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714A - 자동주문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주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714A
KR20060117714A KR1020050040206A KR20050040206A KR20060117714A KR 20060117714 A KR20060117714 A KR 20060117714A KR 1020050040206 A KR1020050040206 A KR 1020050040206A KR 20050040206 A KR20050040206 A KR 20050040206A KR 20060117714 A KR20060117714 A KR 2006011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refrigerator
server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민
손구영
이수원
김은정
윤덕현
심재성
권영철
공병구
김용태
배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714A/ko
Publication of KR2006011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내에 보관중인 식품의 소모시점을 냉장고가 판단하여 이 식품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자동주문시스템은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제공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구매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처 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로부터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상기 냉장고로 송신하는 정보제공서버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주문을 처리하는 판매처 서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주문시스템{AUTOMATIC ORDER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식품소비정보의 실시예이다.
도 5는 기호패턴정보의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2의 식품구입목록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냉장고 200: 인터넷
300: 정보제공서버 410, 420, 430: 판매처 서버
500: 정산서버
본 발명은 자동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내에 보관중인 식품의 소모시점을 냉장고가 판단하여 이 식품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제품에 따라 보관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별도의 신선도 유지실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저장되는데, 사용자가 고내에 보관된 식품을 일일이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매번 냉장고 문을 열고 닫는 수고를 거쳐야만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냉장고 내의 보관된 식품의 확인은, 냉장고 문을 열고 닫음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유발하고, 또한 보존기간이 초과되어 식품이 부패되므로 인하여, 식품의 낭비를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377741호(발명의 명칭: 냉장고의 보관식품 표시제어장치)에 외부에서 내부의 보관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일정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회로(10)와, 발진회로(10)를 통해 출력된 발진주파수를 특정주파수 신호로 분주시켜 시간을 생성하는 분주회로(11)와, 분주회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시간을 카운트하는 시각계수수단(12)과, 시각계수수단(12)에서 계수된 시각을 기초하여 일정시간이 되었을 때 일자를 변경하는 일자계수수단(13)과, 고내 보관식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14)과, 사용자에 의해 보관식품의 종류, 수량, 보존기간 등, 보관식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선택키부(15)와, 중앙처리장치(19)에 의해서 시각 및 일자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 표시하는 보관 식품 일자/시각 표시부(16)와, 기한이 경과된 식품을 표시하는 기한경과식품 표시부(17)와, 저장수단(14)에 저장된 보관식품의 정보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 표시하는 보관식품순차표시부(18)와, 저장수단(14)에 저장된 보관식품의 정보를 기초해서, 보관식품 시각/일자와, 기한경과된 식품정보 및 현재 보관식품을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중앙처리장치(1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선택키부(15)를 통하여 직접 입력한 보관식품의 정보를 저장수단(14)에 저장한 이후에, 보관식품 시각/일자와, 기한경과된 식품정보 및 현재 보관식품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보관식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복수의 식품의 명칭을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에 대한 기한정보만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소모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식품의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 및/또는 소비기간을 분석하여 식품의 소모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하는 자동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에 대한 최적 판매처에 대한 주문이 사용자 선호정보에 따라 선정되도록 하여 식품에 대한 주문이 사용자의 의도 및 외부 서버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주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자동주문시스템은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제공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구매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처 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로부터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상기 냉장고로 송신하는 정보제공서버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주문을 처리하는 