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225A - 미스트 스프레이 - Google Patents

미스트 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225A
KR20210126225A KR1020200043746A KR20200043746A KR20210126225A KR 20210126225 A KR20210126225 A KR 20210126225A KR 1020200043746 A KR1020200043746 A KR 1020200043746A KR 20200043746 A KR20200043746 A KR 20200043746A KR 20210126225 A KR20210126225 A KR 2021012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housing
inner housing
guide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112B1 (ko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96퍼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96퍼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96퍼센트
Priority to KR102020004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1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65D83/384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comprising an aerosol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in an externa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스프레이 본체; 상기 스프레이 본체를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내부하우징; 내측면을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이 이동가능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을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시키는 원터치 구동부; 및,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스토퍼;를 포함하여 사용시 원터치 구동에 의해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고, 휴대시 원터치에 의해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분사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캡이 불필요하여 캡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스트 스프레이{MIST SPRAY}
본 발명은 미스트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용기와 용기 캡을 일체화시켜 분사노즐의 오염방지, 편의성 향상, 캡 분실 방지를 할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는 여러 가지 산업, 기술 분야, 예를 들면 화공, 의약, 식품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실제 수요에 의하여 일부 스프레이는 재료에 대한 요구가 아주 높지만, 이의 스프레이병 커버의 용도는 단지 안에 담긴 액체를 밀봉시키거나 또는 단지 먼지를 방지하는 것이다.
의약 방면에서, 일반적으로 일부 액체 약품, 예를 들면 기침 시럽, 비염 스프레이, 각기 스프레이 등에 있어서, 이러한 액체 약제를 담는 스프레이는 이의 개구를 막고 또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내부 커버가 필요할 뿐 아니라, 또한 내부 커버의 액체 분구를 막을 수 있는 외부 커버가 필요하며, 외부 커버는 막는 작용뿐 아니라, 쉽게 탈락되지 않아 영유아들이 열고 약물을 잘못 복용하여 생명 위험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여야 한다.
화공 분야의 세제 용품 시리즈 및 화장품 시리즈, 예를 들면 주방용 세제, 세탁용 세제, 샴푸, 클렌저 등에 있어서, 위생, 간편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내부 커버 액체 출구에 다시 외부 커버를 구비하는 액체 포장 형식은 현재 날로 많이 채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로 구성된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내부 커버 외벽과 외부 커버 내벽 사이에 아크형 요홈과 아크형 보스가 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양자의 연결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서, 배합이 비교적 긴밀하면 외부 커버를 내부 커버에서 뽑아내는데 필요한 힘이 비교적 커 노인들의 사용에 불리하며, 배합이 비교적 느슨하면 외부 커버가 쉽게 내부 커버로부터 탈락되어 안전성이 좋지 않다.
또한 일부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는 나사 연결 방식을 취하는 바, 이러한 구조는 영유아들이 쉽게 열 수 있어 역시 안정성이 좋지 않다.
미국 특허 제6112921호에서는 아동 보호성 용기 커버를 개시하는 바, 해당 용기 커버는 상단이 상단면을 통하여 함께 연결된 외벽과 내벽이 포함되고, 내벽에는 용기 개구의 수나사산와 상호 배합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외벽에는 갭이 구비되고, 내벽 하단에는 외벽 갭과 대향하는 연장 암이 구비된다.
그리고 용기의 숄더에는 삼각형과 유사한 보스가 구비되어, 용기 커버를 닫았을 때, 용기 커버 내벽의 암나사산이 용기 개구의 수나사산에 회전 결합되고, 외벽과 내벽 하단의 연장암은 용기 숄더의 보스의 뾰족한 코너 위치로부터 삽입되어 보스의 작용 하에서 변형되는 바, 내벽 하단의 연장암이 보스에서 이탈된 후 원상 복귀되며, 용기 커버를 열어야 할 때, 우선 손으로 내벽 연장암을 눌러 이로 하여금 변형되어 외벽과의 사이에 보스 후단 너비보다 넓은 간격을 형성하여야만 용기 커버를 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안전성이 높아 어린이들이 일반적으로 열 수 없으나, 조작이 비교적 어려워 노인들도 쉽게 열 수 없으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8367호 "마스크 팩을 내장한 일회용 미스트 스프레이"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5353호 "피부 수화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미스트 스프레이"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시 원터치 구동에 의해 캡의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고, 휴대시 원터치 구동에 의해 캡의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프레이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캡을 일체로 구성하여 캡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시에는 분사노즐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편한 원터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스프레이 본체; 상기 스프레이 본체를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내부하우징; 내측면을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이 이동가능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을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시키는 원터치 구동부; 및,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가이드 홈과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는 내부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원터치 구동부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수직방향 가이드와 수평방향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터치 구동부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1차 가압시 내부하우징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레이 본체의 상단이 외부하우징의 상단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고,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2차 가압시 내부하우징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레이 본체의 분사노즐이 상기 외부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본체는 용액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액을 펌핑에 의해 인출하도록 결합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와 결합되어 인출되는 용액을 측면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마련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하측에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 안착돌기의 하측에는 상기 안착부 수용시 상기 안착부의 저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시 원터치 구동에 의해 캡의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고, 휴대시 원터치 구동에 의해 캡의 분사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가 제공된다.
