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750A -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750A
KR20210125750A KR1020200043333A KR20200043333A KR20210125750A KR 20210125750 A KR20210125750 A KR 20210125750A KR 1020200043333 A KR1020200043333 A KR 1020200043333A KR 20200043333 A KR20200043333 A KR 20200043333A KR 20210125750 A KR20210125750 A KR 2021012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atering service
user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310B1 (ko
Inventor
민건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04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3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식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 감지부 및 상기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식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품 및 현재 재고가 부족한 식품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필요한 식품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 주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Cate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ate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요청한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품을 같이 제공하여 보다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낄 수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케이터링(Catering) 서비스란 호텔, 병원, 펍, 항공기, 유람선, 공원, 촬영지나 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사이트, 이벤트 장소 등의 지역이나 원격지에서 음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종래 케이터링 서비스는 대규모 인원이 있는 장소에서 고객에게 전채, 디저트, 아이스크림 등의 음식이나 생수, 칵테일 기타 음료를 서비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케이터링 서비스의 개념이 확장되어 이미 생산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스낵이나, 과일, 빵, 음료수 등과 같은 간식을 카트나 서랍 같은 기구에 담아 회사와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생활하는 장소에 정기적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케이터링 서비스는,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업자가 제공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정보를 수집한 후, 소비자가 직접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터링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부족한 식품이 무엇인지 재고 현황을 스스로 판단 한 후, 필요한 식품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직접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케이터링 서비스의 경우 제공하는 서비스 대상이 간식과 같은 식품 종류에 한정되나 보니, 사용자가 식품은 아니지만 정기적으로 배송을 받아야 하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소모품들은 케이터링 서비스와 별개로 따로 주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4174호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자동적으로 식품의 재고 현황을 판단한 후, 필요한 식품을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소비 형태를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이에 기초한 맞춤형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소비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과 연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순히 식품이나 과일, 음료를 제공해주는 케이터링 서비스를 넘어 사용자가 필요한 다른 소모품들도 함께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식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 감지부 및 상기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식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품 및 현재 재고가 부족한 식품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필요한 식품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 주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품을 검색한 후, 자동 주문하려고 하는 식품의 목록에 상기 지역의 특산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주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미리 입력해 놓은 소모품이 존재하거나, 과거 주문한 소모품 중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소모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모품을 같이 주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계절의 특성 및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에 기초한 식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케이터링 서비스 사용자의 케이터링 서비스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케이터링 서비스 신청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모품 제공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소모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식품 및 소모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지역의 특산물을 검출한 후, 지역 특산물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식품을 분석하여 이에 기초한 사용자의 식습관 형태 및 선호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다르게 식품의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판단한 후, 필요한 식품을 자동적으로 주문함과 동시에 식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소모품도 같이 주문을 하므로 보다 사용자가 편하게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과 연계한 식품을 케이터링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어 지역 특산물을 홍보할 수 있는 동시에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보관부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의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의 다양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케이터링 서비스를 판매 서버(200)로 주문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주문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업체로 송신하는 판매 서버(200),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완성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판매 서버(200)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한 후, 필요한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주문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외부 서버 등과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무선 전화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사용자는 특정 앱(application; App)을 단말 장치(100)에 설치한 후. 앱을 구동시켜 판매 서버(200)에 접속한 후 원하는 케이터링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가 데스크 탑인 경우,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제작한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케이터링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 중 임의의 구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판매 서버(20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업자가 사용자로부터 케이터링 서비스 주문을 받기 위해 마련한 서버로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업자의 컴퓨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의 주문에 따른 식품들이나 음료들이 보관되거나 저장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마련되는 식품의 양이나 종류는 특정 식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식품이나 음료가 보관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모형이나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자판기나 밴딩 머신 같은 장치가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형식의 보관 장치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40)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부(360)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제공 서비스 장치(300)는 케이터링 제공 서비스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들에 대한 각종 영양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310), 