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124A -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124A
KR20200086124A KR1020190002355A KR20190002355A KR20200086124A KR 20200086124 A KR20200086124 A KR 20200086124A KR 1020190002355 A KR1020190002355 A KR 1020190002355A KR 20190002355 A KR20190002355 A KR 20190002355A KR 20200086124 A KR20200086124 A KR 2020008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opening
housing
contents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우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우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우실업
Priority to KR102019000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124A/ko
Publication of KR2020008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3001
    • B05B11/3073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는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로서, 외면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하기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입부 및 개구와 연통 구조로 연결된 내부관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평면상으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의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의 중앙 부위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형의 노즐; 상기 본체의 내부관과 노즐의 개구가 연통되도록 본체와 노즐을 연결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본체의 유입부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의 하향 가압시 액상의 내용물을 유입부로 공급하여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시키고,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구조의 수동식 분사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Dispenser Comprising Nozzle Employed with Application Part}
본 발명은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고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소형 수동식 분사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dispenser)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액상 또는 에멀젼 상태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하는 화장품 내지 약품의 용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내용물을 용기에 보관하면서 일정량씩 손쉽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관련 기술도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액상의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는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 상에 결합되어 있고 하향 가압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하향 가압에 의해 용기로부터 액상의 내용물을 상기 노즐을 포함하는 본체에 공급하는 수동식 분사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는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을 사용자의 손 또는 기타 도포 부재를 이용해 피부 또는 환부에 도포해야 하므로 상기 내용물의 도포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으며,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된 내용물은 많은 양이 상기 손 또는 도포 부재로 인해 소실되어 내용물을 도포하고자 소망하는 부위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피부 또는 환부에 단순히 도포하는 것을 넘어서 도포 후 마사지 등을 수행하기 위해, 노즐 자체를 일부 변형한 구조가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노즐 내부에 잔존해 있던 내용물에 피부 또는 환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마사지 과정에서는 이물질과의 접촉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때, 노즐 내부에 내용물이 잔존하면, 이물질이 토출구 주위에 잔존하여 오염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망하는 부위에 대면하는 도포부의 중앙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과 내용물의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구조의 수동식 분사펌프를 구비한 디스펜서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디스펜서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상의 내용물을 소망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할 수 있고, 상기 노즐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을 직접 도포하므로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토출된 내용물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토출 후에는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수동식 분사펌프가 흡입할 수 있게 하여 도포 과정 또는 도포 이후의 작업에서 이물질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액상의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는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로서,
외면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하기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입부 및 개구와 연통 구조로 연결된 내부관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평면상으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의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의 중앙 부위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형의 노즐(application-typed nozzle);
상기 본체의 내부관과 노즐의 개구가 연통되도록 본체와 노즐을 연결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본체의 유입부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의 하향 가압시 액상의 내용물을 유입부로 공급하여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시키고,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구조의 수동식 분사펌프;
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를 통해 토출된 액상의 내용물이 노즐의 도포부에서 소망하는 피부 또는 환부에 직접 접함으로써, 상기 노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자체를 이용해 액상의 내용물을 소망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매우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고,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토출된 내용물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 후에는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의 다수를 수동식 분사펌프가 흡입하므로, 도포 과정 또는 도포 이후의 작업에서 이물질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본체는 수직 단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커넥팅부를 통해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단면상으로 상기 커넥팅부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에는 하향 가압을 위한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를 보다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부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 역시, 본체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노즐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을 피부 또는 환부에 보다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본체는 