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032A -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032A
KR20210127032A KR1020200044885A KR20200044885A KR20210127032A KR 20210127032 A KR20210127032 A KR 20210127032A KR 1020200044885 A KR1020200044885 A KR 1020200044885A KR 20200044885 A KR20200044885 A KR 20200044885A KR 20210127032 A KR20210127032 A KR 2021012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ape
cutting
rotat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200B1 (ko
Inventor
황형철
조영임
권오룡
Original Assignee
(주)광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상사 filed Critical (주)광진상사
Priority to KR102020004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2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35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테이프롤 절단 후 회전로드에서 분할된 테이프롤을 기계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테이프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회전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테이프봉을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위치를 변경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와 같이 이동되며 상기 테이프봉 선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이송부 복귀시 상기 회전로드에서 테이프봉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ICKY CLEANING ROLL}
본 개시 내용은 점착테이프가 감겨진 테이프롤을 복수개로 절단하여 분할하기 위한 테이프롤 분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정전기로 인해 청소가 쉽지 않다. 이에, 이러한 이물질 청소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부착 제거하는 점착 테이프 롤 청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점착 테이프 롤 청소기에는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테이프롤이 사용된다. 이에, 테이프롤을 청소하고자 하는 곳에 밀착시키고 회전 이동시키게 되면 이물질이 테이프롤의 표면에 부착되어 청소가 이루어진다.
테이프롤은 점착테이프가 여러 겹으로 감겨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테이프롤은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테이프를 원통형 지관 등에 연속적으로 감아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제품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테이프롤은 길게 연장된 봉 형태의 테이프롤을 크기에 맞춰 복수개로 절단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에, 길게 연장된 지관에 점착테이프가 감겨진 봉 형태의 테이프롤(이하 테이프봉 이라 한다)은 후 공정으로 이송되고, 분할 장치를 통해 축방향을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어 복수개의 테이프롤로 분할된다.
분할장치는 길게 연장된 테이프봉을 회전로드에 고정하고, 테이프봉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원형날이 테이프봉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테이프봉의 절단이 완료되면 테이프봉의 고정을 해제하고 회전로드에서 분할된 각각의 테이프롤을 인출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테이프봉을 절단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로드에서 테이프롤을 빼내줘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테이프롤의 인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과제는, 테이프롤 절단 후 회전로드에서 분할된 테이프롤을 기계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테이프롤 절단 위치에 정확히 원형날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된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분할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테이프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회전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테이프봉을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위치를 변경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와 같이 이동되며 상기 테이프봉 선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이송부 복귀시 상기 회전로드에서 테이프봉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선단에 상기 회전로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 외측으로 끼워져 테이프봉 선단이 걸리도록 된 포크부재,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포크부재를 상기 회전로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포크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재의 슬릿은 반원 형태를 이루며 폭은 상기 회전로드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테이프봉의 외경보다는 작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회전로드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에 상기 절단부가 구비되는 이동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대차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진해앙향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원형날, 상기 원형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절단부 반대쪽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봉의 절단 위치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조사기는 레이저빔 조사 위치가 상기 원형날의 날 끝과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회전로드의 일측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드 일측 선단을 개폐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부가 회전로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테이프롤 분할이 완료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회전로드에 끼워진 테이프롤을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각 테이프롤을 회전로드에서 외측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회전로드에서 테이프롤을 별도로 분리하는 수고를 덜고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형날의 위치를 정확히 테이프롤의 절단 위치에 맞출 수 있어, 절단 불량을 방지하고 비숙련자도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롤 분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테이프롤은 지관에 테이프가 복수회 감겨진 것으로, 테이프봉에서 분할된 각각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고, 테이프봉은 테이프롤로 분할되기 전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길게 연장된 상태의 중간재를 의미할 수 있다.
