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897A - 도어형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도어형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897A
KR20210126897A KR1020200044541A KR20200044541A KR20210126897A KR 20210126897 A KR20210126897 A KR 20210126897A KR 1020200044541 A KR1020200044541 A KR 1020200044541A KR 20200044541 A KR20200044541 A KR 20200044541A KR 20210126897 A KR20210126897 A KR 20210126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verage
door
input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217B1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2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재료보관부, 컵보관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버튼신호 입력을 인식하여 음료를 토출하는 버튼형 자판기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형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자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음료 선택을 위한 디지털신호가 입력되고 음료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상기 도어부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버튼신호로 변환하는 버튼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원하는 음료에 해당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판기 본체가 상기 버튼신호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버튼신호를 인식하여 매칭된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형 키오스크 {DOOR TYPE KIOSK}
본 발명은 종래 버튼형 자판기 본체의 신호를 변환하여 종래 자판기를 활용하고 주문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형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음료나 커피를 토출하여 마실 수 있는 자판기는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대학가나 관공서 등 다중이용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공간에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상품들을 판매하기 위한 자판기가 구비되어 있다.
실제 자판기 시장은 지난 20년간 연 평균 5%가량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7년부터 연 평균 5% 이상 성장하고 있는데, 이는 키오스크 등 무인판매 시장이 커짐에 따라 자판기 역시 키오스크 형태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면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자판기 국내시장 금액 규모는 약 300억원이고, 국내 설치된 자판기는 약 25만대 규모로 이 중 커피 및 음료 자판기가 20만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스턴트커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원두를 보관하면서 직접 원두를 갈아서 뽑아낸 원두커피를 판매하는 커피자판기가 늘어나고 있다. 사람들의 입맛이 고급화되면서 이러한 자판기의 커피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예전부터 설치되어 있는 자판기가 노후화되면서, 자판기 자체를 폐기하거나 교체해야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90년대 설치된 자판기의 경우 대부분이 폐기되었고, 또한 기존 자판기 역시 결제수단의 변경이나 트렌드에 따라 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튼형 자판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5685호 (발명의 명칭 : 종이컵 수거되는 커피자동판매기) 그런데 종래의 버튼형 자판기의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자판기 자체의 연식이 오래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기계적 방식에 따른 버튼신호로 음료를 주문하는 형태라 음료의 누적결제건수가 중첩됨에 따라 버튼이 파손되거나 압출에 따른 버튼신호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아 음료의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는 외부에서 음료의 토출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음료가 토출된 뒤 일정시간을 대기하거나 토출구 내부를 직접 확인하여 음료를 외부로 반출해야 하고, 때로는 토출과정에서 음료가 쏟아져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자판기 내부에 보관된 컵이나 음료의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일정주기로 지속적으로 자판기를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른 유지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자판기와 떨어진 상태에서 재고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재료 중 어떤 재료의 재고가 부족한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 관리자가 언제나 모든 재료를 구비한 상태로 자판기를 점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래된 버튼형 자판기의 경우, 현금을 제외한 결제수단으로는 결제가 불가능하여 신용카드나 바코드 등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결제수단으로는 원하는 음료를 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버튼형 자판기는 2018년 기준으로 전국에 약 9만여대가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라, 이러한 모든 자판기 자체를 변경하는 것은 기하학적인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나 인력의 낭비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어형으로 분리설치되어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상품결제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 자판기에서 도어만 제거하고 교체함으로써 자판기 본체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도어형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 장치는 수용공간에 재료보관부, 컵보관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버튼신호 입력을 인식하여 음료를 토출하는 버튼형 자판기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로써,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자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음료 선택을 위한 디지털신호가 입력되고 음료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버튼신호로 변환하는 버튼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원하는 음료에 해당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판기 본체가 상기 버튼신호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버튼신호를 인식하여 매칭된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재료보관부에 저장된 재료 및 상기 컵보관부에 저장된 컵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재료보관부에 재료가 설정량으로 보관되면 토출 가능한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고관리부는, 산출된 음료의 산출잔수와 토출된 음료의 토출잔수 차이가 1차 설정기준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재고상태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산출잔수와 상기 토출잔수 차이가 2차 설정기준 이하인 경우, 입출력부를 통해 음료의 매진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홍보영상 및 홍보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입출력부의 입력이 설정대기시간동안 없는 경우, 상기 홍보영상 또는 상기 홍보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사용자가 설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감지부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홍보영상의 출력을 중지하고 메뉴선택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토출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자판기 본체로부터 음료가 토출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자판기 본체로부터 음료토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토출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튼형 자판기의 도어만 교체하고 자판기 본체 내부의 구성은 변경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그대로 활용하면서, 최근 트렌드에 맞는 자판기, 특히 키오스크 형태의 자판기로 사용자가 음료를 주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추가적인 구성을 