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168A - 애완동물 유골함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168A
KR20210126168A KR1020200043112A KR20200043112A KR20210126168A KR 20210126168 A KR20210126168 A KR 20210126168A KR 1020200043112 A KR1020200043112 A KR 1020200043112A KR 20200043112 A KR20200043112 A KR 20200043112A KR 20210126168 A KR20210126168 A KR 2021012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ashes
unit
coupling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미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이수미
이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미, 이미영 filed Critical 이수미
Priority to KR102020004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168A/ko
Publication of KR2021012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3/00Designs characterised by out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5/00Designs characterised by irregular areas, e.g. mottle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유골함에 관한 발명으로, 애완동물의 유골을 봉안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상자 또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하는 유골봉안부(100)와,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시각 또는 청각 또는 후각적으로 반영하여 구현하도록 마련하는 애완동물구현부(300)와, 유골봉안부(100)의 개구부(110)에 상응하도록 결합하여 내부를 봉인하는 착탈식 차폐수단(210)과,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착탈식 장착수단(220)을 마련하는 제1결합부(200)와, 유골봉안부(100) 또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하측에 장착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애완동물의 유품을 보관하도록 구비하는 유품보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아름다운 기억을 반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추모의 상징성 및 분위기를 조성하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유골함{CINERARY URN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유골함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유골함을 구성하되,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반영하는 구성을 유골함에 마련하여 아름다운 기억을 반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장례 절차에 따라서 망자의 시신을 처리하는 방법은 관에 시신을 안치하고 매장하거나 화장하고 분묘를 형성하거나 유골함에 보관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유골함은 망자의 유골을 안전하게 오래도록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써 외부 공기를 차단하면서 습기를 흡수하여 유골의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하도록 도자기나 석재,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항아리, 상자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의 형태로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은 유골이 봉안되는 용기와 개구부를 밀폐하는 두껑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자개 등이 부착되거나 조각을 형성하여 각종 문양이나 글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반려동물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될 정도로 애완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고 애정을 쏟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과 생활하는 데 필요한 용품이나 의료 등의 서비스는 물론, 애완동물의 사후 절차를 위한 장례 용품 및 서비스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사망 시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함에 봉안하고 매장하거나 납골당과 같은 시설 안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애완동물을 위한 유골함에 관한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110198 호에는 항아리나 단지 형상으로 된 몸체와 그 위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몸체 및 뚜껑은 생분해성 수지를 중공성형 또는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애완동물용 분골함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132256 호에는 유골분이 안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부, 및 유골분 상에 수분과 공기가 접하지 않도록 용기부 내부공간에 용용되어 채워진 후 경화된 왁스를 포함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유골함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9 - 0000722 호에는 내부에 유골을 수납하는 유골함 본체와, 유골함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유골함 본체 및 커버는 정화, 탈취, 흡수력을 가지는 황토 및 백토를 포함하여 성형 및 건조되고, 유골함 본체 및 커버의 표면에는 습도 조절을 위해 한지가 부착되는 친환경 유골함을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110198 호 (2010.10.12)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132256 호 (2018.12.12)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9 - 0000722 호 (2019.03.20)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51295 호 (2008.08.08)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애완동물용 유골함은 유골이 봉안되는 용기와 밀폐를 위한 두껑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나 석재 함의 형태로 구성하며 외면에는 애완동물의 이름, 생년월일, 사망일자 등의 글자를 조각하거나 인쇄하여 표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애완동물용 유골함은 사실상 사람의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의 형태 및 구성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애완동물은 유전적 수명으로 인해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기간이 짧고, 특히 사람과는 다른 형태의 친밀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일반적인 유골함에 봉안하여 안치할 경우 사별의 과정에서 더욱 큰 상실감을 동반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유골을 봉안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상자 또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하는 유골봉안부(1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시각 또는 청각 또는 후각적으로 반영하여 구현하도록 마련하는 애완동물구현부(3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개구부(110)에 상응하도록 결합하여 내부를 봉인하는 착탈식 차폐수단(210)과,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착탈식 장착수단(220)을 마련하는 제1결합부(2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 또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하측에 장착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애완동물의 유품을 보관하도록 구비하는 유품보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애완동물과의 아름다운 기억을 반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추모의 상징성 및 분위기를 조성하는 유골함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유골함을 구성하되,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반영하는 구성을 마련하는 애완동물 유골함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애완동물과 생전에 함께 나눈 추억이나 자취를 잊지 않고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을 탑재하여 아름다운 기억을 반추함으로써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골함에 봉안된 