분할장치는 길게 연장된 테이프봉(100)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이프롤(도 5의 110)로 분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할장치는, 설비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0)에 구비되어 테이프봉(100)이 고정되는 회전로드(30), 회전로드(30) 회전을 위한 구동부,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절단부(40), 절단부(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50), 절단된 테이프봉(100)을 회전로드(30)에서 배출시키는 배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이송부(50)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작업대(12)와, 작업대(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로드(30)의 일측 선단을 축지지하는 수직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4)의 내부에는 회전로드(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12)는 회전로드(30) 아래쪽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회전로드(30)를 따라 연장되고 상부에 이송부(50)이 설치된다.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여 회전로드(3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직부재(14)에 두 개의 회전로드(30)가 설치되어 두 개의 테이프봉(100)을 동시에 절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회전로드(30)의 개수는 두 개 외에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12)를 따라 수직부재(14)에 대향되는 프레임(10)의 반대쪽 선단에는 회전로드(30)의 자유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회전판(2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20)은 회전로드(30)를 향하는 전면에 회전로드(30)의 일측 선단을 지지하는 축부재(22)가 설치된다. 축부재(22)는 전면에 회전로드(30)가 삽입되는 원추형 홈(24)이 형성된 구조로, 회전로드(30)의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로드(30)가 삽입 지지되는 축부재(22)의 홈(24)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회전판(20) 회전시 회전로드(30)와 축부재(22) 사이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판(20)은 프레임(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0) 내부에는 회전판(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회동부는 회전판(20)을 양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회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판(20)이 회전되면, 회전판(20)에 설치된 축부재(22)가 회전로드(30)의 선단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로드(30) 선단을 축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로드(30)는 양단이 축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판(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로드(30) 선단에서 축부재(22)가 이격되면서 회전로드(30) 선단이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회전로드(30)의 자유단을 통해 회전로드(30)에 테이프봉(100)을 삽입하거나 분할된 테이프롤을 회전로드(30)에서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회전로드(30)는 테이프봉(100)이 삽입되는 원통형 바 구조물로, 테이프봉(100)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로드(30)의 일측 선단은 수직부재(14)에 결합되고 자유단인 타측 선단은 회전판(20)의 축부재(22)에 지지된다.
회전로드(30)는 테이프봉(10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로드(30)는 축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되어, 테이프봉(100)의 내면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에, 테이프봉(100)은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해 회전로드(30)에 가압 고정된 상태로 회전로드(3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돌기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 테이프봉(10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분할된 테이프롤을 회전로드(30)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이송부(50)은 회전로드(30)에 평행하게 배치된 작업대(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절단부(40)를 테이프봉(100)의 각 절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이송부(50)은 프레임(10)의 작업대(12) 상에 회전로드(30)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52), 이송레일(52)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에 절단부(40)가 구비되는 이동대차(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송레일(52)을 따라 이동대차(54)가 슬라이딩되어 절단부(4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대차(54)는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이송레일(52)을 따라 직선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절단부(40)는 이송부(50)의 이송대차(54) 상에 구비되어 이송부(50)의 진행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41), 이동판(41) 상에 설치되고 회전로드(30)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봉(100)을 절단하는 원형날(42), 원형날(4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송부(50)에 위해 이동된 위치에서 이동판(41)이 회전로드(30)쪽으로 움직이고, 회전모터(43)에 의해 고속 회전되는 원형날(42)이 회전로드(30)에 끼워져 회전되는 테이프봉(100)을 절단하게 된다.
이동판(41)은 이송대차(54)의 상부에 직선 왕복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동판(41)은 이송대차(54)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44)에 나사결합되어 이송스크류(44)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스텝모터(45) 등으로 이송스크류(44)를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스크류(44)에 결합된 이동판(41)이 이송대차(54) 상에서 직선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송대차(54) 상부에는 이송스크류(44)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동판(41)을 안내하는 가이드(4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동판(41)은 이송대차(54)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에 연결되어 구동실린더의 신축 구동에 의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대차(54)가 회전로드(30) 축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송대차(54) 상에서 이동판(41)을 회전로드(30)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이동판(41) 상에 설치된 원형날(42)이 테이프봉(100) 측면으로 이동되면서 테이프봉(100)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형날(42)은 회전로드(30)의 개수에 따라 2개가 상하로 구비되어 각 회전로드(30)에 끼워져 테이프봉(100)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분할장치는 원형날(42)에 의한 테이프봉(100) 절단 위치와 원형날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 테이프봉(10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조사기(70)는 이송부(50)의 이송대차(54)에 설치되고 회전로드(30)를 사이에 두고 절단부(40) 반대쪽에 배치되어 테이프봉(100)의 절단 위치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레이저조사기(70)는 레이저를 소정의 각도범위로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테이프봉(100) 각각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조사기(70)는 붉은색과 같이 가시적으로 확인이 용이한 색상의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테이프봉(100)에 조사된 레이저빔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검출하여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조사기(70)는 레이저빔 조사 위치가 원형날(42)의 날 끝과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빔이 조사된 위치가 바로 원형날(42)의 날 끝이 닿는 위치가 된다.