판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20), 케이터링 제공 서비스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태그(Tag) 정보를 검출(Scan)할 수 있는 검출부(330), 케이터링 제공 서비스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상세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0), 보관부(36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을 촬영하고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부(350), 각종 식품 및 음료들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360) 및 감지부(350)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필요한 식품들을 판단하고, 통신부(320)를 통해 판매 서버(200)로 필요한 식품을 자동 주문하는 제어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케이터링 제공 서비스 장치(300)가 보관하고 있는 각종 식품들에 대한 영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330)에 의해 사용자가 알고 싶은 식품의 태그(Tag) 정보가 검출 된 경우, 제어부(370)는 저장부(310)로부터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제어부(370)에서 생성한 식품 주문 목록을 판매 서버 서버(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부(32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320)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 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20)은 상술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Reader,33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Scan)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태그 정보란 식품의 고유 정보를 알 수 있는 고유의 아이디(I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code) 등을 의미하며, 식품의 각종 고유 정보는 식품의 영양 정보, 출처, 유효 기간, 생산 업체 등 식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검출부(330)가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식품의 태그 정보를 스캔한 경우,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제어부(370)로 송신한다. 그 후 제어부(370)는 수신한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식품의 각종 고유 정보를 저장부(310)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한 식품의 각종 고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330)는 대표적으로 바코드(Barcode)를 검출 할 수 있는 바코드 검출기(Barcode Rea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QR 코드 검출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검출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검출기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품 정보를 손쉽게 검출부(330)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식품(500)의 태그를 검출부(330)의 일면에 접촉하는 방법으로 식품의 태그 정보를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검출부(330)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적어도 일 면 어느 곳에나 복수 개로 부착될 수 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대한 각종 정보가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40)는 현재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재고 현황, 식품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식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330)에 의해 검출된 식품이 요구르트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의 영양소, 식품 첨가물 등 식품 고유의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40)는 일반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 받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는 조이스틱이나 버튼, 키패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하여 직접 필요하다고 판단된 식품을 주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가 현재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부족하다고 판단된 식품이 있는 경우, 부족하다고 판단된 식품의 종류 중에서 인기 있는 식품들에 대한 정보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40)에 나열 표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부족한 물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35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50)의 카메라부(3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부(360)의 일 면에 마련되어 보관부(360)에 저장되어 있는 식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한 정보는 제어부(37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카메라부(351)를 통해 수신한 영상을 분석해 현재 부족한 식품이 무엇인지 판단하거나, 외관적으로 이상이 있는 식품이 발견된 경우 통신부(320)를 통해 식품을 자동 주문하거나.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351)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 신호 처리부 및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영한 영상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영상처리부는 신호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부(351)는 보관부(360)의 내부에 장착될 수 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36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들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카메라부(351)의 개수는 한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무게 감지부(352)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게 감지부(35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부(360)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보관부(360)에 저장되어 있는 식품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한 정보는 제어부(37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무게 감지부(352)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보관부(360)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의 개수를 판단한 후, 부족한 식품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통신부(320)를 통해 판매 서버(200)로 부족한 식품을 자동 주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관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식품은 하나당 0.5kg 이고 처음에 10개가 저장되어 있다면, 무게 감지부(352)에 의해 측정되는 총 식품의 무게는 5kg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식품의 개수가 4개 이하인 경우에 자동 주문을 하는 것으로 설정을 하였다면 무게 감지부(352)에 의해 측정되는 총 식품의 무게가 2kg인 경우, 제어부(370)는 자동적으로 식품 A에 대해 주문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 감지부(352)는 식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이나, 압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식품의 종류마다 다르게 본인의 기호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개수가 이하인 경우 자동 주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A의 총 무게가 2kg 이하인 경우, 식품 B의 총 무게가 1kg 이하인 경우 식품 A와 B를 자동 주문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무게가 아니라 식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문이 필요한 식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도, 배송비 등을 고려하여 바로 주문을 하지 않고, 주문이 필요한 총 식품의 가격이 미리 설정된 가격(예를 들어 10만원 이상)이나 무게가 미리 설정된 무게(총 20kg)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제어부(370)가 자동 주문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관부(360)는 식품이 보관되는 장소로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 형식으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보관부(361, 362, 363, 364)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도출되는 방식으로(361, 362, 363) 마련되면서 동시에 서랍 형식(364)으로 마련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관부(360)가 복수의 보관부(361, 362, 363, 364, 365)로 나눠질 수 있으며, 각각의 보관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A, B, C, D, E)가 보관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구획으로 보관부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보다 많은 종류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보관부 내에서도 복수 개로 구획이 되어 있으므로 식품들이 서로 섞일 가능성도 낮아 비교적 관리면에서도 용이하다.