애완동물을 추모 시 종래의 일반적인 유골함으로부터 느끼게 되는 사별의 슬픔이나 상실감을 최소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추모의 상징성 및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4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애완동물 유골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4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애완동물 유골함은 애완동물의 유골을 보관하기 위한 유골함을 구성하되,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반영하는 구성을 유골함에 마련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애완동물 유골함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 유골함은 크게 유골봉안부(100)와, 애완동물구현부(300)와, 제1결합부(200)와, 유품보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유골봉안부(100)는 애완동물의 유골을 봉안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상자 또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유골봉안부(100)는 도자기, 목재, 금속, 유리, 및 아로마 비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후술하게 될 애완동물구현부(300)와의 장착 상태에 따라서 소정의 사각 박스형이나 항아리형, 원통형 등의 용기 형태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개구부(110)를 마련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유골봉안부(100)는 유골이 봉안된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거나 변질 및 악취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골봉안부(100)의 제조 시 방습, 제습 기능성을 부여하여 구성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유골봉안부(100)에 형성되는 개구부(110)에는 후술하게 될 제1결합부(200)를 결합하여 진공에 가까운 밀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차폐하는바, 따라서 개구부(110) 상에는 소정의 기밀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결합부(200)는 유골봉안부(100)의 개구부(110)에 상응하도록 결합하여 내부를 봉인하는 착탈식 차폐수단(210)과,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착탈식 장착수단(220)을 마련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200)는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개구부(110)를 밀봉하고 하기 애완동물구현부(300) 간의 결합을 도출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구현부(300)의 구성 및 유골봉안부(100)와의 장착 관계에 따라서 소정의 브래킷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00)에 마련되는 장착수단(220) 및 차폐수단(210)은 예컨대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 자웅 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버튼식 또는 원터치식 결속구나, 스크류 방식의 회전 결합, 가이드를 이용한 슬라이딩 결합, 또는 부착식 구조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와 하기 애완동물구현부(300) 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시각 또는 청각 또는 후각적으로 반영하여 구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다양한 형식으로 표출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애완동물 유골함이 종래의 유골함과 같이 단순히 유골 보관 기능에만 국한하지 않고 보다 상징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추모의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제1조형부(310) 및 제2조형부(320), 제1패널부(340) 및 제2패널부(350)와, 애완동물의 생전에 체취나 소리를 후각 또는 청각적으로 구현하는 체취발생부(360) 및 소리발생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형부(310)는 애완동물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부(311)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조형부(31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이 담긴 데이터를 참조하여 실물에 가까운 입체적인 형상으로 흉상 또는 반신상, 전신상을 제작하여 마련한다.
상기 제1조형부(310)는 도자기, 목재, 금속, 유리, 석재, 기타 합성수지, 및 아로마 비누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 도예, 조각, 사출, 및 3D 프린팅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제1조형부(310)는 내부에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수용이 가능한 체적을 가지는 수용부(311)를 형성하는바, 수용부(311)의 일측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용부(311)의 개구부 상에는 상기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에 상응하는 착탈식 장착 구조를 형성하는 제2결합부(312)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유골봉안부(100)를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결합부(312)는 상기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과 자웅 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버튼식 또는 원터치식 결속구나, 스크류 방식의 회전 결합, 가이드를 이용한 슬라이딩 결합 등의 장착 구조를 적용하여 제1조형부(310)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구현부(300)에 수용되는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3 및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형부(320)는 애완동물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극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조형부(32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이 담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물에 가까운 입체적인 형상으로 흉상 또는 반신상, 전신상을 제작하여 마련한다.
상기 제2조형부(320)는 도자기, 목재, 금속, 유리, 석재, 기타 합성수지, 및 아로마 비누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 도예, 조각, 사출, 및 3D 프린팅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제2조형부(320)는 내부에 공극을 형성하여 경량화하도록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2조형부(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200)와 착탈식 장착 관계를 형성하는 제3결합부(321)를 구비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외부 일측에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결합부(321)는 상기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과 자웅 결합 방식으로 구비되는 버튼식 또는 원터치식 결속구나, 스크류 방식의 회전 결합, 가이드를 이용한 슬라이딩 결합 등의 장착 구조를 적용하여 제2조형부(320)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 형상의 제1조형부(310) 또는 제2조형부(320)에서 신체의 일부분을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임의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는 동작발생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발생부(330)는 상기 제1조형부(310)의 수용부(311) 또는 제2조형부(320)의 공극 내부에 탑재하며 모터, 실린더, 회동수단과 같은 구동수단을 신체의 일부분과 연동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동작발생부(330)를 탑재하는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신체의 일부분, 예컨대 애완동물의 얼굴부위나 다리부위 또는 꼬리부위를 몸체와 별도로 구비하여 구동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신축, 회동, 왕복과 같은 동작을 구현하도록 마련한다. 구동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구동계의 작동 관계로부터 도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부(340)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애완동물의 사진 또는 홀로그램을 삽입 또는 인쇄하여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패널부(340)는 유리, 아크릴, 기타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제1결합부(200)의 일측에 고정하여 사진이나 홀로그램을 삽입하도록 마련한다.