또한, 스프레이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캡을 일체로 구성하여 캡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시에는 분사노즐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분사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가 제공된다.
또한, 간편한 원터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스트 스프레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프레이 본체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원터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원터치 구동부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원터치 구동부의 상승 작동상태도,
도 7은 원터치 구동부의 하강 작동상태도,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1)는 스프레이 본체(10), 원터치 구동부(20), 내부하우징(30),및 외부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스프레이 본체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레이 본체(10)는 용기(11), 펌핑부(12) 및 캡(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1)는 내부에 화장수 등의 소망하는 용액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펌핑부(12)는 펌핑하는 힘에 의해 용기(11) 내부의 용액을 상부로 끌어올려 상향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용액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캡(13)은 사용자가 하측방향으로의 펌핑하는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펌핑하는 힘에 의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용액을 측면으로 가이드하여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31)이 형성되어 펌핑부(12)와 결합된다.
상기 캡(13)의 하측에는 결합홈(141)을 포함하는 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4)는 후술하는 내부하우징(30)의 안착돌기(31)에 결합되고, 안착부(14)의 저면은 후술하는 내부하우징(30)의 안착리브(32)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원터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원터치 구동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원터치 구동부(20)는 후술할 내부하우징(30)의 하측에 결합되며, 그 작동원리는 원터치 토글방식 볼펜의 작동원리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터치 구동부(20)는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2), 누름부(23), 캠(24), 제1스프링(25) 및 제2스프링(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1)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띠 형상의 제1리브(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브(211)의 하측으로는 돌출되어 내측면을 따라 이격배열되는 스토퍼(212)가 형성된다. 이때, 스토퍼(212)의 저면은 후술할 캠(24)의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21)의 외측 하단에는 하부하우징(22)에 결합되는 고정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2)은 상기 상부하우징(21)이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213)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소정의 홈을 통해 결합고정된다.
또한, 외측면에는 후술할 외부하우징(40)의 회전결합부(41)가 내입되는 회전홈(221)이 형성되고, 회전결합부(41)의 하측에는 후술할 외부하우징(40)의 하단과 맞닿도록 파지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22)의 상면과 후술할 외부하우징(40)의 사이에는 외부하우징(4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호 체결되게 하는 소정의 베어링 체결구조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23)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단은 내부하우징(30)과 결합되거나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제2리브(231)가 형성되고, 하측 외측면에는 가압수단(232)이 이격배열된다. 상기 가압수단(232)의 저면은 상술한 스토퍼(212)의 저면과 같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캠(24)은 스프링의 탄성 또는 탄성복원에 의해 회전하는 수단으로서, 외측면에 제1돌출부(241)와 제2돌출부(242) 및 내입부(24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하나의 세트로 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세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입부(243)의 폭은 상부하우징(21)의 스토퍼(212)가 내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1돌출부(241) 및 제2돌출부(242)의 상면은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의 경사방향은 상술한 스토퍼(212) 및 가압수단(232)의 각각의 경사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25)은 상부하우징(21)의 제1리브(211)와 누름부(23)의 제2리브(231)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스프링(26)은 캠(24)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때, 제1스프링(25)은 제2스프링(26)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원터치 구동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원터치 구동부의 상승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원터치 구동부의 하강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상승구동에 대하여 설명하다. 도 6A에서와 같이 외력이 누름부(23)를 누르면, 도 6B와 같이 제1스프링(25)이 탄성압축되면서 누름부(23)의 가압수단(232)은 캠(24)의 제1돌출부(241)의 상면을 눌러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스프링(26)이 탄성압축됨과 동시에 스토퍼(212)는 제2돌출부(242)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누름부(23)의 가압수단(232)과 캠(24)의 제1돌출부(241)는 서로 경사면을 통해 맞닿고 있는데, 누름부(23)의 가압력에 의해 제1돌출부(241)의 경사면을 따라 점차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캠(24)은 회전하여 도 6C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가압수단(232)은 내입부(243)의 일 측면과 맞닿게 된다.