판매처 서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평균 소비기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고내로의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에 부착된 식별수단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상기 식품구입에 대한 정산정보를 추가적으로 포 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주문시스템은 정산 과정을 처리하는 정산서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매처 서버는 상기 정산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정산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상기 판매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판매처 정보 중에서 표준 선호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처 정보에 포함된 판매처 중에서 사용자 선호 정보에 따른 최적 판매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 판매처에 대응하는 판매처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준 선호 정보 및/또는 사용자 선호 정보는 상기 식품의 판매처, 원산지, 품질, 가격, 시기, 사용자의 평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는 맛에 대한 평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자동주문시스템은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판매처 정보에 포함된 판매처 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소정 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냉장고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주문을 처리하는 판매처 서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문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주문시스템은 식품을 냉장 및/또는 냉동으로 보관하고, 고내에 보관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여, 정보제공서버(300) 및/또는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으로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냉장고(100)와, 냉장고(100)와 정보제공서버(300)와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 및 정산서버(5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인 인터넷(200)과, 냉장고(100)로부터 구매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식품구입목록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300)와, 냉장고(100)로부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구입목록 및/또는 식품에 대한 식품주문을 수행하여 배송시키는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과, 냉장고(100)로부터의 주문요청정보에 포함된 정산정보에 따라 식품의 구매에 관한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정산서버(500)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냉장고(100)는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에 대한 식품소비정보를 저장하고, 이 식품소비정보는 적어도 식품의 명칭, 고내에 보관개시 시의 양을 포 함한다. 이 식품소비정보는 해당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의 판단을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데이터로는 현재 보관 중인 식품의 고내에 대한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 정보 또는 소비기간 등이 있으며, 냉장고(100)는 이 현재의 식품소비정보와 비교되는, 즉 판단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기호패턴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관한 설명과 함께 개시된다.
이 냉장고(100)는 식품소비정보와, 사용자 기호패턴정보로부터 식품소모지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2일 이내)에 소모될 식품을 포함하는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고, 이후에 이 식품들에 대한 주문을 수행한다. 이러한 주문을 두 가지의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첫번째 방법은 냉장고(100)가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된 판매처 정보 중에서 이 식품에 대한 최적 판매처를 결정하고, 이 최적 판매처인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에 직접 접속하여 식품구입목록에 포함된 식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냉장고(100)가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구매요청정보를 정보제공서버(300)로 송신하고, 정보제공서버(300)로부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식품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판매처 정보로부터 이 식품에 대한 최적 판매처를 결정하고, 이 최적 판매처인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에 접속하여 식품구입목록에 포함된 식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된 두 방법에서, 냉장고(100)는 최적 판매처로 결정된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로 주문에 대한 비용 지불을 위한 정산 정보를 송신하여,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정산 정보는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정보(예를 들면, 카 드 번호, 비밀번호 등) 또는, 사이버 머니의 지불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넷(200)은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 및/또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모든 구성요소(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서버 등)를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정보제공서버(300)는 식품에 대한 판매처 정보를 다수 저장하고, 수신되는 구매요청정보에 포함된 식품 및/또는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이 정보제공서버(300)는 예를 들면, 다수의 판매처 또는 판매처 서버1 내지 3(410 내지 430)을 대상으로 하되, 이들 간의 가격비교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식품의 품질비교결과를 제공하는 서버 등이 가능하다. 