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228A - 개량 전통 관악기 - Google Patents

개량 전통 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228A
KR20210125228A KR1020200042656A KR20200042656A KR20210125228A KR 20210125228 A KR20210125228 A KR 20210125228A KR 1020200042656 A KR1020200042656 A KR 1020200042656A KR 20200042656 A KR20200042656 A KR 20200042656A KR 20210125228 A KR20210125228 A KR 2021012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ong
wind instrument
traditional wind
instrument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567B1 (ko
Inventor
송경호
Original Assignee
송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호 filed Critical 송경호
Priority to KR102020004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 전통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통 관악기의 형태가 통상의 국악기 중금의 형태를 가지면서, 음색은 정악대금의 특징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는 전폐음(全閉音; 지공을 모두 막은 음)이 ‘황종(黃鐘; E♭)’임을 특징으로 하여, 길이가 짧아진 관악기를 통하여 지공의 위치가 신체에 가까이 위치하여 처음 전통 관악기를 접하는 초보자의 경우 통상의 정악대금을 연주하는 학습효과를 가지며,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를 통하여 지공의 운지 및 지공의 개폐의 불안감이 해소되어 연주자에게 만족하는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죽관악기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효과 및 통상의 중금 형태의 전통 관악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정악대금과 동일한 음색을 연주할 수 있어, 향후 정악대금을 연주하는데 선행학습이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량 전통 관악기{Traditional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개량 전통 관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통 관악기의 형태가 통상의 국악기 중금의 형태를 가지면서, 음색은 정악대금의 특징을 갖도록 한 것이다.
전통 관악기의 경우 악기 제작이 용이하도록 내경이 가공이 편리하고 악기 연주에 필요한 구성을 형성하는데 용이한 대나무가 사용되었다.
전통 죽관악기에는 대금, 중금, 소금이 있으며, 상기의 악기들은 신라삼죽(新羅三竹)에 속하는 가로로 부는 전통 관악기로서, 삼국사기(三國史記) 악지(樂志)에 따르면 당시 연주되던 대금곡이 324곡, 소금곡이 298곡, 중금곡이 245곡으로 중금의 연주곡이 가장 적었고, 지금은 전혀 연주되지 않는 악기이다.
상기의 죽관악기는 악기의 형태에 따라 연주되는 음색이 각각의 특징이 있으며, 또한, 악기의 외관적 특징에 따른 음색 구분으로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으로 구분되고, 현재는 활용성이 미비한 중금이 있다.
상기의 정악대금, 산조대금, 중금은 악기의 외관상 가장 큰 특징은 악기의 길이인데, 정악대금은 대략 86cm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산조대금은 73cm 내외이고, 중금은 55cm 내외, 소금은 45cm 내외 이다.
상기의 악기의 길이는 악기를 구성하는 취구, 천공, 지공, 칠성공 등의 간격과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 기능을 하고 있어, 단편적으로 설명하면 악기의 길이에 따라 음색이 결정된다 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금이 풍부하고 두터운 음색을, 소금이 맑고 깨끗한 음색을 지닌 반면 중금은 그 고유의 색깔이 약해 점점 대금과 소금이 가진 장점에 반해, 뚜렷한 장점이 없는 중금은 활용성이 미비하여 현재는 연주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중금의 특징은 정악을 연주하는 정악대금보다 길이가 짧은 산조대금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는 악기면서, 산조대금과 동일한 취구와 지공 배열을 가지고 있어, 산조대금과 비교할 때 지공의 개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금의 경우, 연주방법과 악보(오선보)에 대한 생소함에 의해 악기를 연습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정례와 되어 있는 악기의 길이 및 그 길이에 맞게 설정된 지공의 위치로 인하여, 손이 작은 경우와 손가락의 길이가 짧은 경우 규격화 되어 있는 대금의 지공을 막거나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대금의 연주에서 지공의 전폐와 개방은 악기의 음정 및 소리를 결정하는 사안으로 연주자의 의사와 동일하게 운지가 되어야 하는 악기의 특성상 불완전한 지공의 막음 현상은 초보자의 경우 악기에 대한 호감도 및 연주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어, 국악기는 어렵다는 편견이 형성되어 전통악기에 대한 보급이 저하되는 중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문헌 1(등록특허 제10-1480042호/관안기의 축소 방법 및 축소 모델)과 공개문헌 2(등록특허 제10-1724790호/개량 대금)이 있다.
공개문헌 1의 경우, 연주자의 평균연령에 대한 신체의 형태(손의 형상 및 크기)를 모듈화하여 이에 맞는 악기 사이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공개문헌 1은, 사회적 환경(유전, 성장과정)에 따라 동일한 연령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신체가 존제하고 특히, 손의 경우에는 신체적 특징이 매우 복잡하게 나타나는 경우(키에 비해 손이 작은 사람, 반대인 경우 포함)가 빈번하게 나타나므로 연령별을 기준하여 악기를 맞춤하는 매우 제한적인 방법일 수 있다.
공개문헌 2는, 악기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위치하는 지공의 배열을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지공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 하로 벗어하는 형태에서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경우 일반적인 죽관악기(대금, 중금, 소금)의 지공의 위치와 크게 벗어 나게 되므로, 공개문헌 2의 따른 국악기를 연주한 경우 일반적인 국안기를 연주하는데 어려움이 격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통악기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악기의 길이에서 오는 연주의 부담감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개량된 전통 관악기를 통하여, 크기는 중금의 크기를 가지면서 음색은 전통 관악기에서 가장 길이가 긴 정악대금과 동일한 음색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정악대금 연주곡을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량된 전통 관악기는, 죽관악기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나 손(손가락)의 크기가 작은 성년과 어린이가 쉽게 죽관악기 연주를 습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운지법을 통하여, 개량 전통 관악기가 전통 정악대금의 음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개량 전통 관악기의 형태가 길이는 중금의 크기를 가지면서, 음색은 정악대금 음색을 갖는 죽관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 관악기는 전폐음(全閉音; 지공을 모두 막은 음)이 ‘황종(黃鐘; E♭)’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는 음 간격이 정악대금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량 전통 관악기의 길이는 640~660mm 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취구는 대금 마디에서 33~37mm 거리에 있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청공과 지공1의 간격은 78~82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1과 