장치(A.C.U)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에 불과함으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 연결부(130)는 모듈 구조로서, 도어락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 연결부(130)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RF 카드 리더기(10) 및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110)의 리딩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카드 리더와 호환되는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RF 카드 리더기와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RF 카드 리더기와 연동되는 출입통제 주제어장치와도 호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이점을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RF 출입카드, NFC 카드 및 블루투스 모바일 출입카드를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1000: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1100: 베이스 케이스
1110: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1120: 발명소자
1200: 스위치 박스
제2 실시예
100: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110: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기
120: 가이드 프레임
130: 데이터 라인 연결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카드의 출입식별정보를 수신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상단부가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의 후면과 일체형으로 결속되고, 하단부에 RF 카드 리더가 탈착되기 위한 탈착공간 또는 자성체가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리딩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의 데이터 라인을 주제어장치의 입력단과 연결시키는 데이터 라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탈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RF 카드 리더의 후면에 부착된 결속부재 내에 삽입 또는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 클램프; 및
    상기 탈착공간 내에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RF 카드 리더는 상기 결속부재에 부착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걸림형태로 결속시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고,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분리시에는 결속시에 돌출된 판스프링을 RF 카드 리더기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결속부재와 결속 클램프가 걸림형태로 결속시에 생성된 미세 이격공간만큼 밀리는 구조이고,
    상기 판스프링은 사용자에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RF 카드 리더와의 결속 유무를 알려주기 위한 소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연결부는
    상기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및 상기 RF 카드 리더 중 어느 하나의 리딩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라인을 상기 주제어장치의 입력라인과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장치는 RF 카드 리더와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하는 출입식별정보를 판단한 후, 승인 또는 허가된 정보일 경우, 출입신호를 도어락으로 제공하는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KR1020200134159A 2020-10-16 2020-10-16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KR10224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159A KR102240752B1 (ko) 2020-10-16 2020-10-16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159A KR102240752B1 (ko) 2020-10-16 2020-10-16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752B1 true KR102240752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159A KR102240752B1 (ko) 2020-10-16 2020-10-16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31643A (zh) * 2022-10-18 2023-03-0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钥匙绑定方法和车辆配置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51A (ko) * 1999-12-14 2000-05-06 조철환 출입관리장치
KR20110068464A (ko) * 2009-12-16 2011-06-22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KR20160005863A (ko) * 2014-07-07 2016-01-18 최연석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1599635B1 (ko) * 2014-10-14 2016-03-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861057B1 (ko) 2017-01-31 2018-05-28 주식회사 코맥스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02912U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US20180315265A1 (en) * 2015-10-22 2018-11-01 Ojmar, S.A. Electronic lock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51A (ko) * 1999-12-14 2000-05-06 조철환 출입관리장치
KR20110068464A (ko) * 2009-12-16 2011-06-22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KR20160005863A (ko) * 2014-07-07 2016-01-18 최연석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1599635B1 (ko) * 2014-10-14 2016-03-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US20180315265A1 (en) * 2015-10-22 2018-11-01 Ojmar, S.A. Electronic lock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KR101861057B1 (ko) 2017-01-31 2018-05-28 주식회사 코맥스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02912U (ko) * 2017-03-31 2018-10-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31643A (zh) * 2022-10-18 2023-03-0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钥匙绑定方法和车辆配置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115731643B (zh) * 2022-10-18 2024-05-1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钥匙绑定方法和车辆配置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292B2 (en) Smart card systems comprising a card and a carrier
US10125519B1 (en) Wireless-enabled interchangeable locking core
US9142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 control
EP1910911B1 (en) Mass storage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US20020041175A1 (en) Interchangeable battery for mobile radio telephone
WO20030076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contact and contactless transactions
KR20140019800A (ko) Rfid 리더기를 현장에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KR102240752B1 (ko) Rf 카드 리더기와 호환되는 nfc 또는 블루투스 모바일 카드 리더장치
US11769030B2 (en) Enrolment device for a biometric smart card
JP5146872B2 (ja) 非接触icカード、携帯端末装置、起動制御方法、およ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CN103810017A (zh) 指令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及其装置
WO2007093580A1 (en) Smart card with identity checking
CN101996295A (zh) 数据通信端口控制装置
US20080268898A1 (en)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Transponder Integrated Into a Mobile Telephone
CN104916016A (zh) 入口智能门禁系统
CN102542647A (zh) 一种利用移动终端开启保险箱或门禁装置的方法及系统
KR20180127795A (ko) 지문인식센서를 포함한 id 카드 및 이를 활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CN104916017A (zh) 出口智能门禁系统
KR102329568B1 (ko) 모바일 결제 장치
WO2015117394A1 (zh) 一种对终端进行管理的控制器、方法以及终端
CN111509497B (zh) 卡座组件及电子设备
CN105120018A (zh) 一种电子设备外壳、电子设备以及交易系统
CN101567037B (zh) 一种射频识别装置
CN110751764A (zh) 闸机控制器及闸机控制系统
US11042718B2 (en) Smart card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