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209B1 -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209B1 KR101664209B1 KR1020150023566A KR20150023566A KR101664209B1 KR 101664209 B1 KR101664209 B1 KR 101664209B1 KR 1020150023566 A KR1020150023566 A KR 1020150023566A KR 20150023566 A KR20150023566 A KR 20150023566A KR 101664209 B1 KR101664209 B1 KR 101664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smart mobile
- user
- mobile device
- control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가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로의 접촉에 따라, NFC 연결을 통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있는 유심 고유번호를 읽어들이는 제 1 단계;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가 제어서버(30)와 TCP 소켓 연결을 통해, 읽어들인 데이터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 요청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서버(30)가 소켓 통신이 연결이 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 이후 아두이노(20b)에 의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나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도어락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자 도어락 장치를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나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도어락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자 도어락 장치를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오픈 소스를 지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를 내장한 기기 제어용 기판인 아두이노 모듈을 활용하여 NFC 및 개인 스마트 인증 방식으로 원격 도어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자물쇠인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물리적인 열쇠없이 지정한 비밀번호 또는 전자키를 이용하여 문을 열 수 있다는 편리함이 가장 큰 장점이다. 대부분의 전자식 도어락은 번호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키보드를 누르거나 또는 RFID와 유사한 접촉식 전자키를 이용하여 문을 열고 문을 닫을 경우 자동으로 잠금이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문의 개폐가 적다. 따라서 현재 많은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존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번호를 버튼형식으로 입력하는 버튼 입력식 도어락과 터치 형식으로 입력하는 버튼터치 입력식 도어락이 있다. 이러한 도어락들은 비밀번호를 눌렀을 때 즉각 문이 개폐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틀린 비밀번호를 몇 번 누를 시 버튼으로 열 수가 없다는 것과, 특히 버튼을 누름으로써 보이게 되는 번호는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로 블루투스를 이용해 근거리에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동통신과 공중전화망을 연동하여 DTMF 신호를 주입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먼저 블루투스를 이용해 근거리에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해 10~100m 내에서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을 이용하여 여러 대의 도어락을 제어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블루투스 페어링시 시간이 걸리고 거리가 멀어지면 페어링이 끊겨 다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과 공중전화망을 연동하여 DTMF 신호를 주입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CDMA모듈과 PSTN모듈을 장착해 이동통신망과 공중통신망을 연동하고 통화 중 DTMF 신호를 주입해 도어락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해선 전화를 걸어 안내 음성을 들으며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기 이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전자 멜로디 도어락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Electronic melody door-lock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lock using the same)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8184호)
2. 엘리베이터 제어 가능한 무선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방법(Digital Door Lock for Control of Elevator and Method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163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나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도어락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자 도어락 장치를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전자 도어 장치(20)의 도어락 개폐단(20a)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자식 도어락 장치(20) 근처에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접촉시, NFC 쉴드를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유심(USIM)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읽으며, 도어락 개폐단(20a)을 제어하는 아두이노(20b); 를 포함하며, 아두이노(20b)는, 유심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승인을 통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해 열고 닫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가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로의 접촉에 따라, NFC 연결을 통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있는 유심 고유번호를 읽어들이는 제 1 단계;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가 제어서버(30)와 TCP 소켓 연결을 통해, 읽어들인 데이터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 요청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제어서버(30)가 소켓 통신이 연결이 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 이후 아두이노(20b)에 의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원격으로 방식으로 전자 도어락 장치(20)를 거치지 않고 제어서버(30)에 직접 열림/닫힘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및 제어서버(30)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 이후 아두이노(20b)에 의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은,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나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도어락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자 도어락 장치를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자주 사용한 버튼이 고장이 나거나 사용 흔적이 남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도 1a) 및 이에 대한 개념도(도 1b)이다.
도 2는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아두이노(20b)에 의해 제어서버(30)로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중 제어서버(40)에 의해 생성되는 E-R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의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구현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개폐단(20a)에 아두이노(20b)가 실제로 제작되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제어서버(30)에 대한 도 4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화면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전자 도어락 장치(20)에 대한 제어시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아두이노(20b)에 의해 제어서버(30)로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중 제어서버(40)에 의해 생성되는 E-R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의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구현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 개폐단(20a)에 아두이노(20b)가 실제로 제작되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제어서버(30)에 대한 도 4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화면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전자 도어락 장치(20)에 대한 제어시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도 1a) 및 이에 대한 개념도(도 1b)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 전자식 도어락 장치(20), 그리고 제어서버(30)를 포함함으로써,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이용한 도어락(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NFC 및 원격 도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먼저, 전자 도어 장치(20)의 도어락 개폐단(20a)을 해제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가 전자식 도어락 장치(20) 근처에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가져다 접촉함으로써, 도어락 개폐단(20a)과 연계된 아두이노(20b)의 NFC 쉴드를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유심(USIM)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읽혀진다.