도 7의 보관부(360)에도 바닥에는 구역별(361, 362, 363, 364, 365)로 각각 무게 감지부(352)가 내재되어 있어,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A, B, C, D, E) 모두에 대해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부족한 식품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부족한 식품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필요한 주문을 판매 서버(200)에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검출부(330)에서 검출한 식품에 대한 정보 및 감지부(350)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품 및 현재 재고가 부족한 식품을 판단하고, 부족한 식품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통신부(320)를 이용하여 필요한 식품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 주문할 수 있다.
검출부(330)에서 특정 식품 A에 대해 검출이 많이 되었다면 사용자가 A 식품에 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식품 A를 선호한다고 판단하고 식품 A를 자동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어부(370)는 감지부(350)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부족하거나 이상이 있는 식품이 있는 경우 이러한 식품을 자동 주문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품을 검색한 후, 자동 주문하려고 하는 식품의 목록에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 지역의 특산물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대구에 위치하고, 대구의 지역 특산물이 사과이며, 제어부(370)는 식품 중 사과가 부족하다고 판단된 경우 대구 지역의 사과를 주문하도록 주문 정보를 판매 서버(200)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적으로 그 지역의 특산물을 소비자에게 홍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장점 또한 존재한다.
또한, 제어부(370)는 주문 정보를 판매 서버(200)로 송신하면서 식품에 대한 주문 뿐만 아니라 소모품에 대한 주문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위치하는 곳은 다수의 사람들이 장기간 머물러 있는 곳으로서 예를 들어 사무실이나, 학교, 워크샵 장소 등과 같은 장소일 확률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장소는 필수적으로 소모품 예를 들어, 복사 용지, 잉크, 펜, 테이프, 호찌깨스 심과 같은 소모품들이 주기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미리 이러한 소모품이 필요하다고 저장을 해놓은 경우, 제어부(370)는 식품 주문 정보를 판매 서버(200)에 전송할 때 이러한 소모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같이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소모품에 대한 주문을 할 필요가 없어 소모품을 관리하는데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소모품들의 소비는 일반적으로 주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각의 소모품에 대해 주문 주기를 저장해 놓은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특정 소모품이 필요하다고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입력을 하지 않아도 제어부(370)는 주기적으로 소모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사 용지는 한 달에 한번, 잉크는 분기에 한번, 테이프는 반년에 한번 이런 식으로 주기를 저장해 놓았다면, 제어부(370)는 각각의 소모품마다 이러한 주기에 맞춰 소모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현재 계절의 특성 및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하여 이에 기초하여 식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다.
사람들이 소비하는 음식의 경우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가지고 있고, 특정 식품이 마게팅이나 광고에 의해 한시적으로 인기가 높아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자동 주문을 설정해 놓은 경우 제어부(370)는 계절에 맞춘 제철 식품 등을 주문하거나, 판매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주문 정보를 통합적으로 검색한 후 이에 기초한 식품을 자동 주문 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명절의 경우 명절 식품을, 여름인 경우 아이스크림과 같은 식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사용자의 케이터링 서비스 신청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의 과거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한 후, 자동 주문을 할 수 도 있다.