추가한다기보다 자판기의 도어를 도어형 키오스크로 교체함과 동시에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신호를 종래에 인식되는 버튼신호로 변환하여 종래 판매하던 음료를 그대로 판매함과 동시에 자판기의 외관은 트렌디하게 바꿀 수 있어 자판기 시장의 성장을 가져올 수 있고 새로운 자판기를 제조할 필요가 없어 자판기 제조비용이나 제조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터치방식으로 음료를 주문할 수 있고, 현금뿐만 아니라 카드, 바코드 등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음료를 결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의 토출상태를 입출력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판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입출력부를 통해 다양한 홍보영상 또는 이미지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단순한 자판기가 아닌 홍보장치로써의 역할도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음료나 컵의 재고 등을 확인할 수 없는 자판기의 도어만 도어형 키오스크로 교체함으로써, 본체에 저장된 음료나 컵의 재고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뿐만 아니라 재고현황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뿐만 아니라 입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음료의 매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가 버튼형자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와 버튼형자판기 본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를 통해 음료를 주문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입출력부를 홍보영상이 출력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메뉴선택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입출력부d 통해 출력되는 음료토출영상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시간 별 매출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저장부에 홍보영상 또는 홍보이미지가 저장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음료용 자판기에 설치될 수 있는 도어형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키오스크를 간략하게 ‘도어형 키오스크’로 호칭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고 종래 자판기의 도어를 대체하여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요지에 모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가 버튼형자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와 버튼형자판기 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는 종래의 버튼형 자판기 본체(이하,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 결합되어 버튼형자판기 본체(200) 내부공간이 외부로 드러내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버튼형자판기의 본체를 동작시켜 음료를 토출, 결제 및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다.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사한 자판기 본체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인 버튼형자판기는 도어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경우, 외부에 음료선택을 위해 압력에 의해 클릭되는 버튼이 형성되고 결제수단(주로, 지폐나 주화)을 삽입할 수 있는 결제수단인식부(113)가 배치되며 본체의 수용공간을 밀폐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형자판기 본체(200)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음료 제조를 위한 다양한 재료(예를 들어, 식수, 원두, 우유, 컵 등)가 보관될 뿐만 아니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본체는 전면이 개방되어 도어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컵이 적층 보관되는 컵보관부(212),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식수가 보관되는 식수보관부(213),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원두, 크림, 설탕 등 다양한 재료가 보관되는 재료보관부(211), 음료가 토출되면 컵으로 이송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컵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부(240), 결제수단인식부(113)에 의해 인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판기 본체는 종래 도어에 형성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버튼의 압력신호에 의해 생성된 버튼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250)와, 버튼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버튼신호에 매칭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신호인식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의 도어형 키오스크(100)를 구비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임을 밝혀둔다.
즉, 종래 버튼형자판기는 설치된 도어에 사용자가 결제수단을 인식시키고 원하는 음료에 해당되는 버튼을 클릭하면, 버튼의 압출신호가 제2 통신부(250)를 통해 버튼신호 인식부로 송신되고, 압출된 버튼의 버튼신호에 매칭된 음료가 제조되어 외부로 반출되는 형태로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 외에도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나 식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정수되게 하는 정수부, 얼음이 만들어지고 제공되는 제빙부 등 다양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자판기 본체의 구성은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한 바, 기타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된 버튼형자판기 본체(200) 역시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경우,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사용자가 상품(이하, 음료)을 구매하기 위한 정보를 입출력하며 결제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도어부(110) 및 도어부(110)의 후면, 즉, 도어부(110)가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면에 배치되어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10)는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자판기 본체 내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케이스, 도어케이스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고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부(112), 수용공간에서 음료가 토출되고 사용자가 토출된 음료를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토출공간을 제공하는 토출구(111),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수단을 인식시키는 결제수단인식부(113) 및 사용자의 동작을 파악하여 사용자 접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근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케이스는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일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여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다. 도어케이스는 전면에 입출력부(112), 결제수단인식부(113), 토출구(111) 및 접근감지부(114)가 배치될 수 있고, 후면에 관리서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케이스는 도어형 키오스크(100)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입출력부(112)는 도어케이스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선택하거나 결제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음료선택화면이나 음료토출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입출력부(112)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음료선택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료에 대한 신호, 일 예로 터치를 통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결제하고자 하는 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음료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더불어 결제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결제수단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음료 선택신호 및 결제수단 선택신호에 대한 상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한다.