이 판매처 정보는 해당 판매처 및/또는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의 URL과, 각 식품의 가격, 품질(예를 들면, 신선도, 성분 등), 원산지 정보, 생산 또는 출하 시기,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표준선호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제공서버(300)는 이 표준선호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판매처 정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소정의 기준이상에 해당하는 판매처 정보를 선택한다. 이 정보제공서버(300)는 직접 식품을 판매할 수도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판매처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는 냉장고(100)와 접속된 후, 냉장고(100)로부터 송신된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이 주문요청정보에 포함된 식 품구입목록에 따라 소정의 식품들에 대한 주문 과정(예를 들면, 식품 포장, 배송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정산정보를 정산서버(500)로 송신하여, 결제 과정을 수행한다. 이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는 정보제공서버(300)와 인터넷(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정보제공서버(200)에 판매처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정산서버(500)는 판매처 서버1 내지 3(410 내지 430)으로부터 정산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한다. 이 승인여부의 판단은 일반적인 결제 과정과 같이 수행되며, 정산서버(500)는 승인여부를 포함하는 승인정보를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으로 송신하며, 이에 대하여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가 다시 이 승인정보를 냉장고(100)로 송신한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소정의 선택 명령 및/또는 잔량을 입력받는 입력수단(20)과, 식품에 표시되거나 부착된 식별수단으로부터 식품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30)과, 소정의 식품(들)에 대한 식품소비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저장수단(40)과, 인터넷(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50)과, 사용자에게 소정의 식품선택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과, 현재 일시를 산정하는 일시계수수단(60)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기저장된 식품소비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소정의 식품에 대한 기호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고내에 식품을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 가능한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구비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이러한 냉장 및/또는 냉동 프로세스를 당연히 제어하나, 본 발명의 내용과 상관 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자세하게는, 입력수단(20)은 사용자가 고내(및/또는 고내의 특정장소)에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 정보를 입력하는 식품선택부(21)와, 고내에 이 식품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때, 그 투입 및/또는 인출을 마이크로프로세서(80)에 알리기 위한 투입/인출선택부(22) 또는 사용자가 식품의 예상 소비 기간을 입력하기 위한 소비기간선택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력수단(20)은 표시수단(5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것으로,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요구하는 내용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식품선택부(21)는 적어도 식품의 명칭(또는 종류) 및/또는 고내에 보관되는 양(예를 들면, g 단위, ㎖ 단위 등)이 입력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식품의 명칭 및/또는 양이 식품정보가 된다. 이 식품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가 표시수단(60)을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투입/인출선택부(22)는 사용자가 식품을 고내로 투입할 때 및/또는 인출할 때 그 투입 및/또는 인출 사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수단으로, 1개의 버튼 또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투입/인출선택부(22)의 활용을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식품정보를 표시수단(60)에 우선 표시하여, 사용자가 먼저 투입 또는 인출할 식품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식품에 대하여 투입 선택 또는 인출 선택을 하도록 한다. 이 입력수단(20)은 식품의 완전한 인출(또는 최종적 인출)에 대한 선택을, 즉 식품의 완전한 소비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비기간선택(23)은 식품의 평균적인 또는 예상 소비기간(예를 들면, 투입일로부터 7일)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 거나, 이미 소비가 완료된 식품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판독수단(30)은 식품에 표시되거나 부착된 RFID에 저장된 식품정보를 판독하는 RF판독부(31) 및/또는 바코드가 나타내는 식품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판독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품정보는 적어도 식품의 명칭(종류) 및/또는 양을 적어도 포함한다. 