도 7 및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패널부(35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패널부(350)는 LED,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데이터 저장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200)의 일측에 고정하고 애완동물의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에 채취한 냄새 성분을 함유하는 향기조성물을 탑재하여 향을 발산하는 체취발생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체취발생부(360)는 스프레이 분사식 또는 기화식 발향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체취를 함유하는 향기조성물을 외부로 발산하도록 마련한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에 녹음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발생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소리발생부(370)는 스피커 및 데이터 저장수단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음성 파일을 실행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소리발생부(370)는 상기 동작발생부(330)와 작동 상태를 연계하여 동작과 소리를 상호적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품보관부(400)는 상기 유골봉안부(100) 또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하측에 장착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애완동물의 유품을 보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유품보관부(400)는 애완동물이 생전에 사용한 물품을 유골함에 보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자 형상으로 마련하여 보관된 유품을 외부에 전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유품보관부(400)는 상기 유품보관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의 하부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바, 일측에는 조명수단(410)을 장착하여 유품보관부(400) 및 유골함 전반에 조명을 상향 조사하도록 구비하여 추모의 상징성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도모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유골함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함은 애완동물의 유골을 안치하는 유골봉안부(100)와,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는 애완동물구현부(300)와, 유골봉안부(100) 및 애완동물구현부(300)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200)와, 애완동물의 유품을 보관 및 전시하는 유품보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골봉안부(100)에 유골을 안치하고 상기 제1결합부(200)의 일측을 개구부에 결합하여 봉인한다.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제1조형부(310), 제2조형부(320), 제1패널부(340), 제2패널부(350), 및 동작발생부(330), 체취발생부(360), 소리발생부(370)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며, 그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유골봉안부(100)와 제1결합부(200)에 의해 결합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조형부(31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비하여 유골함의 외형 전반을 형성하며, 수용부(311)에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위치하고 수용부(311)의 개구부에서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을 제2결합부(312)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조형부(32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마련하되 유골봉안부(100)의 상측에 제2조형부(320)가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을 제3결합부(321)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동작발생부(330)는 상기 제1조형부(310) 또는 제2조형부(320)에서 애완동물의 머리, 다리, 꼬리에 해당하는 일부분을 구동수단으로 연동하여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며, 예컨대 머리를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전하거나, 다리를 전, 후로 왕복하거나, 꼬리를 좌, 우로 회동하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패널부(340)는 유골봉안부(100)의 전방 외측에서 제1결합부(200)에 결합하여 고정하며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담은 사진 또는 홀로그램 필름을 삽입하거나 인쇄하여 표시하도록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2패널부(350)는 유골봉안부(100)의 전방 외측에서 제1결합부(200)에 결합하여 고정하며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저장한 동영상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체취발생부(360)는 애완동물의 냄새 성분을 함유하는 향기조성물을 발산하도록 분사 또는 기화식 발향수단의 형태로 마련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 소리발생부(370)는 애완동물의 생전에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마련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한다. 소리발생부(370)는 상기 동작발생부(330)와 연동하여 제2조형부(320)에서 특정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특정 소리가 출력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골봉안부(100) 또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하측에는 유품보관부(400)를 장착하여 유골함 전반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애완동물이 생전에 사용하던 유품을 보관하고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전시하며, 조명수단(410)을 작동하여 유골봉안부(100)나 애완동물구현부(300)에 조사함으로써 추모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유골함은 애완동물의 유골을 안치하는 기능과 함께 애완동물과 생전에 함께 나눈 추억이나 자취를 잊지 않고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탑재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골함에 봉안된 애완동물을 추모 시 종래의 일반적인 유골함으로부터 느끼게 되는 사별의 슬픔이나 상실감을 최소화하고 생전의 아름다운 기억을 반추할 수 있도록 하며 유골함을 통해 추모의 상징성 및 분위기를 조성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100: 유골봉안부 110: 개구부