이에 따라 아두이노(20b)는 도 2의 연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종류,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등록하기 위하여 전자식 도어락 장치(20)로 사용자 등록시 도어락 개폐단(20a) 해제와 동일하게 유심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아두이노(20b)에 의해 읽혀지도록 함으로써, 전자식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가 도 2의 메시지 형태로 제어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그리고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요약한 도표이다.
구분 | 속성 |
도어락 | 고유번호, 도어락 상태 |
사용자 | 휴대전화번호, 비밀번호,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 |
도어락 사용자 |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 휴대전화번호, 관리자 구분, 승인상태 |
즉, 도어락(20a)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제어서버(30)는 표 1과 같이 3개의 엔터티를 DB로 정의한다.
첫 번째는 도어락 엔터티이다. 도어락의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에는 도어락의 고유번호와 도어락의 상태를 알기 위한 도어락 상태를 저장한다.
두 번째는 사용자 엔터티이다.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에는 어떤 사용자인지 알기 위해 휴대폰번호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푸쉬(Push) 알림 서비스를 받기 위한 알림 서비스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도어락 사용자 엔터티이다. 실제 도어락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는 도어락의 고유번호와 사용자 정보의 휴대폰번호, NFC 카드번호, 사용자들 중 관리자(Super User)지정을 위한 관리자 구분,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기 위한 승인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서버(40)는 표 1의 엔터티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엔터티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E-R Diagram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도 4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E-R Diagra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도어락을 열 때 2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도 5와 같이 NFC를 이용해 바로 도어락을 여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접촉시키면(S12), 이전에 수행된 NFC 연결을 통해(S11)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있는 유심 고유번호를 읽어들인다.
이후,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는 제어서버(30)와 TCP 소켓 연결을 통해(S13), 단계(S12)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확인 요청을 수행한다(S14). 이에 따라, 제어서버(30)는 소켓 통신이 연결이 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한다(S15). 제어서버(30)는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S16),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S17) 이후,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18).
두 번째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원격으로 방식으로 전자 도어락 장치(20)를 거치지 않고 제어서버(30)에 직접 열림/닫힘 요청을 하는 점을 제외하면 NFC방식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활용하여 직접적인 접촉이나 원격제어로 전자 도어락 장치(10)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 도어락 장치(20)에 상술한 아두이노(20b) 외에 와이파이 모듈(20c)을 달아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고, 제어서버(30)에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여 확인 여부를 전달하여 도어락 개폐단(20b)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을 개폐하도록 한다. 여기서 와이파이 모듈(20c)은 제어서버(30)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의한 원격제어시 원격제어 정보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수신받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제어서버(30)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는 무선 통신 방식(3G, 4G, LTE)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이용하도록 하였고, 실행한 UI 화면은 도 6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a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UI 화면을 나타내며, 도 6b는 제어하고자하는 전자 도어락 장치(20)에 대한 선택을 위한 UI 화면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UI 화면에서 사용자 등록을 하고 로그인을 하면 도 6b와 같이 원격으로 제어할 도어락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어락을 선택하면 선택한 도어락의 번호와 승인상태가 표시되고 OPEN, CLOSE 버튼을 이용해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실제로 도어락 개폐단(20a)에 아두이노(20b)를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어락 개폐단(20a)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모터제어 칩을 연결하여 구현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제어서버(30)에 대한 도 4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화면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전자 도어락 장치(20)에 대한 제어시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NFC 기능을 이용해 도어락 개폐단(20a)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9b와 도 9c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도어락 개폐단(20a)을 열고 닫는 것을 나타낸다.