다만, 식품의 양은 상술된 입력수단(20)을 통하여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 RF판독부(31)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표시수단(60) 부근(냉장고(100)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고내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수단(60) 부근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식품을 투입 및 인출할 때, 식품을 RF판독부(31) 근처에 위치시키면, 그에 따라 식품정보를 판독하게 되며, 판독 횟수가 홀수이면 투입된 것으로, 판독 횟수가 짝수이면 인출된 것으로 판독될 수 있다. 또한, 고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식품을 투입 및 인출한 전후에 식품의 RFID를 판독하므로, 판독을 시도한 때 식품정보가 판독되면 고내에 투입된 것이고, 판독되지 않으면 고내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식품의 투입 및 인출에 대한 것은 입력수단(20)을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이 바코드판독부(32)는 식품에 또는 식품 용기 또는 식품포장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표시수단(60) 부근에 설치된다. 이 바코드판독부(32)에 의한 식품정보의 판독은 일반적인 바코드 판독방법과 동일하며, 홀수번 판독되면 투입된 것으로, 짝수번 판독되면 인출된 것으로 판단되며, 다만, 식품의 투입 및 인출에 대한 것은 입력수단(20)을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상술된 입력수단(20)과 판독수단(30)은 모두 장착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저장수단(40)은 입력수단(20)에 의한 식품선택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식품에 대한 식품선택정보를 저장한다. 이 식품선택정보는 식품의 명칭(또는 종류) 선택, 양의 선택 등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저장수단(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품의 명칭 및/또는 양을 포함하는 식품정보 및/또는 판독수단(30)으로부터 판독된 식품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수단(40)은 식품정보 이외에, 이 식품의 고내에 대한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와, 이 식품의 소비기간(소비완료를 포함)을 포함하는 식품소비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소비기간은 식품의 소비가 완료된 때, 식품의 최초 고내 투입 시간과 최후 인출 시간 간의 시간간격에 의해 산정될 수 있으며, 이 투입 및 인출 시간은 하기에서 개시되는 일시계수수단(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저장수단(40)은 하기에서 개시될 식품구매목록을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이 식품구매를 위한 판매처 정보 또는 다수의 판매처 정보 중에서 최적의 판매처 정보(또는 판매처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호 정보를 저장한다. 이 판매처 정보는 해당 판매처 및/또는 판매처 서버 1 내지 3(410 내지 430)의 URL과, 각 식품의 가격, 품질(예를 들면, 신선도, 성분 등), 원산지 정보, 생산 또는 출하 시기, 사용자(들)의 평가 등을 적어도 포함한다. 이 판매처 정보는 데이터 제어부(84)가 통신수단(50)을 통하여 정보제공서버(300)에 접속하여 획득한 데이터이며,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갱신된다. 또한, 사용자 선호 정보도 판매처 정보와 유사하게 상기 식품의 판매처, 원산지, 품질, 가격, 시기, 사용자의 평가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평가는 품질에 대한 평가, 가격에 대한 평가, 식품의 맛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통신수단(50)은 냉장고(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80)와 인터넷(200)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모뎀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냉장고(100)에 내장 또는 외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수단(60)은 상술된 식품선택정보, 식품정보, 기호패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모니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20)과 함께 일종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시계수수단(70)은 주기적으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 현재 시각을 산정하여 제공하는 장치로, 상술된 식품의 투입 및/또는 인출 시각을 산정할 때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일시계수수단(70)은 시계와 같이 동작하여 표시수단(60)으로의 표시를 위해 현재 시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입력수단(20) 및/또는 판독수단(30)으로부터 입력되거나 판독된 식품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제어부(84)로 인가하는 데이터 수신부(81)와, 식품소비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기호패턴을 분석하는 데이터 처리부(82)와, 식품선택정보, 식품정보, 기호패턴정보 등이 표시수단(6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제어부(84)로부터 수신하여 인가하는 데이터 송신부(8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수신된 식품정보로부터 식품소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수단(40)에 저장하고, 이 식품소비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기호패턴을 분석하도록 데이터 처리부 (82)를 제어하고, 데이터 송신부(83)로 표시수단(60)에 표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어부(84)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데이터 제어부(84)는 데이터 수신부(81)로부터 식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수단(40)에 저장하고, 표시수단(6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송신부(83)로 인가한다. 데이터 제어부(84)는 수신된 식품정보를 포함하는 식품소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수단(40)에 저장한다. 이 식품정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식품의 명칭 및/또는 양을 적어도 포함하나, 식품소비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식품정보 이외에도 식품의 고내에 대한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포함하고, 또한, 이 식품의 소비기간을 포함한다.