출력부는 후술할 저장부(123)에 저장된 홍보영상 또는 이미지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결제수단선택화면 및/또는 결제하고자 하는 음료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고 결정할 수 있는 음료선택화면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결제수단선택화면을 통해 음료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예를 들어,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QR코드 및 바코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료선택화면에서 음료의 이미지와 가격을 확인할 수 있고, 입력부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음료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토출구(111)는 도어케이스의 전면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자판기 본체의 토출부(240)와 연통될 수 있는 수단이다. 자판기 본체의 수용공간에서 토출부(240)로 음료가 가이드되어 컵으로 토출되면 사용자는 토출구(111)를 통해 음료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토출구(111)는 일반적인 자판기 도어에 적용된 구성으로 기술적 특징이 없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제수단인식부(113)는 도어케이스 전면에 배치되어 결제수단이 인식되는 수단이다. 상세히, 결제수단인식부(113)는 결제수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수단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인 경우 결제수단인식부(113)는 카드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 구매자단말기에 저장된 결제수단, 예를 들어 QR코드나 바코드 등의 결제수단이 사용되는 경우 결제수단인식부(113)는 QR코드나 바코드 등을 식별할 수 있는 코드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수단이 현금인 경우에는 현금이 입금되고 잔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현금인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감지부(114)는 도어케이스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일 예로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접근감지부(114)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거리 미만으로 접근한 경우 접근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가 접근신호를 수신받은 후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또한, 도어부(110)는 지폐나 동전 등 화폐에 대한 재고가 부족한 경우 점등되어 사용자의 화폐를 사용한 결제를 방지하는 화폐결제불가표시부(115), 사용자가 토출되는 음료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토출음료의 온도가 외부로 출력되는 온도표시부(116) 및 도어부(110) 후면에 배치되어 종래 버튼형자판기(200) 내부에 가격이나 음료당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리모컨거치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사용자로부터 입출력부(112)를 통해 입력받은 음료선택신호를 종래의 버튼형본체의 버튼신호인식부(230)가 인식할 수 있는 버튼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컵이나 음료의 토출상태에 따라 재고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상세히, 관리서버(120)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12)를 통해 입력한 디지털신호를 버튼신호, 즉 버튼을 클릭하며 발생되는 압출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버튼신호변환부(121),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컵보관부(212), 식수보관부(213), 재료보관부(211)에 저장된 컵, 식수 및 재료 중 하나 이상의 재고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재고관리부(122), 홍보영상 또는 홍보이미지 및 토출영상 등 입출력부(112)로부터 외부로 출력되기 위한 정보 및 재고상태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123),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관리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변환된 버튼신호를 버튼형자판기 본체(200)로 송신하고, 버튼형자판기 본체(200)로부터 컵토출정보와 음료토출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124) 및 음료의 매출현황을 관리하는 매출관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신호변환부(121)는 사용자가 음료 선택을 위해 입출력부(112)에 입력한 디지털신호를 압출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버튼신호변환부(121)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12)를 통해 입력한 터치신호, 즉 디지털신호를 종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되는 버튼신호, 즉 아날로그 압출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형 키오스크(1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도어만 본 발명의 도어형 키오스크(100) 장치로 교체하여 버튼형자판기 본체(200) 내부의 구성을 변경없이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 배치된 버튼신호인식부(230)는 종래 도어에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인출되는 음료선택버튼의 압출신호를 인식하여 음료선택버튼에 매칭되는 설정값에 따라 제조된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어형 키오스크(100)에 배치된 버튼신호변환부(121)는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입출력부(112)로 선택한 음료의 터치 디지털신호를 버튼신호인식부(230)에서 