즉, 최근 3개월 동안 식품 A에 대해 주문이 많았다면 제어부(370)는 이러한 식품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식품 A를 주문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봄에는 식품 B를 여름에는 식품 C를 많이 주문하였으면, 매년 봄에는 식품 B를 여름에는 식품 C를 자동 주문 리스트에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식품을 분석하여 이에 기초한 사용자의 식습관 형태 및 선호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나 판매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 송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본인의 식습관 정보에 대해 별도의 절차 없이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의 다양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은 S10(서비스 이용 및 제공 방법) 단계 위주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S10에 의해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직원들의 업무 능력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한 직원들의 식품에 대한 피드백을 농가에게 제공함으로써, 농가는 사용자들의 기호에 맞춘 농식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농가의 소득도 같이 증대되는 효과도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10) 및 장치(300)는 품의 재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판단한 후, 필요한 식품을 자동적으로 주문함과 동시에 종래 기술과 다르게 식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소모품도 같이 주문을 하므로 보다 사용자가 편하게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300)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물과 연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어 지역의 특산물을 홍보할 수 있는 동시에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단말 장치
200: 판매 서버
300: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310: 디스플레이부
320: 통신부
330: 검출부
340: 저장부
350: 감지부
360: 보관부
370: 제어부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부;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식품의 태그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식품의 영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식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량 감지부 및 상기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식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품 및 현재 재고가 부족한 식품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필요한 식품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 주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특산품을 검색한 후, 자동 주문하려고 하는 식품의 목록에 상기 지역의 특산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주문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미리 입력해 놓은 소모품이 존재하거나, 과거 주문한 소모품 중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소모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모품을 같이 주문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계절의 특성 및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에 기초한 식품을 자동 주문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5. 케이터링 서비스 사용자의 케이터링 서비스 신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케이터링 서비스 신청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모품 제공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소모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식품 및 소모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지역의 특산물을 검출한 후, 지역 특산물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터링 서비스에 제공할 식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식품을 분석하여 이에 기초한 사용자의 식습관 형태 및 선호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43333A 2020-04-09 2020-04-09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42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333A KR102428310B1 (ko) 2020-04-09 2020-04-09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333A KR102428310B1 (ko) 2020-04-09 2020-04-09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750A true KR20210125750A (ko) 2021-10-19
KR102428310B1 KR102428310B1 (ko) 2022-08-03

Family

ID=7822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333A KR102428310B1 (ko) 2020-04-09 2020-04-09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3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000A (ja) * 2004-07-12 2006-02-02 Ricoh Co Ltd 消耗品調達サーバ、消耗品調達システム、消耗品調達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消耗品調達方法
KR20060117714A (ko)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문시스템
KR100744174B1 (ko) 2006-05-12 2007-08-01 주식회사 시드컴 캐터링 카트
KR20140054473A (ko) * 2012-10-26 2014-05-09 김말진 식재료 장보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000A (ja) * 2004-07-12 2006-02-02 Ricoh Co Ltd 消耗品調達サーバ、消耗品調達システム、消耗品調達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消耗品調達方法
KR20060117714A (ko) * 2005-05-13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문시스템
KR100744174B1 (ko) 2006-05-12 2007-08-01 주식회사 시드컴 캐터링 카트
KR20140054473A (ko) * 2012-10-26 2014-05-09 김말진 식재료 장보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310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1283B1 (en) Weighing scale system
US10410177B2 (en) Interactive inventory systems and methods
US10019747B2 (en) Enhancing a user's shopping experience
US8183996B2 (en) Mobile information-terminal apparatus, mobile information-terminal control method, and mobile information-terminal program
JP2020101967A (ja) 食材管理システム、食材保管庫、および食材購入推奨方法
KR10170797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US20140255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onitoring of food and beverage intake, determining associated nutritional information and comparing with a predetermined dietary plan
US20240078569A1 (en) Consumer feedback device
US2022015140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display zon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156794A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and tool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595315B1 (ko)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02447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
KR102428310B1 (ko)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JP2006235685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買い物支援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20230222535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18185599A (ja) 注文管理装置、注文管理システム、注文管理方法、及び注文管理プログラム
JP20180776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92263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retrieval of products from stock room bins
KR101916722B1 (ko)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7038313B1 (ja) 情報提供方法、制御方法、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1933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984B1 (ko)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와 판매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177B1 (ko) 상품 위치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전자정보라벨
US20230222534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22157705A (ja) 決済制御装置、決済制御システム、決済制御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