먼저, 입력수단(20)을 통한 식품소비정보의 생성을 살펴본다. 데이터 제어부(84)는 저장수단(40)으로부터 식품선택정보를 판독하여 데이터 송신부(83)로 송신하여 표시수단(6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데이터 제어부(84)는 식품선택부(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가 고내에 보관한 식품의 명칭 및/또는 양을 포함하는 식품정보를 데이터 수신부(81)를 통하여 수신하여 이를 포함하는 식품소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수단(4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84)는 이 식품소비정보의 투입 횟수를 '1'로, 인출 횟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즉, 최초의 투입이므로), 투입선택부(22)로부터의 투입 선택이 입력된 이후에, 그 투입 및 인출 횟수를 이와 같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84)는 일시계수수단(70)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수신하여 식품의 최초 투입 시각(소비시간의 산정을 위한 시각)을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이후에, 데이터 제어부(84)는 저장된 식품소비정보를 표시수단(5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송신부(83)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인출하거나 투입한 식품소비정보(또는 식품)를 선택하고, 이와 함께 인출선택부/투입선택부(22)를 통하여 인출 또는 투입 선택을 입력하고, 이 인출 또는 투입 선택에 입력에 따라 해당 식품소비정보의 인출 횟수 또는 투입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84)는 각 인출 시각을 일시계수수단(70)으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따라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또한, 식품의 완전한 인출(즉, 소비)을 판단해야 이 식품의 소비기간의 산정이 가능하므로, 데이터 제어부(84)는 입력수단(20)으로부터 완전한 인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면, 이때의 인출 시각을 이 식품의 최후 인출 시각으로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또는 데이터 제어부(84)가 인출이 있은 후에, 해당 식품에 대한 투입 선택이 투입/인출선택부(22)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예를 들면, 6시간) 입력되지 않으면, 완전한 소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 마지막 인출을 최후 인출로 판단하고, 이 인출 시각을 최후 인출 시각으로 판단한다. 이후에, 데이터 제어부(84)는 최초 투입 시각과 최후 인출 시각 간의 차이를 소비 기간으로 산정하여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또는, 사용자가 식품의 소비 완료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소비기간선택부(23)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데이터 제어부(84)는 이 식품의 소비완료를 식품소비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한다.
다음으로, 판독수단(30)을 통한 식품소비정보의 생성을 살펴본다. 데이터 제어부(84)는 판독수단(30)으로부터 고내에 투입되는 식품의 식품정보(최초의 식품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소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투입 횟수는 '1'로 설정되며, 인 출 횟수는 '0'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입력수단(20)의 투입/인출선택부(22)로부터의 투입 선택을 수신한 이후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84)는 일시계수수단(70)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수신하여 식품의 최초 투입 시각(소비시간의 산정을 위한 시각)을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이후에, 데이터 제어부(84)는 저장된 식품소비정보를 표시수단(60) 또는, 바코드(30)가 표시수단(60)의 부근(즉, 냉장고(100)의 전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식품을 인출 또는 투입할 때, 인출한 이후에 또는 투입하기 전에 식품을 적어도 판독수단(30)에 접근시키게 되며, 데이터 제어부(84)는 데이터 수신부(81)를 통하여, 판독수단(30)에 의해 판독된 식품정보를 수신하고, 저장수단(40)에 동일한 식품정보 및/또는 식품소비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판단에서, 만약 동일한 식품정보 및/또는 식품소비정보가 존재하면 식품의 재투입 및/또는 인출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최초 투입으로 새로운 식품으로 판단한다. 또한, 동일한 식품정보 및/또는 식품소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식품소비정보의 투입 횟수가 인출횟수보다 크면, 지금 수신된 식품정보는 인출에 대한 수신으로 판단하고, 투입 횟수와 인출횟수가 동일하면 지금 수신된 식품정보는 투입에 대한 수신으로 판단하여, 투입 횟수 또는 인출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도, 투입 또는 인출되는 식품의 식별은 RFID 또는 바코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투입 또는 인출의 식별은 입력수단(20)의 투입/인출선택부(22)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RFID 판독부(31)가 냉장고(100) 고내에 다수개가 설치된 경우, 주기적으로 RFID 판독부(31)가 고내의 식품의 식별수단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므로, 데이터 제어부(84)는 식품소비 정보가 존재하나, 식품정보가 수신되다가 어느 시점에 식품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인출로 판단하고, 이후에 다시 식품정보가 수신되면 투입으로 판단하고, 지속적으로 식품정보가 수신되면 투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판단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84)는 해당 식품소비정보의 인출 횟수 또는 투입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데이터 제어부(84)는 각 인출 시각을 일시계수수단(70)으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따라 식품소비정보에 저장한다.