지공2의 간격은 28~32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2와 지공3의 간격은 34~38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3과 지공4의 간격은 36~40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4와 지공5의 간격은 36~40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5와 지공6의 간격은 37~41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에서 지공6과 칠성공의 간격은 68~72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는 칠성공에서 끝단의 간격은 28~32mm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는 상기의 취구, 청공, 지공 및 칠성공은 동일 선상에서 위치한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의 내경 지름은 19~21mm이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의 취구는 가로 19~21mm 세로가 15~17mm의 타원형이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의 청공은 가로 11~13mm 세로 13~15mm의 타원형이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의 지공 지름 8~10mm의 원형이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의 칠성공 지름8~10mm의 원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줄어든 개량 전통 관악기의 음색이 통상의 정악대금의 음색을 가지도록 지공을 막는 운지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전통 관악기의 효과를 살펴보면,
악기의 길이가 짧고, 이로 인하여 지공의 위치가 신체에 가까이 위치하여 처음 전통 관악기를 접하는 초보자의 경우 통상의 정악대금을 연주하는 학습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를 통하여 지공의 운지 및 지공의 개폐의 불안감이 해소되어 연주자에게 만족하는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죽관악기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의 중금 형태의 전통 관악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정악대금과 동일한 음색을 연주할 수 있어, 향후 정악대금을 연주하는데 선행학습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의 음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의 운지법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와 정악대금 운지접 비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속이 비어 있고 마디를 갖는 쌍골죽, 황죽, 오죽이 포함되는 대나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나무를 제외한 다른 목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관악기를 구성하는 내경의 길이는 525~540mm 이며, 연주를 위하여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관악기는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은 관악기의 길이방향으로 순서대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은 관악기의 길이방향 중심에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상하, 1~2mm 내외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는 타원형 형상의 취구와 청공이 형성되며, 원형의 지공과 칠성공이 구비된다.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실시 예를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재질은 대나무 이다.
첨부한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전체길이는 취구(10) 상측의 대나무 뿌리부분의 형성에 따라 차이를 가질 수 있으나, 길이방향 내경의 첫 마니를 기준하여 끝단까지 533mm이다.
또한, 취구(10), 청공(20), 지공(30)~(80) 및 칠성공(90)은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취구(10), 청공(20), 지공(30~(80) 및 칠성공(90)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연주자의 입김이 유입되는 취구(10)의 형태는 가로 20mm, 세로 16mm 크기를 갖는 타원형 형태이며, 형상의 기준이 되는 취구(10)의 중심이 첫 마디에서 35mm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하기에서 설명될 청공(20), 지공(30)~(80) 및 칠성공(90)의 위치는 각각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간격을 측정한 것이다.
개량 전통 관악기(100)에서 갈대 청이 부착되는 청공(20)은 가로 12mm 세로 14mm 크기의 타원형 형태이며, 취구(10)에서 이격된 거리는 140mm이다.
또한, 음률을 제공하기 위해 운지되는 지공(30)~(80)은 지름 9mm 원형이며,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음(key)의 높이를 결정하는 칠성공(90)은 지름 9mm 원형이다.
상기의 취구(10), 청공(20), 지공(30)~(80) 및 칠성공(90)은, 통상의 알려진 방법으로 개량 전통 관악기(100)에 천공되는 것으로, 천공이 '∥' 형태로 수직으로 천공되거나,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로 경사지게 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지공1(30)은 청공(20)으로부터 80mm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의 지공1(30)를 기준하여, 지공2(40), 지공3(50), 지공4(60), 지공5(70), 지공6(8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지공1(30)과 지공2(40)의 이격 거리는 30mm이며, 지공3(50)은 지공2(40)에서 36mm 이격되며, 지공4(60)는 지공3(50)에서 37mm 이격되며, 지공5(70)는 지공4(60)에서 37mm 이격되며, 지공6(80)은 지공5(70)에서 38mm 이격된 곳이 형성된다.
또한,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전체 음높이(key)를 결정하는 칠성공(90)은 지공6(80)에서 70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끝단은 칠성공(90)에서 30mm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이 취구(10), 청공(30), 지공(30)~(80) 및 칠성공(90)을 형성한 상태에서 지공(30)~(80)을 모두 막은 상태 즉, 전폐음(全閉音; 지공을 모두 막은 음)이 그림과 같이 ‘황종(黃鐘; E♭)’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첨부한 도 2와 같이, 개량 전통 관악기(100)는 Eb4~Ab6 범위의 음역대를 가지게 된다.
이는, 통상의 정악대금이 가는 저취(저음부) Bb~Db의 음역은 가지지 못하지만, 정악대금이 가지지 않는 고취(고음부) Gb~Ab 음역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사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100)는, 첨부한 도 3과 같은 운지법을 통하여, 악기의 형태는 보통의 정악대금보다 짧은 형태이지만, 새로운 운지법을 통해 기존의 정악대금과 같은 음역을 낸다.
상기의 기능을 위하여,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경우 대금(정악, 산조)에서 사용되는 운지법과 다른 형태로 운지를 하여, 정악대금의 음역을 가진다.
개량 전통 관악기(100)를 이용하여 정악대금의 평치(기본음) '태(汰)'음을 내는 경우,
정악대금에서는 지공1, 2, 6을 막고, 지공3, 4, 5를 개방하는 것으로 태음을 낸다.
개량 전통 관악기(100)의 운지는 지공6(80)를 제외한 지공1(30), 지공2(40), 지공3(50), 지공4(60), 지공5(70)를 막는 것으로 음을 낸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전통 관악기(100)는 첨부한 도 3과 개량 전통 곽악기(100)의 운지 방법을 새롭게 하므로, 첨부한 도 4와 같은 기존 정악대금의 음을 연주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취구
20. 청공
30. 지공1
40. 지공2
50. 지공3
60. 지공4
70. 지공5
80. 지공6
90. 칠성공
100. 개량 전통 관악기