해당 음료와 동일한 음료의 압출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지털신호의 입력만으로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에서 판매하던 음료와 동일한 설정값에 따라 제조된 음료가 매칭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재고관리부(122)는 자판기 본체의 재료보관부(211), 식수보관부(213) 및 컵보관부(212)에 수용된 재료, 식수 및 컵 중 하나 이상의 재고를 인식하여, 재고결과를 파악하고 인식된 재고결과를 입출력부(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아래에서는 재고관리부(122)가 재료보관부(211) 및 식수보관부(213)의 재료나 식수의 재고를 산출하여 관리하는 방법과, 컵보관부(212)의 컵 재고를 산출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재고관리부(122)는 컵보관부(212)에 저장된 컵의 초기수량에서 토출된 음료의 잔 수만큼 컵의 수량을 카운트하여 컵의 재고를 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컵보관부(212)에 초기에 삽입한 컵의 수량(이하, 초기컵수량)을 체크하고, 토출된 음료의 수(이하, 토출컵수량)만큼 컵의 수량을 차감하여 재고컵수량을 산출하고, 재고컵수량이 설정개수 미만으로 감소하면 제1 통신부(124)를 통해 컵재고부족 알림을 1차적으로 관리자 단말기 및 입출력부(112)의 음료선택화면으로 송신하여 추후 토출가능한 음료의 수량을 외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컵 재고를 보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컵의 재고가 모두 소모되어 재고컵수량이 없다고 판단되면 2차적으로 관리자 단말기로 컵의 재고가 없음에 대한 알림을 송신함과 동시에 입출력부(112)의 음료선택화면에서 모든 음료 이미지를 매진상태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결제를 통해 음료를 주문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고관리부(122)는 재료보관부(211)에 수용된 재료의 양에 따라 토출가능한 음료의 잔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재고관리부(122)는 재료보관부(211)에 설정량만큼 재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해당 재료의 설정량에 의해 토출가능한 음료의 잔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잔수를 기준으로 토출가능한 음료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재료보관부(211)에 유입된 재료는 원두, 우유, 설탕 등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원료일 수 있고, 음료가 다 수개 판매되는 경우에는 각 음료별로 유입될 수 있는 재료와 유입되지 않는 재료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재고관리부(122)는 토출되는 음료의 종류와 잔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다양한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파악하기 위한 재고관리부(122)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고관리부(122)는 재료보관부(211)에 설정량의 재고가 보관된 상태에서 각 음료 종류별 토출가능한 음료잔수(이하, 산출잔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결재하여 토출한 경우, 재고관리부(122)는 산출잔수와 토출된 음료잔수(이하, 토출잔수)의 차이가 1차 설정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메리카노의 산출잔수가 100잔이고 1차 설정기준이 40잔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토출된 아메리카노의 토출잔수가 60잔이라면 산출잔수와 토출잔수의 차이값이 1차 설정기준인 40잔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시점을 1차 재고관리 시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재고관리부(122)는 1차 재고관리 시점에 관리자 단말기로 재고추가 요청 또는 재고보충을 위한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재료보관부(211)의 재료 재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재고관리부(122)는 산출잔수와 토출잔수의 차이가 2차 설정기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 설정기준은 1차 설정기준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2차 설정기준은 음료의 매진상태나 재고부족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재고관리부(122)는 산출잔수와 토출잔수가 2차 설정기준 이하인 경우, 입출력부(112)를 통해 음료의 매진상태 또는 음료의 남은 토출잔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재고관리부(122)는 다양한 음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를 공통으로 사용되는 재료(이하, 공통재료)와 음료별로 사용되는 재료(이하, 별도재료)로 구분하여 모든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세히, 공통재료가 음료 토출로 소모된 경우, 모든 음료의 토출잔수가 증가할 수 있고, 반대로 특정 음료에만 사용되는 별도재료(예를 들어, 카라멜 마키아또 음료에 소모되는 카라멜)가 소모된 경우, 해당 음료의 토출잔수만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관리부(122)는 다양한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한 재고관리부(122)의 동작을 재료보관부(211)와 연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뿐만이 아니라 식수보관부(213)의 경우에도 재구관리부를 통해 동일하게 토출잔수의 재고가 관리될 수 있고, 이 경우 재료보관부(211)와 식수보관부(213)에 보관된 재료 또는 식수 중 부족한 재료를 기준으로 음료의 토출가능잔수 또는 매진여부가 입출력부(112)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23)는 입출력부(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홍보영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음료의 