그리고, 도 6D와 같이 누름부(23)에 인가되는 외력을 해제하면 가압수단(232)은 제2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도 6E에서와 같이 캠(24)은 제1돌출부(241)의 경사면과 스토퍼(212)의 경사면이 맞닿아 있어 상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12)가 내입부(243)의 일 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어, 제1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23)는 상향으로 더 이동하면서 스토퍼(212)가 캠(24)의 내입부(243)에 내입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향으로의 이동의 최상단 위치는 스프레이 본체(10)의 캡(13)에 형성된 분사노즐이 외부하우징(4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캡(13)의 적어도 80%이상이 외부하우징(4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강구동은 도 7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부(23)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스프링(25)이 탄성압축되면서 누름부(23)의 가압수단(232)이 캠(24)의 제2돌출부(242)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도 7B와 같이 스토퍼(212)의 경사면과 제2돌출부(242)의 경사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면 캠(24)이 스토퍼(212) 측으로 회전하여 도 7C와 같이 가압수단(232)이 제2돌출부(242)와 제1돌출부(241)의 단턱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누름부(23)에 인가되는 외력을 해제하면 도 7D와 같이 가압수단(232)은 상승하면서 도 7E와 같이 캠(24)이 회전하여 스토퍼(212)가 제2돌출부(242)와 제1돌출부(241)의 단턱에 맞닿게 된다. 이를 통해, 누름부(23)의 위치는 도 7A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원리는 원터치 토글형 볼펜 또는 출몰식형 볼펜으로 일컬어지는 작동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내부하우징(30)과 외부하우징(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하우징(30)은 내부에 스프레이 본체(10)를 수용하면서 캡(13)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상기 내부하우징(30)의 상단에 인접한 영역에는 안착부(14)의 결합홈(141)이 결합되는 안착돌기(31)가 형성되고, 안착돌기(31)의 하측에는 스프레이 본체(10)의 안착부(14) 저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안착리브(32)가 형성된다.
스프레이 본체(10)는 내부하우징(30)의 내측으로 수용시, 캡(13)의 결합홈(141)을 통해 내부하우징(30)의 안착돌기(31)와 결합되어 좌우회전이 방지되고, 안착부(14) 저면이 안착리브(32)에 안착되어 하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상호 결합시 안정적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레이 본체(10)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스프레이 본체(10)를 내부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40)은 내부하우징(30)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며, 특히 내부하우징(30)에 수용되는 캡(13)의 상단과 외부하우징(40)의 상단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부하우징(40)의 하측에는 원터치 구동부(20)의 파지부(22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결합부(41)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22)의 상면과 후술할 외부하우징(40)의 저면 사이에는 외부하우징(4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호 체결되게 하는 소정의 베어링 체결구조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30)과 상기 외부하우징(40) 사이에는 가이드스토퍼(50)가 개재된다. 상기 가이드스토퍼(50)는 가이드홈(51)과 가이드돌기(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하우징(30)에 가이드돌기(52)가 형성되고, 외부하우징(40)에 가이드홈(5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홈(51)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써, 수직방향 가이드홈(51)과 수평방향 가이드홈(51)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52)는 가이드홈(51)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홈(51)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내부하우징(30)이 원터치 구동부(20)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에는 가이드스토퍼(50)가 가이드홈(5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52)가 가이드홈(51)의 최상측에 위치한 경우(원터치 스토퍼에 의해 내부하우징(30)이 최상측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내부하우징(30)에 인가함으로써 내부하우징(30)의 상하방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스프레이 본체(10)의 캡(13)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하측 방향으로의 힘을 가이드스토퍼(50)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30)이 외부하우징(4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스프레이 본체(10)의 상단부를 하측으로 누르면 원터치 작동부에 의해 내부하우징(30)이 도 9와 같이 상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캡(13)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터치 구동부(20)의 하부하우징(22)을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하한 손으로 외부하우징(40)을 파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0과 같이 가이드돌기(52)가 가이드홈(5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내부하우징(30)은 외부하우징(40)에 대하여 상하방향 이동이 억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프레이 본체(10)의 캡(13)을 하측 방향으로 눌러서 용기(11) 내부의 용액을 외측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완료 후에는 앞선 방향과 역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외부하우징(40)을 회전시킨 후에 스프레이 본체(10)의 상단을 누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캡(13)이 외부하우징(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스프레이는 스프레이를 구성하는 본체와 캡(13)을 일체로 구성하여 캡(13)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시에는 분사노즐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분사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원터치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스트 스프레이
10 : 스프레이 본체
11 : 용기 12 : 펌핑부
13 : 캡 131 : 분사노즐
14 : 안착부 141 : 결합홈
20 : 원터치 구동부
21 : 상부하우징
211 : 제1리브 212 : 스토퍼 213 : 고정부
22 : 하부하우징
221 : 회전홈 222 : 파지부
23 : 누름부
231 : 제2리브 232 : 가압수단
24 : 캠
241 : 제1돌출부 242 : 제2돌출부 243 : 내입부
25 : 제1스프링 26 : 제2스프링
30 : 내부하우징 31 : 안착돌기 32 : 안착리브
40 : 외부하우징 41 : 회전결합부
50 : 가이드스토퍼 51 : 가이드홈 52 : 가이드돌기

Claims (7)

  1. 스프레이 본체;
    상기 스프레이 본체를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내부하우징;
    내측면을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이 이동가능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을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시키는 원터치 구동부; 및,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스토퍼;를 포함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가이드 홈과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는 내부하우징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원터치 구동부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수평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수직방향 가이드와 수평방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구동부는,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1차 가압시 내부하우징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레이 본체의 상단이 외부하우징의 상단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고,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2차 가압시 내부하우징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레이 본체의 분사노즐이 상기 외부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구동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본체는 용액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액을 펌핑에 의해 인출하도록 결합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와 결합되어 인출되는 용액을 측면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마련된 캡을 포함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측에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미스트 스프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 안착돌기의 하측에는 상기 안착부 수용시 상기 안착부의 저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는 미스트 스프레이.