기존 도어락 장치는 비밀번호를 눌렀을 때 즉각 문이 개폐가 된다는 편리함에 현재 대부분의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엔 문을 열 수 없고,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도 안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과 방법을 따르는 본 발명에서는 아두이노(20b)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무선 네트워크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WIFI Shield와 NFC Shield를 이용하여 도어락 개폐단(20a)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설계 제공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여러 번 틀린 경우나 비밀번호 유출로 인한 범죄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도어락 장치(20)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 모바일 기기
20: 전자식 도어락 장치
20a: 도어락 개폐단
20b: 아두이노
30: 제어서버
20: 전자식 도어락 장치
20a: 도어락 개폐단
20b: 아두이노
30: 제어서버
Claims (3)
- 삭제
- 삭제
-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와; 도어락 개폐단(20a)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를 접촉시, NFC 쉴드를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의 유심(USIM)에 저장된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읽는 아두이노(20b) 및,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의한 원격제어시 원격제어 정보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수신받기 위해 형성되는 와이파이 모듈(20c)을 구비하는 전자 도어 장치(20) 및; 아두이노(20b)에서 수신한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어서버(30)를; 포함하고, 상기 아두이노(20b)는, 유심(USIM)에 저장된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TCP/IP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서버(30)로 전송하고 제어서버(30)로부터 사용자 승인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도어락 개폐단(20a)을 해제하며, 상기 제어서버(30)는 도어락의 고유번호와 도어락의 상태를 저장하는 도어락 엔터티와 사용자의 휴대폰번호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사용자 엔터티와 도어락의 고유번호와 사용자 정보의 휴대폰번호, NFC 카드번호, 사용자들 중 관리자(Super User)지정을 위한 관리자 구분,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기 위한 승인상태 정보를 저장한 도어락 사용자 엔터티를 데이터베이스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구비하여,
직접적인 접촉과 원격제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전자 도어락 장치(10)를 열 수 있도록 하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전자 도어락 장치(10)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가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로의 접촉에 따라, NFC 연결을 통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있는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읽어들이는 제 1 단계;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가 제어서버(30)와 TCP 소켓 연결을 통해, 읽어들인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제어서버(30)로 전송하여 사용자 확인 요청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제어서버(30)가 소켓 통신이 연결이 되면 수신된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 이후 아두이노(20b)에 의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거쳐 수행되고,
원격제어에 의해 전자 도어락 장치(10)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원격으로 방식으로 전자 도어락 장치(20)를 거치지 않고 제어서버(30)에 직접 열림/닫힘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제어서버(30)가 스마트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고유번호, NFC 카드번호를 토대로 도어락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확인이 완료되면 전자 도어락 장치(20)의 아두이노(20b)에 승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아두이노(20b)에 의한 사용자 승인 확인 이후 아두이노(20b)에 의해 도어락 개폐단(20a)에 대한 해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566A KR101664209B1 (ko) | 2015-02-16 | 2015-02-16 |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566A KR101664209B1 (ko) | 2015-02-16 | 2015-02-16 |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0718A KR20160100718A (ko) | 2016-08-24 |
KR101664209B1 true KR101664209B1 (ko) | 2016-10-13 |
Family
ID=5688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3566A KR101664209B1 (ko) | 2015-02-16 | 2015-02-16 |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420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2677B1 (ko) * | 2021-07-23 | 2024-01-10 | 마이크로웍스(주) | 스마트 세트락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960A (ja) * | 2006-11-15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遠隔機器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8076A (ko) * | 2012-09-20 | 2014-03-28 | 주식회사 케이티 |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2015
- 2015-02-16 KR KR1020150023566A patent/KR101664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960A (ja) * | 2006-11-15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遠隔機器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0718A (ko) | 2016-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3689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 credential reader | |
US977956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CN107419965B (zh) | 数字门锁系统 | |
US10529160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KR101242122B1 (ko) |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 | |
CN104050742A (zh) | 一种智能门以及一种智能门控制方法和系统 | |
CN104167040A (zh) | 一种电子锁的远程控制方法及系统 | |
US11049342B1 (en) | Intelligent lock credential validation | |
KR101726356B1 (ko) | 모바일 앱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 제어시스템 및 방법 | |
CN104794780A (zh) | 一种智能门、智能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US20160005247A1 (en) | Arrangement for the authorised access of at least one structural element located in a building | |
KR101749616B1 (ko) | 스마트폰 키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18010449A (ja) | スマートロックにおけるスマートロック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 |
JP6810638B2 (ja) | 中継装置および電気錠 | |
KR101664209B1 (ko) |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 |
KR20170136902A (ko)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 |
US20200125348A9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 credential reader | |
KR101525306B1 (ko)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키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 발급 운용 방법 | |
TWM501464U (zh) | 門禁控制系統 | |
US20240362962A1 (en) | Intelligent lock credential validation | |
JP3201087U (ja) | 空間マイクロロケーションモバイルデバイス管理装置 | |
CN103985168B (zh) | 一种智能门锁的控制方法 | |
KR20230101183A (ko) |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 |
KR101401464B1 (ko) |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보안 제어 장치 | |
KR20060085131A (ko) | 특정 지역에서 이동 단말기를 통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