또한, 판독수단(3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품의 완전한 소비를, 즉 소비의 완료를 판단하거나 입력받는 것은 상술된 입력수단(20)의 과정과 동일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80)는 동일 식품에 대한 다수의 식품소비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식품소비경향을 나타내는 기호패턴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부(84)는 식품의 식품소비정보를 데이터 처리부(82)에 송신한다. 이에 데이터 처리부(82)는 수신된 식품소비정보를 기준으로, 기준되는 양(예를 들면, 100g)에 대하여, 평균적인 투입/인출 횟수와, 평균적인 소비기간(예를 들면, 6일)을 산정하여 기호패턴정보로 데이터 제어부(84)에 전송하고, 데이터 제어부(84)는 이를 저장수단(40)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84)는 상술된 사용자의 식품에 대한 기호패턴정보를 표시수단(6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송신부(83)로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예상 소비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제어부(84)가 저장수단(40)에 저장 된 식품의 식품소비정보를 판독하여, 이 식품의 양(최초 보관시의 양)과, 현재 투입/인출 횟수를 확인하고, 이 식품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호패턴정보를 저장수단(40)으로부터 판독하여, 기준양에 대한 평균적인 투입/인출 횟수와 현재 투입/인출 횟수를 비교하여, 현재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의 기준양(100g)에 대한 투입/인출 횟수가 각 4회인 경우, 현재 식품의 보관양이 300g이고, 인출 횟수가 각 4회(투입 횟수는 4)인 경우, 그 소비된 양은 100g(= {300g * (4/12)})이고, 잔량은 200g이고, 도 4의 소비기간에 입력된 마지막 인출시각을 확인하여 소비된 기간을 산정하고, 잔량에 대한 소비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데이터 제어부(84)는 이 기준양에 대한 평균적인 소비기간과, 현재 식품의 소비기간을 비교하여, 이 식품의 소모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의 기준양(100g)에 대한 소비기간이 5일인 경우, 현재 식품의 보관양이 300g이고, 소비기간이 10일인 경우, 그 소비된 양은 200g이고, 잔량은 100g이고, 추가적으로 5일을 더 소비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의 유통시간이 현재 식품의 예측되는 소비기간(예를 들면, 15일)보다 긴 경우에 상술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냉장고(100)는 상술된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 정보, 소비기간(평균소비기간)에 따라 해당 식품의 소모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소비완료입력에 의해 해당 식품의 소모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측 및/또는 확인을 수행하고, 이 데이터 제어부(84)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매목록을 도 6과 같이 생성하여 저장수단(40)에 저장 한다.
이후에, 데이터 제어부(84)는 정보제공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되는 판매처 정보에만 의존하여 사용자 선호정보에 따라 최적의 판매처를 선택하거나, 저장수단(40)에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에만 의존하여 사용자 선호정보에 따라 최적의 판매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이들 간의 조합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은 정보제공서버(300)가 표준선호정보에 따라 판매처를 선택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데이터 제어부(84)는 최적의 판매처인 판매처 서버(410 내지 430)에 접속하여, 상술된 식품구매목록과,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통신수단(50)을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데이터 제어부(84)는 판매처 서버(410 내지 430) 및/또는 정산서버(500)로부터의 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주문과정을 완료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소모여부를 판단하여, 자동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관식품의 양이나 주문에 대한 부담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식품의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 및/또는 소비기간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품의 소모여부를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에 대한 최적 판매처에 대한 주문이 사용자 선호정보에 따라 선정되도록 하여 식품에 대한 주문이 사용자의 의도 및 외부 서버의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없이 자동적인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제공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구매요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처 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냉장고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매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로부터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상기 냉장고로 송신하는 정보제공서버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주문을 처리하는 판매처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평균 소비기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고내로의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에 부착된 식별수단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상기 식품구입에 대한 정산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문시스템은 정산 과정을 처리하는 정산서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매처 서버는 상기 정산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정산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상기 판매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상기 판매처 정보 중에서 표준 선호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에 대응하는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매처 정보에 포함된 판매처 중에서 사용자 선호 정보에 따른 최적 판매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 판매처에 대응하는 판매처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선호 정보 및/또는 사용자 선호 정보는 상기 식품의 판매처, 원산지, 품질, 가격, 시기, 사용자의 평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평가는 맛에 대한 평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1. 고내에 보관 중인 식품의 식품소모시점을 판단하고, 소정의 기간 내에 소모될 식품에 대한 식품구입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식품구입목록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판매처 정보에 포함된 판매처 서버로 상기 식품구입목록을 포함하는 주문요청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냉장고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수신하여 식품주문을 처리하는 판매처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평균 소비기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소모시점을 상기 식품의 고내로의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식품에 부착된 식별수단을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 및/또는 인출 횟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요청정보는 상기 식품구입에 대한 정산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문시스템은 정산 과정을 처리하는 정산서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판매처 서버는 상기 정산정보를 상기 정산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정산정보에 대한 승인정보를 상기 판매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검색된 판매처 정보에 포함된 판매처서버 중에서 사용자 선호 정보에 따른 최적의 판매처 서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의 판매처 서버로 상기 주문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는 상기 식품의 판매처, 원산지, 품질, 사용자의 평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평가는 맛에 대한 평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문시스템은 상기 판매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판매처 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판매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주문시스템.