즉, 테이프봉(100)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조사 위치가 바로 원형날(42)의 날 끝이 접촉하여 테이프봉(100)이 잘단되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원형날(42)이 테이프봉(10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도 테이프봉(100)에 조사된 레이저빔위 조사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원형날(42)에 의한 절단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회전로드(30)에 테이프봉(100) 삽입할 때 테이프봉의 초기 위치를 원형날(42) 위치에 맞춰 정확히 셋팅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조사기(70)는 이송대차(54)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이송대차(54)가 이동함에 따라 절단부(40)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이송대차(54) 움직임에 관계없이 레이저조사기(70)의 레이저빔 조사 위치와 절단부(40)의 원형날(42) 위치는 계속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조사기(70)를 통해 테이프봉(100)에 조사된 레이저빔을 확인하여 테이프봉(100)을 회전로드(30)에 대해 이동시키면서 테이프봉의 절단 위치를 레이저빔 조사 위치에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레이저빔 조사 위치는 원형날 위치에 맞춰져 있으므로, 테이프봉(100)은 절단부위가 정확히 원형날(42)의 위치에 맞춰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원형날에 대한 테이프봉의 초기 위치를 셋팅할 수 있고, 절단 불량을 방지하여 각각의 테이퍼롤을 제대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테이프봉(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형날(42)에 의해 절단이 완료되면, 배출부(60)를 통해 복수개의 분할된 테이퍼롤(110)을 회전로드(30)에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60)는 이송부(50)의 이송대차(54)가 회전로드(30)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테이프봉(100)의 절단이 완료되고 원위치로 복귀될 때, 같이 이동되면서 테이프롤(110)들을 회전로드(30)의 개방된 자유단 쪽으로 밀어 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배출부(60)는 선단에 회전로드(30)가 삽입되는 슬릿(63)이 형성되어 회전로드(30) 외측으로 끼워져 테이프봉(100) 선단이 걸리도록 된 포크부재(62), 이송대차(54) 상에 설치되고 포크부재(62)를 회전로드(30)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포크부재(6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재(62)는 상하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회전로드(30)의 개수와 위치에 맞춰 두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포크부재(62)는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연결부재(66)로 연결되어 같이 움직일 수 있다. 구동실린더(64)는 이송대차(54) 상에 설치되어 이송대차(54)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구동실린더(6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부재(66)를 매개로 두 개의 포크부재(6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실린더(64)가 신축 구동되면 포크부재(62)가 회전로드(30)쪽으로 이동되어 회전로드(30)에 맞물리거나 회전로드(30)에서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포크부재(62)는 절단부(40)의 원형날(42)에서 회전로드(30) 축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원형날(42)에 대한 포크부재(62)의 이격거리는 예를 들어, 테이프봉(100)의 선단쪽 최종 절단 위치에서 테이프봉(100)의 선단까지의 남는 짜투리 부분의 길이에 맞춰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이송대차(54)가 테이프봉(100) 끝까지 이동하여 원형날(42)이 최종 절단부(40)분을 절단한 상태에서 포크부재(62)가 테이프봉(100) 선단과 간섭없이 회전로드(30)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30)와 맞물리는 포크부재(62)의 슬릿(63)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63)의 폭은 회전로드(30)의 직경보다는 크고 테이프봉(10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슬릿(63) 내측으로 회전로드(30)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슬릿(63)이 회전로드(3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슬릿(63)과 회전로드(3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릿(63)의 폭은 테이프봉(100)의 외경 즉, 분할되어 있는 테이프롤의 외경 보다는 작기 때문에 테이프롤은 슬릿(63)을 통과하지 못하고 포크부재(62)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대차(54)의 이동에 따라 포크부재(62)가 회전로드(30)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포크부재(62)에 걸려 있는 테이프롤이 포크부재(62)에 의해 밀려 이동하게 된다. 이에, 포크부재(62)에 밀려 각 테이프롤은 회전로드(30)의 개방된 자유단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이송대차(54)의 힘을 이용하여 회전로드(30)에 끼워져 있는 테이프롤을 회전로드(30)에서 기계적으로 배출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회전로드(30)에서 테이프롤을 밀어서 인출하는 수고를 덜고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로드(30)에 테이프봉(100)이 끼워져 고정되고 회전로드(30)의 자유단은 회전판(20)의 축부재(22)에 의해 닫혀져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로드(30)의 구동에 따라 테이프봉(100)이 회전되고, 이송대차(54)가 작업대(12)를 따라 이동되면서 테이프봉(100)의 절단부위를 원형날(42)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테이프롤(110)로 분할한다.
이송대차(54)가 작업대(12)를 따라 회전로드(30)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절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송대차(54) 상에서 이동판(41)이 회전로드(30)쪽으로 이동되어 이동판(41)에 설치된 원형날(42)이 테이프봉(100)을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 구동실린더(64)는 수축작동되어 포크부재(62)는 테이프봉(100)에서 이격되어 간섭되지 않는다.
테이프봉(10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한 절단 과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이송대차(54)가 테이프봉(100)의 선단쪽에 도달하면, 이송대차(54)에 설치된 구동실린더(64)가 신장작동된다.