노즐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유선형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노즐에 인접한 커넥팅부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노즐의 도포부를 피부 또는 환부에 직접 접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다른 부위에 대한 커넥팅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를 이용한 내용물의 직접적인 도포 과정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노즐은 도포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버튼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이루도록, 일측 단부가 커넥팅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 구조에 따라 다른 부위와의 접촉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상기 노즐의 도포부가 피부 또는 환부와 대면하여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가 이루는 경사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5도 내지 50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노즐의 도포부가 이루는 경사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상기 노즐의 경사 구조를 통한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노즐의 도포부가 이루는 경사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지나치게 큰 경우, 오히려 피부 또는 환부와 대면하여 접하는 노즐의 도포부 면적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펜서를 과도하게 기울임으로써, 상기 디스펜서를 이용한 내용물의 도포 과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평면상으로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포부에 인가되는 압력에 대해 보다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노즐의 도포부,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팅부에 연결된 상기 노즐의 일측 단부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를 인체의 굴곡진 다양한 부위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10% 내지 400%의 크기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는, 상기 효과를 용이하게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상기 도포부의 폭이 지나치게 좁아져, 오히려 피부 또는 환부와 직접 대면하여 접하는 도포부의 면적이 감소하거나,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대한 도포부의 접촉 면적이 제한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개구를 중심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피부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포부가 피부 또는 환부에 대면하여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노즐의 개구는 본체의 내부관과 연결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부터 도포부에 대응하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를 통해 토출된 액상의 내용물은 상기 개구의 주변 도포부 부위로 보다 용이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은 도포부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부 또는 환부에 대해 액상의 내용물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포 부위에 대해 소정의 열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키거나, 환부에 대한 통증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은 도포부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포부를 통해 피부 또는 환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열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의 흡수 촉진 및 환부에 대한 통증 완화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금속은 제 1 금속의 표면에, 상기 제 1 금속과 상이한 제 2 금속이 도금 처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금속은 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마그네슘,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일 수 있고, 상기 제 2 금속은 라듐, 금, 또는 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금속은 상기 노즐의 제조의 용이성, 제품의 치수 정밀성,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등을 고려하였을 때, 다이캐스팅(die casting)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은 커넥팅부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의 세척 및 유지 관리가 보다 용이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이용해 액상의 내용물을 도포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진 도포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적절히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가 수직 단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서, 본체를 하향 가압하기 위한 버튼부는 타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에 대한 하향 가압시 수직 단면상으로 수동식 분사펌프의 정중앙이 아닌 편향된 위치에서 하향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하향 가압에 상대적으로 많이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직 단면상으로 수동식 분사펌프의 수직 축에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하향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므로 수동식 분사펌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외향 연장된 버튼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에서, 상기 버튼부의 상면에는 하향 가압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수동식 분사펌프는,
(a)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클로우져에 연결하며 샤프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면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하우징 캡과, 상기 하우징 캡을 통해 하우징의 상부 외면에 체결되고 내용물이 포함된 용기에 하우징을 장착하며 하우징 캡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로우져;
(b)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수평 통로와 상기 수평 통로와 연통되어 있는 수직 통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버튼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 운동을 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외면에 체결된 상태로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샤프트;
(c) 스템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스템의 수평 통로를 개폐하며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펌핑시 샤프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샤프트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와 하우징 캡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 스프링; 및