200: 제1결합부 210: 차폐수단
220: 장착수단 300: 애완동물구현부
310: 제1조형부 311: 수용부
312: 제2결합부 320: 제2조형부
321: 제3결합부 330: 동작발생부
340: 제1패널부 350: 제2패널부
360: 체취발생부 370: 소리발생부
400: 유품보관부 410: 조명수단

Claims (9)

  1. 애완동물의 유골을 봉안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0)를 형성하는 상자 또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하는 유골봉안부(1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외부 또는 일측에 구비하고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시각 또는 청각 또는 후각적으로 반영하여 구현하도록 마련하는 애완동물구현부(3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의 개구부(110)에 상응하도록 결합하여 내부를 봉인하는 착탈식 차폐수단(210)과,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착탈식 장착수단(220)을 마련하는 제1결합부(200)와,
    상기 유골봉안부(100) 또는 애완동물구현부(300)의 하측에 장착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애완동물의 유품을 보관하도록 구비하는 유품보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부(311)를 구비하는 제1조형부(3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311)의 일측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되, 개구부 상에는 상기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에 상응하는 착탈식 장착 구조를 형성하는 제2결합부(312)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유골봉안부(100)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극을 구비하는 제2조형부(320)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200)의 장착수단(220)에 상응하는 착탈식 장착 구조를 형성하는 제3결합부(321)를 구비하여 상기 유골봉안부(100)를 외부 일측에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또는 판상의 제1패널부(340)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사진 또는 홀로그램을 삽입 또는 인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 모습을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패널부(35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 형상의 제1조형부(310) 또는 제2조형부(320)에서 신체의 일부분을 구동수단으로 연동하여 임의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비하는 동작발생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에 채취한 냄새 성분을 함유하는 향기조성물을 탑재하여 향을 발산하는 체취발생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구현부(300)는, 애완동물의 생전에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탑재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발생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품보관부(4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자 형상으로 마련하여 보관된 유품을 외부에 전시하도록 구비하고, 일측에는 조명수단(410)을 장착하여 유품보관부(400) 및 유골함 전반에 조명을 조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유골함.
KR1020200043112A 2020-04-09 2020-04-09 애완동물 유골함 KR20210126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12A KR20210126168A (ko) 2020-04-09 2020-04-09 애완동물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12A KR20210126168A (ko) 2020-04-09 2020-04-09 애완동물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168A true KR20210126168A (ko) 2021-10-20

Family

ID=7826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12A KR20210126168A (ko) 2020-04-09 2020-04-09 애완동물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16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95B1 (ko) 2007-10-12 2008-08-08 (주)그린오크 친환경 황토 유골함 제조방법
KR20100110198A (ko) 2009-04-02 2010-10-12 (주)서울장사개발 생분해성 사람용 또는 애완동물용 분골함
KR20180132256A (ko) 2017-06-02 2018-12-12 이보라 반려동물용 유골함
KR20190000722U (ko) 2017-09-12 2019-03-20 김희숙 친환경 유골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95B1 (ko) 2007-10-12 2008-08-08 (주)그린오크 친환경 황토 유골함 제조방법
KR20100110198A (ko) 2009-04-02 2010-10-12 (주)서울장사개발 생분해성 사람용 또는 애완동물용 분골함
KR20180132256A (ko) 2017-06-02 2018-12-12 이보라 반려동물용 유골함
KR20190000722U (ko) 2017-09-12 2019-03-20 김희숙 친환경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938B1 (en) Pet crematory urn
US6023822A (en) Pet crematory urn
US6665916B1 (en) Ash silhouette display device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KR20210126168A (ko) 애완동물 유골함
US20060059669A1 (en) Vessel for memorializing cremated pet
KR20210065777A (ko) 반려 동물용 유골함
KR102603629B1 (ko) 살아 생전 망자의 두상 모습을 입체 형상으로 만든 유골함
CN216517216U (zh) 一种多功能壁挂工艺坟墓
JPH09300896A (ja) 人骨や愛犬猫等の動物の骨の焼却物を硬化剤と共に混合 して造形加工した、仏像墓石筐台盤位牌灯篭等の 加工品
JP3217979U (ja) 納骨包装体
JP3157102U (ja) 墓石
KR20220001899U (ko)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
ES1273325U (es) Urna funeraria con ecosistema vegetal vivo
KR20200000048U (ko) 신앙선택형 유골함
KR20190044384A (ko) 스마트 유골함과 유골함 안치장치
JP2006068235A (ja) 樹木葬用仏壇及び位牌
JP3239569U (ja) 物故者や愛玩動物(ペット)等の記念品
KR20220011873A (ko) 벽 밀착형 유골함
JP3106673U (ja) 置物様のペット用遺品入れ
KR20240030769A (ko) 반려동물 유골함 제조방법 및 그 유골함
JP3195149U (ja) 造型物
JP2012115363A (ja) ペットのメモリアル
JP2005349072A (ja) 愛玩動物用棺及びその組立キット
KR20210068232A (ko) 꽃염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