토출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토출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홍보영상정보는 홍보영상 및 홍보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외부로부터 홍보영상 및 홍보이미지를 제공받아 저장함으로써, 홍보를 위해 입출력부(112)로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사의 홍보 또는 타사의 홍보를 통한 홍보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부(123)에는 음료의 토출영상, 상세히, 음료가 토출되는 시간별로 토출되는 단계를 표시하는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뜨거운 음료가 토출되는 과정으로 컵이 토출되고 재료 및 온수가 토출되는 과정이 영상으로 저장될 수 있고, 반대로 차가운 음료가 토출되는 과정으로 컵이 토출되고 얼음, 재료 및 온수가 순서대로 토출되는 과정이 영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토출영상은 음료 토출 시 입출력부(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24)는 자판기 본체와 통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세히, 버튼신호변환부(121)에 의해 디지털신호가 변환된 압출신호를 자판기 본체로 송신할 수 있고, 자판기 본체의 컵토출정보나 음료분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매출관리부(125)는 입출력부(112)로부터 선택된 음료의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음료의 결제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매출을 관리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매출관리부(125)는 일자별로 결제된 음료의 종류, 수량, 판매금액 및 판매시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일별, 월별, 연별 자판기의 매출금액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를 활용한 음료토출 및 재고관리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를 통해 음료를 주문하는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입출력부(112)를 홍보영상이 출력되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입출력부(112)를 통해 출력되는 메뉴선택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입출력부(112)d 통해 출력되는 음료토출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시간 별 매출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저장부(123)에 홍보영상 또는 홍보이미지가 저장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어형 키오스크(100)의 도어부(110)에 형성된 입출력부(112)에서는 저장부(123)에 저장된 홍보영상 또는 홍보이미지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S111). 이 상태에서 자판기를 통해 음료를 결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거리 내로 접근하는지 감지(S112)할 수 있고, 접근하는 경우, 접근감지부(114)는 접근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접근신호를 수신한 관리서버(120)에 의해 입출력부(112)의 홍보영상정보의 출력이 중지될 수 있다.
입출력부(112)는 접근감지부(114)의 접근신호를 확인하여 메뉴선택화면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S113). 일 예로, 출력된 메뉴선택화면에는 아메리카노, 아이스 아메리카노, 초코라떼, 아이스티 등 다양한 음료의 종류, 이미지 및 가격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부(112)에 출력된 메뉴선택화면 중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여 터치함으로써, 음료선택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입력할 수 있다(S114).
또한, 관리서버(120)는 실시간으로 재료보관부(211) 및 식수보관부(213)의 정보를 확인하여 음료의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관리서버(120)는 음료가 분출된 경우 음료분출정보를 통해 음료의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재고상태 확인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12)를 통해 음료선택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입력하면 관리서버(120)의 버튼신호변환부(121)는 음료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종래 버튼자판기 본체의 버튼신호인식부(23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버튼신호, 즉 압출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115). 상세히, 음료선택신호는 음료별로 버튼신호인식부(230)에 의해 인식되는 버튼신호로 각각 매칭되어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메리카노 음료를 선택하는 디지털신호의 경우, 종래 자판기본체의 아메리카노 버튼의 압출에 의해 발생되는 버튼신호로 변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버튼신호변환부(121)에 의해 변환된 버튼신호는 버튼형자판기 본체(200)의 버튼신호인식부(23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상세히, 입출력부(112)를 통해 출력된 음료선택화면에서 음료를 선택하는 디지털신호가 변환된 버튼신호는 버튼신호인식부(230)에 의해 해당 음료의 선택신호로 매칭되어 인식될 수 있다(S116). 버튼신호인식부(230)에 의해 변환된 버튼신호가 인식되어 음료가 결정되면, 입출력부(112)에 의해 결제수단 선택화면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부(112)에 출력된 결제수단 선택화면을 통해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고 결제수단인식부(113)를 통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킬 수 있다(S117). 일 예로, 신용카드 등을 카드리더기에 삽입하거나, 바코드 정보를 코드리더기에 접촉시킴으로써 결제수단을 결제수단인식부(113)를 통해 인식시킬 수 있다.