(d)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고, 펌핑 후 노즐 내부의 잔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스템의 하단을 통해 수직 통로로 상하 운동을 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식 분사펌프는, 내용물의 펌핑을 위해 버튼부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 모드에서, 샤프트의 측면 돌출부와 하우징 캡과 버튼 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용물은 스템의 수직 통로를 통해 노즐의 개구로 배출되며, 반대로 버튼부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는 이완 모드에서,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이 샤프트에 전달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스템의 하단을 통해 수직 통로로 상하 운동을 하는 개폐부재에 의하여, 펌핑 후 노즐 내부의 잔여 내용물 다수가 스템 내부로 흡입되므로, 노즐 내부에 잔여 내용물이 남아 있어 발생하는 오염과 같은 문제, 내용물이 노즐의 개구에서 흘러내리거나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서 내용물이 노즐 내부에서 고화되어 막히게 되는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스템의 수직 통로로 삽입되는 상단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 하단 유입구에 위치하는 하단부의 측면에는 방사형 돌기들이 바깥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가압 모드에서, 개폐부재의 상단 수직 연장부의 일부가 스템의 수직 통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내용물을 압박하여 스템 내부의 내용물이 노즐의 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도와주며, 이완 모드에서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우징 하부 방향으로 이동했던 스템이 원위치로 상승하면서 스템 내에 삽입되어 있던 개폐부재의 상단 수직 연장부의 일부가 스템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때, 스템 외부로 빠져나온 길이의 상단 수직 연장부의 공간만큼 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노즐 내부에 남아있던 잔여 내용물이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스템 내부로 흡입되면서, 펌핑 후 잔여 내용물의 다수가 노즐 내부로부터 제거된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개폐부재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내면에는 개폐부재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방사형 돌기들이 돌출부에 의해 상하 운동의 범위가 한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개폐부재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압모드에서 높아진 하우징 내부의 압력에 의해 하단 유입구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밀봉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개구를 통해 토출된 액상의 내용물이 노즐의 도포부에서 소망하는 피부 또는 환부에 직접 접함으로써, 상기 노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자체를 이용해 액상의 내용물을 소망하는 부위에 직접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매우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고, 종래의 디스펜서에 비해 토출된 내용물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토출 후에는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 다수를 수동식 분사펌프가 흡입하므로, 도포 과정 또는 도포 이후의 작업에서 이물질에 의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캡이 씌워진 상태에서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캡을 제외한 구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펜서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펜서에서 스템의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디스펜서에서 개폐부재의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디스펜서의 일련의 작동 상태에 따른 수직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디스펜서가 캡이 씌워진 상태에서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캡이 씌워진 상태에서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캡을 제외한 구조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디스펜서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디스펜서(700)는 본체(100), 노즐(200), 커넥팅부(300) 및 수동식 분사펌프(400)을 포함하고 있고, 액상의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는 용기(600)에 장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캡(500)이 씌워져 있다.
본체(100)는 외면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유입부(110)와,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노즐(200)의 개구(220)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입부(110) 및 개구(220)와 연통 구조로 연결된 내부관(120)을 포함하고 있다.
노즐(200)은 평면상으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의 도포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도포부(210)의 중앙 부위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한 개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부(300)는 본체(100)의 내부관(120)과 노즐(200)의 개구(220)가 연통되도록 본체(100)와 노즐(200)을 체결식 구조로 연결한다.
수동식 분사펌프(400)는 본체(100)의 유입부(110)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100)의 하향 가압시 액상의 내용물을 유입부(110)로 공급하여 노즐(200)의 개구(220)를 통해 토출시키고,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한다.
본체(100)는 수직 단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커넥팅부(300)를 통해 노즐(200)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단면상으로 커넥팅부(300)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에 하향 가압을 위한 버튼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는 노즐(200)의 방향쪽으로 갈수록 폭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노즐(200)은 도포부(2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버튼부(130)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이루도록, 일측 단부가 커넥팅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200)의 도포부(210)가 이루는 경사도(a)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5도 내지 50도의 범위이다.
노즐(200)의 도포부(210)는, 커넥팅부(300)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L)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W)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평면상으로 커넥팅부(300)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노즐(200)의 도포부(210)는 커넥팅부(300)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10% 내지 400%의 범위이다.
또한, 노즐(200)의 도포부(210)는, 피부 또는 환부에 대면하여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200)를 중심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노즐(200)의 개구(220)는 본체(100)의 내부관(120)과 연결된 개구(220)의 내측으로부터 도포부(210)에 대응하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노즐(200)은 도포부(210)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예를 들어 제 1 금속의 표면에, 상기 제 1 금속과 상이한 제 2 금속이 도금 처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수동식 분사펌프(400)는, 하우징(410), 하우징 캡(420), 클로우져(430), 스템(440), 샤프트(450), 피스톤(460), 압축 스프링(470), 개폐부재(480) 및 밀봉부재(49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스템(440)의 평면 및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개폐부재(480)의 평면 및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도 9에는 수동식 분사펌프(400)의 작동을 이해할 수 있는 디스펜서(700)의 일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410)은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며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다단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 캡(420)은, 샤프트(45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고, 하우징(410)을 클로우져(430)에 연결하며,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클로우져(430)는, 하우징 캡(420)을 통해 하우징(410)의 상부 외면에 체결되고, 내용물이 포함된 용기(600)에 하우징(410)을 장착한다.