Claims (1)

  1. 관악기를 구성하는 내경의 길이가 533mm이며,
    관악기의 형성되는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이 관악기의 중심에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관악기에 형성되는 취구의 형태는 가로 20mm, 세로 16mm 크기를 갖는 타원형 형태이며, 형상의 기준이 되는 취구의 중심이 내경의 시작 점에서 35mm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과,
    관악기에서 갈대 청이 부착되는 청공은 가로 12mm 세로 14mm 크기의 타원형 형태이며, 취구에서 140mm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과,
    관악기에서 음계를 결정하는 지공은 지름 9mm 원형이며, 천체 음계의 높이를 결정하는 칠성공은 지름 9mm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의 지공을 구성에서 지공1은 청공으로부터 80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지공2는 지공1에서 30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지공3은 지공2에서 36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지공4는 지공3에서 37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지공5는 지공4에서 37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지공6은 지공5에서 38mm 이격되게 형성되고, 칠성공은 지공6에서 70mm 이격되게 형성되어,
    지공을 모두 막은 전폐음(全閉音)이 '황종(黃鐘; E♭)’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전통 관악기.
KR1020200042656A 2020-04-08 2020-04-08 개량 전통 관악기 KR10233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56A KR102331567B1 (ko) 2020-04-08 2020-04-08 개량 전통 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56A KR102331567B1 (ko) 2020-04-08 2020-04-08 개량 전통 관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28A true KR20210125228A (ko) 2021-10-18
KR102331567B1 KR102331567B1 (ko) 2021-11-26

Family

ID=7827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56A KR102331567B1 (ko) 2020-04-08 2020-04-08 개량 전통 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88Y1 (ko) * 2002-05-01 2002-07-23 이용구 개량산조대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88Y1 (ko) * 2002-05-01 2002-07-23 이용구 개량산조대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67B1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251Y1 (ko) 개량형 정악대금
CN106098033B (zh) 一种排箫
US20180033415A1 (en) Mute equipment capable of controlling a breath pressure and an adapter thereof
US7375270B2 (en) Transverse whistle flute and method of playing
KR102331567B1 (ko) 개량 전통 관악기
KR100828997B1 (ko) 티자형 오카리나
US5367937A (en) Harmonica
CN215069191U (zh) 一种六指多孔半音笛
KR100451632B1 (ko) 오카리나 악기
KR200349305Y1 (ko) 원형(圓形) 오카리나
US3198054A (en) Musical instrument of the wind type
KR102179295B1 (ko) 연주가 용이한 개량관악기
CN2742527Y (zh) 活塞箫
Dodge et al. The acoustics of three Maori flutes
CN212380098U (zh) 一种泛音笛
JPH087430Y2 (ja) 着脱自在の歌口具を設けた縦式篠笛
CN216212292U (zh) 萧笛
US5375498A (en) Recorder
KR200310152Y1 (ko) 이중 음색을 낼 수 있는 리코더
Pope die lichtung
KR200285838Y1 (ko) 오카리나 악기
KR200320690Y1 (ko) 리코더
US20050045022A1 (en) Single-reed wind instrument
KR20090077505A (ko) 리코더
KR200267778Y1 (ko) 종이 피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