KR1020200043746A 2020-04-10 2020-04-10 미스트 스프레이 KR10245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46A KR102456112B1 (ko) 2020-04-10 2020-04-10 미스트 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46A KR102456112B1 (ko) 2020-04-10 2020-04-10 미스트 스프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25A true KR20210126225A (ko) 2021-10-20
KR102456112B1 KR102456112B1 (ko) 2022-10-19

Family

ID=7826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46A KR102456112B1 (ko) 2020-04-10 2020-04-10 미스트 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1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925A (ja) * 1993-04-05 1994-10-11 Kanebo Ltd 携帯用スプレ―容器
JPH06345164A (ja) * 1993-06-04 1994-12-20 Kanebo Ltd 携帯用ポンプ容器
JPH08244824A (ja) * 1995-03-07 1996-09-24 Hokoku Jushi Kogyo Kk 液体容器のポンプ付き口栓装置
KR200345994Y1 (ko) * 2003-11-12 2004-03-26 (주)코레드 출몰식 배출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814317B1 (ko) * 2007-08-27 2008-03-18 (주)연우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KR20100068578A (ko) * 2008-12-15 2010-06-24 (주)톨리코리아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KR200455000Y1 (ko) * 2008-08-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 가능한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170055353A (ko) 2015-11-11 2017-05-19 유한회사 미인테크 피부 수화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미스트 스프레이
KR101758367B1 (ko) 2016-09-27 2017-07-17 주식회사 엘투피코퍼레이션 마스크 팩을 내장한 일회용 미스트 스프레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925A (ja) * 1993-04-05 1994-10-11 Kanebo Ltd 携帯用スプレ―容器
JPH06345164A (ja) * 1993-06-04 1994-12-20 Kanebo Ltd 携帯用ポンプ容器
JPH08244824A (ja) * 1995-03-07 1996-09-24 Hokoku Jushi Kogyo Kk 液体容器のポンプ付き口栓装置
KR200345994Y1 (ko) * 2003-11-12 2004-03-26 (주)코레드 출몰식 배출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814317B1 (ko) * 2007-08-27 2008-03-18 (주)연우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KR200455000Y1 (ko) * 2008-08-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리필 가능한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100068578A (ko) * 2008-12-15 2010-06-24 (주)톨리코리아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KR20170055353A (ko) 2015-11-11 2017-05-19 유한회사 미인테크 피부 수화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미스트 스프레이
KR101758367B1 (ko) 2016-09-27 2017-07-17 주식회사 엘투피코퍼레이션 마스크 팩을 내장한 일회용 미스트 스프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112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3864B1 (en) Fluid dispenser assembly
EP3205228B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KR101477879B1 (ko) 어린이 안전 벌크 용량 분배 유닛
US10806232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WO2016015372A1 (zh) 喷液瓶及喷液瓶盖
WO2017084626A1 (zh) 分配器及包括该分配器的容器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2456112B1 (ko) 미스트 스프레이
KR101778896B1 (ko) 화장품용 펌핑용기
JP2015006671A (ja) ポンプ付容器用ストッパー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US9272826B2 (en) Closure with lock mechanism for fluid products
KR20100097573A (ko)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CN210646889U (zh) 一种花洒
CN210593258U (zh) 一种西林瓶用的可更换泵头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KR20210133746A (ko) 휴대용 액체 분사 장치
KR20200086124A (ko)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CN217515815U (zh) 一种定量喷雾瓶
JP4679014B2 (ja) 粘稠液の注出容器
CN217436531U (zh) 口腔清洁包装瓶和清洁口腔的产品
CN214432500U (zh) 一种双腔滴管瓶及应用该双腔滴管瓶的化妆品
CN212530685U (zh) 带滚珠的物料瓶
CN213293425U (zh) 一种第二容仓顶壁设孔的双物料合装瓶
CN215476925U (zh) 一种便携式喷雾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