구동실린더(64)의 신장작동에 따라 포크부재(62)는 회전로드(30)쪽으로 이동되어 회전로드(30)의 외측으로 끼워진다. 회전로드(30)는 포크부재(62)의 슬릿(63)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맞물린다.
그리고 회전판(20)이 회전구동되어 회전로드(30)의 선단에서 이격된다. 이에, 회전로드(30) 선단을 막고 있던 축부재(22)가 회전로드(30)에서 분리되면서 회전로드(30) 선단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대차(54)는 다음 작업을 위해 작업대(12)를 따라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포크부재(62)는 이송대차(54)와 함께 이동된다. 회전로드(30)에 맞물린 포크부재(62)에 회전로드(30)에 끼워져 있는 테이프봉(100)의 선단이 포크부재(6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송대차(54)가 이동함에 따라 포크부재(62)는 절단되어 있는 테이프봉(100)을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로드(30)에서 테이프봉에서 분할된 테이프롤(110)들이 포크부재(62)에 밀려 회전로드(30)의 개방된 선단 쪽으로 이동되어 회전로드(30)에서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송대차(54)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분할된 테이퍼롤(110)을 간단하고 쉽게 회전로드(30)로부터 배출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2 : 작업대
14 : 수직부재 20 : 회전판
22 : 축부재 30 : 회전로드
40 : 절단부 41 : 이동판
42 : 원형날 43 : 회전모터
44 : 이송스크류 45 : 스텝모터
46 : 가이드 50 : 이송부
52 : 이송레일 54 : 이송대차
60 : 배출부 62 : 포크부재
63 : 슬릿 64 : 구동실린더
70 : 레이저조사기

Claims (5)

  1. 프레임에 설치되어 테이프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회전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테이프봉을 따라 상기 절단부의 절단 위치를 변경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와 같이 이동되며 상기 테이프봉 선단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이송부 복귀시 상기 회전로드에서 테이프봉을 밀어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회전로드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에 상기 절단부가 구비되는 이동대차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대차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진해앙향에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프봉을 절단하는 원형날, 상기 원형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선단에 상기 회전로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 외측으로 끼워져 테이프봉 선단이 걸리도록 된 포크부재, 및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포크부재를 상기 회전로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포크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의 슬릿은 반원 형태를 이루며 폭은 상기 회전로드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테이프봉의 외경보다는 작은 구조의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KR1020200044885A 2020-04-13 2020-04-13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KR10234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885A KR102349200B1 (ko) 2020-04-13 2020-04-13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885A KR102349200B1 (ko) 2020-04-13 2020-04-13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032A true KR20210127032A (ko) 2021-10-21
KR102349200B1 KR102349200B1 (ko) 2022-01-10

Family

ID=7826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885A KR102349200B1 (ko) 2020-04-13 2020-04-13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2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755A (ja) * 2009-09-15 2011-03-31 Ikuta Tekko Kk 紙管切断機
KR102072083B1 (ko) * 2019-09-30 2020-01-31 김대용 커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2755A (ja) * 2009-09-15 2011-03-31 Ikuta Tekko Kk 紙管切断機
KR102072083B1 (ko) * 2019-09-30 2020-01-31 김대용 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200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494B2 (en) Method and device to prepare tubular winding cores
DE102011001521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Dosenrohlings
US20180077963A1 (en) Automatic machine for strawberry de-calyx and cutting in pieces
KR102349200B1 (ko)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분할 장치
US3951016A (en) Rotary wire stripping apparatus
US3545336A (en) Apparatus for forming slits in an elongated linearly moving tube
KR20160067333A (ko) 하이드로포밍용 튜브 절단장치
US2936664A (en) Combined cutoff and slitting machine for uncured rubber stock material
US3107564A (en) Tube cutting machine
US4425062A (en) Cutting and chamfering apparatus for opposing ends of tubular material
RU2307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колод в отрезных станках
GB2070999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aking lengths of tubing from cylindrical tubes
DE2603343C3 (de) Vorrichtung zum Zuschneiden von Dosen
US2810438A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feeding, clamping and cutting work pieces
CN218659362U (zh) 一种瓦楞纸可清理废屑的切割装置
GB13345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cylindrical articles
KR20160143637A (ko) 원통 중공 물품 절단
CN215618390U (zh) 标签套筒裁切装置
JP2802139B2 (ja) 管の切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014116653B4 (de) Wickelstation zum Wickeln von Warenbahnen
CN113878414B (zh) 一种四轴联动磨床及其使用方法
CN220297176U (zh) 一种纸管加工用分切机
CN112851106B (zh) 一种液晶面板的切割装置及方法
EP39815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pirally wound tubes
KR20050101440A (ko) 작업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