결제수단인식부(113)에 의해 결제수단이 인식되면, 인식정보가 버튼형자판기 본체(200)로 송신되고, 결제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S118).
결제가 이루어지면 버튼형 자판기 본체의 컵보관부(212)는 음료 토출을 위한 전제로 컵을 토출할 수 있다(S119). 이와 동시에 컵보관부(212)의 토출된 컵토출정보를 버튼형 자판기 본체 제2 통신부(250)를 통해 관리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수신받은 컵토출정보를 기초로 컵의 초기컵수량에서 수신받은 컵토출정보에 따른 토출컵수량을 제외하여 컵보관부(212)의 컵 재고수를 산출하여 컵의 재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컵이 토출된 후 음료가 토출부(240)를 통해 컵으로 토출될 수 있다(S120). 이 경우, 관리서버(120)의 제1 통신부(124)는 버튼형자판기 본체(200)로부터 음료토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음료 토출영상이 입출력부(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S121).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입출력부(112)를 통해 현재 음료의 토출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20)의 재고관리부(122)는 수신받은 음료토출정보를 통해 음료의 재고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재고관리부(122)는 토출되는 음료에 유입되는 재료를 공통재료와 별도재료로 구분하여, 종래의 재고 산출잔수에서 토출잔수를 차감하여 모든 음료들이 얼마나 토출될 수 있는지 재고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재고관리부(122)의 재료 및 컵의 재고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재고관리부(122)는 재료 및 컵의 재고상태에 따라 재고현황이 설정재고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단말기 및/또는 입출력부(112)를 통해 재고보충 또는 매진 상태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어형 키오스크 110 : 도어부
111 : 토출구 112 : 입출력부
113 : 결제수단인식부 114 : 접근감지부
120 : 관리서버 121 : 버튼신호변환부
122 : 재고관리부 123 : 저장부
124 : 제1 통신부 125 : 매출관리부
200 : 버튼형자판기 본체 211 : 재료관리부
212 : 컵보관부 213 : 식수보관부
220 : 결제부 230 : 버튼신호인식부
240 : 토출부 250 : 제2 통신부

Claims (7)

  1. 수용공간에 재료보관부, 컵보관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버튼신호 입력을 인식하여 음료를 토출하는 버튼형 자판기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형 키오스크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자판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음료 선택을 위한 디지털신호의 입력과 음료정보가 출력을 위한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버튼신호로 변환하는 버튼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원하는 음료에 해당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판기 본체가 상기 버튼신호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버튼신호를 인식하여 매칭된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재료보관부에 저장된 재료 및 상기 컵보관부에 저장된 컵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재료보관부에 설정량 이상의 재료가 보관되면 토출 가능한 음료의 토출가능잔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부는,
    산출된 음료의 산출잔수와 토출된 음료의 토출잔수 차이가 1차 설정기준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재고상태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관리부는,
    상기 산출잔수와 상기 토출잔수 차이가 2차 설정기준 이하인 경우, 입출력부를 통해 음료의 매진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홍보영상 및 홍보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입출력부의 입력이 설정대기시간동안 없는 경우 상기 홍보영상 또는 상기 홍보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사용자가 설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근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감지부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홍보영상의 출력을 중지하고 메뉴선택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토출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자판기 본체로부터 음료가 토출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자판기 본체로부터 음료토출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토출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키오스크.