KR1020050040206A 2005-05-13 2005-05-13 자동주문시스템 KR20060117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06A KR20060117714A (ko) 2005-05-13 2005-05-13 자동주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06A KR20060117714A (ko) 2005-05-13 2005-05-13 자동주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14A true KR20060117714A (ko) 2006-11-17

Family

ID=3770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06A KR20060117714A (ko) 2005-05-13 2005-05-13 자동주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7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013A1 (en) * 2011-08-12 2013-02-21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purchasing and managing an item using a terminal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KR20130021142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0175894A (zh) * 2019-05-30 2019-08-27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下单方法、系统及装置
KR20210125750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CN113642878A (zh) * 2021-08-06 2021-11-12 松下电器研究开发(苏州)有限公司 食材贮存设备的食材管理系统及食材采购的管理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013A1 (en) * 2011-08-12 2013-02-21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purchasing and managing an item using a terminal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KR20130021142A (ko) * 2011-08-22 2013-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081961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0175894A (zh) * 2019-05-30 2019-08-27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下单方法、系统及装置
KR20210125750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리프이노베이션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CN113642878A (zh) * 2021-08-06 2021-11-12 松下电器研究开发(苏州)有限公司 食材贮存设备的食材管理系统及食材采购的管理方法
CN113642878B (zh) * 2021-08-06 2023-11-24 松下电器研究开发(苏州)有限公司 食材贮存设备的食材管理系统及食材采购的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414B2 (en)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food ord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204763B1 (en) Household consumable item automatic replenishment system including intelligent refrigerator
US78949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anaging vending machine inventory prices
US20120101876A1 (en) Method of managing household product inventory
KR20060117714A (ko) 자동주문시스템
US20080052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olicy driven meal plans
US20100179881A1 (en) System for making product purchases
CN103903176A (zh) 一种实现自助售货的物联网交易系统
CN107403249A (zh) 物品管理方法、装置、智能储藏设备和操作系统
KR100660699B1 (ko) 사용자 기호패턴 인식기능을 지닌 냉장고
KR100605214B1 (ko) 냉장고의 생활정보 제공장치
JP7145606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469363B2 (ja) 商品管理装置、商品管理方法およ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US200500153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waste in vending machines
JP7445344B2 (ja) 管理システム
KR102212319B1 (ko) Rfid를 이용한 냉장고 물품 정보 관리 시스템
JP2004348445A (ja) 食料品管理システム
KR20150124015A (ko) 자동판매기의 판매정보 분석 및 원격 관리장치와 그 방법
JP2003091665A (ja) 買い物支援サーバ及びシステム
CN109064154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相关装置
WO2021095271A1 (ja) 商品庫、決済端末、付属商品庫、および記録媒体
CN113554801A (zh) 一种无人售货系统
CN106846118A (zh) 一种根据存储物情况进行购物引导的视频智能购物冰箱
JP2004005027A (ja) 商品購入方法
KR20020027722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판매용 냉장고 및 그 판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