스템(440)은, 하우징(410)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수평 통로(441), 및 수평 통로(441)와 연통되어 있는 수직 통로(442)를 포함하고 있고, 펌핑 과정에서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샤프트(450)는 스템(440)의 외면에 체결된 상태로 하우징 캡(420)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펌핑 과정에서 스템(440)의 수평 통로(441)를 개폐하며 하우징(410)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460)은 스템(44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펌핑 과정에서 샤프트(45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470)은 샤프트(45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451)와 하우징 캡(42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펌핑 과정에서 하우징(410)의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80)는 하우징(410)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펌핑 후 노즐(200) 내부의 잔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스템(440)의 하단을 통해 수직 통로(442)로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밀봉부재(490)는 디스펜서(700)을 용기(600)에 장착할 때, 용기(600)와 수동식 분사펌프(400) 사이의 밀봉력을 제공한다.
스템(44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 구조이고, 스템(440)의 하단 외주면에는 연장 돌출부(443)가 형성되어 있어서, 펌핑을 위한 스템(440)의 하강은 연장 돌출부(443)가 하우징(410)의 다단식 내면 구조에 맞물리면서 종료된다.
개폐부재(48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481)이 개방된 중공형의 부재로서,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로 삽입되는 상단 수직 연장부(482)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410)의 하단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부의 측면에는 방사형 돌기들(483)이 바깥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형 돌기들(483)은 하우징(410) 하단 유입구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411)에 의해 상하 운동의 범위가 한정되므로, 개폐부재(480)가 하우징(410)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련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가압 모드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450)의 하강에 의해 스템(44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샤프트(45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451)와 하우징 캡(420) 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470)이 압축된다.
샤프트(450)와 스템(440)이 하강하면서, 하우징(410) 내부의 내용물은 압력이 높아지며, 이러한 압력에 따라 내용물은 스템(440)의 수평 통로(441)를 통과하여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 내부로 유입되고, 개폐부재(480)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서 하우징(410)의 하단부에 위치한 하단 유입구(412)를 폐쇄시킨다.
한편, 피스톤(460)이 하우징(410)의 내면에 대해 가지는 마찰력이 스템(440)의 외면에 대해 갖는 마찰력보다 크므로, 샤프트(450)의 하단이 피스톤(460)의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피스톤(460)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와 하우징(410) 사이의 내부공간은 상호 개방되고,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서 가압된 내용물이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계속적인 가압 모드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로 유입된 내용물은, 본체(100)의 유입부(110)와 내부관(120)을 경유하여 노즐(200)의 개구(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이완 모드 상태에서, 샤프트(450)와 스템(440)은 압축 스프링(470)의 복원력에 의해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460)의 내측과 외측의 이원화된 마찰력으로 인해, 스템(440)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피스톤(460)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템(440)은 수직 통로(442)와 하우징(410) 사이의 내부공간이 상호 밀폐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고, 하우징 내부공간은 압력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 저하는 개폐부재(480)가 개방되면서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면서 해소된다.
또한, 이완 모드 상태에서 스템(440)의 수직 통로(442)도 저압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저압의 해소를 위해, 개구(220)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여 내용물이 수직 통로(442)의 내부로 흡입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그러한 디스펜서가 캡이 씌워진 상태에서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의 디스펜서(701)는, 도 1 내지 도 9의 디스펜서(700)과 비교할 때, 버튼부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701)의 버튼부(131)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외향 연장된 버튼 연장부(132)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본체(100)가 수직 단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노즐(200)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서, 본체(100)를 하향 가압하기 위한 버튼부(131)가 타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한 하향 가압력의 인가 필요성을 억제할 수 있게 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이 아닌 기울어진 각도로 인가되는 하향 가압력에 의한 수동식 분사펌프(400)의 고장 가능성을 방지하여 준다.