KR1020200044541A 2020-04-13 2020-04-13 도어형 키오스크 KR10235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41A KR102353217B1 (ko) 2020-04-13 2020-04-13 도어형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41A KR102353217B1 (ko) 2020-04-13 2020-04-13 도어형 키오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97A true KR20210126897A (ko) 2021-10-21
KR102353217B1 KR102353217B1 (ko) 2022-01-19

Family

ID=7826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41A KR102353217B1 (ko) 2020-04-13 2020-04-13 도어형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58B1 (ko) * 2023-08-28 2024-04-09 주식회사 메스텍 IoT 기반 음료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2656063B1 (ko) * 2023-08-28 2024-04-09 주식회사 메스텍 멀티 토출이 가능한 음료 제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31A (ko) * 2000-12-22 2002-06-29 이충전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방법
KR20060115685A (ko) 2006-10-17 2006-11-09 (주)이안테크놀로지 다중 연계형 발전장치를 위한 출력제어 시스템
KR20160134284A (ko) * 2015-05-15 2016-11-23 박규영 스마트 캡슐커피 자판기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200488656Y1 (ko) * 2018-08-16 2019-03-06 양성홍 무인 판매기와 연동하는 간편결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331A (ko) * 2000-12-22 2002-06-29 이충전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방법
KR20060115685A (ko) 2006-10-17 2006-11-09 (주)이안테크놀로지 다중 연계형 발전장치를 위한 출력제어 시스템
KR20160134284A (ko) * 2015-05-15 2016-11-23 박규영 스마트 캡슐커피 자판기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200488656Y1 (ko) * 2018-08-16 2019-03-06 양성홍 무인 판매기와 연동하는 간편결제 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t in case of the conventional button type vending machine" it has the following problem
However, since about 90,000 such button-type vending machines are installed nationwide as of 2018, changing all of these vending machines itself not only consumes geometric costs, but also costs money or waste of manpower to manufacture new devices. There are problems that can be induced, and measures to take advantage of them are urgently need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old button-type vending machine, it is impossible to pay with a payment method other than cash,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desired beverage cannot be paid with a payment method mainly used recently, such as a credit card or a barcode.
In addition,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check the stock status of cups or beverages stored inside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nding machine must be managed continuously at a certain period. there is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stock status in real time while away from the vending machine, and there is no way to check which material is out of stock, so the manager must always check the vending machine with all the ingredient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cannot check whether the beverage is dispensed from the outside, so the user must wait for a certain time after the drink is dispensed or check the inside of the outlet to take out the drink. There are problems that can cause safety accidents, such as wearing clothes.
Not only does the vending machine itself have an old age, so frequent breakdowns occur, but also because it is a form of ordering drinks with a button signal according to the mechanical method of applying pressure to the button on the door, the button is damaged or the button is damaged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accumulated number of payments for drink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jection of the beverage is not performed normally because the button signal is not properly inp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58B1 (ko) * 2023-08-28 2024-04-09 주식회사 메스텍 IoT 기반 음료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2656063B1 (ko) * 2023-08-28 2024-04-09 주식회사 메스텍 멀티 토출이 가능한 음료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217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58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a product
US4962866A (en) Non-attended, self-service cup vender
CA2261593C (en) Unattended automated system for selling and dispensing motor fuel accepting a variety of payment methods
KR101183231B1 (ko)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
KR100882580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자동판매기와 그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20020004690A1 (en) Vending machine
KR102353217B1 (ko) 도어형 키오스크
US20050182678A1 (en) Products and processes for vending machine gift certificates
US5884807A (en) Vending machine for a sequential purchase of goods
US8126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everage and container vending machine
KR19990011262A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20140096689A (ko) 음료공급장치, 이를 포함하는 음료공급시스템 및 음료공급방법
FR3033916A1 (fr) Procede et systeme pour l'aide au paiement de repas pris en self-service
JP2015148930A (ja) 自動販売機、自動販売システムおよび自動販売方法
JP5053670B2 (ja) 自動販売機
JPH04503417A (ja) 自動販売機による製品の計測された分量または容器を販売するための装置
JP7451936B2 (ja) 飲料販売システム
KR102465823B1 (ko) 실시간 음료재료 확인 가능한 자판기
KR100993833B1 (ko) 자동판매기에서 판매제한 및 할인 처리장치와 그 방법
RU2225037C1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проездных документов
CN212276507U (zh) 弹簧售饮机
JP2003256929A (ja) 自動販売機、および自動販売機の個人販売情報管理装置並びに個人販売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9217761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3208025U (ja) 自動販売機
JP6061169B1 (ja) フリーベンド対応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