추가적으로, 버튼부(131)의 상면에는 하향 가압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들(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들(133)은 버튼 연장부(132)와 조합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한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액상의 내용물이 내장되어 있는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로서,
    외면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중공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하기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입부 및 개구와 연통 구조로 연결된 내부관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평면상으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구조의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의 중앙 부위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형의 노즐(application-typed nozzle);
    상기 본체의 내부관과 노즐의 개구가 연통되도록 본체와 노즐을 연결하는 커넥팅부; 및
    상기 본체의 유입부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의 하향 가압시 액상의 내용물을 유입부로 공급하여 노즐의 개구를 통해 토출시키고, 토출 후 노즐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내용물을 흡입하는 구조의 수동식 분사펌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직 단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커넥팅부를 통해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 단면상으로 상기 커넥팅부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에는 하향 가압을 위한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도포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버튼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이루도록, 일측 단부가 커넥팅부를 통해 본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노즐의 도포부가 이루는 경사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5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커넥팅부에 연결된 일측 단부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이르는 길이가, 이에 수직인 방향의 최대 폭에 대해 110% 내지 40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도포부는 개구를 중심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개구는 본체의 내부관과 연결된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부터 도포부에 대응하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도포부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제 1 금속의 표면에, 상기 제 1 금속과 상이한 제 2 금속이 도금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외향 연장된 버튼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분사펌프는,
    (a)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클로우져에 연결하며 샤프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면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하우징 캡과, 상기 하우징 캡을 통해 하우징의 상부 외면에 체결되고 내용물이 포함된 용기에 하우징을 장착하며 하우징 캡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로우져;
    (b)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수평 통로와 상기 수평 통로와 연통되어 있는 수직 통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버튼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 운동을 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외면에 체결된 상태로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샤프트;
    (c) 스템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스템의 수평 통로를 개폐하며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펌핑시 샤프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샤프트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와 하우징 캡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 스프링; 및
    (d)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고, 펌핑 후 노즐 내부의 잔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스템의 하단을 통해 수직 통로로 상하 운동을 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스템의 수직 통로로 삽입되는 상단 수직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 하단 유입구에 위치하는 하단부의 측면에는 방사형 돌기들이 바깥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내면에는 개폐부재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1020190002355A 2019-01-08 2019-01-08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KR20200086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55A KR20200086124A (ko) 2019-01-08 2019-01-08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55A KR20200086124A (ko) 2019-01-08 2019-01-08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24A true KR20200086124A (ko) 2020-07-16

Family

ID=7183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55A KR20200086124A (ko) 2019-01-08 2019-01-08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34A (ko) * 2021-07-20 2023-01-27 어진향기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34A (ko) * 2021-07-20 2023-01-27 어진향기 용액이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4652C2 (ru) Емкость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система безвоздуш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помянутой емкости
JP5072834B2 (ja) 流体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レス式流体投与システム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JP6886941B2 (ja) 液体吐出容器
JP6792590B2 (ja) 液体吐出容器
KR20090077997A (ko) 수동식 분사펌프
JP5803046B2 (ja) 薬剤ディスペンサ
KR101550698B1 (ko) 약제 디스펜서
JP2011072943A (ja) 押下ヘッド及び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20200086124A (ko)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JP2022013598A (ja) スポイト定量ポンピングキャップ構造
KR101551191B1 (ko) 약제 디스펜서
EP1510259B1 (en) Spray pump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KR101457173B1 (ko) 약제 디스펜서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200403884Y1 (ko) 펌프 디스펜서의 승강식 노즐헤드 작동구조
KR101551192B1 (ko) 약제 디스펜서
KR10157019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491875Y1 (ko) 울트라 미스트용 인서트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KR102448041B1 (ko) 스프레이 장치
KR20150112650A (ko) 슬라이딩타입 펌핑장치
KR102583672B1 (ko) 도포모듈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0495178Y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